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806A -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 Google Patents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806A
KR20030013806A KR1020010047995A KR20010047995A KR20030013806A KR 20030013806 A KR20030013806 A KR 20030013806A KR 1020010047995 A KR1020010047995 A KR 1020010047995A KR 20010047995 A KR20010047995 A KR 20010047995A KR 20030013806 A KR20030013806 A KR 20030013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strength
weight
martensitic stainless
corrosion resist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051B1 (ko
Inventor
이종욱
이광로
김정태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7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0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0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입자 충돌, 부식, 캐비테이션 부식과 액적충돌 부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침식과 마모 손상이 발생되는 수압용 기기 소재의 내침식성을 향상시킨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종래 스테인리스 강에 Mn, Cr, Ni, Mo, V 등의 합금성분을 고려하여 Co와 C 및 N를 적절한 비율로 첨가시키고, 스테인레스 강의 금속조직학 상의 Nieq(9.5∼12.0 범위, 식(1))과 Creq(18.0∼20.5 범위, 식(2))을 한정하여 조직의 안정화(각 원소의 조합을 통한 α-페라이트, δ-페라이트, γ-오스테나이트 등의 조직을 제어하여 안정한 조직을 얻음)를 도모하였고, 경도, 인장강도, 결정립 미세화 및 내침식성을 향상시킨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Martensitic Stainless Steel having high-strength and excellent erosion resistance}
본 발명은 내침식성과 강도를 향상시킨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품종 소량 생산품으로서 수압용 기기에 해당되는 밸브류, 증기터빈부 소재, 패스너(Fastners), 펌프, 샤프트, 해수용품(Marine Hardware) 등과 같이 높은 내식성이 요구되는 제품의 소재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합금성분의 비율을 적정하게 조절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기터빈부 소재, 밸브류, 패스너, 펌프, 샤프트, 해수용품 등과 같은 소재의 특성으로는 내식성, 내열성, 강도, 내침식성, 피로강도,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여야 하는데, 종래 이러한 소재로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인 KS의 STS21계, STS23계, STS44계, JIS의 SUS420J2계, SUS431, DIN의 X4CrNiMo16, X22CrNi17, AISI의 410, 414, 416, 420, 430, 431 등이 사용되어 왔다.
또한, 유사 용도의 소재로서 저탄소(0.1중량% 이하)의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발명이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8-67947호, 특개평7-118734호, 특개평5-112849호, 특개평4-280918호, 특개평4-9451호, 특개평3-188240호, 특개평2-243739호, 특개평2-140465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탄소량이 0.2중량% 이하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발명이 미국특허인 US-5232520호, US-458844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STS21계, STS23계, SUS410, 420J2, X4CrNiMo16 등은 경화된 조건에서 부식저항성이 있으나, KS의 STS44계, JIS의 SUS431계, DIN의 X22CrNi17, AISI의 431 등의 부식성에는 훨씬 미치지 못한다. 그 이유는 어닐링 조건에서 크롬계 스테인리스 강 속의 C(탄소)가 Cr(크롬)과 결합하여 Cr23C6라는 크롬카바이드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13Cr계의 경우 5.6중량%의 Cr이 기지로부터 제외되고, 7.4중량%의 Cr만이 기지에 잔류하므로 만족할 만한 부식저항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실용적으로 부식저항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최소 11중량% 이상이 필요하며, 많으면 많을수록 내식성은 좋아진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종래에 행해진 개선방법으로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인 KS의 STS21계, STS23계, JIS의 SUS420J2계, DIN의 X4CrNiMo16, AISI의 410, 420 등과 같이 기계적 성질 측면에서 주안점을 맞추어 0.1∼0.4중량% 범위의 C와, 12.5∼13.5중량% 범위의 Cr을 통하여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경우와, 내식 특성에 주안점을 맞추어 KS의 STS44계, JIS의 SUS431계,DIN의 X22CrNi7, AISI의 414, 431 등과 같이 0.2중량% 이하의 C, 16∼18중량% 범위의 Cr, 2중량% 이하의 Ni은 물론, Mo, Cu, Al 등을 첨가하여 강도 및 내식성(대기, 알칼리, 약산 분위기에서 부식저항성이 우수하며, 해수 분위기에서는 더 좋은 부식저항성이 