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447A -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447A
KR20150053447A KR1020130135393A KR20130135393A KR20150053447A KR 20150053447 A KR20150053447 A KR 20150053447A KR 1020130135393 A KR1020130135393 A KR 1020130135393A KR 20130135393 A KR20130135393 A KR 20130135393A KR 20150053447 A KR20150053447 A KR 20150053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code
command
smart device
contro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비전자
Priority to KR102013013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3447A/ko
Priority to PCT/KR2014/009773 priority patent/WO2015068959A1/ko
Publication of KR20150053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1Voice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와의 연동으로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여 다양한 피제어장치들의 지정된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의 운용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으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인식서버를 통해 문자열 텍스트를 제공받아 무선중계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무선중계장치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는 과정 및 인식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시켜 제어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WIRELESS EXTENDER FOR INTERWORKING SMART DEVICE AND EMPLOY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기기와의 연동으로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여 다양한 피제어장치들의 지정된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내의 다양한 공간에는 텔레비전, 셋탑 박스(Set Top Box), DVD(Digital Video Disc)플레이어, 에어 컨디셔너(Air Conditioner), 오디오시스템, 비디오시스템, 전등 온/오프장치, 커튼 개폐장치, 창문 개폐장치, 가스밸브 개폐장치, 출입문 개폐장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이하, '피제어장치'라 한다.) 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피제어장치들은 사용자에 의한 직접 조작이나 각각의 피제어장치에 대응되어 제공되는 리모콘에 의해 원격 제어된다.
상기 리모콘은 적외선 통신으로 제어코드를 송출하므로 통신거리에 제약이 발생하고, 주변 장애물에 취약한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각각의 피제어장치에 대응되어 리모콘이 제공되므로 리모콘 관리가 복잡하고, 배터리의 사용에 따른 심각한 환경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들어 각각의 피제어장치에 음성모듈을 적용하고, 음성 명령어의 입력으로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들이 상용화 수준에 도달되었다.
그러나, 음성모듈은 일률적인 음성 명령어만을 인식할 수 있어 발음(사투리, 억양), 음성 명령어의 형식, 국가별 언어 등이 변경되면 음성 명령어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음성모델을 새로이 개발하여야 하므로 과다한 시간 소비와 비용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음성 명령어의 입력으로 동일한 동작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제어, 여러 자릿수의 숫자 제어를 1회의 음성 명령어 입력으로 실행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6821호(2012.11.2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음성 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며 통합리모콘의 제어코드가 저장되는 무선중계장치를 이용한 음성 명령어의 인식과 제어코드의 송출로 다양한 피제어장치의 지정된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통한 1회의 음성 명령어 입력만으로 통합리모콘의 제어코드가 저장되는 무선중계장치를 통해 피제어장치에서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제어 및 여러 자릿수의 숫자 제어를 능동적으로 제어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음성인식기능이 탑재된 스마트기기; 컨텐츠 제공업체에 구축되며, 스마트기기에서 제공되는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여 텍스트 문자열로 제공하는 음성인식서버; 상기 스마트기기와 음성인식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무선중계장치;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인식서버를 통해 문자열 텍스트를 제공받아 무선중계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무선통신으로 송출시켜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제어장치는 정확한 제어 명령어의 문자열 텍스트가 제1기준값으로 저장되고, 정확한 제어 명령어와 비슷한 인식 결과를 갖는 복수개의 문자열 텍스트가 제2기준값으로 저장되며, 상기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들의 문자열 텍스트에 대하여 뛰어쓰기를 없애거나 다양하게 변형시킨 제3기준값이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제어장치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의 특징 벡터를 분석하여 가변어휘방식으로 제어 명령어를 인식한 다음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무선통신으로 송출시켜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스마트기기에서 전송되는 문자열 텍스트를 수신하는 제1무선통신부; 어댑터 혹은 컴퓨터의 USB포트와 연결되어 무선중계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컴퓨터 단말기 혹은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펌웨어 및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의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USB포트;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제1무선통신부로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메모리부의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소정의 통신방식으로 피제어장치에 전송하여 피제어장치를 동작시키는 제2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몇 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단계별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무선통신을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시켜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1단계씩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현재 설정값을 기준으로 1단계씩 업/다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국하는 숫자인 경우 전체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각 숫자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킬 수 있다.
