KR20170029190A -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190A
KR20170029190A KR1020150126194A KR20150126194A KR20170029190A KR 20170029190 A KR20170029190 A KR 20170029190A KR 1020150126194 A KR1020150126194 A KR 1020150126194A KR 20150126194 A KR20150126194 A KR 20150126194A KR 20170029190 A KR20170029190 A KR 20170029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terminal device
cpc
group
c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770B1 (ko
Inventor
손상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770B1/ko
Priority to PCT/KR2016/009254 priority patent/WO2017043781A1/ko
Publication of KR2017002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를 요청한 단말장치가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이 확인되면,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CPC 광고를 CPM 광고보다 우선하여 제공함으로써,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높은 CPM 광고의 광고물량을 모두 제공(소진)하는 동안 CPC 광고의 광고물량을 최대한 많이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AND APPARATUS APL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CPC(Cost Per Click) 광고보다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높은 CPM(Cost Per Mille) 광고의 광고물량을 모두 제공(소진)하는 동안 CPC 광고의 광고물량을 최대한 많이 제공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패드 등의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광고 시장도 빠른 속도로 확장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바일 장치(이하, '단말장치'라 칭함)에서는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 접속 시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광고를 수신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광고플랫폼장치가 단말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광고로는 예컨대, CPM(Cost Per Mille) 광고와, CPC(Cost Per Click) 광고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CPM 광고는 광고주와 약속된 광고물량만큼 광고가 제공(소진)되는 경우 광고 비용이 책정되는 광고 속성을 가지며, CPC 광고는 단말장치에서의 광고 선택(Click)에 따라 광고 비용이 책정되는 광고 속성을 갖는다.
이에, 광고주와 약속된 광고물량만큼 광고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CPM 광고가 CPC 광고보다 높은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CPM 광고에 대한 광고주로부터의 니즈(Needs)가 많지 않으며, 더욱이 광고 제공 우선순위에 따라 CPC 광고의 선택 확률이 높은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CPM 광고가 우선적으로 제공되어, 광고 선택(Click)을 통한 수익 발생을 기회를 놓치게 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CPC(Cost Per Click) 광고보다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높은 CPM(Cost Per Mille) 광고의 광고물량을 모두 소진시키는 동안 CPC 광고의 광고물량을 최대한 많이 소진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는, 단말장치로부터의 광고 요청과 관련하여, 제1광고 및 상기 제1광고보다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높은 제2광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1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광고가 상기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상기 단말장치에 우선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1광고가 제공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수신자그룹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광고는,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광고 선택(Click)에 따라 광고 비용이 책정되는 광고 속성을 가지며, 상기 수신자그룹은, 상기 제1광고가 제공된 횟수에 대해 상기 제1광고가 선택된 횟수가 차지하는 비율인 광고선택비율, 및 전체광고물량 중 상기 제2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광고물량을 기초로 그룹 내 수신자 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자그룹은, 상기 광고선택비율이 커지거나, 또는 상기 나머지 광고물량이 작아질수록 그룹 내 수신자 수가 적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선택비율, 및 상기 나머지 광고물량을 기초로 산출되는 목표선택횟수만큼 상기 제1광고가 선택된 경우,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2광고가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로부터의 광고 요청과 관련하여, 제1광고 및 상기 제1광고보다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높은 제2광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1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광고가 상기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상기 단말장치에 우선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1광고가 제공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수신자그룹에서 제외시키는 그룹제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광고는,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광고 선택(Click)에 따라 광고 비용이 책정되는 광고 속성을 가지며, 상기 수신자그룹은, 상기 제1광고가 제공된 횟수에 대해 상기 제1광고가 선택된 횟수가 차지하는 비율인 광고선택비율, 및 전체광고물량 중 상기 제2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광고물량을 기초로 그룹 내 수신자 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자그룹은, 상기 광고선택비율이 커지거나, 또는 상기 나머지 광고물량이 작아질수록 그룹 내 수신자 수가 적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광고선택비율, 및 