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330A -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330A
KR20030014330A KR10-2003-7000312A KR20037000312A KR20030014330A KR 20030014330 A KR20030014330 A KR 20030014330A KR 20037000312 A KR20037000312 A KR 20037000312A KR 20030014330 A KR20030014330 A KR 20030014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s
belt
absorbent structure
article
belt ha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4879B1 (ko
Inventor
알름베르크크리스티앙
벡루카스
Original Assignee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02804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1433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30014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61F13/4901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4Straps, belts, ties or endles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61F13/4901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 구조물(16)과 각각의 접합부(50)에 의해 흡수성 구조물(16)에 부착된 한쌍의 대립되는 벨트 절반부(12,14)를 갖는,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10)에 관한 것이다. 각 벨트 절반부(12,14) 및 흡수성 구조물(16)사이의 접합부(50)는, 각 벨트 절반부가 벨트 절반부를 따라 작용하는 35N의 장력을 받게되고 작용된 장력의 방향이 흡수성 구조물의 가로방향축(T)에 대하여 각(α)을 만들때,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얻어지도록 설계된다:
α= 10°일때, t >> 720 초;
α= 20°일때, t >> 330 초;
α= 25°일때, t >> 240 초;
α= 30°일때, t >> 18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75 초이다.

Description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BELTED ABSORBENT ARTICLE}
종래의 유아용 기저귀는 통상적으로 액체 투과성 톱시트 및 액체 비투과성 백시트사이에 끼인 흡수성 중심부로 이루어진 흡수성 구조물을 포함한다. 흡수성 구조물은 착용시 통상적으로 어린이의 복부를 가리는 전방 패널과 통상적으로 아이의 둔부를 가리는 후방 패널을 갖는다. 전방 및 후방 패널은 각각 전단부 및 후단부 영역에서 끝난다. 아이 부근에 기저귀를 붙잡아두기 위하여, 전단부 및 후단부 영역은 상호 협력하는 고정수단, 예를 들어, 전단부 영역의 랜딩존과 상호 협력하는 후단부 영역의 후크-및-루프 고정 시스템 또는, 대안으로, 점착성 테이프 탭 시스템의 형태로 구비된다. 기저귀를 아이에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아이는 일반적으로 눕혀지고, 기저귀는 후방 패널이 아이의 둔부를 가리도록 아이 밑으로 삽입되고, 전방 패널은 복부를 가리도록 아이의 다리사이로 잡아당겨지며 고정 시스팀이 각 전단부 및 후단부 영역의 길이방향의 측부를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아이 기저기를 가는 사람은 거의 전적으로 보호자이기 때문에, 기저기를 아이에게 붙잡아두는 상기 방법은 통상적으로 완전히 만족할만하다. 그러나, 특히 스스로의 기저귀를 갈 수 있는 요실금 성인에 대하여, 몸체 부근에 흡수성 물품을 붙잡아두는 그와 같은 방법은, 주로 성인 몸체 부근에 흡수성 물품을 붙잡아두는 작용이 서있을때 행해지기 때문에, 불편하다. 따라서, 착용자가 전단부 및 후단부 영역을 서로에 고정시키는 동안 올바른 방향으로 동시에 흡수성 물품을 몸체에 붙잡아두기는 어렵다.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상기한 불편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은 하나의 벨트가 흡수성 구조물의 백시트에 부착되는 FR-A-2 586 558에 개시된다. 물품은 둔부를 가리도록 물품을 착용자의 뒤로 가져옴에 의하여 착용자 부근에 붙잡아매어지고, 벨트를 착용자의 허리 부근에 고정시키고 다음에 흡수성 구조물의 전단부 영역을 착용자의 다리사이로 잡아당기며 전단부 영역을 벨트의 고정수단에 부착시킨다.
EP-B-0 729 329는 흡수성 구조물에 부착된 하나의 벨트를 사용하기 보다는 두 벨트의 절반부들이 사용되고, 각각의 벨트의 절반부가 흡수성 구조물의 각각의 길이방향의 모서리로 부터 연장하는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을 개시한다. FR-A-2 586 558에 개시된 본 구성의 잇점은 보다 적은 벨트 재료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두 벨트의 절반부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각 벨트의 절반부 및 흡수성 구조물사이의 접합부는 벨트의 절반부들이 통상적으로 사용중 받게되는 장력을 견딜 수 있어야만 한다.
특히, 성인 요실금 기저귀에 관하여, 착용자의 사이즈는 상당히 다양하다.
