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931A -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7931A KR20240037931A KR1020240035206A KR20240035206A KR20240037931A KR 20240037931 A KR20240037931 A KR 20240037931A KR 1020240035206 A KR1020240035206 A KR 1020240035206A KR 20240035206 A KR20240035206 A KR 20240035206A KR 20240037931 A KR20240037931 A KR 202400379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specific location
- terminal device
- virtual reality
- reality cont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8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15 scrip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즉,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특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촬영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컨텐츠의 직관적 인지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를 타겟으로 특정장소의 방문 목적에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를 타겟으로 가상화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정장소(예: 쇼핑몰)에 진입한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와 관련된 컨텐츠(예: 광고, 정보 등)를 가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패드 등의 모바일 장치(이하, 단말장치)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예: 광고, 정보 등)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처럼,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수의 사업자(예: 광고주)에 의해 방대한 양의 컨텐츠들이 단말장치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되는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의 관심사항을 고려하지 않고 무작위로 제공되고 있어 대부분 스팸성 광고로 인식되어 광고 효과를 기대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정보, 노출된 개인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안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더라도, 컨텐츠가 단순히 텍스트 또는 광고 이미지로만 제공되어 있어 컨텐츠 별로 사용자가 직접 오프라인 상의 매장 위치 또는 이벤트 장소 등을 직접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와 매핑시켜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여전히 사용자에게 스팸성 광고로서 인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과 같이 컨텐츠가 스팸성 광고로 인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불특정 다수에게 방대한 양의 컨텐츠를 무작위로 제공하는 대신, 특정장소에 진입한 사용자를 타겟으로 다양한 컨텐츠 및 이벤트를 제공하려는 사업자(예: 광고주)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되, 컨텐츠에 대한 직관적 인지도를 향상시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특정장소(예: 쇼핑몰)에 진입한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가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는 운영관리부; 및 상기 특정장소 내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와 관련되어 수집된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는, 상기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추적부;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상기 특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촬영이미지와 상기 검출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이력관리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이미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재방문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적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영관리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진입확인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수신에 동의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수신 동의한 시점에서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 전달하는 컨텐츠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위치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이미지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은,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는 관리단계; 및
상기 특정장소 내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추적단계;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상기 특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특정위치에서의 촬영이미지와 상기 검출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이미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재방문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적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수신에 동의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수신 동의한 시점에서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위치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이미지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특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촬영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컨텐츠의 직관적 인지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를 타겟으로 특정장소의 방문 목적에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가상화된 컨텐츠(이하, 가상현실 컨텐츠)를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
본 발명에서의 특정장소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목적을 갖고 방문하는 고유의 특성을 갖는 오프라인 상의 특정건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장소는 쇼핑몰과 같이 쇼핑을 하거나, 국세청과 같이 세금 관련 업무를 처리하거나, 우체국과 같이 우편업무를 처리하는 것과 같이 고유의 특성을 갖는 건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단말장치(100)로는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구동이 가능하며, 가상현실 컨텐츠 수신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서의 가상현실 컨텐츠 수신이 가능하게 하는 컨텐츠제공매체로는 예컨대, 단말장치(100) 자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단말장치(100)에서 브라우저를 호출하여 접속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페이지가 해당될 수 있는 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00)에서 가상현실 컨텐츠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컨텐츠제공매체가 애플리케이션임을 전제 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에서 컨텐츠제공매체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 또한,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달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게 된다.
참고로, 단말장치(100)에서는 특정장소로의 진입여부를 판단하게 위해 현재 위치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이러한 현재 위치 확인은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컨텐츠제공장치(200)는, 단말장치(100)를 비롯한 다수 단말에 대하여 특정장소와 관련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판단하고,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이미지와 촬영이미지를 가상화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하,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특정위치는 특정장소(예: 쇼핑몰)에 입점된 다수의 상점들에 대한 위치로서,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상점을 일컫는다. 즉, 특정위치에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 중 특정위치에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매핑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는 위치정보관리부(11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처리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서비스처리부(120)는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는 컨텐츠제공매체인 애플리케이션에 해당된다.