상기 나머지 광고물량을 기초로 산출되는 목표선택횟수만큼 상기 제1광고가 선택된 경우,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2광고가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광고를 요청한 단말장치가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이 확인되면,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CPC 광고를 CPM 광고보다 우선하여 제공함으로써,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높은 CPM 광고의 광고물량을 모두 제공(소진)하는 동안 CPC 광고의 광고물량을 최대한 많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를 수신하는 단말장치(100), 단말장치(100)에 대해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플랫폼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단말장치(100)는 광고매체를 통해서 광고를 수신하며, 광고의 선택을 통한 서비스 페이지 접속 등의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위 단말장치(100)로는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광고매체를 통해서 광고 수신이 가능하며,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 접속을 위한 브라우저 구동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서 광고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광고매체로는 예컨대, 단말장치(100) 자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단말장치(100)에서 브라우저를 호출하여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 페이지가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광고매체에는, 그 개발 과정에서 광고 수신과 관련된 SDK(Software Development Kit)가 포함되게 되는데, 결국 단말장치(100)에서는 광고매체에 포함된 위 SDK를 통해서 광고를 요청 및 수신 그리고 표시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광고매체는 광고 요청 및 수신 그리고 표시로 이어지는 전술한 일련의 기능뿐만 아니라,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이루어지는 광고처리정보에 대한 수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페이지 내 광고 수신 및 표시 그리고 광고 선택(Click)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광고처리정보로서 수집하여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에서는 자신의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요청 및 수신하는 풀(Pull) 방식을 통해서 광고를 수신하게 된다.
다만, 위 광고 수신 방식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광고플랫폼장치(200)에 대한 별도의 광고 요청 없이도,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광고를 수신하는 푸시(Push) 방식으로도 광고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고플랫폼장치(200)는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하는 광고 서버를 일컫는다.
이러한,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가 요청되는 경우,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광고를 추출하여, 단말장치(100)에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가 요청되는 경우, 제1광고 또는 제2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제1광고는 예컨대, 단말장치(100)에서의 광고 선택(Click)에 따라 광고 비용이 책정되는 광고 속성을 갖는 CPC 광고를 말하며, 제2광고는 예컨대, 광고주와의 약속된 광고물량만큼 광고가 제공(소진)되는 경우 광고 비용이 책정되는 광고 속성을 갖는 CPM 광고를 말한다.
이하에선, 편의상 제1광고를 CPC 광고가 명명하며, 제2광고를 CPM 광고로 명명하여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는 CPM 광고를 CPC 광고보다 높은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로 단말장치(100)에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CPM 광고를 CPC 광고보다 높은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로 제공하는 것은, 광고주와 약속된 광고물량만큼 광고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CPM 광고의 속성 때문이다.
결국, 광고플랫폼장치(200)는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를 약속된 광고물량만큼 모두 제공한 이후에서야, 비로서 CPC 광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CPM 광고를 약속된 광고물량만큼 모두 제공한 이후 CPC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 CPC 광고의 선택 확률이 높은 단말장치(100)에 대해서도 CPM 광고가 우선적으로 제공되어, 광고 선택(Click)을 통한 수익 발생을 기회를 놓치게 되는 문제점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높은 CPM 광고의 광고물량을 모두 제공(소진)하는 동안 CPC 광고의 광고물량을 최대한 많이 제공(소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광고플랫폼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광고플랫폼장치(200)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말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위 제1광고부(110)는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광고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일컫는 것으로서, 위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된 SDK(Software Development Kit)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광고부(120)는 또 다른 광고매체로서,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 접속에 따라 광고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일컫는 것으로서, 브라우저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위 브라우저의 경우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 시, 서비스 페이지에 삽입되어 있는 SDK의 소스 코드(Source Code)를 읽어와 광고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의 경우, 단말장치(100)의 운영체계(OS)에서 제공하는 OS 기반 브라우저이거나, 또는 단말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 브라우저일 수 있다.