있음)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들은 현재 마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중에서 가장 우수한 응력부식균열 저항성을 나타내며, 밸브류, 펌프, 샤프트, 패스너, 해수용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S, Pb 등을 첨가하여 조합함으로써 산화물, 황화물 등의 비금속개재물을 구상화하거나 복합화합물화하여 절삭저항을 감소시켜 피삭성 등을 개선하는 경우의 AISI의 416계 등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소재는 KS, JIS, DIN 규격에서와 같이 600∼700℃ 온도범위에서 템퍼링(Tempering)하거나, 저C의 경우는 450∼600℃의 온도범위에서 템퍼링하기 때문에 강도적인 측면에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 5-112849호, 특개평3-188240호 등은 Cu, Nb, N 등의 합금원소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C를 0.05% 이하로 제어하고, Ni을 넣어 δ-Fe을 저감시켜 담금질 상태에서 비교적 양호한 인성과 용접성을 갖는다. 450∼650℃에서 템퍼링 처리를 하면, V, Nb의 미세한 탄화물이나 질화물과 과잉 Cu상이 입내 석출하여 경도를 높이기 때문에 내침식성과 내마모성이 담금질 상태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이들 강종도 밸브에 적용하기에는 경도가 낮고 내침식성과 내마모성이 부족하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 8-67947호, 특개평4-9451호, 특개평2-140465호등은 내침식성과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르텐사이트 중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10% 이상(특개평4-9451호, 특개평2-140465호) 잔류시키거나, 특개평8-67947호와 같이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1.0% 이상 10% 이하로 한 것이다. 그러나, 과잉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항복응력을 감소시키며,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1.0% 이상 10% 이하로 제어한 것도 극적인 항복응력의 증가는 이루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만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증기 터빈 부소재, 밸브류, 수력발전기기, 펌프류, 패스너, 펌프 샤프트 등은 캐비테이션 부식에 의한 손상 및 침식마모 부식이 동시에 발생한다. 이러한 원인은 고압수, 불순물 입자, 증기포, 액적 등이 표면을 기계적으로 변형시켜 깍아내는 것과 함께 화학적 작용이 중첩되어 발생하고 있다. 즉, 이러한 현상은 고체입자 충돌 부식, 캐비테이션 부식과 액적충돌 부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손상되는 부위는 고압의 충격압(약 345㎫), 증기포 수명(약 1/1000초), 고속의 충돌속도(약 230m/s) 및 고온(약 1117℃)을 견디지 못하고 피로파괴나 소성변형을 일으킨 결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질의 항복점, 인장강도, 피로강도, 결정입도, 표면조도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고, 종래의 소재는 상기한 바와 같은 현상에 견디는 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장시간의 수명을 가질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소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터빈 블레이드, 밸브류, 수력발전기기, 펌프류, 패스너, 펌프 샤프트용 소재의 작동특성에 맞추어 상기 공지된 소재의 합금성분에 C, Co, N를 V, Mo, Cr, Ni을 고려하여 적정비율로 첨가시켜 기지조직을 고용강화하거나 우수한 고온경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 상으로서, 상온으로 냉각하면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므로 고강도를 갖는다. 여기서, 고온 오스테나이트를 얻기 위해서는 Cr 첨가량이 13중량% 정도로 제한되며, 내식적인 측면에서 다른 스테인리스 강에 비하여 열악하다. 내식성의 향상을 위하여 α-페라이트 안정화 원소인 Cr과 Mo을 상향 첨가하는데, 이것은 고온에서 α+γ의 2상 공존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온으로 냉각할 때 α-페라이트가 일부 잔류함으로 인하여 강도와 경도의 저하를 야기시키고, 합금원소의 분배현상으로 인한 내식성의 저하가 일어난다. 반면에, γ-오스테나이트계 안정화 원소인 N와 Ni 등의 첨가는 고온에서 γ구역을 확장시키므로 Cr이나 Mo의 상향첨가가 가능하나, MS변태점을 저하시키므로 상온으로 냉각할 때, 잔류 γ의 증가로 강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압용 밸브 소재를 사용자 요구특성에 맞추어 사용될 수 있도록, 종래 소재의 대표적인 합금성분(Mn, Cr, Ni, Mo, V 등)에 Co와 C 및 N를 적정한 비율로 첨가시키고, 또한 종래의 소재보다 내침식성이 우수하고 고강도와 고인성을 가질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강의 금속조직학상의 Nieq(9.5∼12.0 범위, 화학식(1))과 Creq(18.0∼20.5 범위, 화학식(2))을 한정하고, 합금원소 중 C 증량, N 첨가, Co 첨가와 함께 기타 원소들을 첨가하여 조합함으로써 조직의 안정화(δ-페라이트, γ-오스테나이트 등의 조직을 제어하여 안정된 단상에 가까운 마르텐사이트 조직화)를 도모하였고, 경도,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내침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명강과 비교강의 침식손상 양상과 수명을 비교한 사진으로서, (a)는 본 발명강, (b)는 비교강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강은 다음과 같은 화학조성을 갖는다.
