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743B1 -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743B1
KR100441743B1 KR10-2001-0065339A KR20010065339A KR100441743B1 KR 100441743 B1 KR100441743 B1 KR 100441743B1 KR 20010065339 A KR20010065339 A KR 20010065339A KR 100441743 B1 KR100441743 B1 KR 100441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control
terminal
control code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413A (ko
Inventor
배유석
문경덕
오봉진
김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6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743B1/ko
Priority to US10/271,723 priority patent/US6987462B2/en
Publication of KR2003003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6Programming the control seque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51Remote control, enter program remote, detachable programm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386Voice, vocal command or messag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462No local entry panel, only central remote programmer for all applian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186Bluetooth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187Transmission of signals, medium, ultrasonic, radio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192Infrar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196Radio link, transpond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성/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가전기기와 무선 단말기의 연결 관계를 탐지하여 동적으로 제어코드 및 통신용 모듈을 전송하고, 단말기에서 음성 제어 명령어 입력화면 또는 필기체 제어 명령어 입력 화면을 통하여 가전기기 제어 명령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명령어를 음성 인식 기술 또는 문자(필기체) 인식 기술을 통하여 해석한 후, 가전기기 제어 코드로 변환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로 전송함으로써,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다. 기능이 고정된 단순 단말기의 한계에서 벗어나 가전기기로부터 동적으로 제어코드를 전송 받아 가전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까지 기능이 확장되며, 제어 기능의 추가와 삭제가 용이함으로써, 하나의 단말기로 다수의 가전기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새로운 가전기기의 출현에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Remot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성 인식 및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들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하는 가전기기 및 사무기기등은 사용자가 근거리에서 해당 기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단말기(리모콘)들을 각각 구비하고 있어 해당 기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종래의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단말기에서 가전기기의 기능을 제공하는 일정한 키 값을 보내는 고정식 버튼 형태로 단말기에 내장하여 한정된 용도로만 사용이 가능하여 특정 기기를 위한 단말기가 별도로 존재함으로써, 일반 가정에 다수의 단말기가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전기기와 단말기는 단순한 컨트롤러(또는 마이컴)가 탑재되어 있고, 단방향 통신만을 지원하여 단말기에서 보내는 키 값을 해석하여 가전기기에서 피동적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지원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처리 기능이 없으므로 인해 고급 기능의 추가도 쉽지 않으며, TV나 비디오 등의 대중화된 범용 가전기기 제어를 위해 여러 회사의 키 코드값을 사전에 입력하여 공통된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가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국가나 회사마다 정해진 코드값을 미리 지정하여 키 값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기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으며, 새로운 기기나 다른 제조회사의 제품의 경우에 호환성이 없으므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하여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가전기기를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음성이나 문자(필기체) 입력으로 용이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수의 가전기기와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에서 도 1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에서 가전기기내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전기기내에서 이루어지는 동작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내에서 이루어지는 동작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에서 도 1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어부의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내에서 이루어지는 동작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성 입력부 10-1 : 문자 입력부
20 : 음성 출력부 30, 30-1 : 제어부
31, 31-1,220 : 네트워크 관리부 32, 32-1, 240 : 제어코드 관리부
33 : 음성 인식부 33-1 : 문자 인식부
34, 34-1 : 문자 생성부 40, 40-1, 210 : 송,수신부
50, 50-1, 60, 60-1 : 저장부 70, 70-1 : 그래픽 제어부
80, 80-1 : 디스플레이부 100 : 무선 단말기
200-1,2,3 : 가전기기 230 : 접근 탐지부
250 ; 가전기기 제어부 260 : 응답 처리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전기기에서 단말기의 접근을 탐지하여 가전기기와 단말기간에 연결관계를 설정하고,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으로 가전 기기 제어 명령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가전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제어 코드로 변환하여 변환된 제어 코드를 무선으로 가전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원하는 가전기기를 용이하게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전기기에서 단말기의 접근을 탐지하여 가전기기와 단말기간에 연결관계를 설정하고,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이 아닌 직접적인 문자 입력(필기체 문자 입력)통하여 가전 기기 제어 명령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문자 명령어를 가전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제어 코드로 변환하여 변환된 제어 코드를 무선으로 가전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원하는 가전기기를 용이하게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 방법의 일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에 일정거리 접근하였을 경우,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다수의 제어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음성 또는 문자 제어 명령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 또는 문자 명령어를 해석하여 음성 명령어를 제어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코드를 상기 수신된 제어코드와 비교한 후, 동일 제어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어코드를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여기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PDA, HPC, 셀룰러폰, PCS, 무선 리모콘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무선 프로토콜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라디오 주파수(RF)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가전기기와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가전기기에 접근되는지를 탐지하는 단계; 가전기기 일정 거리내로 접근하는 경우, 해당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관련 정보를 저장한 후, 해당 가전기기와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는, 제조회사, 제조년원일, 모델명, 가전기기 종류, 전화번호,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 방법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전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의 접근 여부를 일정 주기로 탐지하는 단계; 단말기가 일정 거리내로 접근한 경우,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와 제어 코드를 단말기에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하면서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단말기로부터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제어코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제어코드와 기 설정된 제어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결과, 서로 동일한 제어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어코드에 상응하는 가전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시스템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 중 제어하고자 하는 일 가전기기와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관리수단;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일 가전기기의 일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 또는 문자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 명령 입력수단;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일 가전기기로부터 가전기기 관련 상세 정보 및 제어코드를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음성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송,수신 수단; 상기 제어 명령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문자 제어 명령을 가전기기 제어용 제어코드로 변환한 후, 상기 송수신부로 제공하는 제어 코드 변환 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 및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가전기기로부터 제어 결과 정보 및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명령 입력 수단은,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음성으로 입력하는 음성 입력부;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문자(필기체)로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는 문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코드를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가전기기 제어 코드를 수신하는 송,수신수단; 단말기의 접근 여부를 일정주기로 탐지하는 탐지수단; 상기 탐지 수단에서 단말기가 일정 거리내로 접근되는 경우,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연결 설정수단;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미리 저장된 가전기기 제어코드와 비교하여 가전기기 제어 가능한 제어코드인 경우 가전기기의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가전기기 제어수단; 상기 가전기기 제어수단으로부터 가전기기의 일 기능이 제어된 경우 제어 결과 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는 응답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전기기에 일정거리 접근하였을 경우,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다수의 제어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음성 또는 문자 제어 명령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 또는 문자 명령어를 해석하여 음성 명령어를 제어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코드를 상기 수신된 제어코드와 비교한 후, 동일 제어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어코드를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가전기기 제어 명령에 따라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의 접근 여부를 일정 구기로 탐지하는 단계; 단말기가 일정 거리내로 접근한 경우,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와 제어 코드를 단말기에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하면서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단말기로부터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제어코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제어코드와 기 설정된 제어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결과, 서로 동일한 제어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어코드에 상응하는 가전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각 실시예별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여기서, 제1실시예는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고, 제2실시예는 문자 인식 기술(필기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다.