제조 및 저장을 가능한한 합리화 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적은 제품사이즈의 변화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편, 각 제품 사이즈가, 폭넓게 달라지는 형태 및 사이즈의 착용자를 잘 맞출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벨트의 절반부가 사용중에 받게되는 힘은 착용자의 사이즈에 따라, 적어도 일정한 정도까지일 것이다. 제조 비용을 낮게 유지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적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물론 유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품은 그것의 의도된 목적을 수행하기에 충분히 강해야만 한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벨트를 구비할 때, 흡수성 물품(10)은 착용자에게 붙잡아매어지고, 각은, 사실상, 벨트 절반부의 길이방향축 L 및 흡수성 구조물의 가로방향축(T)사이에 만들어진다(예시된 구체예에서 벨트 절반부의 길이방향 모서리가 벨트 절반부의 길이방향축에 평행한 것으로 가정되었다). 물품의 사이즈에 관련한착용자의 사이즈에 따라, α 값이 변할것이다. 착용자의 사이즈가 클수록, α 값이 커질 것이다. 각 α가 증가할 때, 증가하는 전단력은 벨트 절반부 및 흡수성 구조물사이의 접합부에 작용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이 만족할만하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비록 여전히 합리적으로 가능한한 낮은 제조 비용을 유지하는 동안에도, 각 벨트 절반부 및 흡수성 구조물사이의 접합부는 각 α에 따라 일정한 최소 요건을 부합시켜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제 1항의 전문에 따른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써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고로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착용자에 붙잡아매진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의 벨트 절반부 및 흡수성 구조물사이 접합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시험 과정에 맡겨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물품의 절단부의 개략도이고;
도 5는 절단되고 시험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의 단면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벨트 형성된 흡수성 제품의 절단부를 시험 과정에 맡기기 위한 시험 장치의 개략적인 입면도이고;
도 7은 도 6 시험장치의 한 성분의 입면도 형태의 엔지니어링도이고;
도 8은 도 7 성분의 종단도 형태의 엔지니어링도이고;
도 9는 도 8 성분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6 시험장치의 제 2 성분의 입면도 형태의 엔지니어링도이고;
도 11은 도 10 성분의 종단도 형태의 엔지니어링도이고;
도 12는 도 11 성분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6 시험장치의 제 3 성분의 입면도 형태의 엔지니어링도이고;
도 14는 도 13 성분의 종단도 형태의 엔지니어링도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도면에서, 부제 번호(10)는 통상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을 나타낸다. 표현 "벨트 형성된"이란 물품이, 착용시 적어도 착용자 허리의 일부 부근을 통과하고 따라서 물품을 착용자의 허리 부근에 붙잡아두기 위하여 교차하는수단들을 구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수단들은 벨트 절반부들(12, 14)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을 쓰고 버릴 수 있는 그와 같은 물품에 실행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용어 "쓰고 버릴 수 있는"이란 일단 착용자로 부터 분리되면 세탁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폐기되는 물품을 의미한다.
벨트 절반부들(12,14)외에,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은 제 1 길이방향축(18) 부근에서 연장하는 흡수성 구조물(16)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물품을 착용할 때, 제 1 길이방향축은 위에서 볼 때 통상적으로 착용자를 왼쪽 및 오른쪽으로 양분할 것이다. 흡수성 구조물(16)은 톱시트(20), 백시트(22) 그리고 톱시트 및 백시트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배트(24)를 포함한다. 흡수성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체적인 성분은 통상적으로 그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유형중의 어떤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톱시트(20)는 천연 섬유(예를 들어, 목질 또는 목화 섬유), 합성 섬유(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나 코폼 섬유), 천연 및 합성 섬유의 조합, 천공 필름 또는 다공 발포의 직조 또는 부직웹과 같은, 어떤 부드러운 굴곡성의 염증을 일으키지 않는 액체 투과성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톱시트(20)를 20g/m2미만의 기초 무게을 갖는 부직의, 스펀본드된 폴리프로필렌 재료로 부터 제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톱시트가 부직웹을 포함할 때, 부직웹을 대신에 카딩하거나, 웨트-레이드하거나, 멜트블로운하거나 수압성형하거나 또는 하이드로인탱글할 수 있다. 백시트(22)는 액체에 비투과성이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등과 같은 얇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필름 코팅된 부직 재료와 같은 합성 재료로 부터 제조한다. 흡수성 중심부(24)는 폭넓게 변하는 사이즈 및 형태로 제조하고 셀룰로오스 섬유와 같은 어떤 적합한 습윤성 친수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아마도 합성 폴리올레핀 섬유와 배합할 수 있다. 일정한 구체예에서, 흡수성 중심부(24)는 친수성 섬유와 혼합된 초과흡수성 하이드로겔-형성 입자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톱시트(20) 및 백시트(22)는, 어떤 적합한 공지 수단을 사용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톱시트 및 백시트를 연속적인 또는 무늬가 그려진 점착성 층을 사용하여 선택된 영역에서 서로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점착성 층 또는 층들을 선 또는 점으로 분무하거나 압출할 수 있다.