즉, 중량%로 탄소(C)는 0.18∼0.25%, 규소(Si)는 0.20∼0.80%, 망간(Mn)은 0.40∼1.0%, 니켈(Ni)은 1.40∼2.4%, 크롬(Cr)은 16.0∼18.0%, 몰리브덴(Mo)은 0.50∼0.90%, 바나듐(V)은 0.05∼0.15%, 코발트(Co)는 0.40∼1.4%, 질소(N)는 0.03∼0.08%, 인(P)은 0.020% 이하, 유황(S)은 0.010% 이하, 산소(O)는 0.01% 이하이며, 잔부는 철과 미량의 불순물(Al, Cu 등)로 구성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 강의 성분을 상기한 바와 같이 한정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탄소(C)
탄소(C)는 경도 및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원소로서, 0.18중량% 이하로 되면 경화능이 급감하여 강도 특성이 떨어져 내침식성과 부식피로강도를 저하시키고, 0.25중량% 이상으로 되면 열처리에 의한 석출경화 효과와 고용강화 효과는 있으나,V, Cr 등의 함량을 고려할 때 잉여 탄소가 형성되어 취성 유발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 범위를 0.18∼0.25중량%로 한다.
2. 규소(Si)
규소(Si)는 제강과정에서 필수적인 탈산제로 사용되고 그 일부가 잔류하게 되는데, 0.20중량% 이하이면 탈산이 부족하여 강의 성질이 불량하게 되고, 0.80중량% 이상으로 되면 인성이 저하하여 취화되기 쉬우며, 페라이트의 확장원소로서 단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 범위를 0.20∼0.80중량%로 한다.
3. 망간(Mn)
망간(Mn)은 탈산과 탈황작용뿐만 아니라 오스테나이트 확장원소로서 소입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나, 적어도 0.4중량% 이상이 되지 않으면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중량% 이상으로 되면 가열취성을 일으키고, Ac1, Ms온도를 저하시켜 고온강도를 감소시키며,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생성시켜 인성을 저해하는 취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 범위를 0.4∼1.0중량%로 한다.
4. 니켈(Ni)
니켈(Ni)은 인성과 내식성을 증대시키고 γ확장원소로서, 1.40중량% 이하로 첨가되면 α상에 고용되어 경화되지 않으므로 강의 고용강화 효과를 감소시키며, Cr당량 증가에 따른 δ-Fe의 생성억제가 필요하고, 2.4중량% 이상으로 첨가되면 비경제적이며 마르텐사이트 변태 이전단계에서 격자 불안정성과 10% 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발생시켜 취화하거나 고강도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 범위를 1.40∼2.4중량%로 한다.