각 실시예별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각종 가전기기와 단말기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다수의 가전기기와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도로서, 가전기기(200-1, 200-2,...200-n)는 가전기기 제어용 응답 소프트웨어와 제어 명령어를 처리하고 결과 메세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세지 전송 소프트웨어를 내장한 TV, VTR, 오디오, 냉장고 등이 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는 SA1110, MIPS, MPC860, X86등의 임베디드 프로세서를 탑재한 PDA, 휴대용 개인 컴퓨터(Hand-held personal Computer:HPC) 등의 휴대형 단말기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셀룰러 폰, PCS, 그리고 기능이 강화된 무선 리모콘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 제어용 프로그램으로는 VxWorks, VRTX, Windows CE, Linux 등의 다양한 운영체제를 가진 시스템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으며, 가전기기와 무선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적외선(IR 또는 Irda), 블루투스(Bluetooth), 라디오 주파수(RF)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는 음성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음성으로 제어 명령어를 입력하고, 입력된 명령어를 음성 인식 기술을 통해 해석하여 가전기기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코드로 변환한 후, 가전기기에 전송하여 원격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으로 무선 단말기와 가전기기간에 네트워크로 통신하면서 가전기기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가전기기 제어 분야에 속하는 기술이다.
기존 가전기기 제어 기술은 고정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한정된 범위의 가전기기만을 제어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가전기기 개발에 대한 지원이 불가능하고, 단말기에서 가전기기로의 단방향 통신만을 지원하여 가전기기 제어 기능의 한계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음성 인식 기술을 가전기기 제어에 활용하여 가전기기 제어의 효율성을 높이며, 단말기와 가전기기간 양방향 수신 기능을 지원하여 단방향 통신만을 지원하는 단순한 제어 기능의 한계를 극복하고, 가전기기와 단말기간의 통신 기능을 보강하여 기기간 호환성을 제공하며, 단말기에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추가함으로써, 다양한 가전기기와 통신하면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 입력 기능은 휴대형 단말기에 내장되어 활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가전기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시하며, 이 방법은 하나의 단말기로 다양한 다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자.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에서 도 1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을 보면, 무선 단말기(100)는, 음성 입력부(10), 음성 출력부(20), 제어부(30), 송,수신부(40), 제1,2 저장부(50, 60), 그래픽 제어부(70) 및 디스플레이부(80)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부(31), 제어코드 관리부(32), 음성 인식부(33) 및 문자 생성부(34)로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0)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를 원하는 일 가전기기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저장부(50)는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가전기기의 제어코드와, 해당 가전기기의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2 저장부(60)는 제어부(30)를 구동하기위한 구동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입력한 가전기기 제어 명령에 대한 가전기기 제어 코드를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30)는 상기 음성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어 코드를 가전기기로 전송하기 위해 송,수신부(40)로 제공한다. 그리고,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가전기기의 상세 정보 및 각종 제어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저장부(50)에 저장시키며, 가전기기가 제어된 결과 메세지가 가전기기로부터 송,수신부(40)를 통해 수신되면, 그 결과 메세지에 대한 문자를 생성하여 그래픽 제어부(70)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30)는 가전기기와의 접근 여부에 따라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30)는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되면, 음성을 입력하라는 신호를 음성 출력부(20)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가전기기 제어 결과 메세지또한 음성 출력부(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래픽 제어부(70)는 제어부(30)에서 생성된 문자와 기 설정된 그래픽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을 살펴보면, 기 설정된 그래픽이 구성되고, 구성된 그래픽상에음성 명령을 입력하라는 문자 메세지가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그래픽 화면상에 가전기기 제어 결과에 대한 문자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한 제어부(3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30)의 네트워크 관리부(31)는 가전기기와 접근 여부에 따라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열결 관계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한 제어 코드를 송,수신부(40)로 제공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가전기기 관련 정보 및 해당 가전기기의 제어 코드 정보를 송,수신부(40)로부터 수신하여 제어코드 관리부(32)를 통해 제1 저장부(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1 저장부(50)는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부(31)는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설정하기 위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음성 인식부(33)는 사용자가 음성 입력부(10)를 통해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면, 이를 인식하여 그에 상응하는 제어코드로 변환한 후, 제어코드 관리부(32)로 제공한다.