도 2로 부터 가장 명확하게 보이는 바와 같이, 흡수성 구조물은, 구조를 전단부 영역(28)에서 끝나는 전방 패널(26)과 후단부 영역(32)에서 끝나는 후방 패널(30)로 분할하는 가로방향축(T)을 갖는다. 흡수성 구조물은 대립되는 길이방향 모서리(34) 및 대립되는 가로방향 모서리(36)에 의하여 경계가 정해진다. 그것의 대립되는 길이방향 모서리(34)로 부터 돌출함으로써, 전단부 영역(28)은 고정 탭(38)을 드러낸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방식에서, 고정 탭(38)을 고정 시스템의 부분을 형성하고 벨트 절반부(12,14) 고정 시스템의 대응하는 부분과 상호 협력하기 위해 배치한다. 고정 탭(38)이 흡수성 구조물(16) 전방 패널의 길이방향 모서리(34)로 부터 돌출하는 것으로 보일질지라도, 탭은 대신에 가로방향 모서리(36)로 부터 돌출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 이상의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고정 탭(38)은 전방 패널(26)의 톱시트(20)에 부착한 하나 이상의 패치형태일 수 있다.
각 벨트 절반부는 각각의 길이방향축(이하, 제 2 길이방향축으로 불리움)(40,42)부근에서 연장하고, 벨트 절반부를 두 벨트 절반부(12,14)가 통상적으로 흡수성 구조물(16)의 제 1 길이방향축(18)에 관하여 수직하게 연장하도록 흡수성 구조물(16)에 결합한다. 따라서, 보인 구체예에서, 두 벨트 절반부(12,14)는 통상적으로 흡수성 구조물(16) 후방 패널(30)의 후단부 영역(32) 길이방향 모서리(34)로 부터 수직하게 연장한다. 그러나, 벨트 절반부를 그것들이 제 1 길이방향축(18) 또는 길이방향 모서리(34)에 각을 형성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벨트 절반부는 어떤 적당한 재료 또는 재료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가되는 구체예에서, 벨트 절반부를 30 g/m2기초 무게의 압인가공된 투명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열접착된 부직웹 라미네이트로 만들었다. 개선된 착용자 편안함을 위하여, 벨트 절반부를, 착용시, 부직웹이 착용자쪽으로 향하도록 흡수성 구조물에 부착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벨트 절반부들은 전적으로 부직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자의 의도된 사이즈에 따라서, 각 벨트 절반부(12,14)는 통상적으로 10 내지 12 cm의 가로방향 연장부와, 예를 들어, 35cm의 길이방향 연장부(즉, 흡수성 구조물의 길이방향 모서리(34)를 초과하는 연장부)를 갖는다. 벨트 절반부들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이 또한 벨트 절반부 또는 다른 길이 및/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지라도,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한 벨트 절반부(도 2에서 벨트 절반부(14))의 내부 표면, 즉 착용시 착용자쪽으로 향하는 벨트 절반부의 표면은 다른 벨트 절반부(12) 바깥쪽 표면의 보충적인 제 2 고정 수단(46)과의 해제성 맞물림을 위한 제 1 고정수단(44)를 구비하여 벨트가 착용자의 허리 부근에 붙잡아매어지도록 한다. 벨트 고정수단의 실제적 유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것들중 어느것, 예를 들어, 후크-및-루프 시스템, 점착 시스템, 버튼 및 버튼-홀 시스템등일 수 있다. 사용된 고정 시스템의 유형과 관계없이, 고정 시스템은 착용자의 허리 부근에서 벨트 절반부 장력의 조절을 허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 2에 보인 구체예에서, 제 1 고정수단은 한 패치의 후크 재료인 반면에 제 2고정수단은 벨트 절반부(12)의 상당한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한 스트립의 루프 재료이다. 하나 이상의 후크 재료 패치를 사용하고 루프 재료의 스트립은 복수의 보다 작은 루프 재료의 패치일 수 있다는 것이 물론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착용시 착용자로 부터 멀리 떨어진 벨트 절반부의 표면, 즉 벨트 절반부의 바깥쪽표면은 흡수성 물품의 고정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단(보이지 않음)을 구비한다. 벨트 절반부상의 수단은 전방 패널(26) 전단부 영역(28)에 사용된 고정 탭(38) 유형에 보충적이고 따라서 이에 의존한다. 따라서, 고정탭(38)이 점착성 탭이라면, 벨트 절반부(12,14) 바깥쪽 표면의 적어도 한 영역은 점착성 탭의 해제성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벨트 절반부의 바깥쪽 표면이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에, 탭이 맞물리는 강화된 소위 착수구역 또는 구역들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고정 탭(38)이 후크-및-루프 고정 수단의 후크탭이라면, 벨트 절반부의 바깥쪽 표면은 후크 고정탭과의 맞물림을 위한 루프 재료를 구비하거나, 또는 이것으로 만든다. 또다른 가능성은 벨트 절반부의 바깥쪽 표면이 톱시트(20) 루프재료와의 맞물림을 위한 후크재료 패치들 또는 전방 패널(26)의 전단부 영역(28)에서 톱시트에 부착된 루프재료 패치들을 구비하는 것이다.