이상의 위치정보관리부(110) 및 서비스처리부(12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특정장소로 진입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게 되면 특정장소와 관련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정보관리부(110)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관리부(110)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을 인지하고,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 없이 단말장치(100)에서 컨텐츠제공매체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 저장된 특정장소의 위치정보값을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로 진입한 이후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문자메시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팝업메시지로 수신한다. 이어서, 서비스처리부(120)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동의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하며,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미동의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
이후,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에는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생성된 촬영이미지를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
한편,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카메라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처리부(120)는,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면, 수신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의 위치정보관리부(110) 및 서비스처리부(12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는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특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촬영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생성되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컨텐츠제공장치(200)의 구체적인 설명에서 다루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에서 앞서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염두 해 두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통해 메모리(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인 위치정보관리부(110), 및 서비스처리부(12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는 프로세서(1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위치확인장치(1310), 통신장치(1320), 및 입출력장치(133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확인장치(1310)는 예컨대,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장치(132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132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133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다양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321)에 대한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결국,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11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위치확인장치(1310) 및 통신장치(132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특정장소와 관련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위치정보관리부(110)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관리부(110)는, 위치확인장치(1310)를 통해 특정장소 내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을 인지하고, 통신장치(1320)를 통해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 없이 단말장치(100)에서 컨텐츠제공매체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 저장된 특정장소의 위치정보값을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로 진입한 이후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문자메시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팝업메시지로 수신한다. 이어서, 서비스처리부(120)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동의메시지를 생성한 다음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하며,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미동의메시지를 생성한 다음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
이후,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입출력장치(1330)를 매개로 카메라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1331)를 제어한다.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1331)를 통해 표시되는 촬영이미지를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
한편,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가 구동되지 않도록 입출력장치(1330)를 제어한다. 이때, 카메라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처리부(120)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면, 입출력장치(133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1331)를 제어함으로써, 가상현실 컨텐츠를 표시하게 된다.
이상, 단말장치(1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을 이어 가지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는 운영관리부(210) 및 특정장소 내에서 단말장치(100)의 위치와 관련되어 수집된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의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즉, 가상현실 컨텐츠)하여 제공하는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단말장치(100)로 제공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이력관리부(230) 및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단말장치(100)로부터 촬영이미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재방문관리부(2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운영관리부(21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 이력관리부(230) 및 재방문관리부(240)를 포함하는 컨텐츠제공장치(2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특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촬영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의 전반적인 운영상황을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부(210)는, 진입확인부(211) 및 컨텐츠관리부(212)를 포함한다.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가 감지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처럼 특정장소 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가 수신되면,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다양한 진입경로 중 단말장치(100)가 진입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진입확인부(211)는, 단말장치(100)가 진입하였음을 컨텐츠관리부(212)로 알린다.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며,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에 동의하는 시점에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에 입점된 다수의 특정위치에서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 및 컨텐츠이미지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특정장소가 쇼핑몰이고, 특정위치가 다수의 상점인 경우, 컨텐츠관리부(212)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기 이전에 미리 다수의 상점으로부터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시에 관련 컨텐츠이미지를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또한, 컨텐츠관리부(212)는, 진입확인부(211)로부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장치(100)로 전달한다.
이후, 컨텐츠관리부(212)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컨텐츠관리부(212)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동의메시지를 수신하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미동의메시지를 수신한다.
컨텐츠관리부(212)는, 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0)가 수신동의한 시점에서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
만일, 미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컨텐츠관리부(212)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했더라도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도록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미동의메시지를 전달한다.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추적부(221), 검출부(222) 및 생성부(223)를 포함한다.
추적부(221)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한다.
즉,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장소 내에서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수신한다.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장소 내에서의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한다.
이후,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한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검출부(222)로 전달한다.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면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산출된 매칭값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특정위치 이미지는, 특정장소 내에서 특정위치의 내부 인테리어(예: 내부간판, 판매제품 등), 외부 인테리어(예: 외부간판, 이니셜, 상호특징정보 등), 제공서비스 등과 같이 특정위치임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자면, 특정위치가 베이커리인 경우, 베이커리 상호명, 로고, 판매제품 등과 같이 특정 베이커리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가 특정위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한다.