제어코드 관리부(32)는 음성 인식부(32)로부터 제공되는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제1 저장부(50)에 저장된 해당 가전기기의 제어코드와 맵핑 동작을 수행하고 맵핑 동작이 이루어지면 해당 제어코드를 네트워크 관리부(31)를 통해 송,수신부(40)로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송,수신부(40)는 네트워크 괸리부(31)를 통해 제공되는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무선으로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문자 생성부(34)는, 상기 네트워크 관리부(31)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임의의가전기기와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설정되면, 가전기기를 위한 음성 명령어 입력 문자 메세지를 생성하여 그래픽 제어부(7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가전기기가 원격 제어되어 가전기기로부터 제어 결과 신호가 수신되면 그 결과 신호에 상응하는 문자를 생성하여 그래픽 제어부(70)로 제공하여 기 설정된 그래픽과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한편, 단말기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제어 코드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가전기기내의 제어장치에 대하여 살펴보자.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에서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가전기기내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을 보면, 송,수신부(210), 네트워크 관리부(220), 접근 탐지부(230), 제어코드 관리부(240), 가전기기 제어부(250) 및 응답 처리부(260)로 구성될 수 있다.
접근 탐지부(230)는 단말기의 접근 여부를 탐지하여 탐지 결과 신호를 네트워크 관리부(220)로 제공한다.
네트워크 관리부(220)는 접근 탐지부(230)에서 제공되는 접근 탐지 결과신호에 따라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설정한다.
송,수신부(210)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 제어 코드 및 가전기기 제어 결과 정보를 무선으로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코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제어코드 관리부(240)는 가전기기의 제어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가전기기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가,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 설정시 해당 정보들을 송,수신부(210)를 통해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게 된다. 또한,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코드와 기 설정된 제어코드와 비교하여 해당 제어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가전기기의 해당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가전기기 제어부(250)로 제공한다.
가전기기 제어부(250)는 제어코드 관리부(240)로 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제어하고, 제어 결과 정보를 응답 처리부(260)로 출력한다.
응답 처리부(260)는 가전기기 제어부(250)에서 제공되는 가전기기 제어 결과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문자 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관리부(220) 및 송수신부(210)를 통해 무선으로 단말기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가전기기는 무선 단말기(100)의 인터럽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무선 단말기에서 인터럽트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가전기기의 접근 탐지부(230)에서 단말기의 접근 검사를 폴링하여 단말기가 일정 거리내로 접근하였는지를 탐지하게 된다.
만약, 접근 탐지부(230)에서 단말기의 접근 탐지 결과, 단말기가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경우, 접근 탐지부(230)는 제어코드 관리부(240)에 탐지 신호를 제공하고, 제어코드 관리부(240)는 미리 저장된 자신의 상세정보 즉, 가전기기 관련정보를 네트워크 관리부(220) 및 송,수신부(210)를 통해 단말기(100)로 전송하는것이다.
따라서, 단말기(100)의 송,수신부(210)는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가전기기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0)의 네트워크 관리부(31)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내의 네트워크 관리부(31)에서는 가전기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 결과 정보를 송수신부(40)를 통해 가전기기로 제공하게 되고, 수신된 가전기기 관련 정보를 제어코드 관리부(32)를 통해 제1 저장부(50)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전기기 관련 정보로는, 제조회사, 모델명, 제조일자, 제조회사 주소, 제조회사 전화번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전기기 관련 정보가 정상적으로 단말기로 전송된 경우, 단말기와 가전기기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설정이 된다.
단말기와 가전기기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설정된 상태에서 가전기기의 제어코드 관리부(240)는 미리 설정된 자신의 제어코드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자신(가전기기) 모드를 제어코드 수신 모드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단말기(100)의 송,수신부(40)는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제어코드 관리부(32)의 제어에 따라 제1 저장부(50)에 해당 가전기기 관련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코드는 가전기기에 대한 다수의 기능들에 대한 제어코드들이다.
이와 같이 단말기와 가전기기간에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설정된 상태에서, 가전기기의 제어 코드가 단말기의 제1 저장부(50)에 저장되면, 단말기의 문자 생성부(34)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 제어 명령 입력 문자를 생성하여 그래픽 제어부(70)에 설정된 그래픽과 함께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때, 문자 생성 뿐만 아니라 가전 기기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요구하는 음성 메세지를 음성 출력부(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문자로 생성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음성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80)에 제어코드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을 음성 입력부(10)를 통해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음성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3)내의 음성 인식부(33)에서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 해당 음성 명령어를 가전기기 제어코드로 변환한 후, 제어코드 관리부(32)로 제공한다.
제어 코드 관리부(32)는 음성 인식부(33)에서 제공되는 제어코드와 제1 저장부(50)에 저장된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비교하여 해당 제어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어코드를 네트워크 관리부(31) 및 송,수신부(40)를 통해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가전기기의 송,수신부(210)는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네트워크 관리부(220)를 통해 제어코드 관리부(240)로 제공한다.