당업계에서 본질적으로 공지된 방식에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신축성을 준 레그 커프스를 구비하여 착용시 착용자의 다리 부근에서 물품의 개선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3에서 가장 명확하게 보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6)은 탄성리본(48) 또는 톱시트(20) 및 백시트(22)사이에 부착된 스트랜드를 구비한다. 탄성리본은 통상적으로 흡수성 구조물의 길이방향 모서리(34)에 평행한 경로를 따라 가로방향 모서리(36)로 부터 멀리 떨어진 후단부 영역(32)의 장소로 부터 연장한다. 예시한 구체예에서, 세 탄성리본(48) 또는 스트랜드를 각 레그 커프에 대하여 보였다. 당업자는, 그러나, 실제적인 탄성리본들 수가, 그것들의 사이즈와 마찬가지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리본을 사로서 예시할지라도, 탄성재료의 스트립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각 벨트 절반부(12,14)를, 통상적으로 부제번호 50으로 표시된, 각각의 접합부에 의해 후방 패널(30) 후단부 영역(32)의 흡수성 구조물(16)에 부착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될 수 있는 접합부(50)의 한 예를 도 3에 예시하였다. 접합부를 단지 한 벨트 절반부(14)에 관하여 아래에 기술할지라도, 동일한 접합부를 다른 벨트 절반부(12)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벨트 절반부(14)의 길이(52)를 톱시트(20) 및 백시트(22)사이의 후단부 영역(32) 흡수성 구조물(16)에 부착한다. 따라서 톱시트 및 백시트 사이에 끼인 벨트 절반부 길이(52)는 흡수성 물품의 사이즈에 따라 변할 것이고, 통상적으로 8과 10cm 사이이다. 벨트 절반부를 톱시트 및 백시트에 부착하는 시기 및 순서는 선택한 제조 방법에 의존할 것이다. 벨트 절반부(14)를 통상적으로 흡수성 구조물의 가로방향 모서리(36)로 부터 짧은 거리, 예를 들어, 약 1cm 간격을 두고, 착용하기 전에, 벨트 절반부의 길이방향축(42)은 가로방향 모서리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한 구체예에서, 벨트 절반부의 길이방향축은 흡수성 구조물의 가로방향축(T)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벨트 절반부(14) 및 후단부 영역(32) 사이의 접합부(50)는 벨트 절반부 및 백시트(22)사이에 간격을 둔 실질적으로 평행한 두 부착 라인들(54)을 포함한다. 흡수성 구조물(16)의 길이방향 모서리(34)에 인접한 부착 라인(54)은 길이방향 모서리로 부터 짧은 거리의 간격을 둘 수 있다. 이 부착 라인은 통상적으로 흡수성 구조물의 길이방향 모서리(34)로 부터 멀리 떨어진 부착 라인보다 더 좁다. 간격을 둔 두 부착 라인들(54)은 통상적으로 벨트 절반부의 전체 폭에 걸쳐서 그리고 약간 초과하여 흡수성 구조물의 길이방향축(18)에 평행한 후단부 영역의 가로방향 모서리(36)로 부터 연장한다. 라인들이 연속으로 보일지라도, 그것들은 단속적인 부착 라인들을 대신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 라인(54)은 열 또는 초음파 결합과 같은 어떤 부착 방법을 사용할지라도, 점착성 본드 라인이다.