참고로, 자체적으로 브라우저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통상적으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전용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이라 명명될 수 있다.
이상 언급한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도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위 구성을 통해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광고를 수신하여 표시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광고부(110)는 광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고부(11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요청하게 되며, 위 광고 요청에 따라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광고가 수신되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지정되어 있는 광고 표시 영역에 수신된 광고를 표시하게 된다.
참고로, 제1광고부(11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단말장치(100)의 장치식별정보(예: MDN, IMEI)를 이용하여 단말식별정보를 자체적으로 발급하고,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1광고부(110)는 광고처리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고부(110)는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광고를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내 광고 표시 영역에 표시한 이후, 광고에 대한 선택(Click)이 이루어지는 경우, 광고 표시 및 선택이 이루어졌음을 광고처리정보로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제1광고부(100)가 전달하는 광고처리정보는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을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광고플랫폼장치(200)의 설명에서 다루기로 한다.
제2광고부(120)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에 대한 선택(Click)이 확인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에 삽입된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장치(도시안됨)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접속된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서 광고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예: 상품 판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와는 다른 광고매체로서,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 접속에 따라 광고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임을 언급한 바 있다.
이에,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와는 별도로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 접속에 따라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요청할 수 있으며, 위 광고 요청에 따라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광고가 수신되면 서비스 페이지 상의 광고 표시 영역에 수신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와 마찬가지로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광고를 서비스 페이지 내 광고 표시 영역에 표시한 이후, 광고에 대한 선택(Click)이 이루어지는 경우, 광고 표시 및 선택이 이루어졌음을 광고처리정보로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광고부(120)는 서비스 페이지 내 광고에 대한 선택(Click)이 확인되는 경우, 제1광고부(110)와 동일하게 광고에 삽입된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장치(도시 안됨)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접속된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서 광고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예: 상품 판매) 역시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에서 앞서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을 염두 해 두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통해 메모리(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인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는 프로세서(1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1310), 입출력장치(13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치(1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1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장치(132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 표시,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 선택 확인, 서비스 페이지 접속 화면의 표시 등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1321)의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321)는 화면에 이루어지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은 물론이다.
결국,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11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통신장치(1310)와 입출력장치(132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의 표시 및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제1광고부(110)는 통신장치(1310)와 입출력장치(1320)를 통해 광고를 수신 및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고부(11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통신장치(1310)를 통해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요청하게 되며, 위 광고 요청에 따라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광고가 수신되면, 입출력장치(132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1321)를 제어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지정되어 있는 광고 표시 영역에 수신된 광고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1광고부(110)는 통신장치(1310)를 통해 광고처리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고부(110)는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광고를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내 광고 표시 영역에 표시한 이후, 입출력장치(1320)를 통해 광고에 대한 선택(Click)이 확인되는 경우, 통신장치(1310)를 통해 광고 표시 및 선택이 이루어졌음을 위 광고처리정보로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전달하게 된다.