상기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국하는 숫자인 경우 전체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먼저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하고, 다음 으로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으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인식서버를 통해 문자열 텍스트를 제공받아 무선중계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인식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시켜 제어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의 운용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명령어의 인식은 문자열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의 특징 벡터를 분석하여 가변어휘방식으로 제어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몇 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단계별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무선통신을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시켜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1단계씩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현재 설정값을 기준으로 1단계씩 업/다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국하는 숫자인 경우 전체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각 숫자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킬 수 있다.
상기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국하는 숫자인 경우 전체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먼저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하고, 다음 으로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으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인식서버를 통해 문자열 텍스트를 제공받아 무선중계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무선중계장치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는 과정; 무선중계장치는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몇 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단계별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를 동작시키는 과정; 무선중계장치는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국하는 숫자인 경우 전체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각 숫자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의 운용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인들이 상시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와 통합리모콘 제어코드가 저장되는 무선중계장치의 연동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되는 다양한 피제어장치들의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제어장치들에 대응되는 여러개 리모콘의 준비 및 관리가 필요하지 않아 편리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콘 작동에 필요한 배터리의 사용을 배제시켜 비용절감을 제공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음성모듈이 적용되지 않아 제작원가 절감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피제어장치에서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온도 업/다운, 바람세기, 조명 밝기 등의 다단계 제어를 1회의 음성 명령어 입력으로 실행할 수 있어 피제어장치의 제어에 편리성 및 효율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의 연동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운영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의 운영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의 운영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의 제어 명령어 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무선중계장치의 연동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100)와, 통상적인 컨텐츠 제공업체에 구축되는 음성인식서버(200), 무선통신으로 스마트기기(100)와 음성인식서버(200)의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300), 스마트기기(100)와 블루투스 통신 혹은 와이파이 통신중 어느 하나로 접속되는 무선중계장치(400), 무선중계장치(400)와 IR(Infrared Ray)통신 혹은 RF(Radio Frequency)통신 중 어느 하나로 접속되는 피제어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앱 스토어 혹은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제공하는 통합리모콘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며, 바탕화면에 통합리모콘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설치된다.
상기 앱 스토어 혹은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제공되는 통합리모콘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발하여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대기상태에서 바탕화면에 제공되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터치되면 통합리모콘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통합리모콘의 어플리케이션이 피제어장치(500)를 이루는 전기/전자기기별로 각각 구성되고, 각 전기/전자기기별 리모콘의 화면에 구성되는 각각의 키들에는 약정된 키 값들이 대응되어 설정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통합리모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음성 인식기능이 선택되면 네트워크(300)를 통해 음성인식서버(200)를 접속한 다음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 입력을 검출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 입력이 검출되면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음성인식서버(200)에 전송하고, 음성인식서버(200)로부터 음성 명령어에 대한 문자열 텍스트(Text)를 수신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음성인식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명령어에 대한 문자열 텍스트를 무선중계장치(400)에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를 문자열 텍스트를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시켜 무선중계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음성인식서버(200)는 통상적인 컨텐츠 제공업체인 구글, 애플, 다음, 네이버, 네이트 등에 구축되는 음성인식서버로, 음성모델이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구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상기 음성인식서버(200)는 스마트기기(100)에서 제공되는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저장된 음성모델에 적용하여 음성 명령어를 인식한 다음 음성 명령어를 문자열 텍스트로 생성하여 스마트기기(100)에 제공한다.
네트워크(300)는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기기(100)와 음성인식서버(200)의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중계장치(400)는 상기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음성 명령어에 대한 문자열 텍스트가 수신되면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500)에 송출함으로써 피제어장치(500)를 지정된 명령으로 실행시킨다.