즉,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가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와 관련된 것이므로, 이동경로 상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값이 높은 특정위치 이미지를 검출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결국, 검출부(222)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와 가장 매칭값이 높은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한다. 이후, 검출부(222)는,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생성부(223)로 전달한다.
생성부(223)는, 검출부(222)로부터 수신한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
즉, 생성부(223)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와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
여기서,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법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실제 촬영이미지와 가상의 컨텐츠이미지를 합성하여 실제 특정위치에 가상의 컨텐츠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그래픽 기법을 일컫는다.
한편, 생성부(223)는,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했을 때,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특정위치에 대한 경로안내정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 중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경우, 생성부(223)는, A사 베이커리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 등의 특정위치를 검출한다.
이후, 생성부(223)는,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 즉 A사 베이커리를 출발점으로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에 도달하는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경로안내정보는,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팝업창을 통해 별도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력관리부(23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하는 과정에서 단말장치(100)로 제공된 모든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즉, 이력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는 단말장치(100)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예: 사용자정보, 전화번호 등)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이후, 이력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신속한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방문관리부(240)로 전달한다.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재방문여부를 판단한다.
즉,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최초 방문하거나 또는 특정장소를 방문하였으나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에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이동하여 촬영이미지를 수집하기 이전에 기 방문을 통해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이때, 특정장소를 기 방문한 목적이 다수인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기 방문한 목적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방문한 목적별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했을 때 보다 신속하게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는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한 경우에는 전술한 가상현실 컨텐츠 생성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특정장소에 진입과 동시에 원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앞서 설명한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3000)은, 프로세서(3100),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3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를 통해 메모리(3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3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3210)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인 운영관리부(21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 이력관리부(230) 및 재방문관리부(24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150, 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3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는 프로세서(3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331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치(3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3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를 매개로 통신장치(3310) 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특정장소 내에서 단말장치(100)의 위치와 관련되어 수집된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의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와 관련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와 관련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은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를 매개로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의 전반적인 운영상황을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부(210)는, 진입확인부(211) 및 컨텐츠관리부(212)를 포함한다.
진입확인부(211)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가 감지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처럼 특정장소 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가 수신되면,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다양한 진입경로 중 단말장치(100)가 진입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진입확인부(211)는, 단말장치(100)가 진입하였음을 컨텐츠관리부(212)로 알린다.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며,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되는 동의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에 동의한 시점을 검출하고,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에 동의하는 시점에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에 입점된 다수의 특정위치에서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 및 컨텐츠이미지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특정장소가 쇼핑몰이고, 특정위치가 다수의 상점인 경우, 컨텐츠관리부(212)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기 이전에 미리 다수의 상점으로부터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시에 관련 컨텐츠이미지를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또한, 컨텐츠관리부(212)는, 진입확인부(211)로부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전달한다.
이후, 컨텐츠관리부(212)는,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통신장치(3310)를 통해 동의메시지를 수신하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통신장치(3310)를 통해 미동의메시지를 수신한다.
컨텐츠관리부(212)는, 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0)가 수신동의한 시점에서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
만일, 미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했더라도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도록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미동의메시지를 전달한다.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추적부(221), 검출부(222) 및 생성부(223)를 포함한다.
추적부(221)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한다.
즉, 추적부(221)는, 특정장소 내에서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 추적부(221)는, 특정장소 내에서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장소 내에서의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한다.
이후,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한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검출부(222)로 전달한다.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면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산출된 매칭값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특정위치 이미지는, 특정장소 내에서 특정위치의 내부 인테리어(예: 내부간판, 판매제품 등), 외부 인테리어(예: 외부간판, 이니셜, 상호특징정보 등), 제공서비스 등과 같이 특정위치임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자면, 특정위치가 베이커리인 경우, 베이커리 상호명, 로고, 판매제품 등과 같이 특정 베이커리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가 특정위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한다.
즉,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가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와 관련된 것이므로, 이동경로 상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값이 높은 특정위치 이미지를 검출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결국, 검출부(222)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와 가장 매칭값이 높은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한다. 이후, 검출부(222)는,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생성부(223)로 전달한다.
생성부(223)는, 검출부(222)로부터 수신한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
즉, 생성부(223)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와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
여기서,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법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실제 촬영이미지와 가상의 컨텐츠이미지를 합성하여 실제 특정위치에 가상의 컨텐츠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그래픽 기법을 일컫는다.