5. 크롬(Cr)
크롬(Cr)은 스테인리스 강에서 내식성을 확보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원소로서, 경화능과 내충격성을 증가시키나, 16.0중량% 이하로 되면 부식저항성과 산화저항성이 감소하고 소입성 증대효과가 급감하며, 몰리브덴, 바나듐 등과 복합화합물을 형성하여 템퍼링 저항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저하되고, 18.0중량% 이상으로 되면 내식성이 증대하는 효과는 있으나 비경제적이며, Cr당량을 증가시켜 δ-Fe를 생성하여 연성과 충격특성 및 강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 범위를 16∼18중량%로 한다.
6. 몰리브덴(Mo)
몰리브덴(Mo)은 탄화물을 형성하여 고온경도와 강도를 부여하고 내침식성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원소로서, 0.50중량% 이하가 되면 그 효과가 감소하고, 0.90중량% 이상으로 되면 비경제적이며 δ-Fe를 생성하여 충격특성 및 강도를 저하시키고, Si, C 등과를 고려할 때 가열취화(열간단조성)을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 범위를 0.50∼0.90중량%로 한다.
7. 바나듐(V)
바나듐(V)은 철에 치환 고용되어 인장강도를 증가시키고, 불용성 탄화물을 만들어 고온경도를 높이며, 템퍼링 저항성을 증대시키는 원소로서, 0.05중량% 이하가 되면 그 효과가 미미하여 열적안정성을 해치고 결정립 미세화 효과를 감소시키며, 0.15중량% 이상으로 증가하면 결정립 미세화가 촉진되어 소입성을 저하시키고, 불용성 탄화물이 증가하여 내마모성은 향상하지만 피삭성이 저하되며, 연마가 곤란해지고 페라이트를 생성하여 강도저하가 일어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 범위를 0.05∼0.15중량%로 한다.
8. 코발트(Co)
코발트(Co)는 기지에만 고용되어 C의 용해도를 높이며, 탄화물을 기지에 많이 고용시키는 원소로서, 0.40중량% 이하로 첨가되면 고온경도와 내열성이 감소하며, Mo과의 복합첨가로 인한 템퍼링 저항성 증대를 얻을 수 없고, Cr당량 증가로 인한 δ-Fe 생성을 방지하기 어려우며, 1.4중량% 이상으로 되면 고가이어서 비경제적이며, Co 첨가함량 전부는 기지에 고용되거나 탄화물을 고용시키는 효과가 크므로 과잉의 고용강화가 발생하여 취화하기 쉽고, C, 탄화물 형성원소와의 평형량 범위를 초과하여 탄성저하, 연성저하, 충격저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결함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 범위를 0.40∼1.4중량%로 한다.
9. 질소(N)
질소(N)는 Cr과 Mn의 고용도를 증대시키는 반면에, C와 Ni의 고용도를 감소시키는 γ확장원소로서, 0.03중량% 이하로 되면 고용강화 효과 감소, Cr 고용도 감소, δ-Fe 생성 억제 등의 효과가 감소하고, 0.08중량% 이상으로 되면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증가 및 질화물의 석출증대로 인성이 저하하며, 과잉의 질소는 고용강화 효과를 감소시키고 질소량의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 범위를 0.03∼0.08중량%로 한다.
10. 인(P), 유황(S), 산소(O), 수소(H)
인(P), 유황(S), 산소(O), 수소(H)는 제강과정에서 기본적으로 함유되는 불순물로서, 인의 경우는 충격저항을 저하시키므로 0.020중량% 이하로 한정하였고, 유황의 경우는 열간가공성을 해치며, 망간이나 몰리브덴 등과 결합하여 가공성을 증가시키지만, 너무 많으면 인성저하를 초래하므로 0.010중량% 이하로 한정하였으며, 산소와 수소의 경우에는 산화물, 수소화물 및 분자상 수소를 형성하여 수소취성이나 지체파괴를 일으킬 정도로 재료를 취약하게 하므로 현재의 제강과정에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한도(0.01 중량% 이하)를 각각 그 상한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합금조성의 적정 비율은 아래의 식 (1)과 (2)에 근거한 Nieq과 Creq의 값을 동시에 만족하는 성분으로 구성된다.