상기 무선중계장치(200)는 제어 명령어의 인식율을 높이기 위하여 정확한 제어 명령어의 문자열 텍스트가 제1기준값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고, 정확한 제어 명령어와 비슷한 인식 결과를 갖는 복수개의 문자열 텍스트가 제2기준값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며, 상기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들의 문자열 텍스트에 대하여 뛰어쓰기를 없애거나 다양하게 변형시킨 제3기준값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상기 스마트기기(100)로부터 문자열 텍스트가 수신되면 음성으로 변환(Text To Speech)하고, 변환된 음성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가변어휘방식으로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며,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500)에 송출함으로써 피제어장치(500)를 지정된 명령으로 실행시킨다.
상기 무선중계장치(400)와 피제어장치(500)는 IR통신을 통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RF(Radio Frequency)통신, 지 웨이브 통신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으로 판정되면 몇 단계(N)의 제어인지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한 제어코드를 엑세스 한 다음 피제어장치(500)에 1단계씩 순차적으로 송출하며, 판정된 N단계까지 반복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500)를 지정된 명령으로 실행시킨다.
상기 다단계 명령은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온도 업/다운, 바람세기, 조명 밝기 등을 현재 값을 기준으로 소정 단계 올리거나 낮추어주는 연속 동작을 의미한다.
상기 다단계 명령에 대하여 텔레비전의 볼륨 제어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소리크게 10' 이라 가정할 때 텔레비전 볼륨의 현재값이 5레벨인 경우 볼륨 업/다운 버튼을 이용하여 1레벨씩 10회 반복하여 15레벨로 올리는 단계적인 동작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선중계장치(400)는 볼륨 업 버튼이 10회 반복 선택되는 것과 동일하게 볼륨을 1레벨씩 올리는 제어코드를 10회 반복 송출시켜 텔레비전의 볼륨을 현재의 레벨보다 10레벨 높은 15레벨로 음량을 조절한다.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 전환을 요구하는 숫자 명령인 경우 채널의 자릿수와 각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각 자릿수별 숫자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 한 다음 피제어장치(500)에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500)를 지정된 명령으로 실행시킨다.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먼저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송출하고, 다음으로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송출한다.
예를 들어,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특정된 피제어장치(500)인 텔레비전의 채널선택명령으로 '채널 125(일이오)', '채널 125(백이십오), '채널 125(백이오)', '채널 125(십이오)', 채널 125(일이십오)'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경우 먼저 최상위 자릿수 숫자 '1'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송출하고, 다음으로 차상위 자릿수 숫자 '2'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 '5'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송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중계장치는 제1무선통신부(410)와 USB포트(420), 메모리부(430), 제어부(440) 및 제2무선통신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무선통신부(410)는 스마트기기와 블루투스 통신 혹은 와이파이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으로 접속되고, 스마트기기에서 전송되는 문자열 텍스트를 수신하여 제어부(440)에 제공한다.
USB포트(420)는 어댑터 혹은 컴퓨터의 USB포트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무선중계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USB포트(420)는 컴퓨터 단말기 혹은 인터넷 망에 접속되어 펌웨어 및 메모리부(430)에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의 업그레이드(Upgrade)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430)는 통합리모콘의 제어코드 테이블이 지정된 영역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430)는 제어 명령어의 인식율을 높이기 위하여 정확한 제어 명령어의 문자열 텍스트가 제1기준값으로 저장되고, 정확한 제어 명령어와 비슷한 인식 결과를 갖는 복수개의 문자열 텍스트가 제2기준값으로 저장되며, 상기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들의 문자열 텍스트에 대하여 뛰어쓰기를 없애거나 다양하게 변형시킨 제3기준값이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440)는 제1무선통신부(410)를 통해 문자열 텍스트가 수신되면,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메모리부(430)에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Access)하여 제2무선통신부(450)를 통해 피제어장치에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440)는 제1무선통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TTS)하고, 변환된 음성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가변어휘방식으로 음성 인식을 실행하며, 인식된 음성으로부터 제어 명령어를 인식한 다음 메모리부(430)에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한다.
