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230B1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230B1
KR101465230B1 KR1020130133720A KR20130133720A KR101465230B1 KR 101465230 B1 KR101465230 B1 KR 101465230B1 KR 1020130133720 A KR1020130133720 A KR 1020130133720A KR 20130133720 A KR20130133720 A KR 20130133720A KR 101465230 B1 KR101465230 B1 KR 101465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control
command
data packet
transm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비전자
Priority to KR1020130133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230B1/ko
Priority to PCT/KR2014/009571 priority patent/WO201506895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1Voice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음성 인식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기/전자기기들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제어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음성인식서버에 전송하고, 음성인식서버로부터 문자열 텍스트로 수신하여 화면에 표출시키는 과정; 스마트기기는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인지 판단하는 과정; 스마트기기는 제어 명령어가 다단계 명령이면 몇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각 단계별로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를 현재 설정된 레벨을 기준으로 1단계씩 제어하는 과정; 스마트기기는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택하는 숫자이면 채널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각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FOR DEVICE CONTROL USING SMART DEVICE AND CONTROL SYSTEM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음성 인식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기/전자기기들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의 보급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사람들 마다 적어도 한 대 이상의 스마트기기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환경의 혁신적인 발전과 다양한 컨텐츠의 제공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기기는 주변의 전기/전자기기를 블루투스(Bluetooth)통신 혹은 와이파이(WiFi)통신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키보드 기능, 마우스 기능, 터치 기능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에 대하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는 앱 스토어(App Store) 혹은 안드로이드 마켓(Android Market) 등에서 다양한 개발자가 제공하는 리모콘 기능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다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가정이나 사무실내에 설치된 전기/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리모콘 기능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전기/전자기기의 제작 업체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대응되는 하나의 전기/전자기기만을 제어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개인용 스마트기기의 보급이 보편화됨에 따라 전기/전자기기의 제어와 각종 생활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게 되었고,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음성 인식기능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음성 인식기능의 활용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상기 전기/전자기기는 장치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버튼을 통한 직접 조작이나 각각의 장치에 대응되어 제공되는 리모콘에 의한 조작으로 동작된다.
최근 들어 전기/전자기기에 음성모듈을 적용하고, 음성 인식기능을 사용하여 전기/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이 상용화 기술 수준에 도달되었다.
상기 음성모듈을 이용하는 경우 일률적인 음성 명령어만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억양(사투리), 음성 명령어의 형식, 국가별 언어 등이 변경되면 음성 명령어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억양(사투리), 음성 명령어의 형식, 국가별 언어에 따라 음성모델을 새로 개발하여야 하므로 과도한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성 명령어를 직접 선택 및 편집할 수 없으며, 사용자 개인별 발음, 높낮이, 억양 및 국가별 언어의 장벽을 극복하는데 많은 어려운 한계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동작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제어, 여러 자릿수의 숫자 제어를 한번의 음성 명령어 입력으로 실행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3985호(2012.03.14.)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8385호(2013.03.1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음성 인식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기/전자기기의 작동을 거리 제한 없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리모콘의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음성 인식기능을 이용하여 한번의 음성 명령어 입력으로 전기/전자기기에서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제어, 여러 자릿수의 숫자 제어를 거리 제한 없이 원격 제어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기/전자기기의 지정된 작동을 실행시키기 위한 음성 명령어를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어로 추가 및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음성 명령어의 인식율 향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환경 설정으로 사용 언어를 변경함에 따라 음성 명령어의 인식이 해당 언어로 실행되어 국가별 언어의 장벽 없이 다양한 전기/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통합리모콘의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전기/전자기기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주변장치들의 전원을 하나의 버튼으로 통합 제어할 수 있는 통합리모콘의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음성인식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기기; 컨텐츠 제공업체에 구축되며, 스마트기기에서 전송된 음성 명령어를 문자열 텍스트로 생성하여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는 음성인식서버; 상기 스마트기기와 음성인식서버를 연결되는 무선네트워크;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며, 통합 리모콘 제어코드가 테이블로 저장되는 중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입력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음성인식 서버에 전송하고, 음성인식 서버에서 제공되는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며, 