제2광고부(120)는 통신장치(1310)와 입출력장치(1320)를 통해 광고를 수신 및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광고부(120)는 통신장치(1310)를 통한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 접속에 따라 광고플랫폼장치(200)에 광고를 요청하게 되며, 위 광고 요청에 따라 광고플랫폼장치(200)로부터 광고가 수신되면, 출력장치(132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1321)를 제어함으로써, 서비스 페이지 상의 광고 표시 영역에 수신된 광고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2광고부(120)는 통신장치(1310)를 통해 광고처리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광고부(120)는 수신된 광고를 서비스 페이지 내 광고 표시 영역에 표시한 경우, 입출력장치(1320)를 통해 광고에 대한 선택(Click)이 확인되는 경우, 통신장치(1310)를 통해 광고 표시 및 선택이 이루어졌음을 위 광고처리정보로서 광고플랫폼장치(20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제2광고부(120)는 통신장치(1310)를 통해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광고부(120)는 제1광고부(11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에 대한 선택(Click)이 확인되거나, 서비스 페이지 내 광고에 대한 선택(Click)이 직접 확인되는 경우, 통신장치(1310)를 통해 서비스장치(30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접속된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서 광고와 관련된 상품 판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단말장치(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장치(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장치(200)는 광고를 요청한 단말장치(100)가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210), 및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CPC 광고와 CPM 광고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고플랫폼장치(2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제어부(220)로부터 제어에 따라 CPC 광고 또는 CPM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하는 제공부(2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확인부(210), 제어부(220), 및 제공부(230)를 포함하는 광고플랫폼장치(2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CPM 광고의 광고물량을 모두 제공(소진)하는 동안 CPC 광고의 광고물량을 최대한 많이 제공(소진)할 수 있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광고플랫폼장치(2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가 요청되는 경우, 광고를 요청한 단말장치(100)가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수신자그룹은, CPC 광고를 선택할 확률이 일정 크기 이상인 것으로 예상되는 수신자들의 집합을 말하며, 이러한 수신자그룹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처리정보와, 기타 개인정보의 분석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선, 수신자그룹에 대한 결정 과정이 선행되어만 하며, 이러한 수신자그룹의 결정은 제어부(22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어 누적된 광고처리정보를 이용하여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220)는 광고처리정보로부터 일정시간(예: 과거 3시간) 동안 CPC 광고가 제공된 횟수에 대해 CPC 광고가 선택된 횟수가 차지하는 비율인 광고선택비율과,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물량을 이용하여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다르게 결정할 있다.
이처럼,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다르게 결정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를 요청한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를 갖는 CPM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CPC 광고를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무관하게 CPC 광고를 제공하다 보면, CPM 광고를 광고주와의 약속된 광고물량만큼 제공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220)는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다르게 결정하는 방식을 통해서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될 확률 즉, CPC 광고가 제공될 확률을 결정함으로써, CPM 광고를 광고주와의 약속된 광고물량만큼 제공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제어부(220)는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결정함에 있어서,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커지거나, 또는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클수록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작게 결정함으로써, CPC 광고가 제공될 확률을 낮출 수 있으며, 반대로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작아지거나, 또는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적을수록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많게 결정함으로써, CPC 광고가 제공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10%이며, 전체광고물량 100개 중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50개이라면, CPM 광고의 광고물량을 제외한 CPC 광고의 광고물량 50개를 모두 제공한 경우, 총 5 회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광고처리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400명을 수신자그룹으로 결정한 경우에 CPC 광고에 대해 50회의 선택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다면,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10%를 반영하여,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40명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20)는 CPC 광고 및 CPM 광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공부(230)에서 CPC 광고 및 CPM 광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CPC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우선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단, 제어부(220)는 CPC 광고가 목표선택횟수만큼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단말장치(100)에 대해 CPC 광고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목표선택횟수는, 광고기간 동안 CPC 광고가 선택되어야 하는 횟수를 일컫는 것으로서,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과,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물량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10%이며, 전체광고물량 100개 중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50개인 경우, CPC 광고의 목표선택횟수는 5회(50 X 1/10)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목표선택횟수는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커지거나, 또는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적어질수록 그 횟수가 많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CPC 광고의 목표선택횟수가 모두 채워진 것이 확인된다면, 제공부(230)로 하여금 기존의 광고 제공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처럼,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CPC 광고의 목표선택횟수가 모두 채워진 것이 확인된다면, 수신자그룹(100)에 단말장치(100)가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210)의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단말장치(100)에 대한 CPC 광고의 제공이 완료되는 경우, 단말장치(100)를 수신자그룹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이후의 광고 요청 시에는 단말장치(100)에 대해 기존의 광고 제공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기존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우선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광고플랫폼장치(2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에서 앞서 설명한 광고플랫폼장치(2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은 프로세서(2100),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2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를 