한편, 생성부(223)는,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했을 때,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특정위치에 대한 경로안내정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 중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경우, 생성부(223)는, A사 베이커리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 등의 특정위치를 검출한다.
이후, 생성부(223)는,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 즉 A사 베이커리를 출발점으로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에 도달하는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경로안내정보는,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팝업창을 통해 별도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력관리부(23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단말장치(100)로 제공된 모든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즉, 이력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는 단말장치(100)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예: 사용자정보, 전화번호 등)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이후, 이력관리부(23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것으로 확인되면, 신속한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방문관리부(240)로 전달한다.
재방문관리부(24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방문관리부(24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재방문여부를 판단한다.
즉,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최초 방문하거나 또는 특정장소를 방문하였으나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이동하여 촬영이미지를 수집하기 이전에 기 방문을 통해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이때, 특정장소를 기 방문한 목적이 다수인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기 방문한 목적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방문한 목적별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했을 때 보다 신속하게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는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한 경우, 전술한 가상현실 컨텐츠 생성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특정장소에 진입과 동시에 원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위치정보관리부(110)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S100).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관리부(110)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을 인지하고,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 없이 단말장치(100)에서 컨텐츠제공매체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 저장된 특정장소의 위치정보값을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로 진입한 이후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수신한다(S110).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문자메시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팝업메시지로 수신한다.
이후, 서비스처리부(120)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S120).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동의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하며,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미동의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
이후,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에는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생성된 촬영이미지를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S130).
한편,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카메라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처리부(120)는,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면, 수신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140, S150).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의 동작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먼저, 위치정보관리부(110)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S100`).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관리부(110)는, 위치확인장치(1310)를 통해 특정장소 내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을 인지하고, 통신장치(1320)를 통해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 없이 단말장치(100)에서 컨텐츠제공매체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 저장된 특정장소의 위치정보값을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로 진입한 이후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수신한다(S110`).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문자메시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팝업메시지로 수신한다.
이후, 서비스처리부(120)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S120`).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동의메시지를 생성한 다음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하며,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미동의메시지를 생성한 다음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
이후,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입출력장치(1330)를 매개로 카메라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1331)를 제어한다.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1331)를 통해 표시되는 촬영이미지를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S130`).
한편,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가 구동되지 않도록 입출력장치(1330)를 제어한다. 이때, 카메라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처리부(120)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면, 입출력장치(133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1331)를 제어함으로써, 가상현실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한다(S140`, S150`).
이상 단말장치(100) 및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의 전반적인 운영상황을 관리한다(S200).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부(210)는, 진입확인부(211) 및 컨텐츠관리부(212)를 포함한다.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가 감지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처럼 특정장소 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가 수신되면,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다양한 진입경로 중 단말장치(100)가 진입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진입확인부(211)는, 단말장치(100)가 진입하였음을 컨텐츠관리부(212)로 알린다.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를 관리하며,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에 동의하는 시점에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에 입점된 다수의 특정위치에서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 및 컨텐츠이미지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특정장소가 쇼핑몰이고, 특정위치가 다수의 상점인 경우, 컨텐츠관리부(212)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기 이전에 미리 다수의 상점으로부터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시에 관련 컨텐츠이미지를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또한, 컨텐츠관리부(212)는, 진입확인부(211)로부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장치(100)로 전달한다(S200).
이후, 컨텐츠관리부(212)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한다(S210). 즉, 컨텐츠관리부(212)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동의메시지를 수신하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미동의메시지를 수신한다.
컨텐츠관리부(212)는, 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0)가 수신동의한 시점에서 특정장소와 관련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
만일, 미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했더라도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도록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미동의메시지를 전달한다.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추적부(221), 검출부(222) 및 생성부(223)를 포함한다.
추적부(221)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한다.
즉,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장소 내에서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수신한다(S230).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장소 내에서의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한다(S240).
이후,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한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검출부(222)로 전달한다.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50).