제2무선통신부(450)는 상기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소정의 통신방식으로 피제어장치에 송출하여 피제어장치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2무선통신부(450)는 IR통신으로 피제어장치(500)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RF(Radio Frequency)통신, 지 웨이브 통신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운영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100)의 대기상태에서(S101)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의 바로가기 터치에 따라 음성 인식기능이 실행되면(S102) 스마트기기(1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통상적인 컨텐츠 제공업체인 구글, 애플, 다음, 네이버, 네이트 등에 구축되는 어느 하나의 음성인식서버(200)를 접속하고(S103),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 입력을 검출한다(S104).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04에서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 입력을 검출하지 못하면 음성 인식기능을 종료한다(S105).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S104에서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 입력이 검출되면(S104) 음성 명령어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음성인식서버(200)에 전송한다(S106).
이때, 음성인식서버(100)는 설정된 음성모델을 적용하여 음성 명령어를 문자열 텍스트로 생성한 다음 네트워크(300)를 통해 스마트기기(100)에 전송한다.
상기 음성인식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는 음성 명령어와 정확하게 일치되는 문자열 텍스트, 음성 명령어와 비슷한 인식을 갖는 복수개의 문자열 텍스트, 뛰어쓰기가 없는 상태 혹은 다른 형태로 변경된 뛰어쓰기를 포함하는 문자열 텍스트가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음성인식서버(200)로부터 음성 명령어에 대한 문자열 텍스트가 수신되면(S107) 블루투스 통신 혹은 와이파이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으로 무선중계장치(400)를 접속한다(S108).
그리고,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음성인식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명령어에 대한 문자열 텍스트를 무선중계장치(400)에 전송한다(S109).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의 운영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중계장치(400)의 대기상태에서(S201) 도 3과 같은 절차에 따라 스마트기기(100)로부터 무선통신으로 전송된 문자열 텍스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202).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상기 S202에서 스마트기기(100)로부터 문자열 텍스트가 수신되면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한다(S203)(S204).
이후,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로부터 인식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 한 다음(S205) 무선통신으로 피제어장치(500)에 제어코드를 송출하여 피제어장치(500)의 동작을 지정된 명령어로 실행시킨다(S206).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의 운영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중계장치(400)의 대기상태에서(S301) 도 3과 같은 절차에 따라 스마트기기(100)로부터 무선통신으로 전송된 문자열 텍스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302).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상기 S302에서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전송된 문자열 텍스트가 수신되면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한 다음(S303) 음성으로 변환(TTS)한다(S304).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변환된 음성신호의 데이터(특징 벡터)를 분석하여(S305) 가변어휘방식으로 음성인식을 실행하고(S306) 인식된 음성으로 제어 명령어를 인식한다(S307).
이후,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로부터 인식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 한 다음(S308) 무선통신으로 피제어장치(500)에 제어코드를 송출하여 피제어장치(500)의 동작을 지정된 명령어로 실행시킨다(S309).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의 제어 명령어 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중계장치(400)가 상기한 도 4 혹은 도 5에 따라 제어 명령어가 인식되면(S401)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어 인지를 판단한다(S402).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상기 S402에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으로 판정되면 몇 단계의 제어인지 판별한다(S403).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상기 S403에서 제어되어야 하는 단계가 판별되면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한 제어코드를 엑세스 한 다음(S404) 피제어장치(500)에 1단계씩 순차적으로 송출하며, 판정된 단계까지 반복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500)를 지정된 명령으로 실행시킨다(S405).
상기 다단계 명령은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온도 업/다운, 바람세기, 조명 밝기 등을 현재 값을 기준으로 소정 단계 올리거나 낮추어주는 연속 동작을 의미한다.