통해 메모리(2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2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2210)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고플랫폼장치(200) 내 각 구성인 확인부(210), 제어부(220), 및 제공부(230) 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2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는 프로세서(2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231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치(2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2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메모리(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광고플랫폼장치(2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2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21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를 매개로 통신장치(2310)와 입출력장치(232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CPM 광고의 광고물량을 모두 제공(소진)하는 동안 CPC 광고의 광고물량을 최대한 많이 제공(소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광고플랫폼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광고플랫폼장치(2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2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제어부(220)는 수신자그룹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어 누적된 광고처리정보를 이용하여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확인부(21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220)는 광고처리정보로부터 일정시간(예: 과거 3시간) 동안 CPC 광고가 제공된 횟수에 대해 CPC 광고가 선택된 횟수가 차지하는 비율인 광고선택비율과,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물량을 이용하여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220)는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결정함에 있어서,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커지거나, 또는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클수록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작게 결정함으로써, CPC 광고가 제공될 확률을 낮출 수 있으며, 반대로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작아지거나, 또는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적을수록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많게 결정함으로써, CPC 광고가 제공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10%이며, 전체광고물량 100개 중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50개이라면, CPM 광고의 광고물량을 제외한 CPC 광고의 광고물량 50개를 모두 제공한 경우, 총 5 회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광고처리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400명을 수신자그룹으로 결정한 경우에 CPC 광고에 대해 50회의 선택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다면,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10%를 반영하여,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40명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220)는 CPC 광고의 목표선택횟수를 기초로 광고 제공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CPC 광고의 목표선택횟수가 모두 채워진 것이 확인된다면, 제공부(230)로 하여금 기존의 광고 제공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CPC 광고의 목표선택횟수가 모두 채워지지 않은 것을 확인한 제어부(220)로부터의 확인 요청에 따라 광고를 요청한 단말장치(100)가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제어부(220)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220)는 CPC 광고 및 CPM 광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에 따라 제공부(230)에서 CPC 광고 및 CPM 광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CPC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우선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단말장치(100)에 대한 CPC 광고의 제공이 완료되는 경우, 단말장치(100)를 수신자그룹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이후의 광고 요청 시에는 단말장치(100)에 대해 기존의 광고 제공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기존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우선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함은 물론이다.
제공부(230)는 CPC 광고 및 CPM 광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공부(230)는 제어부(220)로부터 제어신호에 따라 CPC 광고 또는 CPM 광고를 통신장치(2310)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제공부(230)는 단말장치(100)가 CPC 광고의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을 확인한 제어부(22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CPC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제공부(2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CPC 광고의 목표선횟수가 이미 채워진 것을 확인하였거나, 단말장치(100)가 CPC 광고의 수신자그룹에 속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제어부(22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CPM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따르면, 광고를 요청한 단말장치(100)가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이 확인되면,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CPC 광고를 CPM 광고보다 우선하여 제공함으로써,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높은 CPM 광고의 광고물량을 모두 제공(소진)하는 동안 CPC 광고의 광고물량을 최대한 많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220)는 단계 'S110'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어 누적된 광고처리정보를 이용하여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을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광고처리정보로부터 일정시간(예: 과거 3시간) 동안 CPC 광고가 제공된 횟수에 대해 CPC 광고가 선택된 횟수가 차지하는 비율인 광고선택비율과,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물량을 이용하여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220)는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결정함에 있어서,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커지거나, 또는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클수록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작게 결정함으로써, CPC 광고가 제공될 확률을 낮출 수 있으며, 반대로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작아지거나, 또는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적을수록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많게 결정함으로써, CPC 광고가 제공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220)는 단계 'S120'및 'S130'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CPC 광고의 목표선택횟수가 모두 채워진 것이 확인된다면, 단계 'S160'에 따라 제공부(230)로 하여금 기존의 광고 제공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목표선택횟수는, 광고기간 동안 CPC 광고가 선택되어야 하는 횟수를 일컫는 것으로서,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과,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물량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10%이며, 전체광고물량 100개 중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50개인 경우, CPC 광고의 목표선택횟수는 5회(50 X 