즉,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면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산출된 매칭값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특정위치 이미지는, 특정장소 내에서 특정위치의 내부 인테리어(예: 내부간판, 판매제품 등), 외부 인테리어(예: 외부간판, 이니셜, 상호특징정보 등), 제공서비스 등과 같이 특정위치임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자면, 특정위치가 베이커리인 경우, 베이커리 상호명, 로고, 판매제품 등과 같이 특정 베이커리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가 특정위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한다.
즉,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가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와 관련된 것이므로, 이동경로 상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값이 높은 특정위치 이미지를 검출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결국, 검출부(222)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와 가장 매칭값이 높은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한다. 이후, 검출부(222)는,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생성부(223)로 전달한다.
생성부(223)는, 검출부(222)로부터 수신한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S270).
즉, 생성부(223)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와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후,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가상현실 컨텐츠가 단말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S280).
한편, 생성부(223)는,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했을 때,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특정위치에 대한 경로안내정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 중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경우, 생성부(223)는, A사 베이커리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 등의 특정위치를 검출한다.
이후, 생성부(223)는,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 즉 A사 베이커리를 출발점으로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에 도달하는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경로안내정보는,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팝업창을 통해 별도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만일,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전술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210-S270)를 수행하기 이전에 이력관리부(230) 및 재방문관리부(240)에 의해 재방문처리 단계가 바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력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하는 과정에서 제공된 모든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즉, 이력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후, 이력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신속한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방문관리부(240)로 전달한다.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재방문여부를 판단한다.
즉,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최초 방문하거나 또는 특정장소를 방문하였으나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이동하여 촬영이미지를 수집하기 이전에 기 방문을 통해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이때, 특정장소를 기 방문한 목적이 다수인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기 방문한 목적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방문한 목적별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했을 때 보다 신속하게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는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한 경우, 전술한 가상현실 컨텐츠 생성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특정장소에 진입과 동시에 원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의 동작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먼저,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의 전반적인 운영상황을 관리한다(S200`).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부(21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가 감지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며,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되는 동의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에 동의하는 시점을 검출하고, 단말장치(1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에 동의하는 시점에서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다수의 컨텐츠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에 입점된 다수의 특정위치에서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 및 컨텐츠이미지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특정장소가 쇼핑몰이고, 특정위치가 다수의 상점인 경우, 컨텐츠관리부(212)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기 이전에 미리 다수의 상점으로부터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시에 관련 컨텐츠이미지를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또한, 운영관리부(21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전달한다(S210`).
이후, 운영관리부(210)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한다(S220`). 즉, 운영관리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통신장치(3310)를 통해 동의메시지를 수신하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통신장치(3310)를 통해 미동의메시지를 수신한다.
운영관리부(210)는, 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0)가 수신동의한 시점에서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
만일, 미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했더라도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도록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미동의메시지를 전달한다.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한다.
즉,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특정장소 내에서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S23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장소 내에서의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한다(S24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50`).
즉,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면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산출된 매칭값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특정위치 이미지는, 특정장소 내에서 특정위치의 내부 인테리어(예: 내부간판, 판매제품 등), 외부 인테리어(예: 외부간판, 이니셜, 상호특징정보 등), 제공서비스 등과 같이 특정위치임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자면, 특정위치가 베이커리인 경우, 베이커리 상호명, 로고, 판매제품 등과 같이 특정 베이커리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가 특정위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한다.
즉,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와 가장 매칭값이 높은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한다(S260`). 이후,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S270`).
즉,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와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후,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가상현실 컨텐츠가 단말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통신장치(3310)를 통해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S280`).
한편,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했을 때,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특정위치에 대한 경로안내정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 중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경우, 생성부(223)는, A사 베이커리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 등의 특정위치를 검출하고, A사 베이커리를 출발점으로 다른 특정위치까지의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경로안내정보는,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팝업창을 통해 별도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만일,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전술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210-S270)를 수행하기 이전에 재방문처리 단계가 바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이력관리부(23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단말장치(100)로 제공된 모든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하게 된다.
