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732A - 네트워크 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732A
KR20030013732A KR1020010047905A KR20010047905A KR20030013732A KR 20030013732 A KR20030013732 A KR 20030013732A KR 1020010047905 A KR1020010047905 A KR 1020010047905A KR 20010047905 A KR20010047905 A KR 20010047905A KR 20030013732 A KR20030013732 A KR 20030013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home appliance
natural language
age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3808B1 (ko
Inventor
박지은
임성호
신형철
김배선
정현태
한동원
김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4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80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네트워크 기반의 홈서버에 내장된 지능형 에이전트들의 공동 작업을 통해 네트워크 기반 홈서버에 연동되는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때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음성이나 전자펜을 이용하여 자연어 형태로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홈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로 변환하여 홈서버에 전송하고, 홈서버의 에이전트에서 그 일련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해석하고 작업별로 구분하여 작업 스케줄을 작성한 다음, 그 작업 스케줄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작업 수행결과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그 처리 결과를 알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네크워크 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of network based home server for controlling home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가전기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PDA 및 홈 서버에 탑재된 지능형 에이전트들의 공동작업을 통해 원거리에서 PDA 사용자가 가정용 전자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네크워크 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의 각종 기기들을 웹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홈오토메이션에 관한 기술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1996-43115호(발명의 명칭:웹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장치 및 그 방법)가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복수개의 가정용 전자기기와, 복수개의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제어정보에 의해 각 전자기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가전기기 제어부와,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가전기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망을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정보를 선택하여 가전기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주제어부와, 제어부 및 가전기기 제어부 사이의 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복조하는 모뎀으로 이루어져, 웹브라우저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경우 기기에 대한 정보가 제어시스템으로 송신되어 해당 가전 기기가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직접 가전기기제어 시스템으로 전달됨에 따라, 사용자가 기기 제어 전과정을 명령하고 모니터링하여 일련의 동작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선행동작이 수행될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음 동작을 명령해야 함으로써 대기하는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멀티리모트 전화기 또는 가정 외부에서의 전화기에 의한 음성 신호에 의해 일반 가정용 기기들 중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기기들 및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음성 인식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1998-61594호(발명의 명칭:음성인식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 기기 제어방법)가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로부터 음성명령을 입력받아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음성명령을 무선신호로 입력받고 입력받은 무선신호가 부호화된 음성명령이면, 그 부호화된 음성명령을 컴퓨터로 전달하고, 컴퓨터에 의해 분석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유선으로 전달하는 홈오토메이션 처리장치와, 홈오토메이션 처리 장치로부터 부호화된 음성명령을 입력받아 분석하여 제어명령을 생상하는 음성인식기를 구비한 컴퓨터와, 홈오토메이션 처리장치로부터 유선으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적외선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홈오토메이션 제어기들 홈오토메이션 제어기로부터 적외선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모트 제어 가정용 기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도 음성인식단위가 기기의 제어명령과 일치, 즉, 리모콘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하나의 동작을 음성으로 전달함에 따라, 사용자가 기기 제어 전과정을 음성신호를 통해 하나씩 명령하고 사용자가 기기 제어 전과정을 음성신호를 통해 하나씩 명령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원격 가전 제어는 전화 혹은 퍼스널 컴퓨터에 장착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행해졌다. 이러한 원격 가전 제어는 사용자가 직접 가정 내의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으로 해당 가전 기기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들을 한번에 하나씩 송신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전 제어의 전 과정을 직접 모니터링 하면서 가전 제어 명령을 가정내로 전달하여야 하며, 세부적인 가전 제어 명령들을 익혀야 하는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와 네트워크 기반의 홈서버에 내장된 지능형 에이전트들의 공동 작업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들이 음성이나 전자펜을 이용하여 자연어 형태로 원거리에서 가정 내 가전기기의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고, 명령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네크워크 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DA에서 지능형 에이전트를 통한 가정용 기기 제어 방법이 적용된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1의 홈 서버 에이전트 시스템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DA 탑재 개인 에이전트의 실행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버 에이전트 시스템의 실행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전기기200 : 홈서버