인식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전송하여 중계장치에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의 송출을 실행시켜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기기는 앱 스토어 혹은 안드로이드 마켓으로부터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에서 각 디바이스별로 구성되는 리모콘 화면의 키들에 대하여 각각 약정된 키 값이 설정되고, 특정 리모콘 화면에서 임의의 키가 선택되면 약정된 키 값을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전송하여 중계장치에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의 송출을 실행시켜 피제어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는 개별 전기/전자기기의 리모콘 키 구조 화면 소정의 위치에 음성인식 기능을 선택하는 버튼(마이크 아이콘)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미트기기는 환경 설정을 통한 사용 언어의 변경으로 음성 명령어의 인식이 해당 국가별 언어로 자동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몇 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각 단계별로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1단계씩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현재 설정값을 기준으로 1단계씩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가 인식하는 다단계 명령은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온도 업/다운, 바람세기, 조명 밝기를 포함하며, 피제어장치의 현재 설정값을 기준으로 1단계씩 올리거나 낮추어 주는 연속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국하는 숫자인 경우 전체 자릿수를 판별하고, 각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여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각각을 데이터 패킷으로 순차적으로 중계장치에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킬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는 각 자릿수별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이 매칭되면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고, 다음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전원 통합 제어인 경우 특정의 전기/전자기기와 연동되는 주변장치들의 전원 키 값을 매칭시킨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연동되는 주변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계장치는 스마트기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제1무선통신부; 어댑터 혹은 컴퓨터의 USB포트와 연결되어 중계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컴퓨터 혹은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펌웨어 및 통합리모콘 제어코드의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USB포트; 통합리모콘 제어코드의 테이블이 지정된 영역에 저장되는 메모리부; 제1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서 약정된 키 값을 추출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의 테이블을 적용하여 제어 명령어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피제어장치에 송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어 명령어의 제어코드를 소정의 통신방식으로 피제어장치에 전송하여 피제어장치를 동작시키는 제2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음성인식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기기; 컨텐츠 제공업체에 구축되며, 스마트기기에서 전송된 음성 명령어를 문자열 텍스트로 생성하여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는 음성인식서버; 상기 스마트기기와 음성인식서버를 연결되는 무선네트워크;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며, 통합 리모콘 제어코드가 테이블로 저장되는 중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입력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음성인식 서버에 전송하고, 음성인식 서버에서 제공되는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몇 단계 제어인지 판별하여 1단계씩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현재 설정값을 기준으로 1단계씩 제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음성인식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기기; 컨텐츠 제공업체에 구축되며, 스마트기기에서 전송된 음성 명령어를 문자열 텍스트로 생성하여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는 음성인식서버; 상기 스마트기기와 음성인식서버를 연결되는 무선네트워크;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며, 통합 리모콘 제어코드가 테이블로 저장되는 중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화면에서 검출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상기 음성인식 서버에 전송하고, 음성인식 서버에서 제공되는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가 채널 선국인 숫자이면 자릿수와 각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각 자릿수별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켜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고, 다음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채널 선국을 실행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음성인식서버에 전송하고, 음성인식서버로부터 문자열 텍스트로 수신하여 화면에 표출시키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제어 명령어가 다단계 명령이면 몇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각 단계별로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를 현재 설정된 레벨을 기준으로 1단계씩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다단계 명령은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온도 업/다운, 풍량 업/다운, 조명 밝기를 포함하고, 피제어장치의 현재 설정된 레벨을 기준으로 1단계식 업/다운 제어를 연속 동작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음성인식서버에 전송하고, 음성인식서버로부터 문자열 텍스트로 수신하여 화면에 표출시키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택하는 숫자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택하는 숫자이면 채널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각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기기는 각 자릿수별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이 매칭되면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고, 다음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 데이터 패킷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전원 통합 제어이면 특정 전기/전자기기와 연동되는 주변장치들의 전원 키 값을 매칭시킨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연동되는 주변장치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음성인식서버에 전송하고, 음성인식서버로부터 문자열 텍스트로 수신하여 화면에 표출시키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제어 