간격을 둔 실질적으로 평행한 두 부착 라인(5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벨트 절반부(14) 및 백시트(22)사이의 비부착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영역(56)의 경계를 정한다. 이 비부착된 영역(56)은 탄성리본(48) 또는 신축성을 준 레그 커프스스트랜드가 제조중에 반동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탄성리본(48) 또는 스트랜드의 자유단은 비부착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영역(56)에 존재한다. 흡수성 구조물(16)내에 탄성리본(48)를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벨트 절반부(14) 및 후단부 영역(32)사이의 접합부(50)는 백시트(22) 및 벨트 절반부사이에 부착 영역(58)을 더 포함한다. 부착 영역(58)은 탄성리본(48)위의 간격을 둔 실질적으로 평행한 두 부착 라인(54)사이에서 연장한다. 유리하게는, 부착 영역(58)은 간격을 둔 평행한 두 부착 라인(54)이 끝나는 지점을 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벨트 절반부(14) 및 후단부 영역(32)사이의 접합부(50)는 벨트 절반부 및 톱시트(20)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영역을 더 포함한다. 그와 같은 영역은 실질적으로 톱시트(20)에 인접하여 놓여있는 벨트 절반부의 전체 표면을 포함한다. 이 결합 영역을 톱시트를 벨트 절반부에 분무 결합함에 의하여 적합하게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합부(50)를 일정한 최소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설계한다. 본 발명자들은, 흡수성 물품이 만족스럽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접합부(50)가, 일정한 최소 시간 주기동안 흡수성 구조물의 가로방향축에 일정한 각으로 벨트 절반부에 작용하는 일정한 장력을 견딜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그리고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방식에서, 접합부를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구조물(16)의 외부 벨트 절반부를 흡수성 구조물의 가로방향축에 대해 지정된 각 α로 유지하는 동안, 흡수성 구조물(16)의 일부를, 통상적으로 부제 번호(60)로 표시하는, 시험 장치에 붙잡아두고 35N의 부하가 벨트 절반부(14)에 작용하도록 시험 과정에 맡긴다. 접합부의 실패까지의 시간, 즉 벨트 절반부가 흡수성 구조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실패까지의 시간은 이하에서 접합부의 해제 시간으로서 언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합부의 최소 평균 해제 시간은:
α= 10°일때, t >> 720 초;
α= 20°일때, t >> 330 초;
α= 25°일때, t >> 240 초;
α= 30°일때, t >> 18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75 초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달성된다:
α= 10°일때, t >> 740 초;
α= 20°일때, t >> 340 초;
α= 25°일때, t >> 245 초;
α= 30°일때, t >> 19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80 초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달성된다:
α= 10°일때, t >> 760 초;
α= 20°일때, t >> 350 초;
α= 25°일때, t >> 250 초;
α= 30°일때, t >> 20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85 초이다.
본 발명의 더이상의 구체예에서,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달성된다:
α= 10°일때, t >> 780 초;
α= 20°일때, t >> 360 초;
α= 25°일때, t >> 255 초;
α= 30°일때, t >> 21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90 초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달성된다:
α= 10°일때, t >> 800 초;
α= 20°일때, t >> 370 초;
α= 25°일때, t >> 260 초;
α= 30°일때, t >> 22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100 초이다.
최소 평균 해제 시간을 하기 방식으로 설정한다.
도 5에 관하여, 접합부(50)를 포함하는 후방 패널(30) 절단부를 흡수성 구조물(16)로 부터 절단한다. 제 1 절단 라인(62)을 길이방향축(18)에 가장 가까운 벨트 절반부(14)의 말단부 모서리로 부터 적어도 45mm 떨어진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축(18)에 평행하게 만든다. 제 1 절단 라인(62)은 하부 모서리, 즉 적어도 45mm차이로 벨트 절반부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축(T)에 가장 가까운 모서리를 초과하여 연장한다. 제 1 절단 라인은 벨트 절반부(14)의 하부 모서리로 부터 적어도 45mm 떨어진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축(T)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 2 절단 라인(64)과 교차한다. 따라서 접합부(50)를 포함하는 흡수성 구조물(16)의 절단부를 다음에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할 시험 장치(60)에 고정한다.
도 6에 관하여, 시험 장치(60)는 회전성 플레이트(68)가 탑재되는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66)를 포함한다. 서로 90°로 간격을 둔 한 쌍의 클램프(70)를 회전성 플레이트(68)에 탑재한다. 도 4에 관하여, 회전성 플레이트(68)를 각 α의 적합한 값이 얻어지도록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66)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시험장치(60)는, 회전성 플레이트가 α의 원하는 값을 얻는 각 지점에서 잠겨지도록 할 수 있는 잠금수단을 구비한다.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66)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프레임(보여지지 않음)등의 수직한 지점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구멍(72)를 구비할 수 있다.
시험장치(60)의 정확한 치수 및 구성 세목은 첨부된 도 7 내지 14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다음은 최소 평균 해제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절단부들을 50개의 동일한 흡수성 물품으로 부터 절단한다. 시험 결과에서 물품의 에이징 영향을 회피하기 위하여, 물품은 6개월을 초과하지 않아야한다, 즉 시험을 과거 6개월동안에 제조한 물품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제 1 흡수성 구조물(16)의 절단부를,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시험장치(60)의 클램프들(70)사이에 붙잡아둔다. 절단부의 방향은, 클램프들(70)이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축(T) 및 길이방향축(18)에 평행한 라인들을 따라 절단부를 고정시키도록 하여야한다. 도 4에서, 흡수성 구조물(16)내에서, 벨트 절반부(14)의 모서리들은 각각 가로방향 및 길이방향축에 평행하다. 따라서, 이러한 모서리들은 클램프들(70)에 평행하고, 이들로 부터 간격이 두었다. 클램프들이 벨트 절반부(14)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약 1cm의 간격을 사용할 수 있다.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66)를 수직하게 고정하고 회전성 플레이트(68)를 10°의 각 α가 달성될 때까지 회전시킨다. 회전성 플레이트를 이 지점에서 잠그고 무게를 벨트 절반부(14)의 자유단에 고정시킨다. 무게를, 그것이 벨트 절반부에 장력을 작용시킬 때까지, 천천히 해제시킨다. 무게를 다음에 자유롭게 매달리도록 방치한다. 무게 및 클램프는 함께 35N의 힘을 벨트 절반부에 작용시킨다. 무게를 자유롭게 매달리도록 방치할 때, 스톱워치를 시작시킨다. 벨트 절반부가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 완전히 분리하자마자, 즉 무게가 바닥을 칠때, 스톱워치를 정지시키고 경과시간을 기록한다.