제어코드 관리부(240)는 수신된 제어코드와 미리 저장된 제어코드를 비교하여 동일한 제어코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동일한 제어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코드 관리부(240)는 가전기기 제어부(250)로 해당 제어코드에 상응하는 가전기기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가전기기의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가전기기 제어부(25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가전기기의 기능이 제어된 경우, 응답 처리부(260)는 가전기기의 해당 기능의 제어 결과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관리부(220) 및 송,수신부(21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단말기의 송수신부(40)는 이 결과 신호를 수신하여 네트워크 관리부(31)를 통해 문자 생성부(34)로 제공되고, 문자 생성부(34)는 가전기기 제어 결과에 대한 문자를 생성하여 그래픽 제어부(70)에 설정된 그래픽 데이터와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예를 들면, "오디오의 볼륨이 조정되었습니다"라는 문자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또한, 문자 뿐만 아니라, 가전기기의 제어 결과는 음성 출력부(20)를 통해 음성으로도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보고 가전기기가 제어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의 동작과 상응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가전기기내에서 이루어지는 방법과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을 각각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전기기내에서 이루어지는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가전기기에서는 단말기의 인터럽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101).
판단 결과, 단말기의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경우, 가전기기에서 단말기의 접근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폴링동작을 수행한다(S102).
폴링 결과 단말기가 가전기기 일정 거리내로 접근하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S103), 만약 단말기가 가전기기 일정 거리내로 접근하는 경우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 예를 들면, 제조회사, 제조 연월일, 모델 명, 제조회사 주소, 제조회사 전화번호 등 다수의 가전기기 관련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S104).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가전기기측에서는 단말기가 반응을 하는지 판단하고(S105), 단말기에서 정상적으로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게 된 경우, 즉 단말기가 반응하는 경우 가전기기와 단말기간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관계가 설정된다(S107).
그러나, 가전기기에서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를 송신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단말기가 반응하지 않는 경우 가전기기와 단말기간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해제한 후, S101단계로 피드백되어 단말기의 인터럽트 발생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
가전기기와 단말기간에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설정되면, 가전기기는 자신의 제어코드를 무선으로 단말기에 전송한 후(S108), 단말기로부터 제어코드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S109).
그리고,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110).
만약, 제어코드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코드와 자신의 제어코드를 비교하여가전기기 제어 가능 여부를 체크한 후, 수신된 제어코드가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코드로 판명된 경우 해당 제어코드에 상응하는 기능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S111).
가전기기의 제어가 완료되면, 가전기기 제어 완료 결과 정보를 무선으로 단말기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어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S112)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내에서 이루어지는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단말기가 인터럽트를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S201).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는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S202).
이어, 단말기는 가전기기에 접근하는지를 판단하게 되고(S203), 만약 단말기가 가전기기에 접근하게 되면, 가전기기측에서 전송하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 받게 되는데(S204), 즉, 단말기가 가전기기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205).
만약, 단말기에서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가전기기 관련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해제하고(S206), 반대로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가전기기와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설정하게 된다(S207).
그리고, 가전기기와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설정된 상태에서 가전기기로부터전송된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S208).
이와 같이 가전기기의 제어코드를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 입력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전기기 제어 명령어를 입력하라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또는 음성신호로 출력되는 음성 명령어 입력 신호를 듣고 사용자가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어를 입력한다(S209).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명령어에 상응하는 제어코드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제어코드로 변환하게 되는 것이다(S210).
상기 변환된 제어코드는 무선으로 단말기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가전기기의 해당 기능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S211).
이어, 가전기기로부터 해당 기능이 제어되어 제어 결과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212). 만약 가전기기 제어 결과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에 가전기기 제어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신호로서 출력하여 제어 결과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다(S213).
결국,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가전기기에서 단말기의 접근을 탐지하여 가전기기와 단말기간에 연결관계를 설정하고,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으로 가전 기기 제어 명령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가전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제어 코드로 변환하여 변환된 제어 코드를 무선으로 가전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원하는 가전기기를 용이하게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무선 단말기에 필기체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필기체로 제어 명령어를 입력하고, 입력된 명령어를 필기체 인식 기술을 통해 해석하여 가전기기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코드로 변환한 후, 가전기기에 전송하여 원격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무선 단말기와 가전기기내에 네트워크로 통신하면서 가전기기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가전기기 제어 분야에 속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필기체 인식 기술을 가전기기 제어에 활용하여 가전기기 제어의 효율성을 높이며, 단말기와 가전기기간 양방향 수신 기능을 지원하여 단방향 통신만을 지원하는 단순한 제어 기능의 한계를 극복하고, 가전기기와 단말기간의 통신 기능을 보강하여 기기간 호환성을 제공하며, 단말기에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추가함으로써, 다양한 가전기기와 통신하면서 원격으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필기체 입력화면은 화려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필요로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의 메모리 사양을 낮출 수 있으며, 손쉽게 다른 개인 휴대 단말기 등에 탑재되어 활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가전기기 제어 방법을 제시하며, 이 방법은 하나의 단말기로 다양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에서 도 1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어부의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을살펴보면, 그 구성을 보면, 무선 단말기(100)는, 문자 입력부(10-1), 제어부(30-1), 송,수신부(40-1), 제1,2 저장부(50-1, 60-1), 그래픽 제어부(70-1) 및 디스플레이부(80-1)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30-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부(31-1), 제어코드 관리부(32-1), 문자 인식부(33-1) 및 문자 생성부(34-1)로 구성될 수 있다.
문자 입력부(10-1)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를 원하는 일 가전기기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가 직접 문자를 입력(필기체 문자 입력)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다.