Nieq=Ni+Co+0.5Mn+0.3Cu+25N+30C=9.5∼12.0
Creq=Cr+2Si+1.5Mo+5V+5.5Al=18.0∼20.5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제조하여 각종 특성을 시험한 결과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강에 대한 시험결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발명강(1∼5)과 종래의 비교강(6∼8)의 화학조성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들 강을 동일 조건하에서 비교하기 위하여, 각 합금 종류별로 동일하게 진공유도 용해로(VIM)로 용해한 후, VIM 잉곳트(100㎏)를 열간단조하였다. 그 후, 어닐링 및 담금질과 템퍼링을 하고 조직의 안정성과 경도를 비교한 후, AISI 규격에 맞는 인장시험, 충격시험을 하였고, X-선 회절분석으로 조직의 구성 상 분석, 변태점을 구한 후, 침식성과 수명을 상호 비교하였다.
다음의 표 2는 995℃의 γ화 온도로부터 급냉시킨 발명강과 비교강의 미세조직에 있어 상분포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비교강의 경우는 조직의 상 구성이 M(마르텐사이트)과 A(오스테나이트) 및 F(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발명강은 전체가 M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잔류하는 페라이트나 오스테나이트 양이 많을수록 경도가 저하하여 내침식성과 강도 및 인성이 저하한다.
발명강과 비교강를 동일한 조건에서 열처리(995℃의 γ화 온도에서 급냉한 후, 250℃와 600℃의 온도에서 템퍼링함)한 후, 상온인장, 상온충격, 경도 등의 기계적 성질 시험을 통하여 인장응력, 항복응력, 단면수축률, 연신율, 2㎜ V-노치(notch) 샤르피 충격값, 경도, 내침식성, 내마모성 등을 조사한 결과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었다.
250℃에서는 담금질 후의 경도나 강도를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내부응력을 완화시킴으로써, 어느 정도의 인성이 회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600℃ 온도에서는 급격한 내부응력의 저하와 함께 기지에 분산되어 있던 합금원소가 C나 N 등과 화합물을 형성하고, 일부는 성장한 결과에 의해 기지의 강도가 저하하는 현상으로 경도 저하를 설명할 수 있다.
이 두 온도에서 발명강은 비교강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경도(HRc 5∼10 이상 높음)를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Co, N 등의 기지에서의 고요강화 효과가 크게 작용한 결과이다. 또한, 발명강은 비교강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항복강도와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특히 발명강은 비교강에 비하여 항복강도와 인장강도 뿐만 아니라,단면수축율과 연신율 및 충격인성에서도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강은 고강도를 나타내며, 경(硬)하고 내침식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강과 비교강를 이용하여 수압 프레스(Press)의 밸브로 제작한 후, 수압(약 315bar, 물+기계유(3%))이 걸리는 홀 부분과 315bar의 수압에 의해 뿜어진 것이 직접 접촉하는 부위에서 실 사용시간에 따른 내침식성과 수명에 미치는 침식여부를 관찰 측정하였다. 여기서, ○은 침식손상이 전혀 없고 사용이 가능한 상태이고, ◑은 침식손상이 발생하였으나 사용이 가능한 상태이며, ●은 침식손상이 과다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 등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고온(600℃)과 저온(250℃)의 템퍼링 모두에서 발명강이 비교강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실 사용 결과 관찰되는 대표적인 경우의 발명강과 비교강의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로 표시된 지점에서 도 1의 (a)와 같은 발명강은 15주 이상 침식현상을 전혀 볼 수 없었다. 반면에, 도 1의 (b)와 같은 비교강은 3주만에 확연한 침식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강은 비교강에 비하여 내침식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강에 의하면, 내침식성과 인장강도 및 충격인성이 종래에 비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명의 증가와 제조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3)

  1. 중량%로, 탄소(C)는 0.18∼0.25%, 규소(Si)는 0.20∼0.80%, 망간(Mn)은 0.40∼1.0%, 니켈(Ni)은 1.40∼2.4%, 크롬(Cr)은 16.0∼18.0%, 몰리브덴(Mo)은 0.50∼0.90%, 바나듐(V)은 0.05∼0.15%, 코발트(Co)는 0.40∼1.4%, 질소(N)는 0.03∼0.08%, 잔부는 철과 미량의 불순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 제1항에 있어서,
    인(P)은 0.020% 이하, 유황(S)은 0.010% 이하, 산소(O)는 0.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합금조성은 아래의 식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 Nieq=Ni+Co+0.5Mn+0.3Cu+25N+30C=9.5∼12.0
    2) Creq=Cr+2Si+1.5Mo+5V+5.5Al=18.0∼20.5
KR10-2001-0047995A 2001-08-09 2001-08-09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Expired - Fee Related KR100441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995A KR100441051B1 (ko) 2001-08-09 2001-08-09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995A KR100441051B1 (ko) 2001-08-09 2001-08-09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806A true KR20030013806A (ko) 2003-02-15