즉,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최초 방문하거나 또는 특정장소를 방문하였으나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이동하여 촬영이미지를 수집하기 이전에 기 방문을 통해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는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한 경우, 전술한 가상현실 컨텐츠 생성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특정장소에 진입과 동시에 원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 그리고 단말장치(100)와 컨텐츠제공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하드웨어 시스템(1000, 30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특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촬영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컨텐츠의 직관적 인지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를 타겟으로 특정장소의 방문 목적에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는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는 또한 예컨대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예컨대 RS-232 포트와 같은 직렬 통신 장치 및/또는 예컨대 802.11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입출력 장치는 다른 입출력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 예컨대 키보드,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에 따르면, 특정장소(예: 쇼핑몰)에 진입한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와 관련된 컨텐츠(예: 광고, 정보 등)를 가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위치정보관리부 120: 서비스처리부
200: 서비스장치
200: 컨텐츠제공장치
210: 운영관리부
211: 진입확인부 212: 컨텐츠관리부
22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221: 추적부 222: 검출부
223: 생성부
230: 이력관리부 240: 재방문관리부
110: 위치정보관리부 120: 서비스처리부
200: 서비스장치
200: 컨텐츠제공장치
210: 운영관리부
211: 진입확인부 212: 컨텐츠관리부
22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221: 추적부 222: 검출부
223: 생성부
230: 이력관리부 240: 재방문관리부
Claims (12)
-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는 운영관리부; 및
상기 특정장소 내에서 단말장치의 위치와 관련되어 수집된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는,
상기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추적부;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상기 특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촬영이미지와 상기 검출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이력관리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이미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재방문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관리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진입확인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수신에 동의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수신 동의한 시점에서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 전달하는 컨텐츠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위치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이미지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 -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는 관리단계; 및
상기 특정장소 내에서 단말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제공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추적단계;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상기 특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특정위치에서의 촬영이미지와 상기 검출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이미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재방문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수신에 동의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수신 동의한 시점에서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가상화하기 위해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위치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이미지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35206A KR20240037931A (ko) | 2015-09-14 | 2024-03-13 |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589A KR102648834B1 (ko) | 2015-09-14 | 2015-09-14 |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20240035206A KR20240037931A (ko) | 2015-09-14 | 2024-03-13 |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9589A Division KR102648834B1 (ko) | 2015-09-14 | 2015-09-14 |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7931A true KR20240037931A (ko) | 2024-03-22 |
Family
ID=584971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9589A KR102648834B1 (ko) | 2015-09-14 | 2015-09-14 |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20240035206A KR20240037931A (ko) | 2015-09-14 | 2024-03-13 |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9589A KR102648834B1 (ko) | 2015-09-14 | 2015-09-14 |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64883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10378B (zh) * | 2018-02-27 | 2021-08-06 | 吉林省行氏动漫科技有限公司 | 一种虚拟自助办税系统及办税方法 |
KR20190121643A (ko) | 2018-04-18 | 2019-10-28 | 주식회사 서틴스플로어 | 가상현실 영상컨텐츠 제공장치 |
KR102447516B1 (ko) * | 2022-07-12 | 2022-09-26 | 디노바 주식회사 | 메타버스 환경을 기반으로 커머스 서비스가 결합된 공간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99670A (ja) * | 2001-09-26 | 2003-04-04 | Nec Corp |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表示装置 |
KR20120022483A (ko) * | 2010-09-02 | 2012-03-12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증강현실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20150058679A (ko) * | 2013-11-20 | 2015-05-2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단지내 도로에서 자율주행차량의 위치 및 해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
2015
- 2015-09-14 KR KR1020150129589A patent/KR10264883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4
- 2024-03-13 KR KR1020240035206A patent/KR2024003793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48834B1 (ko) | 2024-03-18 |
KR20170031962A (ko) | 2017-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40037931A (ko) |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20240085911A (ko) | 광고매체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EP3306544A1 (en) | Proxy paymen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
KR102615620B1 (ko) | 경로안내 기반 컨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20170110330A (ko) |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20158668A (ko) |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405264B1 (ko) |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663595B1 (ko) |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174101B1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175042B1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582874B1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EP2701113A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lement information | |
KR102469729B1 (ko) |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258850B1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174099B1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30079324A (ko) | 광고 입찰 처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
US10692110B2 (en) | Terminal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
KR20160149694A (ko) |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638890B1 (ko) |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70141475A (ko) |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459295B1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570770B1 (ko) |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
KR20170022379A (ko) | 이동경로 기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
KR102258844B1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258848B1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