상기 과정을 α = 10°에서 9개의 더이상의 절단부에 대하여 반복한다.
다음 10개의 절단부에 대하여, 상기 과정을 α = 20°에 대하여 반복한다.
10개의 절단부 배치들을, 다음에 α = 25°, 30°및 40°를 제외하고, 상기 과정에 맡긴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비록 여전히 합리적으로 가능한한 낮은 제조 비용을 유지하는 동안에도, 만족할만하게 작용하는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목적이다.
이 물품은 제 1 길이방향축 부근에서 연장하는 흡수성 구조물과, 톱시트, 백시트와 톱시트 및 백시트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배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구조물과, 흡수성 구조물을 전단부 영역에서 끝나는 전방 패널과 후단부 영역에서 끝나는 후방 패널로 분할하는 가로방향축을 갖는 흡수성 구조물과, 대립하는 길이방향 모서리 및 대립하는 가로방향 모서리에 의하여 경계가 정해지는 흡수성 구조물과, 그리고 각각의 접합부에 의해 후방 패널의 후단부 영역에서 흡수성 구조물에 부착된 대립하는 한쌍의 벨트 절반부를 포함하며, 각 벨트 절반부는 그것이 흡수성 구조물의 각각의 길이방향 모서리로 부터 밖으로 연장하도록 제 2 길이방향축 부근에서 연장하는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여 달성된다. 각 벨트 절반부 및 흡수성 구조물사이의 접합부는 각 벨트 절반부가 제 2 길이방향축을 따라 작용시키는 35 N의 장력을 받게되고 제 2 길이방향축이 상기 흡수성 구조물의 상기 가로방향축에 각 α를 만들때, 상기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상기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달성 되도록 설계된다:
α= 10° 일때, t >> 720 초;
α= 20° 일때, t >> 330 초;
α= 25° 일때, t >> 240 초;
α= 30° 일때, t >> 180 초; 그리고
α= 40° 일때, t >> 75 초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달성 되도록 설계된다:
α= 10°일때, t >> 740 초;
α= 20°일때, t >> 340 초;
α= 25°일때, t >> 245 초;
α= 30°일때, t >> 19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80 초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달성 된다:
α= 10°일때, t >> 760 초;
α= 20°일때, t >> 350 초;
α= 25°일때, t >> 250 초;
α= 30°일때, t >> 20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85 초이다.
본 발명의 더 이상의 구체예에서,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달성 된다:
α= 10°일때, t >> 780 초;
α= 20°일때, t >> 360 초;
α= 25°일때, t >> 255 초;
α= 30°일때, t >> 21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90 초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달성 된다:
α= 10°일때, t >> 800 초;
α= 20°일때, t >> 370 초;
α= 25°일때, t >> 260 초;
α= 30°일때, t >> 22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100 초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벨트 절반부 및 흡수성 구조물사이의 접합부가, 선택된 각당 최소 평균 해제시간에 대하여 각α의 지정된 값에서 35 N의 힘을 견딜 수 있다는 것을 보증함에 의하여, 벨트 절반부의 느슨해짐에 기인한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의 실패가, 적어도 통상의 사용중에,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 실제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르는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의 더 이상의 바람직한 구체예가 나머지 종속항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과정을 각 벨트 절반부 및 흡수성 구조물사이의 접합부(50)가 충분히 강한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상에서 실행하였다. 하기 결과를 얻었다(경과시간이 분 및 초로 주어짐을 주의):
따라서, 실시예의 접합부에 대한 평균 해제 시간은:
α= 10°일때, t >> 741 초;
α= 20°일때, t >> 344 초;
α= 25°일때, t >> 249 초;
α= 30°일때, t >> 201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81 초이다.
상기 실시예는, 벨트 절반부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즉 벨트 절반부의 상부 및 하부 길이방향 모서리가 제 2 길이방향축(4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각 α는 도 4에 보여진 바와 같은 각을 측정함에 의하여, 또는 제 2 길이방향축(42)에 의해 대응된 각을 측정함에 의하여결정될 수 있다. 벨트 절반부가 비직사각형인, 예를 들어, 벨트 절반부가 굽어진 경우에, 각 α를 부하가 세 벨트 절반부의 길이방향축을 따라 작용하도록 벨트 절반부의 원단으로 부터 35N의 부하를 매달고 접합부(50)에서 상부 및 하부의 길이방향 모서리 사이에 벨트 절반부의 중점을 결정함에 의하여 결정한다. 수직 라인을 따라서 중점 및 부하사이에서 얻을 수 있다. 이 수직 라인이 흡수성 물품의 가로방향축(T)에 대응하는 각이 각 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상기하고 도면에 보인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지만, 첨부된 청구의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구조물(16)의 톱시트(20)는 흡수성 구조물의 경계내에 체배설물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위 스탠딩 개더를 구비할 수 있다.