210 : 가전기기 제어부220 : 에이전트부
221 : 가전 제어 에이전트222 : 정보관리 에이전트
223 :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224 : 조정 에이전트
300 : 유무선 통신망400 : 개인 휴대 단말기
410 : 자연어 처리부420 : 개인비서 에이전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 홈서버에 연동되는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때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입력신호를 자연어 형태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홈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로 변환하여 홈서버에 전송하고, 홈서버의 에이전트에서그 일련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해석하고 작업별로 구분하여 작업 스케줄을 작성한 다음, 그 작업 스케줄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작업 수행결과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그 처리 결과를 알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에이전트를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은 가정내의 각종 가전기기(100)와, 각 가전기기(100)의 동작을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작업 스케줄을 작성하여 그 순서대로 제어하기 위한 홈서버(200)와, 그 홈서버(200)로 하여금 각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각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홈서버(200)에 전달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전기기(100)는 홈서버(200)에 연결되어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가전기기로써 예를 들면, 세탁기, 냉장고, 에어콘, 보일러, 창문개폐기, 전자렌지, 전기밥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홈서버(200)는 각종 가전 기기(100)를 제어하는 가전기기 제어부(210)와, 그 가전기기 제어부(210)에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에이전트부(220)로 구성된다.
에이전트부(2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일련의 제어명령을 해석하여 작업별로 구분하여 작업 스케줄을 작성하고, 그 수행결과를 다음 작업 스케줄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가전기기 제어부(210)는 에이전트부(220)의 작업 스케줄에 의거하여 가전기기의 제어를 수행한다.
유무선 통신망(300)은 개인비서 에이전트(402)와 홈 서버의 에이전트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각종 유무선 통신망으로, 유무선 인터넷망, PCS망, PDA망, CDMA망, IMT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개인 휴대용 단말기(400)는 PDA단말기, 휴대폰 단말기, 컴퓨터등의 각종 유무선 통신기기가 될 수 있으며, 음성 혹은 펜 또는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받아 자연어처리를 수행하여 자연어 형태의 가전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부(410)와, 자연어 처리부(410)의 인식결과를 홈서버의 에이전트에 전달하기 위한 개인비서 에이전트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연어 처리부(410)는 입력된 자연어 형태의 제어명령을 홈서버(200)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로 변환하거나, 홈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실행결과 처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에이하기 위한 자연어 형태로 변환한다.
자연어 형태로 전달받는다는 것은 각종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있어서, 특정한 키패드 또는 버튼신호에 의해 특정한 제어명령을 전달받는 것이 아니라,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제어명령들에 대하여 인간이 주로 사용하는 단어의 형태(자연어 형태)로 입력받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현재 온도" "현재시간" "온도를 낮춰" "온도를 높여" "정지해" "가동해" 등의 인간언어를 통하여 가전기기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거나 입력받는 것을 말한다.
자연어 형태로 입력받는 구체적인 방법은 음성인식기술을 통하여 할 수 도 있고, 키보드를 통해서 할 수 도 있고, 직접 전자펜을 이용하여 PDA의 입력부에 글자를 써서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연어 형태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한정된 키패드나 키버튼의 조작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제어명령보다 훨씬 더 다양한 종류의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 입장에서도 자신이 평소에 친구에게 늘 하던 형태의 말 예를 들면 "에어콘 좀 켜줄래?" "온도 좀 낮추어 줄래?" "세탁기좀 돌려줘!"을 사용하여 가전기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해 별도의 키패드 조작방법을 공부할 필요없이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개인비서 에이전트부(420)는 자연어 처리부(410)에 의해 처리된 제어명령 정보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홈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홈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실행결과 처리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연어 처리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개인 휴대용 단말기(400)에 음성이나 전자펜등을 이용하여 자연어 형태로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그 제어명령은 자연어 처리부(410)에서 홈서버(200)와 통신을 위한 통신언어로 변환되고, 그 제어명령을 개인비서에이젼트(420)에서 자연어 처리부(410)에 의해 처리된 제어명령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300)을 이용하여 홈서버(200)에 전송한다.