1/10)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확인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CPC 광고의 목표선택횟수가 모두 채워지지 않은 것을 확인한 제어부(220)로부터 확인되는 경우, 단계 'S140'에 따라 광고를 요청한 단말장치(100)가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대해,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에 따라 제공부(230)에서 CPC 광고 및 CPM 광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계 'S150'에 따라 제공부(230)로 하여금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CPC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우선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단말장치(100)에 대한 CPC 광고의 제공이 완료되는 경우, 단말장치(100)를 수신자그룹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이후의 광고 요청 시에는 단말장치(100)에 대해 기존의 광고 제공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단계 'S160'에 따라 제공부(230)로 하여금 기존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우선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각 구성의 동작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광고플랫폼장치(2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2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220)는 단계 'S1100' 및 단계 'S1200'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어 누적된 광고처리정보를 이용하여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확인부(21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광고처리정보로부터 일정시간(예: 과거 3시간) 동안 CPC 광고가 제공된 횟수에 대해 CPC 광고가 선택된 횟수가 차지하는 비율인 광고선택비율과,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물량을 이용하여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220)는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결정함에 있어서,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커지거나, 또는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클수록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작게 결정함으로써, CPC 광고가 제공될 확률을 낮출 수 있으며, 반대로 CPC 광고의 광고선택비율이 작아지거나, 또는 전체광고물량에서 CPM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이 적을수록 수신자그룹 내 수신자 수를 많게 결정함으로써, CPC 광고가 제공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20)는 단계 'S1300' 내지 단계 'S1600'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CPC 광고의 목표선택횟수가 모두 채워진 것이 확인된다면, 제공부(230)로 하여금 기존의 광고 제공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확인부(210)는 단계 'S1700'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CPC 광고의 목표선택횟수가 모두 채워지지 않은 것을 확인한 제어부(220)로부터 확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 'S1800' 및 단계 'S1900'에 따라 광고를 요청한 단말장치(100)가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220)는 단계 'S2000'에 따라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를 기초로 제공부(230)에서 CPC 광고 및 CPM 광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CPC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우선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단말장치(100)에 대한 CPC 광고의 제공이 완료되는 경우, 단말장치(100)를 수신자그룹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이후의 광고 요청 시에는 단말장치(100)에 대해 기존의 광고 제공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제어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자그룹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기존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에 따라 CPM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우선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함은 물론이다.
이후, 제공부(230)는 단계 'S2100'에 따라 CPC 광고 또는 CPM 광고를 통신장치(2310)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
이때, 제공부(230)는 단말장치(100)가 CPC 광고의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을 확인한 제어부(22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CPC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제공부(2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CPC 광고의 목표선횟수가 이미 채워진 것을 확인하였거나, 단말장치(100)가 CPC 광고의 수신자그룹에 속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제어부(22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CPM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광고를 요청한 단말장치(100)가 CPC 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이 확인되면,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CPC 광고를 CPM 광고보다 우선하여 제공함으로써,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높은 CPM 광고의 광고물량을 모두 제공(소진)하는 동안 CPC 광고의 광고물량을 최대한 많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는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광고플랫폼장치(200)는 또한 예컨대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예컨대 RS-232 포트와 같은 직렬 통신 장치 및/또는 예컨대 802.11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입출력 장치는 다른 입출력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 예컨대 키보드,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플랫폼장치(200)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광고플랫폼장치(2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CPC(Cost Per Click) 광고보다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높은 CPM(Cost Per Mille) 광고의 광고물량을 모두 제공(소진)하는 동안 CPC 광고의 광고물량을 최대한 많이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제1광고부  120: 제2광고부
200: 광고플랫폼장치
210: 확인부 220: 제어부
230: 제공부

Claims (11)

  1. 단말장치로부터의 광고 요청과 관련하여, 제1광고 및 상기 제1광고보다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높은 제2광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1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광고가 상기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상기 단말장치에 우선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플랫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1광고가 제공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수신자그룹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플랫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고는,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광고 선택(Click)에 따라 광고 비용이 책정되는 광고 속성을 가지며,
    상기 수신자그룹은,
    상기 제1광고가 제공된 횟수에 대해 상기 제1광고가 선택된 횟수가 차지하는 비율인 광고선택비율, 및 전체광고물량 중 상기 제2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광고물량을 기초로 그룹 내 수신자 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플랫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그룹은,
    상기 광고선택비율이 커지거나, 또는 상기 나머지 광고물량이 작아질수록 그룹 내 수신자 수가 적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플랫폼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선택비율, 및 상기 나머지 광고물량을 기초로 산출되는 목표선택횟수만큼 상기 제1광고가 선택된 경우,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2광고가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플랫폼장치.