KR100441051B1 KR100441051B1 (ko) 2004-07-21

Family

ID=2771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9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1051B1 (ko) 2001-08-09 2001-08-09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0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497B1 (ko) * 2004-12-23 2006-08-09 주식회사 포스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45969A (zh) * 2015-04-03 2015-07-01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hrb400e高强度抗锈蚀钢筋及其生产工艺
US20190211429A1 (en) * 2016-07-06 2019-07-11 Hitachi Metals, Ltd. Martensitic stainless steel for fuel injection member and fuel injection member using same
US11401572B2 (en) 2016-12-22 2022-08-02 Posco High-hardness wear-resistant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180B2 (ja) * 1990-07-30 1995-03-22 日本鋼管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油井用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678263B2 (ja) * 1990-11-28 1997-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高強度高耐食性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H04224656A (ja) * 1990-12-26 1992-08-13 Kawasaki Steel Corp 油井管用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497B1 (ko) * 2004-12-23 2006-08-09 주식회사 포스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45969A (zh) * 2015-04-03 2015-07-01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hrb400e高强度抗锈蚀钢筋及其生产工艺
US20190211429A1 (en) * 2016-07-06 2019-07-11 Hitachi Metals, Ltd. Martensitic stainless steel for fuel injection member and fuel injection member using same
US12006561B2 (en) * 2016-07-06 2024-06-11 Proterial, Ltd. Martensitic stainless steel for fuel injection member and fuel injection member using same
US11401572B2 (en) 2016-12-22 2022-08-02 Posco High-hardness wear-resistant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1051B1 (ko) 200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4765B2 (en) Corrosion-resistant austenitic steel alloy
KR100353300B1 (ko) 고압 및 저압 통합형 터빈 회전자의 제조방법
US8317944B1 (en) 9 Cr— 1 Mo steel material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
EP0806490B1 (en) Heat resisting steel and steam turbine rotor shaft
JP3422561B2 (ja) 熱処理法により得られたマルテンサイト組織を有する耐熱耐クリープ鋼
US6793744B1 (en) Martenstic stainless steel having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corrosion
US5358577A (en)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798082A (en) High-strength and high-toughness heat-resistant cast steel
KR20020080352A (ko) 고크롬 페라이트계 내열강
EP0770696B1 (en)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heat resisting ste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14045444B (zh) 一种nm400级dq型马氏体耐磨钢板及其制备方法
KR100441051B1 (ko)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CN113528941A (zh) 一种含氮马氏体不锈轴承钢及其制备方法
EP0498105B1 (en)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stainless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368849A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JP3662151B2 (ja) 耐熱鋳鋼及びその熱処理方法
RU2214474C2 (ru) Высокопрочная коррозионно-стойкая сталь и изделие, выполненное из нее
RU2806682C1 (ru) Высокопрочная коррозионностойкая азотосодержащая мартенситно-аустенитно-ферритная сталь
KR100329380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2359299B1 (ko) 극초고강도 고함량 Co-Ni계 이차경화형 마르텐사이트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JP4152872B2 (ja) 被削性に優れた冷間加工用析出硬化型ステンレス鋼
JP2000328204A (ja) 耐食高周波焼入れ用鋼
JP3164140B2 (ja) 機械部品用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20230125712A (ko) 고강도 및 고연성을 갖는 크롬-몰리브덴 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10699B1 (ko) 증기터빈용 고압 및 저압 일체형 로타 합금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