홈서버(200)의 에이전트부(220)에서는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하여 원격의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일련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일련의 제어명령을 해석하여 작업별로 구분하여 작업 스케줄을 작성한다. 가전기기 제어부(210)에서는 그 작업 스케줄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그 작업 수행결과를 에이전트부(220)에 전달한다. 에이전트(220)에서는 그 작업수행 결과를 다음의 작업 스케줄 작성에 참조하기 위하여 저장하고 아울러 유무선 통신망(300)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개인 휴대용 단말기(400)의 개인비서 에이전트(420)에서는 홈서버(200)로부터 가전기기의 실행결과 처리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실행결과 처리 정보를 자연어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도 2는 도1의 홈 서버에 구비되는 에이전트부(220)의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
에이전트부(220)는 홈서버(200) 내부에서는 가전기기 제어부(210)와 데이터 교환을 하며, 외부로는 개인 휴대단말기(400)에 탑재된 개인 비서 에이전트(420)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가전 제어 에이전트(221), 정보관리 에이전트(222),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223), 조정 에이전트(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전 제어 에이전트(221), 정보관리 에이전트(222),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223)는 가전기기의 개별적인 제어를 위해 수행하는 에이전트라는 점에서 응용 에이전트라고 할 수 있으며, 조정 에이전트(224)는 이러한 각 응용 에이전트들의 수행동작을 제어하는 점에서 시스템 에이전트라고 할 수 있다.
가전 제어를 담당하는 응용 에이전트인 가전 에이전트(221)들은 가전 제어를 담당하는 가전 기기 하나 당 하나의 가전 에이전트가 매핑되며, 해당 가전 기기 제어 모듈(210)을 통해 담당 가전 기기의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정보 관리 에이전트(222)는 가전 제어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냉난방 장치가 공통으로 요구하는 실내 온도 설정 정보등 가정 내 환경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홈 정보 관리 에이전트, 단말 사용자마다 가지는 고유의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개인정보관리 에이전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223)는 자연어 형태로 전달된 가전 제어 명령어를 의미 분석하거나 가전 제어 명령 수행 결과를 자연어 형태로 변환한다.
조정 에이전트(224)는 가전 제어 에이전트(221), 정보관리 에이전트(222),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223)와 휴대용 단말기(400)의 개인 비서 에이전트(420)의 개별 정보 및 에이전트간의 작업을 스케쥴링한다.
조정 에이전트(224)에서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400)로부터 에이전트 통신언어 형태로 전달받은 일련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그 제어명령을 해석하기 위하여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223)로 전달하여 그 제어명령의 의미를 분석하게 한다. 그리고,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223)의 의미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요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에이전트들을 추출하고, 이들의 작업 순서를 시간과 조건에 따라 스케줄링 한다. 스케줄링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세탁기를 돌리고,에어콘을 20℃로 유지하고, 밥을 해놓아라"하고 제어명령을 내렸을 경우, 작업은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즉, 세탁기를 돌리는 작업, 에어콘을 20℃유지하는 작업, 밥을 하는 작업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분류는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223)의 의미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조정 에이전트(223)에서는 이러한 여러개의 작업을 시간 또는 가전기기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에이전트를 추출하고 작업 스케줄을 작성한다. 이렇게 가전기기를 시간과 종류 또는 각 상황에 따른 작업순서대로 제어하기 위한 스케줄이 완성되면, 조정 에이전트(224)는 해당 응용 에이전트들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한다.