Claims (11)

  1. 제 1 길이방향축(18) 부근에서 연장하는 흡수성 구조물(16)을 포함하며, 흡수성 구조물이 톱시트(20), 백시트(22)와 톱시트 및 백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배트(24)를 포함하고, 흡수성 구조물이, 흡수성 구조물을 전단부 영역(28)에서 끝나는 전방 패널(26)과 후단부 영역(32)에서 끝나는 후방 패널(30)로 분할하는 가로방향축(T)을 갖고, 흡수성 구조물이 대립되는 길이방향 모서리(34) 및 대립되는 가로방향 모서리(36)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각각의 접합부(50)에 의해 후방 패널(30) 후단부 영역(32)의 흡수성 구조물(16)에 부착된 한쌍의 대립되는 벨트 절반부들(12,14)을 포함하고, 각 벨트 절반부는 그것이 흡수성 구조물의 각각의 길이방향 모서리(34)로 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도록 제 2 길이방향축(42) 부근에서 연장하는 벨트 형성된 흡수성 물품(10)에 있어서,
    각 벨트 절반부(12,14) 및 흡수성 구조물(16)사이의 접합부(50)는, 각 벨트 절반부가 제 2 길이방향축(42)을 따라 작용하는 35N의 장력을 받게되고 제 2 길이방향축이 흡수성 구조물의 가로방향축(T)에 대하여 각(α)을 만들때,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얻어지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α= 10°일때, t >> 720 초;
    α= 20°일때, t >> 330 초;
    α= 25°일때, t >> 240 초;
    α= 30°일때, t >> 18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75 초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α= 10°일때, t >> 740 초;
    α= 20°일때, t >> 340 초;
    α= 25°일때, t >> 245 초;
    α= 30°일때, t >> 19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80 초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α= 10°일때, t >> 760 초;
    α= 20°일때, t >> 350 초;
    α= 25°일때, t >> 250 초;
    α= 30°일때, t >> 20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85 초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α= 10°일때, t >> 780 초;
    α= 20°일때, t >> 360 초;
    α= 25°일때, t >> 255 초;
    α= 30°일때, t >> 21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90 초이다.
  5.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성 구조물로 부터의 각 벨트 절반부의 하기 최소 평균 해제 시간(t)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α= 10°일때, t >> 800 초;
    α= 20°일때, t >> 370 초;
    α= 25°일때, t >> 260 초;
    α= 30°일때, t >> 220 초; 그리고
    α= 40°일때, t >> 100 초이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벨트 절반부(12,14)가 톱시트(20) 및 백시트(22)사이의 후단부 영역(32)에서 흡수성 구조물(1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벨트 절반부(12,14) 및 후단부 영역(32)사이의 접합부(50)가 각 벨트 절반부 및 백시트(22)사이의 간격을 둔 실질적으로 평행한 두 부착 라인(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8. 제 7 항에 있어서, 간격을 둔 실질적으로 평행한 두 부착 라인(54)이 점착성 본드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간격을 둔 실질적으로 평행한 두 부착 라인(54)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축성 있는 레그 커프스를 형성하는 탄성리본(48)의 영역 말단부들이 존재하는 각 벨트 절반부(12,14) 및 백시트(22)사이의 비부착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영역(56)의 경계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 벨트 절반부(12,14) 및 후단부 영역(32)사이의 접합부(50)가 백시트(22) 및 각 벨트 절반부사이의 부착 영역(58)을 더 포함하고, 부착 영역은 탄성리본(48)위의 간격을 둔 실질적으로 평행한 두 부착 라인들(54)사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벨트 절반부 및 후단부 영역사이의 접합부(50)가 각 벨트 절반부 및 톱시트(20)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접착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KR1020037000312A 2000-07-13 2001-06-28 벨트형 흡수성 물품 KR100834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002660-9 2000-07-13
SE0002660A SE523234C2 (sv) 2000-07-13 2000-07-13 Bältesförsett absorberande alster.