제1 저장부(50-1)는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가전기기의 제어코드와, 해당 가전기기의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2 저장부(60-1)는 제어부(30-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문자로 입력한 가전기기 제어 명령에 대한 가전기기 제어 코드를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30-1)는 상기 문자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되는 가전기기 제어 명령에 대한 문자를 인식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어 코드를 가전기기로 전송하기 위해 송,수신부(40-1)로 제공한다. 그리고,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가전기기의 상세 정보 및 각종 제어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저장부(50-1)에 저장시키며, 가전기기가 제어된 결과 메세지가 가전기기로부터 송,수신부(40-1)를 통해 수신되면, 그 결과 메세지에 대한 문자를 생성하여 그래픽 제어부(70-1)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30-1)는 가전기기와의접근 여부에 따라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30-1)는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되면,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문자 입력 요구를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80-1)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래픽 제어부(70-1)는 제어부(30-1)에서 생성된 문자와 기 설정된 그래픽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80-1)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80-1)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을 살펴보면, 기 설정된 그래픽이 구성되고, 구성된 그래픽상에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문자 제어 명령 입력 요구 문자 메세지가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그래픽 화면상에 가전기기 제어 결과에 대한 문자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한 제어부(30-1)의 구성을 도 8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30-1)의 네트워크 관리부(31-1)는 가전기기와 접근 여부에 따라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열결 관계를 설정하고,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문자 제어 명령에 대한 제어 코드를 송,수신부(40-1)로 제공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가전기기 관련 정보 및 해당 가전기기의 제어 코드 정보를 송,수신부(40-1)로부터 수신하여 제어코드 관리부(32-1)를 통해 제1 저장부(50-1)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1 저장부(50-1)는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부(31-1)는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설정하기 위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문자 인식부(33-1)는 사용자가 문자 입력부(10-1)를 통해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문자 명령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문자 명령어를 그에 상응하는 가전기기 제어코드로 변환한 후, 제어코드 관리부(32-1)로 제공한다.
제어코드 관리부(32-1)는 문자 인식부(32-1)로부터 제공되는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제1 저장부(50-1)에 저장된 해당 가전기기의 제어코드와 맵핑 동작을 수행하고 맵핑 동작이 이루어지면 해당 제어코드를 네트워크 관리부(31-1)를 통해 송,수신부(40-1)로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송,수신부(40-1)는 네트워크 관리부(31-1)를 통해 제공되는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무선으로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문자 생성부(34-1)는, 상기 네트워크 관리부(31-1)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임의의 가전기기와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설정되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문자 명령어 입력을 요구하는 문자 메세지를 생성하여 그래픽 제어부(70-1)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부(8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가전기기가 원격 제어되어 가전기기로부터 제어 결과 신호가 수신되면 그 결과 신호에 상응하는 문자를 생성하여 그래픽 제어부(70-1)로 제공하여 기 설정된 그래픽과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부(80-1)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한편, 단말기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제어 코드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가전기기내의 제어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가전기기는 무선 단말기의 인터럽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무선 단말기에서 인터럽트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접근 탐지부(230)에서 단말기의 접근 검사를 폴링하여 단말기가 일정 거리내로 접근하였는지를 탐지하게 된다.
만약, 접근 탐지부(230)에서 단말기의 접근 탐지 결과, 단말기가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경우, 접근 탐지부(230)는 제어코드 관리부(240)에 탐지 신호를 제공하고, 제어코드 관리부(240)는 미리 저장된 자신의 상세정보 즉, 가전기기 관련정보를 네트워크 관리부(220) 및 송,수신부(210)를 통해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말기(100)의 송,수신부(40-1)는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가전기기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0-1)의 네트워크 관리부(31-1)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내의 네트워크 관리부(31-1)에서는 가전기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 결과 정보를 송,수신부(40-1)를 통해 가전기기로 제공하게 되고, 수신된 가전기기 관련 정보를 제어코드 관리부(32-1)를 통해 제1 저장부(50-1)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전기기 관련 정보로는, 제조회사, 모델명, 제조일자, 제조회사 주소, 제조회사 전화번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전기기 관련 정보가 정상적으로 단말기로 전송된 경우, 단말기와 가전기기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설정이 된다.
단말기와 가전기기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설정된 상태에서 가전기기의 제어코드 관리부(240)는 미리 설정된 자신의 제어코드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자신(가전기기의) 모드를 제어코드 수신 모드로 전환하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단말기(100)의 송,수신부(40-1)는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제어코드 관리부(32-1)의 제어에 따라 제1 저장부(50-1)에 해당 가전기기 관련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코드는 가전기기에 대한 다수의 기능들에 대한 제어코드들이다.
이와 같이 단말기와 가전기기간에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설정된 상태에서, 가전기기의 제어 코드가 단말기의 제1 저장부(50-1)에 저장되면, 단말기의 문자 생성부(34-1)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문자 입력 요구 메세지(문자)를 생성하여 그래픽 제어부(70-1)에 설정된 그래픽과 함께 디스플레이부(80-1)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또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문자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80-1)에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가전기기의 해당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80-1)의 형태는 터치스크린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문자 제어 명령을 문자 입력부(10)를 통해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문자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0-1)내의 문자 인식부(33-1)에서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문자 명령어를 분석하여 해당 문자 명령어를 가전기기 제어코드로 변환한 후, 제어코드 관리부(32-1)로 제공한다.
제어 코드 관리부(32-1)는 문자 인식부(33-1)에서 제공되는 제어코드와 제1저장부(50-1)에 저장된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비교하여 해당 제어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어코드를 네트워크 관리부(31-1) 및 송,수신부(40-1)를 통해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가전기기의 송,수신부(210)는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네트워크 관리부(220)를 통해 제어코드 관리부(240)로 제공한다.