상기 다단계 명령에 대하여 텔레비전의 볼륨 제어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소리크게 10' 이라 가정할 때 텔레비전 볼륨의 현재값이 5레벨인 경우 볼륨 업/다운 버튼을 이용하여 1레벨씩 10회 반복하여 15레벨로 올리는 단계적인 동작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선중계장치(400)는 볼륨 업 버튼이 10회 반복 선택되는 것과 동일하게 볼륨을 1레벨씩 올리는 제어코드를 10회 반복 송출시켜 텔레비전의 볼륨을 현재의 레벨보다 10레벨 높은 15레벨로 음량을 조절한다.
상기에서는 텔레비전의 볼륨과 채널을 다단계 명령어로 제어하는 동작만 예로 하였으나, 오디오의 볼륨 업/다운, 에어컨의 온도 조절, 바람세기 조절, 조명의 밝기 조절 등에 대해서도 동일 내지 유사하게 제어코드가 단계별로 순차적 송출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상기 S402에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다단계 명령이 아니면 채널 전환을 요구하는 숫자 명령인지 판별한다(S406).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상기 S406에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 전환을 요구하는 숫자 명령이면 채널의 자릿수를 판별하고(S407), 판별된 각 자릿수의 숫자를 판별한다(S408).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상기 S407 및 S408에서 숫자 명령의 채널 자릿수 및 각 자릿수의 숫자가 판별되면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각 자릿수별 숫자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 한다(S409).
이때,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먼저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500)에 송출하고, 다음으로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500)에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500)에 송출하여 피제어장치(500)의 채널 선국을 실행시킨다(S410).
예를 들어,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특정된 피제어장치(500)인 텔레비전의 채널을 선택하는 숫자명령으로 '채널 125(일이오)', '채널 125(백이십오), '채널 125(백이오)', '채널 125(십이오)', 채널 125(일이십오)'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경우 먼저 최상위 자릿수 숫자 '1'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송출하고, 다음으로 차상위 자릿수 숫자 '2'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 '5'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송출한다.
상기 무선중계장치(400)는 상기 S406에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 전환을 요구하는 숫자 명령이 아니면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인식된 일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S411) 피제어장치(500)에 송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스마트기기 200 : 음성인식서버
300 : 네트워크 400 : 무선중계장치
500 : 피제어장치

Claims (15)

  1. 음성인식기능이 탑재된 스마트기기;
    컨텐츠 제공업체에 구축되며, 스마트기기에서 제공되는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여 텍스트 문자열로 제공하는 음성인식서버;
    상기 스마트기기와 음성인식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무선중계장치;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피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인식서버를 통해 문자열 텍스트를 제공받아 무선중계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무선통신으로 송출시켜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장치는 정확한 제어 명령어의 문자열 텍스트가 제1기준값으로 저장되고, 정확한 제어 명령어와 비슷한 인식 결과를 갖는 복수개의 문자열 텍스트가 제2기준값으로 저장되며, 상기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들의 문자열 텍스트에 대하여 뛰어쓰기를 없애거나 다양하게 변형시킨 제3기준값이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장치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TTS)하고, 변환된 음성의 특징 벡터를 분석하여 가변어휘방식으로 제어 명령어를 인식한 후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무선통신으로 송출시켜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스마트기기에서 전송되는 문자열 텍스트를 수신하는 제1무선통신부;
    어댑터 혹은 컴퓨터의 USB포트와 연결되어 무선중계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컴퓨터 단말기 혹은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펌웨어 및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의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USB포트;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제1무선통신부로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메모리부의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소정의 통신방식으로 피제어장치에 전송하여 피제어장치를 동작시키는 제2무선통신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몇 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단계별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무선통신을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시켜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1단계씩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현재 설정값을 기준으로 1단계씩 업/다운 제어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국하는 숫자인 경우 전체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각 숫자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키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국하는 숫자인 경우 전체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먼저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하고, 다음 으로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9.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으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인식서버를 통해 문자열 텍스트를 제공받아 무선중계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인식된 제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시켜 제어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의 운용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어의 인식은 문자열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의 특징벡터를 분석하여 가변어휘방식으로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의 운용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몇 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단계별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무선통신을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시켜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의 운용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1단계씩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현재 설정값을 기준으로 1단계씩 업/다운 제어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의 운용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국하는 숫자인 경우 전체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각 숫자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키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의 운용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텍스트의 분석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국하는 숫자인 경우 전체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먼저 최상위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하고, 다음 으로 차상위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하며, 마지막으로 최종 자릿수 숫자의 제어코드를 엑세스하여 피제어장치에 송출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의 운용방법.