명령어가 다단계 명령이면 몇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각 단계별로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를 현재 설정된 레벨을 기준으로 1단계씩 제어하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택하는 숫자이면 채널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각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인들에게 널리 보급되어 있는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음성 인식기능을 이용하여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되는 다양한 전기/전자기기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리모콘의 기능이 제공되어 편리성 및 효율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개인이 상시 휴대하는 스마트기기로 다양한 전기/전자기기의 작동을 원격 제어함으로써 대응되는 여러개 리모콘의 준비 및 관리가 필요하지 않아 편리성 및 효율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콘 작동에 필요한 배터리의 사용을 배제시켜 비용절감을 제공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음성모듈이 적용되지 않아 제작원가를 절감시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컨텐츠 제공업체인 구글, 애플, 다음, 네이버, 네이트 등에 구축되는 음성인식서버를 이용하여 음성 명령어의 인식을 실행하므로 음성인식서버의 구축과 음성모델의 개발이 수반되지 않아 원가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번의 음성 명령어 입력으로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온도 업/다운, 바람세기, 조명 밝기 등의 다단계 제어를 실행할 수 있어 음성 명령어의 반복적인 입력이 수반되지 않아 사용에 편리성 및 효율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전기/전자기기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주변장치들의 전원을 하나의 버튼으로 통합 제어할 수 있어 편리성 및 효율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환경 설정으로 사용 언어를 변경함에 따라 음성 명령어의 인식이 해당 언어로 자동 변경되어 국가별 언어의 장벽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중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에서 여러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제어 개념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100)와, 통상적인 컨텐츠 제공업체에 구축되는 음성인식서버(200), 3G 혹은 4G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으로 스마트기기(100)와 음성인식서버(200)의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300), 스마트기기(100)와 블루투스 통신 혹은 와이파이 통신중 어느 하나로 접속되는 중계장치(400), 중계장치(400)와 IR(Infrared Ray)통신 혹은 RF(Radio Frequency)통신 중 어느 하나로 접속되는 피제어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통상적인 스마트기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앱 스토어 혹은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제공하는 통합리모콘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며, 바탕화면에 통합리모콘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설치된다.
상기 앱 스토어 혹은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제공되는 통합리모콘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발하여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대기상태에서 바탕화면에 제공되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터치되면 통합리모콘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통합리모콘의 어플리케이션이 피제어장치(500)를 이루는 전기/전자기기 별로 구성되고, 각 전기/전자기기별 리모콘의 화면에 구성되는 각각의 키들에는 약정된 키 값들이 대응되어 설정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통합리모콘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제공되는 음성 인식기능이 선택되면 네트워크(300)를 통해 음성인식서버(200)를 접속하고, 음성 인식기능을 활성화시킨 후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 입력을 대기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 입력이 검출되면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음성인식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음성인식서버(101)로부터 음성 명령어에 대한 문자열 텍스트가 수신되면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어 명령어에 약정된 키 값을 추출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제어 명령어에 약정된 키 값을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 다음 중계장치(400)에 전송하여, 중계장치(400)를 통해 피제어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와 중계장치(400)의 접속은 블루투스 통신 혹은 와이파이 통신 중 어느 하나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중계장치(400)로부터 'ACK'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패킷의 전송 결과를 판정하고, 전송 결과의 메시지를 설정된 소정의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통합리모콘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임의의 전기/전자기기가 선택되면 해당 전기/전자기기의 리모콘 화면을 제공하고, 리모콘 화면에서 임의의 키가 선택되는 경우 약정된 키 값을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 다음 중계장치(400)에 전송하여, 중계장치(400)를 통해 해당 전기/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선택된 전기/전자기기의 리모콘 키 구조의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음성인식을 실행하는 버튼이 구비된다.
즉, 개별 전기/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콘 키 화면의 소정 위치에 음성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마이크 아이콘)이 구비되어, 음성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에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으로 판정되면 몇단계(N)의 제어인지 판별하고, 단계별로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킨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단계별로 약정된 키 값이 매칭되면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 다음 1회에 1단계씩 순차적(단계적)으로 송출하여 중계장치(400)를 통해 임의의 전기/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 혹은 중계장치(400)로부터의 'ACK'신호 검출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1회에 1단계씩 중계장치(400)에 송출한다.
상기 다단계 명령은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온도 업/다운, 바람세기, 조명 밝기 등을 현재 값을 기준으로 소정 단계 올리거나 낮추어주는 연속 동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상태에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소리크게 10'인 경우 텔레비전 볼륨의 현재값이 5레벨인 경우 볼륨 업/다운 버튼을 이용하여 1레벨씩 10회 반복하여 15레벨로 올리는 단계적인 동작을 의미한다.