제어코드 관리부(240)는 수신된 제어코드와 미리 저장된 제어코드를 비교하여 동일한 제어코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동일한 제어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코드 관리부(240)는 가전기기 제어부(250)로 해당 제어코드에 상응하는 가전기기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가전기기의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가전기기 제어부(25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가전기기의 기능이 제어된 경우, 응답 처리부(260)는 가전기기의 해당 기능의 제어 결과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관리부(220) 및 송,수신부(21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단말기의 송,수신부(40-1)는 이 결과 신호를 수신하여 네트워크 관리부(31-1)를 통해 문자 생성부(34-1)로 제공되는 문자 생성부(34-1)는 가전기기 제어 결과에 대한 문자를 생성하여 그래픽 제어부(70-1)에 설정된 그래픽 데이터와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부(80-1)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문자 뿐만 아니라, 가전기기의 제어 결과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도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보고 가전기기가 제어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의 동작과 상응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가전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가전기기내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고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방법만을 설명해 보기로 하자.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내에서 이루어지는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단말기가 인터럽트를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S301).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는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S302).
이어, 단말기는 가전기기에 접근하는지를 판단하게 되고(S303), 만약 단말기가 가전기기에 접근하게 되면, 가전기기측에서 전송하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 받게 되는데(S304), 즉, 단말기가 가전기기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305).
만약, 단말기에서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가전기기 관련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해지하고(S306), 반대로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가전기기와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설정하게 된다(S307).
그리고, 가전기기와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설정된 상태에서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된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S308).
이와 같이 가전기기의 제어코드를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문자 명령어 입력 요구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필기체 명령어 입력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필기체 입력 화면에 따라 사용자가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필기체 문자 명령어를 입력한다(S309).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문자 명령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문자 명령어를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문자 명령어에 상응하는 제어코드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입력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문자 명령어를 그에 상응하는 제어코드로 변환하게 되는 것이다(S310).
상기 변환된 제어코드는 무선으로 단말기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가전기기의 해당 기능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S311).
이어, 가전기기로부터 해당 기능이 제어되어 제어 결과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312). 만약 가전기기 제어 결과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에 가전기기 제어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S213).
결국,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가전기기에서 단말기의 접근을 탐지하여 가전기기와 단말기간에 연결관계를 설정하고,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문자(필기체)로 가전 기기 제어 명령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문자 명령어를 가전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제어 코드로 변환하여 변환된 제어 코드를 무선으로 가전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원하는 가전기기를 용이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가전기기와 무선 단말기의 연결 관계를 탐지하여 동적으로 제어코드 및 통신용 모듈을 전송하고, 단말기에서 음성 제어 명령어 입력화면 또는 필기체 제어 명령어 입력 화면을 통하여 가전기기 제어 명령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명령어를 음성 인식 기술 또는 문자(필기체) 인식 기술을 통하여 해석한 후, 가전기기 제어 코드로 변환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로 전송함으로써,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능이 고정된 단순 단말기의 한계에서 벗어나 가전기기로부터 동적으로 제어코드를 전송 받아 가전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까지 기능이 확장되며, 제어 기능의 추가와 삭제가 용이함으로써, 하나의 단말기로 다수의 가전기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새로운 가전기기의 출현에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것이다.
또한, 휴대형 무선 단말기에 음성 인식 기술 및 문자 인식 기술을 가전기기 제어에 활용함으로써, 특히 시각 장애인에게 생활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형 단말기의 활용 범위를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에 일정거리 접근하였을 경우,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다수의 제어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음성 또는 문자 제어 명령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 또는 문자 명령어를 해석하여 음성 명령어를 제어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코드를 상기 수신된 제어코드와 비교한 후, 동일 제어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어코드를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코드를 무선으로 가전기기로 전송한 후, 해당 가전기기로부터 제어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제어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가전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제어 결과 정보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원격 가전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코드를 저장부에 저장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가전 제어 방법.
  6. 삭제
  7. 삭제
  8. 가전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의 접근 여부를 일정 주기로 탐지하는 단계;
    단말기가 일정 거리내로 접근한 경우,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와 제어 코드를 단말기에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하면서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단말기로부터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제어코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제어코드와 기 설정된 제어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결과, 서로 동일한 제어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어코드에 상응하는 가전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 및 제어코드를 전송한 후, 단말기로부터 제어코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관련 정보는 제조회사, 제조년원일, 모델명, 가전기기 종류, 전화번호,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가전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기능을 제어한 후, 제어 결과 정보를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가전 제어 방법.
  10.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로토콜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라디오 주파수(RF)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원격 가전 제어 방법.