아울러, 다음번 작업 스케줄의 작성에 참고할 수 있도록 가전기기의 제어작업 수행결과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된 개인 비서 에이전트부(420)의 실행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개인 비서 에이전트부(420)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하여 홈 서버의 에이전트부(220)와 인터넷 접속을 시도한다(S1). 연결이 완료되면, 홈서버(200)와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통신을 위해 홈서버(200)에 메시지를 송신할 것인지 아니면 홈서버(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것인지에 따라 메시지 송수신 모드로 분기한다(S2). 따라서, 송신 모드인 경우에는, 홈서버(200)로 전송해야할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3).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각종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신호 또는명령어를 포함하게 된다.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PDA 단말기의 경우 펜이나 키보드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면 음성인식을 사용하여 음성을 통해 자연어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 어떠한 형태의 입력신호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면 음성을 통한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4). 음성인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어를 음성을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부(410)로 전달하여 음성인식을 요청하고(S5) 그 음성 인식 결과를 자연어 형태로 전달받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음성으로 "현재의 실내온도는 몇도지?, 실내온도를 20℃로 맞춰!"라는 PDA에 설치된 마이크에 말을 하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어는 자연어 처리부(410)에서 에이전트간 통신을 위해 에이전트 통신 언어(Agent Communication Language)로 변환된다(S6). 이렇게 변환된 제어명령을 홈서버(200)에 전송한다(S7).
한편, 수신 모드인 경우에는 홈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S8). 홈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있는 경우에는 에이전트 통신 언어를 자연어 처리부(410)로 전달하여 자연어 형태로 변환 후 변환된 자연어 메시지를 전송받고(S9), 그 자연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준다(S10). 이상의 작업은 사용자의 종료 요구가 있는 경우까지 반복하여 수행한다.(S1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버에서 에이전트부의 동작수행 흐름도이다. 홈 서버에서 각 에이전트가 순차적으로 실행된다(S21). 먼저, 시스템의 전반적인 수행을 위해 조정 에이전트(224)가 실행되고, 가전 제어 에이전트(221), 정보관리 에이전트(222),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223)의 응용 에이전트가 실행된다. 실행된 에이전트들은 자신의 동작정보를 조정 에이전트(224)에게 등록한다(S22). 조정 에이전트(224)에게 등록하는 사항은 응용 에이전트들 각각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등이 해당된다.
즉, 세탁기 담당 에이전트는 자신이 세탁기를 제어할 수 있음을 조정 에이전트(224)에게 알리고, 조정 에이전트(224)는 이를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저장한다. 이렇게 등록 절차가 끝나면, 조정 에이전트(224)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 이러한 제어명령 신호는 PDA의 개인 비서 에이전트로부터 에이전트 통신 언어 형태로 전달되며, 조정 에이전트(224)는 먼저, 에이전트 통신 언어 내부에 포함된 자연어 명령에 대한 의미 분석을 위해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223)로 이를 전달한다(S24).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223)에서는 그 전달받은 에이전트 통신 언어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분석한다. 조정 에이전트(224)에서는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224)의 처리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요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에이전트들을 추출하고, 이들의 작업 순서를 시간과 조건에 따라 스케줄링 한다(S25).