상기 스마트기기(400)는 데이터 패킷을 송출할 때 설정된 안내음(예를 들어 "띵")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에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 전환을 요구하는 숫자 명령인 경우 선택되는 채널의 자릿수를 판별하고, 각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각 자릿수별 각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각각을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자릿수별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이 매칭되어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되면 먼저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고, 다음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 송출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채널 숫자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송출을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 혹은 중계장치(400)로부터 'ACK'신호의 수신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의 분석으로 추출된 키코드로부터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특정 리모콘의 채널선택명령으로 '채널 125(일이오)', '채널 125(백이십오), '채널 125(백이오)', '채널 125(십이오)', 채널 125(일이십오)'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경우 최상위 자릿수 숫자 '1'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킨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고, 차상위 자릿수 숫자 '2'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킨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며, 최종 자릿수 숫자 '5'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킨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먼저 최상위 자릿수 숫자 '1'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중계장치(400)에 송출하고, 다음 차상위 자릿수 숫자 '2'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중계장치(400)에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 '5'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중계장치(400)에 송출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특정 리모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키 선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전원 통합 제어인 경우 특정의 전기/전자기기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주변장치들의 전원 키 값을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시켜 송출하여 중계장치(400)를 통해 주변장치의 전원을 온 혹은 오프시킨다.
예를 들어, 셋탑박스에 텔레비전이 연결되는 경우 텔레비전 전원 키 값과 셋탑박스 전원 키 값을 매칭시켜 순차적으로 송출함으로써, 텔레비전 전원과 셋탑박스의 전원을 순차적으로 온 혹은 오프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홈씨어터의 전원 제어인 경우 텔레비전 전원 키 값, 셋탑박스 전원 키 값, DVD 전원 키 값, 오디오 전원 키 값, 조명 전원 키 값, 스피커 전원 키 값을 매칭시키고, 각각을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시켜 순차적으로 송출함으로써, 각 장치의 전원 온 혹은 오프를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환경 설정으로 사용 언어를 변경하는 경우 음성 명령어의 인식이 해당 언어로 자동 변경되어 국가별 언어의 장벽을 해소할 수 있다.
음성인식서버(2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기기(100)와 연결되고, 음성 인식에 사용되는 음성모델이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구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상기 음성인식서버(200)는 스마트기기(100)에서 제공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성모델의 특징 벡터를 비교하여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고, 음성 명령어를 문자열 텍스트로 생성하여 스마트기기(100)에 제공한다.
상기 음성인식서버(200)는 통상적인 컨텐츠 제공업체인 구글, 애플, 다음, 네이버, 네이트 등에 구축되는 음성인식서버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중계장치(400)는 통합리모콘의 제어코드가 메모리 영역에 테이블로 설정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0)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여 약정된 키 값을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통합리모콘의 제어코드에서 대응되는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매칭시킨다.
상기 중계장치(400)는 인식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가 매칭되면 피제어장치(500)를 무선통신으로 접속하고, 제어코드를 송출시켜 피제어장치(500)를 작동시킨다.
상기 중계장치(400)와 피제어장치(500)는 IR통신, RF통신,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Zigbee), 지 웨이브 통신 중 어느 하나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피제어장치(500)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텔레비전(501), 셋탑박스(502), DVD(503), 에어컨디셔너(504), 전등(505), 커튼(506)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전자기기로 구성된다.
상기 피제어장치(500)는 상기 중계장치(400)로부터 무선통신으로 수신되는 제어코드에 따라 지정된 임의의 동작이 실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중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장치는 제1무선통신부(410)와 USB포트(420), 메모리부(430), 제어부(440), 제2무선통신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무선통신부(410)는 스마트기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제어부(440)에 제공한다.
상기 제1무선통신부(410)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와이파이 통신 중 어느 하나로 스마트기기와 접속된다.
USB포트(420)는 어댑터 혹은 컴퓨터의 USB포트와 연결되어 중계장치(4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상기 USB포트(420)는 컴퓨터 단말기 혹은 인터넷 망에 접속되어 펌웨어(Firm Ware)와 통합리모콘 제어코드의 업그레이드(Upgrade)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430)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리모콘 제어코드가 테이블로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440)는 제1무선통신부(410)를 통해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여 약정된 키 값을 인식하고, 약정된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메모리부(430)에 설정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로부터 엑세스(Access)하여 제어코드를 매칭시킨 다음 제2무선통신부(450)를 통해 송출시켜 피제어장치를 지정된 동작으로 작동시킨다.
제2무선통신부(450)는 상기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제어 명령어와 매칭된 제어코드를 소정의 통신방식으로 피제어장치에 전송하여 피제어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2무선통신부(450)는 IR통신, RF통신,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지그 웨이브 통신 중 어느 하나로 제어 명령어와 매칭된 제어코드를 피제어장치에 전송하여 지정된 동작을 실행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100)의 대기상태에서(S101) 바탕화면에 제공되는 바로가기 아이콘의 터치로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102).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02에서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리모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600)을 활성화한다(S103).