  11. 삭제
  12.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 중 제어하고자 하는 일 가전기기와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관리수단;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일 가전기기의 일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 또는 문자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 명령 입력수단;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일 가전기기로부터 가전기기 관련 상세 정보 및 제어코드를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음성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송,수신 수단;
    상기 제어 명령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문자 제어 명령을 가전기기 제어용 제어코드로 변환한 후, 상기 송수신부로 제공하는 제어 코드 변환 수단;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 및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및
    가전기기로부터 제어 결과 정보 및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는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가전기기의 제어 결과를 음성 신호로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제어 명령 입력 수단은,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음성으로 입력하는 음성 입력부;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문자(필기체)로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는 문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PDA, HPC, 셀룰러폰, PCS, 무선 리모콘 중 적어도 하나인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16. 삭제
  17.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코드를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가전기기 제어 코드를 수신하는 송,수신수단;
    단말기의 접근 여부를 일정주기로 탐지하는 탐지수단;
    상기 탐지 수단에서 단말기가 일정 거리내로 접근되는 경우,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연결 설정수단;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가전기기 제어코드를 미리 저장된 가전기기 제어코드와 비교하여 가전기기 제어 가능한 제어코드인 경우 가전기기의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가전기기 제어수단;
    상기 가전기기 제어수단으로부터 가전기기의 일 기능이 제어된 경우 제어 결과 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는 응답처리 수단; 및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관련 정보와 제어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18. 제12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로토콜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라디오 주파수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KR10-2001-0065339A 2001-10-23 2001-10-23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41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339A KR100441743B1 (ko) 2001-10-23 2001-10-23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271,723 US6987462B2 (en) 2001-10-23 2002-10-17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339A KR100441743B1 (ko) 2001-10-23 2001-10-23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413A KR20030034413A (ko) 2003-05-09
KR100441743B1 true KR100441743B1 (ko) 2004-07-27

Family

ID=1971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339A KR100441743B1 (ko) 2001-10-23 2001-10-23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87462B2 (ko)
KR (1) KR1004417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173B1 (ko) 2006-02-23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WO2022270765A1 (ko) * 2021-06-21 2022-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5473A1 (en) * 2001-01-12 2002-07-18 Stuart Berkowitz Home-based client-side media computer
KR100500962B1 (ko) * 2002-11-29 2005-07-1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대화형 텔레비전의 무선 입력 장치
KR100605218B1 (ko) * 2003-05-30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638017B1 (ko) * 2003-05-30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디바이스
US20070223500A1 (en) * 2003-05-30 2007-09-27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WO2004107662A1 (en) * 2003-05-30 2004-12-09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KR100596755B1 (ko) * 2003-05-30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US20070130278A1 (en) * 2003-05-30 2007-06-07 Seung-Myun Baek Home network system
KR100605216B1 (ko) * 2003-05-30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디바이스
US7729282B2 (en) * 2003-05-30 2010-06-01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and its configuration system
WO2004107660A1 (en) * 2003-05-30 2004-12-09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KR20050034412A (ko) * 2003-10-09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US7155305B2 (en) * 2003-11-04 2006-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7363028B2 (en) 2003-11-04 2008-04-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US9754480B2 (en) 2003-11-04 2017-09-0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US7136709B2 (en) * 2003-11-04 2006-11-14 Universal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KR100546674B1 (ko) * 2003-11-05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리모컨 구현장치 및 그 방법
US8654936B1 (en) * 2004-02-24 2014-02-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Home control,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mote voice commands
KR100600734B1 (ko) * 2004-02-25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TWI334703B (en) * 2004-09-02 2010-12-11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Voice-activated remote control system
US20060229881A1 (en) * 2005-04-11 2006-10-12 Global Target Enterprise Inc. Voice recognition gateway apparatus
US20060238297A1 (en) * 2005-04-26 2006-10-26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garage door opener and vehicle entry using multi-frequency transmitter
KR100703511B1 (ko) * 2005-05-3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진입 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
US10333731B2 (en) 2005-06-09 2019-06-2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vely coupling internal components within appliances, and appliances with external components and accessories
US20070050054A1 (en) * 2005-08-26 2007-03-01 Sony Erics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virtual remote control
US7155213B1 (en) * 2005-09-16 2006-12-26 James R. Almeda Remote control system
KR100746423B1 (ko) * 2005-12-27 200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JP2007329878A (ja) * 2006-06-09 2007-12-20 Canon Inc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BRMU8601339U (pt) * 2006-06-26 2008-02-12 Leonardo Senna Da Silva pulseira com dispositivo de comando acoplado
DE602007010705D1 (de) * 2006-09-07 2011-01-05 France Telecom Fernbedienverfahren und entsprechendes System für Hausgeräte
WO2008118397A1 (en) * 2007-03-23 2008-10-02 Allegiance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having internchangeable collection and other features and methods relating thereof
US9889239B2 (en) * 2007-03-23 2018-02-13 Allegiance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1373291B1 (ko) * 2007-05-07 2014-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그 구현 장치
ES1066912Y (es) * 2007-09-13 2008-07-01 Fagor S Coop Dispositivo de control remoto para aparatos electrodomesticos
DE102008006142A1 (de) * 2008-01-26 2009-08-06 Insta Elektro Gmbh Steuersystem
US9294705B2 (en) 2008-06-27 2016-03-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biquitous appliance control
US20100053457A1 (en) * 2008-08-27 2010-03-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twork enabled remote controls and method for hierarchical structure
TW201027415A (en) * 2009-01-05 2010-07-16 Wistron Corp Func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for a remote control device