PCT/SE2001/001496 WO2002005739A1 (en) 2000-07-13 2001-06-28 Belted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330A true KR20030014330A (ko) 2003-02-15
KR100834879B1 KR100834879B1 (ko) 2008-06-03

Family

ID=2028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312A KR100834879B1 (ko) 2000-07-13 2001-06-28 벨트형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1309302B1 (ko)
JP (1) JP2004503329A (ko)
KR (1) KR100834879B1 (ko)
AR (1) AR028784A1 (ko)
AU (2) AU6653101A (ko)
BR (1) BR0112324B1 (ko)
CA (1) CA2413193C (ko)
DE (1) DE60131541T2 (ko)
DK (1) DK1309302T3 (ko)
ES (1) ES2296760T3 (ko)
MX (1) MXPA03000047A (ko)
MY (1) MY127159A (ko)
PL (1) PL359391A1 (ko)
RU (1) RU2269991C2 (ko)
SE (1) SE523234C2 (ko)
WO (1) WO2002005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8028C2 (sv) 1993-05-12 1998-08-10 Moelnlycke Ab Midjebälte för absorberande plagg
SE514370C2 (sv) 1997-10-24 2001-02-19 Sca Hygiene Prod Ab Midjebälte för absorberande plagg
US6726670B2 (en) 2000-07-13 2004-04-27 Sca Hygiene Products Ab Belted absorbent article
JP4021798B2 (ja) 2002-09-30 2007-1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US8221379B2 (en) 2005-06-17 2012-07-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tear resistance and softness
WO2008037283A1 (en) 2006-09-28 2008-04-03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belt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for a bel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n absorbent article
EP2079427B1 (en) 2006-11-07 2014-05-21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EP2200552B1 (en) 2007-10-10 2014-03-05 Sca Hygiene Products AB Belted absorbent article
EP2197403A4 (en) 2007-10-10 2012-05-09 Sca Hygiene Prod Ab ABSORBENT ARTICLE WITH BELT
CN102098996B (zh) * 2008-08-05 2014-02-26 Sca卫生用品公司 吸收性物品
AU2012279494B2 (en) 2011-07-01 2016-04-14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CN114340573A (zh) * 2019-08-28 2022-04-12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具有背片装置的吸收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1045B2 (ja) 1993-11-19 2003-06-30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構造弾性状フィルムウェブ腰部ベルトを有する吸収物品
SE517915C2 (sv) * 1998-01-21 2002-07-30 Sca Hygiene Prod Ab Metod och apparat för att tillverka bandförsedd klädesperse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13193C (en) 2009-04-07
PL359391A1 (en) 2004-08-23
KR100834879B1 (ko) 2008-06-03
SE0002660L (sv) 2002-01-14
DE60131541D1 (de) 2008-01-03
WO2002005739A1 (en) 2002-01-24
AR028784A1 (es) 2003-05-21
MY127159A (en) 2006-11-30
AU2001266531B2 (en) 2006-02-02
CA2413193A1 (en) 2002-01-24
SE523234C2 (sv) 2004-04-06
DK1309302T3 (da) 2008-03-25
RU2269991C2 (ru) 2006-02-20
EP1309302B1 (en) 2007-11-21
MXPA03000047A (es) 2003-06-19
BR0112324B1 (pt) 2010-06-29
SE0002660D0 (sv) 2000-07-13
CA2413193E (en) 2002-01-24
ES2296760T3 (es) 2008-05-01
DE60131541T2 (de) 2008-10-23
BR0112324A (pt) 2003-07-01
JP2004503329A (ja) 2004-02-05
EP1309302A1 (en) 2003-05-14
AU6653101A (en) 200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5428B2 (en) Belted absorbent article
US6110157A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ntegrated fastening system
KR100579033B1 (ko) 미리 체결된 측면 패널을 갖는 흡수용품의 제조 방법 및그에 의해 제조된 흡수용품
EP0790815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nflected barrier cuffs
US4909802A (en) Absorbent garment having a waist belt attachment system
KR100623138B1 (ko) 수동적인 측면 결합 및 조절할 수 있는 고정 시스템을갖는 1회용 흡수 제품
EP0233704B1 (en) Disposable diaper having wide tapered fastening tapes
EP0276970B1 (en) Disposable diaper having an improved fastening device
US5788685A (en) Disposable diaper having elasticized leg cuffs
JPH01162802A (ja) 改良された留め具装置を有する使い捨ておむつ
US8092439B2 (en)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relief feature
PT84527B (pt) Fralda descartavel com um fecho lateral aperfeicoado
US8016971B2 (en) Method for making a waist relief feature
KR100834879B1 (ko) 벨트형 흡수성 물품
JP2004129878A (ja) 使い捨てオムツ
MX2011009637A (es) Pañal desechable que tiene una cinta de sujecion con longitud ajustable progresivamente.
RU2303970C2 (ru) Способ наложения части застежки на подгузник
US20020091370A1 (en) Absorbent article
AU2001266531A1 (en) Belted absorbent article
JP2000506427A (ja) 吸収体用の改良された雌留め具部分
WO2002049567A1 (en) Absorbent article with belt attached via elasticized sidepanels
CA2456758A1 (en) Absorbent article
JP3039867U (ja) 使い捨ておむつ
MXPA00012459A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a stretch band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