이후,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도 4의 (a)와 같이 제공되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화면(600)에서 음성인식(610)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104).
상기 음성인식의 선택은 마이크 아이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04에서 음성인식(610)이 선택되면 네트워크(300)를 통해 음성인식서버(200)를 접속한다(S105).
그리고,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도 4의 (b)와 같이 음성 명령어 입력 화면(620)을 활성화하고, 음성 명령어의 입력을 대기한다(S106).
상기 음성인식서버(200)는 통상적인 컨텐츠 제공업체인 구글, 애플, 다음, 네이버, 네이트 등에 구축되는 어느 하나의 음성인식서버를 의미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음성 명령어의 입력을 검출하며(S107),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음성 명령어 입력을 검출하지 못하거나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한 경우 혹은 설정된 명령어가 아닌 다른 명령어가 입력되었으면 도 4의 (d)와 같이 '알 수 없는 명령어/음성인식실패'의 메시지(640)를 출력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S107에서 음성 명령어의 입력이 검출되면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S108) 네트워크(300)를 통해 음성인식서버(200)에 전송한다(S109).
이때, 음성인식서버(200)는 스마트기기(100)에서 제공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성모델의 특징 벡터를 비교하여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고, 음성 명령어를 문자열 텍스트로 생성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스마트기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스마트기기(100)는 예를 들어 도 4의 (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자열 텍스트(630)를 화면에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음성인식서버(200)로부터 문자열 텍스트를 수신하면(S110)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한다(S111).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11에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어 인지를 판단한다(S112).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12에서 다단계 명령어로 판정되면 몇 단계(N)의 제어를 요구하는지 판별하고(S113) 각각의 단계별로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킨다(S114).
그리고,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14에서 약정된 키 값이 매칭된 각 단계별 명령어를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시켜 중계장치(400)에 단계적(순차적)으로 송출한다(S116).
따라서, 중계장치(400)는 스마트기기(1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약정된 키 값을 추출하고,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추출된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전송하여 선택된 디바이스인 전기/전자기기의 지정된 동작을 실행시킨다(S117).
상기 다단계 명령은 텔레비전이나 오디오를 포함하는 AV시스템에서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동작, 에어컨디셔너와 히터 등을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에서 온도 업/다운, 바람세기 조절 동작, 조명시스템에서 밝기 조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다단계 명령은 특정 시스템에서 현재 조절된 레벨을 기준으로 한 단계씩 올리거나 낮추어 주는 순차적인 연속 동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상태에서 인식된 다단계 명령어가 도 4의 (c)와 같이‘소리크게 10’이라고 가정할 때 텔레비전 볼륨이 현재 5레벨인 경우 볼륨 업/다운 버튼을 이용하여 1레벨씩 10회 반복하여 15레벨로 순차적(단계적)으로 올리는 동작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마트기기(100)는 볼륨 업 버튼이 10회 반복 선택되는 것과 동일하게 볼륨을 1레벨 올리는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10회 반복 송출시켜 텔레비전의 볼륨을 현재의 레벨보다 10레벨 높게 제어시켜 음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다단계 명령이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상태에서 ‘채널내려 4’인 경우 채널 다운 버튼이 4회 반복되어 선택되는 것과 동일하게 1채널씩 내리는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4회 반복 송출시킨다.