US8108491B2 (en) * 2009-04-30 2012-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of access to global computer networks
WO2011008961A1 (en) 2009-07-15 2011-01-20 Allegiance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1048321B1 (ko) * 2009-10-08 2011-07-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인식 통합 리모컨 및 그 동작 방법
WO2011145873A2 (ko) * 2010-05-17 2011-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709483B1 (ko) * 2010-06-17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09478B1 (ko) * 2010-05-17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9786159B2 (en) * 2010-07-23 2017-10-10 Tivo Solutions Inc.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device
US20120226981A1 (en) * 2011-03-02 2012-09-06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in a multimedia system through a natural user interface
KR20130074652A (ko) * 2011-12-26 2013-07-04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수세정기 제어방법
KR101909498B1 (ko) * 2012-09-19 2018-10-19 주식회사 케이티 자연어 기반의 명령어 인식을 통해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 단말 및 그 방법
US10157618B2 (en) 2013-05-02 2018-12-18 Xappmedia, Inc.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interactive advertising
KR102077563B1 (ko) * 2013-09-17 2020-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53447A (ko) * 2013-11-08 2015-05-18 주식회사 서비전자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CN105338385A (zh) 2014-07-16 2016-02-1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用于视频控制的方法与设备
CN105357564A (zh) * 2014-08-20 2016-02-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遥控移动终端、遥控系统及遥控方法
US9741344B2 (en) * 2014-10-20 2017-08-22 Vocalzoom Systems Lt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devices using voice commands
KR20160056548A (ko) * 2014-11-12 2016-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질의 응답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05700359A (zh) * 2014-11-25 2016-06-22 上海天脉聚源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语音识别智能家居控制方法及系统
KR101709469B1 (ko) * 2015-09-11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홈 어플라이언스
US9978366B2 (en) * 2015-10-09 2018-05-22 Xappmedia, Inc. Event-based speech interactive media player
KR102012518B1 (ko) * 2016-02-17 2019-11-04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 원격 제어 시스템
CN108340376B (zh) * 2017-12-27 2020-04-28 温州职业技术学院 自动室内环境健康监测与电器控制机器人
KR102042688B1 (ko) * 2018-05-30 2019-11-08 (주)유비벨록스모바일 Iot 가전 제어 시스템
CN108989575A (zh) * 2018-09-05 2018-12-11 李萍 一种基于语音开发的智能手机遥控系统
CN109448709A (zh) * 2018-10-16 2019-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投屏的控制方法和终端
CN112861571A (zh) * 2019-11-26 2021-05-28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家电设备控制方法、控制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698873A (zh) * 2020-05-26 2023-02-03 华为技术有限公司 智能电器及控制方法
EP4358490A1 (de) * 2022-10-20 2024-04-24 Alexander Brandt Bildgesteuertes initiieren von befehlen auf einem server in einem kommunikationsnetzwerk mithilfe eines mobilen kommunikationsgerätes und eines künstlichen intelligenzmodul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567A (ja) * 1993-04-20 1994-11-04 Casio Comput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40025380A (ko) * 1993-04-15 1994-11-19 이헌조 통합 리모콘 송신기의 제어코드 선택 방법과 장치
KR950005086A (ko) * 1993-07-22 1995-02-18 이헌조 음성인식 원격제어 송신기
KR960006680A (ko) * 1994-07-30 1996-02-23 배순훈 송수신 기능을 갖는 리모콘 장치
KR970009707A (ko) * 1996-12-09 1997-03-27 장중용 젓가락 고르는 기구
KR20000041982A (ko) * 1998-12-24 2000-07-15 전주범 이동전화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텔레비전 리모콘 기능 구현 방법
KR20010026519A (ko) * 1999-09-07 2001-04-06 윤종용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3965A (en) * 1994-09-12 1996-12-10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ining and operating voice recognition systems
KR100209640B1 (ko) 1996-12-26 1999-07-15 구자홍 인터넷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US6133847A (en) * 1997-10-09 2000-10-17 At&T Corp. Configurable remote control device
US6563430B1 (en) * 1998-12-11 2003-05-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device with location dependent interface
US6407779B1 (en) * 1999-03-29 2002-06-18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US6549143B1 (en) * 1999-12-22 2003-04-15 Thomson Licensing, S.A. Universal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6629077B1 (en) * 2000-11-22 2003-09-30 Universal Electronics Inc. Universal remote control adapted to receive voice input
US6747566B2 (en) * 2001-03-12 2004-06-08 Shaw-Yuan Hou Voice-activated remote control unit for multiple electrical apparatus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380A (ko) * 1993-04-15 1994-11-19 이헌조 통합 리모콘 송신기의 제어코드 선택 방법과 장치
JPH06311567A (ja) * 1993-04-20 1994-11-04 Casio Comput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50005086A (ko) * 1993-07-22 1995-02-18 이헌조 음성인식 원격제어 송신기
KR960006680A (ko) * 1994-07-30 1996-02-23 배순훈 송수신 기능을 갖는 리모콘 장치
KR970009707A (ko) * 1996-12-09 1997-03-27 장중용 젓가락 고르는 기구
KR20000041982A (ko) * 1998-12-24 2000-07-15 전주범 이동전화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텔레비전 리모콘 기능 구현 방법
KR20010026519A (ko) * 1999-09-07 2001-04-06 윤종용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173B1 (ko) 2006-02-23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WO2022270765A1 (ko) * 2021-06-21 2022-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댁내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87462B2 (en) 2006-01-17
US20030076240A1 (en) 2003-04-24
KR20030034413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743B1 (ko)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6718307B1 (en) Speech input device with attention span
US9613623B2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device comprising repeated output of an audible signal and a visual display and vibration for user notification
CN108684029B (zh) 一种蓝牙配对连接方法及系统、蓝牙设备和终端
US20070171091A1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CN108712555B (zh) 一种发送报警信息的方法及装置
CN109888928B (zh) 一种终端及无线充电控制方法
KR100547858B1 (ko)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
CN111142759B (zh) 信息的发送方法及电子设备
JP2002132292A (ja) 音声による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378674B1 (ko) 통합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524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리모콘 기능 학습 방법
KR101370263B1 (ko) 제스처 기반의 전자기기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20030092466A1 (en) System combining pager typ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mobile phone module
CN114064179A (zh) 一种显示模式适配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2185096A (zh) 语音遥控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0645597B1 (ko) 로봇 리모컨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20043791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464348B1 (ko) 정보 메시지 알람 기능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그의정보 메시지 알람 방법
KR20030020031A (ko) 음향/음성 자동 송출시스템
KR101071822B1 (ko) 분실물 위치 정보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0461176B1 (ko) 컴퓨터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KR20060084546A (ko) 원격 음성인식 제어 시스템
KR100944057B1 (ko) 무선 컴퓨터 입출력 장치
KR20060022091A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방법과 그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그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