조정 에이전트(224)에서는 이렇게 가전기기를 시간과 조건에 따른 작업순서대로 제어하기 위한 스케줄이 완성되면, 해당 응용 에이전트들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한다(S26). 해당 가전 제어 에이전트는 조정 에이전트(224)로부터 전달 받은 고유의 작업을 수행하며(S27), 정보 관리 에이전트(222)도 정보 저장 및 검색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S28), 그 수행결과를 조정 에이전트(224)로 전달한다(S27). 이러한 과정은 개인 휴대 단말기(400)의 개인 비서 에이전트(420)가 전달한 요구 사항을 완료할 때 까지 조정 에이전트(224)의 모니터링하에 실행된다. 에이전트 시스템의 종료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여(S29), 종료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개인 비서 에이전트의 명령 요구를 기다린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PDA등의 개인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인식에 의하거나, 전자펜 또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자연어 형태로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여러 가전기기에 걸쳐 행해지는 제어 명령어들을 조건이나 시간 순서로 결합하여 에이전트에게 전달하여 스케쥴을 작성하고 전달함으로써 보다 복잡한 형태의 가전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가전 제어에 필요한 정보들을 정보 관리 에이전트가 전담하여 관리함으로써 정보 획득을 위한 사용자의 개입을 줄이고, 사용자의 사용정보를 누적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별 맞춤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에이전트에게 전담하는 형태로 가전 제어 명령을 내림으로써 사용자가 가전 제어 전 과정을 모니터링 하거나, 각 가전 고유의 제어 명령들을 사용자가 일일이 학습할 필요가 없이도 손쉬운 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4)

  1. 네트워크 기반 홈서버에 연동되는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명령 정보를 자연어 형태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상기 자연어 형태의 제어명령 정보를 홈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홈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실행결과 처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실행결과 처리정보를 자연어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어 형태로 입력받는 단계는,
    음성 인식,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인식,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인식을 통하여 입력받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3. 네트워크 기반의 홈서버에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일련의 제어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일련의 제어명령 정보를 해석하여 작업별로 구분하여 작업 스케줄을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 스케줄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 수행결과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네크워크 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번 작업 스케줄의 작성에 참고할 수 있도록 상기 가전기기의 제어작업 수행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크워크 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제어명령 정보는 자연어 형태로 이루어진 네크워크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스케줄은, 시간별 또는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의 종류에 따른 순서로 작성하는 네크워크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7. 네트워크 기반 홈서버에 연동되는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명령 정보를 자연어 형태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자연어 형태의 제어명령 정보를 홈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로 변환하거나, 상기 홈서버로부터 수신한 실행결과 처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자연어 형태로 변환하는 자연어 처리부와,
    상기 자연어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제어명령 정보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홈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홈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실행결과 처리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연어 처리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개인비서 에이전트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어 형태로 입력받는 제어명령 정보는,
    음성인식, 전자펜, 키패드를 이용하여 자연어 형태로 입력받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9.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홈서버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일련의 제어명령 정보를 해석하여 작업별로 구분하여 작업 스케줄을 작성하고, 그 수행결과를 다음 작업 스케줄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에이전트부와,
    상기 에이전트부의 작업 스케줄에 의거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가전기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홈서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제어명령 정보는 자연어 형태로 이루어지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홈서버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스케줄은, 시간별 또는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의 종류에 따른 순서로 작성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홈서버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부는,
    상기 가전기기 제어부에 상기 가전기기별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 정보를 전송하거나 그 수행결과를 수신하는 가전 제어 에이전트,
    상기 가전 제어 에이전트를 통해 송수신한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관리 에이전트,
    네트워크를 통해 자연어 형태로 전달된 가전 제어 명령어를 의미 분석하거나 가전 제어 명령 수행 결과를 자연어 형태로 변환하는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
    상기 가전 제어 에이전트, 정보관리 에이전트, 자연어 처리 에이전트간의 작업을 스케쥴링하는 조정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홈서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제어 에이전트는, 가전 기기 하나 당 하나의 가전 에이전트가 매핑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홈서버.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 에이전트는,
    가전 제어에 필요한 가정 내 환경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홈 정보 관리 에이전트,
    사용자마다 가지는 고유의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개인정보관리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홈서버.