따라서, 텔레비전의 11번 채널을 선택하여 시청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데이터 패킷의 순차적 4회 송출에 따라 채널은 '11→10→9→8→7'로 변경되어 최종적으로 7번 채널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텔레비전의 볼륨과 채널을 다단계 명령어로 제어하는 동작만 예로 하였으나, 오디오의 볼륨 업/다운, 에어컨의 온도 조절, 바람세기 조절, 조명의 밝기 조절 등에 대해서도 동일 내지 유사하게 제어코드가 단계별로 순차적 송출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다단계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송출할 때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 혹은 중계장치(400)로부터의 'ACK'신호 검출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1회에 1단계씩 송출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12에서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다단계 명령이 아니면 채널 전환을 요구하는 숫자 명령어인지 판단한다(S118).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18에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 전환을 요구하는 숫자 명령어이면 채널의 자릿수를 판별하고(S119), 각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여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킨다(S120).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S120에서 전환을 요구하는 채널의 자릿수별 숫자에 대응되는 약정된 키 값이 매칭되면 각각을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시킨 다음 순차적으로 중계장치(400)에 전송한다(S121).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21에서 맨먼저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고, 다음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 송출한다(S122).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채널 숫자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송출을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 혹은 중계장치(400)로부터 'ACK'신호의 수신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특정 리모콘의 채널 전환을 요구하는 숫자 명령어로 '채널 125(일이오)', '채널 125(백이십오), '채널 125(백이오)', '채널 125(십이오)', 채널 125(일이십오)'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경우 최상위 자릿수 숫자 '1'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킨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고, 차상위 자릿수 숫자 '2'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킨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며, 최종 자릿수 숫자 '5'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킨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먼저 최상위 자릿수 숫자 '1'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중계장치(400)에 송출하고, 다음 차상위 자릿수 숫자 '2'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중계장치(400)에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 '5'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중계장치(400)에 송출한다.
따라서, 중계장치(400)의 스마트기기(1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약정된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전송하여 선택된 디바이스인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채널을 '125번'으로 선국시킨다(S123).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18에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 전환을 요구하는 숫자 명령어가 아니면 인식된 일반 명령어에 대응되는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킨 다음(S124)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시켜(S125) 중계장치(400)에 송출한다.
따라서, 중계장치(400)의 스마트기기(1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약정된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전송하여 명령어 따른 동작을 실행시킨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04의 판단에서 도 4의 (a)와 같이 제공되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화면(600)에서 음성 인식기능(610)이 선택되지 않고 피제어장치(500)인 임의의 제어장치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127).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27에서 임의의 제어장치가 선택되면 해당 제어장치에 대응되는 리모콘의 화면을 활성화시켜 제공한다(S128).
예를 들어 도 4의 (a)와 같이 제공되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화면(600)에서 텔레비젼(601)이 선택되면 도 5의 (a)와 같은 텔레비전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 키 구조의 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28에서 제공하는 리모콘 키 구조의 화면, 예를 들어 도 5의 (a)와 제공되는 텔레비전 리모콘 키 구조의 화면에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음성인식(710)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129).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S129에서 음성인식(710)이 선택되면 상기 S105의 과정으로 리턴하여 전술한 S105 내지 S124의 과정을 실행한다.
즉, 도 5의 (a)에서 음성인식(710)이 선택되면 도 5의 (b)와 같이 음성 명령어 입력 화면(720)을 활성화하고 음성 명령어 입력을 대기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음성 명령어 입력을 검출하지 못하거나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한 경우 혹은 설정된 명령어가 아닌 다른 명령어가 입력되었으면 도 5의 (d)와 같이 '알 수 없는 명령어/음성인식실패'의 메시지(740)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음성 명령어의 입력을 검출하였으나 음성인식서버를 통한 인식에서 잘못 인식되어 알 수 없는 명령어로 판정되는 경우 오인식된 문자열 텍스트를 화면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를 '커튼 닫어'로 입력하였으나, 사용자의 발음이 부정화하거나 사투리의 사용 등에 의해 잘못 인식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커튼 다더', '커튼 다다', '커튼 닫다', '커튼 닫아', '커텐 닫어', '커텐 다다', '커턴 닫어', '커턴 다다' 등 오인식된 텍스트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한다.
그러나, 스마트기기(100)는 음성 명령어의 입력이 검출되고, 음성인식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문자열 텍스트를 수신하면 예를 들어 도 4의 (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자열 텍스트(630)를 화면에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S129에서 음성인식(710)이 선택되지 않으면, 예를 들어 도 5의 (a)와 제공되는 텔레비전 리모콘 키 구조의 화면에서 임의의 키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130).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30에서 임의의 키가 선택되면 약정된 키 값을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 다음(S131) 중계장치(400)에 전송한다(S132).
따라서, 중계장치(400)의 스마트기기(1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약정된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전송하여 소정의 동작을 실행시킨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검출된 제어 명령어가 첨부된 도 6에서 전원 통합 제어 버튼(820)의 선택으로 판정되면 특정의 전기/전자기기와 연동되는 주변장치들의 전원 키(810) 값을 매칭시킨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시켜 중계장치(4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중계장치(400)는 스마트기기(1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연동되는 주변장치의 전원을 온 혹은 오프시킨다.