  6. 단말장치로부터의 광고 요청과 관련하여, 제1광고 및 상기 제1광고보다 광고 제공의 우선순위가 높은 제2광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1광고와 관련된 수신자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수신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광고가 상기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상기 단말장치에 우선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플랫폼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1광고가 제공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수신자그룹에서 제외시키는 그룹제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플랫폼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고는,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광고 선택(Click)에 따라 광고 비용이 책정되는 광고 속성을 가지며,
    상기 수신자그룹은,
    상기 제1광고가 제공된 횟수에 대해 상기 제1광고가 선택된 횟수가 차지하는 비율인 광고선택비율, 및 전체광고물량 중 상기 제2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광고물량을 기초로 그룹 내 수신자 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플랫폼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그룹은,
    상기 광고선택비율이 커지거나, 또는 상기 나머지 광고물량이 작아질수록 그룹 내 수신자 수가 적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플랫폼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광고선택비율, 및 상기 나머지 광고물량을 기초로 산출되는 목표선택횟수만큼 상기 제1광고가 선택된 경우,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2광고가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플랫폼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150126194A 2015-09-07 2015-09-07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57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194A KR102570770B1 (ko) 2015-09-07 2015-09-07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CT/KR2016/009254 WO2017043781A1 (ko) 2015-09-07 2016-08-22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194A KR102570770B1 (ko) 2015-09-07 2015-09-07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90A true KR20170029190A (ko) 2017-03-15
KR102570770B1 KR102570770B1 (ko) 2023-08-25

Family

ID=5840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194A KR102570770B1 (ko) 2015-09-07 2015-09-07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7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5997A (ja) * 2000-03-21 2001-09-28 Casio Comput Co Ltd 広告データ運用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伝送媒体
KR20030014671A (ko) * 2002-11-14 2003-02-19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광고의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15063A (ko) * 2013-07-30 2015-02-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5997A (ja) * 2000-03-21 2001-09-28 Casio Comput Co Ltd 広告データ運用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伝送媒体
KR20030014671A (ko) * 2002-11-14 2003-02-19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광고의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15063A (ko) * 2013-07-30 2015-02-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770B1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37931A (ko)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94774A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38684A (ko) 대리결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83346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26165A (ko) 광고매체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05264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29190A (ko)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60126291A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23015A (ko) 데이터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69729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79324A (ko) 광고 입찰 처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60098816A (ko) 식별정보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61890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692110B2 (en) Terminal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70017397A (ko) 광고 연동 처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466452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48893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27423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15207A (ko) 광고입찰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22381A (ko)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663595B1 (ko)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83592B1 (ko) 광고 입찰 기반 신뢰 수신자 결정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60104309A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49694A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12141A (ko) 광고입찰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