KR10-2001-0047905A 2001-08-09 2001-08-09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23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905A KR100423808B1 (ko) 2001-08-09 2001-08-09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905A KR100423808B1 (ko) 2001-08-09 2001-08-09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732A true KR20030013732A (ko) 2003-02-15
KR100423808B1 KR100423808B1 (ko) 2004-03-22

Family

ID=2771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905A KR100423808B1 (ko) 2001-08-09 2001-08-09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80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423B1 (ko) * 2005-12-27 200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0972960B1 (ko) * 2008-05-08 2010-07-30 한국과학기술원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3571B1 (ko) * 2003-08-25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인식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기기 제어방법
KR20140037519A (ko) * 2012-09-19 2014-03-27 주식회사 케이티 자연어 기반의 명령어 인식을 통해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 단말 및 그 방법
KR101465230B1 (ko) * 2013-11-05 2014-11-25 주식회사 서비전자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50069961A (ko) * 2013-12-16 2015-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898591A (zh) * 2015-03-27 2015-09-09 西安交通大学 一种智能家电协同控制方法
US9417792B2 (en) 2009-03-18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KR101655760B1 (ko) * 2015-06-11 2016-09-08 주식회사 한국정보기술단 사물 인터넷 기반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WO2020103397A1 (zh) * 2018-11-20 2020-05-2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系统、控制方法、设备及介质
US10679618B2 (en) 2016-11-03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521038B2 (en) 2018-07-19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090A (ko) * 1996-12-30 1998-10-07 김광호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어장치
JP2000059867A (ja) * 1998-08-14 2000-02-25 Nec Corp 遠隔操作システム
KR100447163B1 (ko) * 2000-02-01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020014185A (ko) * 2000-08-16 2002-02-25 고대식 지능형 홈서버 시스템과 이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무선단말 장치
KR20020078727A (ko) * 2001-04-10 2002-10-19 제너시스정보통신(주)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의 송수신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571B1 (ko) * 2003-08-25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인식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기기 제어방법
KR100746423B1 (ko) * 2005-12-27 200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0972960B1 (ko) * 2008-05-08 2010-07-30 한국과학기술원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US9417792B2 (en) 2009-03-18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US10712988B2 (en) 2009-03-18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KR20140037519A (ko) * 2012-09-19 2014-03-27 주식회사 케이티 자연어 기반의 명령어 인식을 통해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 단말 및 그 방법
KR101465230B1 (ko) * 2013-11-05 2014-11-25 주식회사 서비전자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WO2015068954A1 (ko) * 2013-11-05 2015-05-14 주식회사 서비전자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50069961A (ko) * 2013-12-16 2015-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898591A (zh) * 2015-03-27 2015-09-09 西安交通大学 一种智能家电协同控制方法
KR101655760B1 (ko) * 2015-06-11 2016-09-08 주식회사 한국정보기술단 사물 인터넷 기반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US10679618B2 (en) 2016-11-03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908465B2 (en) 2016-11-03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521038B2 (en) 2018-07-19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03397A1 (zh) * 2018-11-20 2020-05-2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系统、控制方法、设备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3808B1 (ko) 200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1177A1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US2019031274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home device
CN102854834B (zh) 具有远程遥控功能的智能开关及远程遥控系统
CN105765514B (zh) 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KR10042380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CN104270468B (zh) 一种微信控制物联网设备的系统
KR100434292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CN102902253B (zh) 具有语音控制功能的智能开关及智能控制系统
CN105706395B (zh) 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CN103051693B (zh) 设备控制方法与移动通信终端
CN105371426A (zh) 一种智能空气净化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588595B1 (ko)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CN102736536A (zh) 语音控制电器设备的方法、装置
CN105467846A (zh) 智能家电设备控制方法和系统
CN102748833A (zh) 语音控制电器设备的方法、装置以及服务器
CN114615307B (zh) 设备控制方法、控制终端及服务端设备
CN111128177B (zh) 一种语音控制命令词动态加载系统及方法
CN111696544A (zh) 家用电器的控制方法、家用电器及控制装置
KR20020067315A (ko) 통합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83427B1 (ko)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832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인터페이스 방법
KR100437044B1 (ko)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348670A (ja)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20210192933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451642B1 (ko) 리모콘 신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