예를 들어, 셋탑박스에 텔레비전이 연결되는 경우 텔레비전 전원 제어코드와 셋탑박스 전원 제어코드를 매칭시켜 순차적으로 송출함으로써, 텔레비전 전원과 셋탑박스의 전원을 순차적으로 온 혹은 오프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홈씨어터의 전원 제어인 경우 텔레비전 전원, 셋탑박스 전원, DVD 전원, 오디오 전원, 조명 전원, 스피커 전원을 온 혹은 오프로 순차적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스마트기기 200 : 음성인식서버
300 : 네트워크 400 : 무선제어장치
410 : 제1무선통신부 420 : USB포트
430 : 메모리부 440 : 제어부
450 : 제2무선통신부 500 : 피제어장치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제1무선통신부;
    어댑터 혹은 컴퓨터의 USB포트와 연결되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컴퓨터 혹은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펌웨어 및 통합리모콘 제어코드의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USB포트;
    통합리모콘 제어코드의 테이블이 지정된 영역에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제1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서 약정된 키 값을 추출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에서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상기 키값에 해당하는 피제어장치에 송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어 명령어의 제어코드를 소정의 통신방식으로 상기 피제어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동작시키는 제2무선통신부;
    를 포함하는 중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입력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컨텐츠 제공업체에 구축되는 음성인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음성인식서버는 스마트기기에서 제공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인식하여 문자열 텍스트를 생성하여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음성인식서버에서 전송되는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피제어장치의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킨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상기 중계장치에 무선통신으로 전송하여 상기 중계장치에 저장된 통합리모콘의 제어코드를 송출시켜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몇 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각 단계별로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1단계씩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현재 설정값을 기준으로 1단계씩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가 인식하는 다단계 명령은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온도 업/다운, 바람세기, 조명 밝기를 포함하며, 피제어장치의 현재 설정값을 기준으로 1단계씩 올리거나 낮추어 주는 순차적인 연속 동작을 의미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
  8.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제1무선통신부;
    어댑터 혹은 컴퓨터의 USB포트와 연결되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컴퓨터 혹은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펌웨어 및 통합리모콘 제어코드의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USB포트;
    통합리모콘 제어코드의 테이블이 지정된 영역에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제1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서 약정된 키 값을 추출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에서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상기 키값에 해당하는 피제어장치에 송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어 명령어의 제어코드를 소정의 통신방식으로 상기 피제어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동작시키는 제2무선통신부;
    를 포함하는 중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입력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컨텐츠 제공업체에 구축되는 음성인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음성인식서버는 스마트기기에서 제공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인식하여 문자열 텍스트를 생성하여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음성인식서버에서 전송되는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피제어장치의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킨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상기 중계장치에 무선통신으로 전송하여 상기 중계장치에 저장된 통합리모콘의 제어코드를 송출시켜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국하는 숫자인 경우 전체 자릿수를 판별하고, 각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여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각각을 데이터 패킷으로 순차적으로 중계장치에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키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각 자릿수별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이 매칭되면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고, 다음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 송출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입력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컨텐츠 제공업체에 구축되는 음성인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음성인식서버는 스마트기기에서 제공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인식하여 문자열 텍스트를 생성하여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음성인식서버에서 전송되는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피제어장치의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몇 단계 제어인지 판별하여 1단계씩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현재 설정값을 기준으로 1단계씩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
  13.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입력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컨텐츠 제공업체에 구축되는 음성인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음성인식서버는 스마트기기에서 제공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인식하여 문자열 텍스트를 생성하여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음성인식서버에서 전송되는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피제어장치의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며,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 선국인 숫자이면 자릿수와 각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각 자릿수별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시켜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고, 다음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채널 선국을 실행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장치.