  15. 스마트기기의 통합리모콘 어플리케이션으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인식서버를 통해 문자열 텍스트를 제공받아 무선중계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열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동일한 작동이 연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다단계 명령이면 몇 단계 제어인지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단계별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를 동작시키는 과정;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인식된 제어 명령어가 채널을 선국하는 숫자인 경우 전체 자릿수와 자릿수별 숫자를 판별하고, 저장된 통합리모콘 제어코드 테이블에서 각 숫자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엑세스한 다음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피제어장치의 채널을 선국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의 운용방법.
KR1020130135393A 2013-11-08 2013-11-08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KR20150053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93A KR20150053447A (ko) 2013-11-08 2013-11-08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PCT/KR2014/009773 WO2015068959A1 (ko) 2013-11-08 2014-10-17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93A KR20150053447A (ko) 2013-11-08 2013-11-08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447A true KR20150053447A (ko) 2015-05-18

Family

ID=5304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393A KR20150053447A (ko) 2013-11-08 2013-11-08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53447A (ko)
WO (1) WO20150689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7820A (zh) * 2018-12-26 2019-03-29 阴祖伟 自动穿衣柜的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2674A (zh) * 2015-12-30 2016-06-08 生迪智慧科技有限公司 无线语音透传器和控制终端
US11099540B2 (en) 2017-09-15 2021-08-24 Kohler Co. User identity in household appliances
US11093554B2 (en) 2017-09-15 2021-08-17 Kohler Co. Feedback for water consuming appliance
US10448762B2 (en) 2017-09-15 2019-10-22 Kohler Co. Mirror
US10887125B2 (en) 2017-09-15 2021-01-05 Kohler Co. Bathroom speaker
US11314215B2 (en) 2017-09-15 2022-04-26 Kohler Co. Apparatus controlling bathroom appliance lighting based on user ident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43B1 (ko) * 2001-10-23 2004-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61612A (ko) * 2005-12-10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6954A (ko) * 2009-11-23 2011-05-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생활기기 통합 원격제어 시스템
KR20120046988A (ko) * 2010-11-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제어 방법, 음성 인식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7820A (zh) * 2018-12-26 2019-03-29 阴祖伟 自动穿衣柜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8959A1 (ko)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3447A (ko)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KR101465230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CN206097455U (zh) 一种语音识别控制设备
CN103177557B (zh) 基于智能设备的家电控制方法及系统
EP2956837B1 (en) Waking other devices for additional data
KR102210433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WO2016206494A1 (zh) 语音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US20140341585A1 (en) Wireless relay system and employment method thereof
US958956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voice
KR102009316B1 (ko) 대화형 서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914234A (zh) 交互服务器及其控制方法和交互系统
KR20020043635A (ko) 다운로드가능한 음성 명령 세트를 구비하는 음성 제어형원격제어기
CN111415660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20200059522A1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5869381A (zh) 语音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3297586A (zh) 移动终端和遥控方法
EP3654170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wifi connecting method thereof
US20180211651A1 (en) Voice-Controlled Secure Remote Actuation System
CN113990324A (zh) 一种语音智能家居控制系统
KR20150051865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KR1022577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9234392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KR100378674B1 (ko) 통합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45597B1 (ko) 로봇 리모컨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9830239A (zh) 语音处理装置、语音识别输入系统及语音识别输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