  14.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음성인식서버에 전송하고, 음성인식서버로부터 문자열 텍스트로 수신하여 화면에 표출시키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제어 명령어가 다단계 명령이면 몇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각 단계별로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를 현재 설정된 레벨을 기준으로 1단계씩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명령은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온도 업/다운, 풍량 업/다운, 조명 밝기를 포함하고, 피제어장치의 현재 설정된 레벨을 기준으로 1단계식 업/다운 제어를 순차적인 연속 동작으로 제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16.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음성인식서버에 전송하고, 음성인식서버로부터 문자열 텍스트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출시키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택하는 숫자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택하는 숫자이면 채널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각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각 자릿수별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이 매칭되면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고, 다음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 송출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데이터 패킷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전원 통합 제어이면 특정 전기/전자기기와 연동되는 주변장치들의 전원 키 값을 매칭시킨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연동되는 주변장치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19.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음성인식서버에 전송하고, 음성인식서버로부터 문자열 텍스트로 수신하여 화면에 표출시키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제어 명령어가 다단계 명령이면 몇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각 단계별로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를 현재 설정된 레벨을 기준으로 1단계씩 제어하는 과정;
    상기 스마트기기는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택하는 숫자이면 채널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각 숫자에 약정된 키 값을 매칭한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중계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KR1020130133720A 2013-11-05 2013-11-05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465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720A KR101465230B1 (ko) 2013-11-05 2013-11-05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PCT/KR2014/009571 WO2015068954A1 (ko) 2013-11-05 2014-10-1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720A KR101465230B1 (ko) 2013-11-05 2013-11-05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473A Division KR20150051865A (ko) 2014-08-08 2014-08-08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230B1 true KR101465230B1 (ko) 2014-11-25

Family

ID=5229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720A KR101465230B1 (ko) 2013-11-05 2013-11-05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5230B1 (ko)
WO (1) WO20150689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455A3 (ko) * 2017-08-31 2019-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의 음성 인식을 위한 시스템과 서버, 방법
CN114930449A (zh) * 2020-01-06 2022-08-19 七哈格斯实验室 用于控制多个装置的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923B1 (ko) * 2016-07-28 202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gui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11099540B2 (en) 2017-09-15 2021-08-24 Kohler Co. User identity in household appliances
US11093554B2 (en) 2017-09-15 2021-08-17 Kohler Co. Feedback for water consuming appliance
US10448762B2 (en) 2017-09-15 2019-10-22 Kohler Co. Mirror
US10887125B2 (en) 2017-09-15 2021-01-05 Kohler Co. Bathroom speaker
US11314215B2 (en) 2017-09-15 2022-04-26 Kohler Co. Apparatus controlling bathroom appliance lighting based on user identity
CN113535987B (zh) * 2021-09-13 2022-01-21 杭州涂鸦信息技术有限公司 联动规则匹配方法以及相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732A (ko) * 2001-08-09 2003-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2005072764A (ja) * 2003-08-21 2005-03-17 Hitachi Ltd 機器制御システムとそのための装置及び機器制御方法
KR101037397B1 (ko) * 2010-09-17 2011-05-30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89B1 (ko) * 2005-12-10 2007-08-08 이기영 통신기기 음성인식 문자변환시스템
KR20120042585A (ko) * 2010-10-25 2012-05-03 공현식 이동통신단말기로 원격 제어되는 리모컨 발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732A (ko) * 2001-08-09 2003-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2005072764A (ja) * 2003-08-21 2005-03-17 Hitachi Ltd 機器制御システムとそのための装置及び機器制御方法
KR101037397B1 (ko) * 2010-09-17 2011-05-30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455A3 (ko) * 2017-08-31 2019-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의 음성 인식을 위한 시스템과 서버, 방법
US11501770B2 (en) 2017-08-31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 of home appliance
CN114930449A (zh) * 2020-01-06 2022-08-19 七哈格斯实验室 用于控制多个装置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8954A1 (ko)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230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US8942694B2 (en) Digital device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EP3314876B1 (en) Technologies for conversational interfaces for system control
CN103959374B (zh) 用于控制装置的声控配置的系统和方法
EP2956837B1 (en) Waking other devices for additional data
KR20150053447A (ko)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US11119725B2 (en) Customizable embedded vocal command sets for a lighting and/or other environmental controller
US100898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wireless remote control terminal by third-party terminal
US20140253483A1 (en) Wall-Mounted Multi-Touch Electronic Lighting- Control Device with Capability to Control Additional Networked Devices
KR100759003B1 (ko) 통합 콘트롤러 및 그것의 제어코드 설정방법
KR102009316B1 (ko) 대화형 서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48321B1 (ko) 음성인식 통합 리모컨 및 그 동작 방법
US11615792B2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ppliance control apparatus and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1050828B2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417681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20107214A (ko) 스마트폰과 중계 홈서버를 이용한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CN103957319A (zh) 一种使用用户设备遥控目标设备的方法及用户设备
KR20150051865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US2020036515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415660A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2577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TWI699059B (zh) 配線器具系統、配線器具之程式及配線器具之聲音控制系統
US202300323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2022028711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thereof
KR20210154565A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장착된 전자 교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