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960B1 -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960B1
KR100972960B1 KR20080042655A KR20080042655A KR100972960B1 KR 100972960 B1 KR100972960 B1 KR 100972960B1 KR 20080042655 A KR20080042655 A KR 20080042655A KR 20080042655 A KR20080042655 A KR 20080042655A KR 100972960 B1 KR100972960 B1 KR 10097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ment
external device
protocol
communication channe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4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865A (ko
Inventor
권동수
김영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08004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960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96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수행 규약 및 통신채널 규약을 포함하는 명령문서들을 기저장하며, 정보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디바이스서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변환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해 디바이스서버로 송신하고, 송신한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를 수신하며, 명령문서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여 이를 각각의 외부디바이스들이 해석 가능한 통신채널 정보 및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하고, 통신채널 정보를 템플릿 코드로 생성함과 아울러 작업실행 규약을 분석하여 명령함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하여 외부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바이스, 명령문서, 통신채널, 규약, 템플릿 코드, 명령함수, 기계어, 외부디바이스

Description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AUTOMATING CREATION APPLICATION PROGRAM USING INTERACTION OF EXTERNAL DEVIC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마다 존재하는 각종 디바이스 제어장비를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디바이스서버에 기저장된 명령문서(Description Document)를 통해 각각의 디바이스가 스스로 생성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기동(起動)되도록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정보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접속되는 각종 디바이스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remote control)가 이용되고 있는 분야는 전력·철강·화학·수송 등을 포함하는 산업 전반적인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술발전에 부합하여 사용자의 편의증진을 도모코자 각종 디바이스들이 가정에까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처럼 디바이스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와 디바이스간에 통신·접속되어 각종 제어명령에 따라 작동하기 위한 통신·제어장치들이 디바이스 내부에 선결적으로 구비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제어명령에 따라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는데, 이는 디바이스들이 기설정된 작업 스케줄(schedule)에 따라 사용자의 제어명령만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디바이스 원격제어 기반의 사용자의 제어욕구 만족을 위해서는 앞서 서술한 바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종 요구조건에 만족하는 제어명령들이 사전에 디바이스들에 탑재되어 있어야만 하고, 이는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에 사용자가 언제 사용·제어할지 모르는 제어명령들까지도 모두 설정·저장해야만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디바이스서버에 시멘틱(semantic)한 웹 온톨로지 언어(OWL: Web Ontology Language) 형식으로 기저장된 명령문서들을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스로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명령함수들을 생성하며, 생성된 명령함수에 따라 각각의 외부디바이스들이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기동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수행 규약 및 통신채널 규약을 포함하는 명령문서들을 기저장하며, 정보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디바이스서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변환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해 디바이스서버로 송신하고, 송신한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를 수신하며, 명령문서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여 이를 각각의 외부디바이스들이 해석 가능한 통신채널 정보 및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하고, 통신채널 정보를 템플릿 코드로 생성함과 아울러 작업실행 규약을 분석하여 명령함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하여 외부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로부터 인가받은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를 수신하고, 수신한 명령문서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는 명령문서 독출모듈;과,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외부디바이스들이 해석 가능한 통신채널 정보 및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하는 작업규약 변환모듈과, 외부디바이스들과의 통신연결을 위한 채널목록들을 기저장하는 템플릿DB와, 채널목록을 참조하여 통신채널 정보를 외부디바이스와 통신연결을 위한 템플릿 코드로 생성하고, 작업실행 규약을 규약에 따라 기설정된 작업을 실행토록 하는 명령함수로 생성하며,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하여 템플릿 코드와 함께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로 인가하는 응용프로그램 생성모듈, 및 사용자로부터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받은 키 입력신호, 및 스피커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디바이스서버가 수신 가능한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생성함과 아울러 생성된 명령문서 요청정보를 명령문서 독출모듈로 인가하고, 템플릿 코드를 참조하여 외부디바이스가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제어하는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명령문서는, 온톨로지 언어(Ontology Language) 형식으로 구성되며,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및 웹 온톨로지 언어(OWL: Web Ontology Language)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디바이스는, 템플릿 코드를 참조하여 기계어로 컴파일된 각각의 명령함수에 따라 기동하는 복수개의 모듈로 구성되며, 아파트, 학교, 관공서, 공장에 구비된 자동화기기의 각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디바이스는,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이송모듈과,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사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모듈,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사물을 지지ㆍ고정하는 파지모듈,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휴대단말기 및 PDA에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안테나모듈,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와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 및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와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변환하여 디바이스서버로 송신하며,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를 수신하는 제 1 과정과, 수신한 명령문서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여 이를 각각의 외부디바이스들이 해석 가능한 통신채널 정보 및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하는 제 2 과정과, 템플릿DB에 기저장된 채널목록을 참조하여 통신채널 정보를 템플릿 코드로 생성하고, 작업실행 규약을 명령함수로 생성함과 아울러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하는 제 3 과정, 및 템플릿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외부디바이스가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과정은,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이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바이스서버가 수신 가능한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변환하는 단계와, 응용프 로그램 제어모듈이 변환된 명령문서 요청정보를 명령문서 독출모듈로 인가하는 단계, 및 명령문서 독출모듈이 디바이스서버로 송신한 명령문서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명령문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과정은, 명령문서 독출모듈이 수신한 명령문서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는 단계, 및 작업규약 변환모듈이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각각의 외부디바이스들이 해석 할 수 있는 통신채널 정보 및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과정은, 응용프로그램 생성모듈이 템플릿DB에 기저장된 채널목록을 참조하여 통신채널 정보를 각각의 외부디바이스들과의 통신연결을 위한 템플릿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와, 작업실행 규약을 외부디바이스들이 규약에 따라 기설정된 작업을 실행토록 하는 명령함수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서버에 시멘틱한 웹 온톨로지 언어 형식으로 기저장된 명령문서를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스로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명령함수를 생성함으로써, 외부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해 내장되는 각종 통신ㆍ제어 부품들을 양이 현저히 저감되어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외부디바이스들이 명령문서에 따라 스스로 생성한 명령함수에 의해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원격제어에 따라 기동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S)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의 구성요소들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S)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서버(100) 및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서버(100)와 사용자 디바이스(2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바, 상기 정보통신망은 TCP/IC 통신채널, RFID 리더·라이터기, 적외선 통신채널, 및 블루투스 통신채널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를 통해 살피면, 디바이스서버(100)는 사용자 디바이 스(200)들이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규약(이하, '작업수행 규약')들 및 통신연결을 위한 규약(이하, '통신채널 규약')을 포함하는 Description Document(이하, '명령문서')(10)들을 기저장하며, 정보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10)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송신한다.
여기서 명령문서(10)는, 온톨로지 언어(Ontology Language) 형식으로 구성되며,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및 웹 온톨로지 언어(OWL: Web Ontology Language)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변환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해 디바이스서버(100)로 송신하고, 송신한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10)를 수신하여 명령문서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여 이를 각각의 외부디바이스(20)들이 해석 가능한 통신채널 정보 및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하며, 통신채널 정보를 템플릿 코드로 생성함과 아울러 변환된 작업실행 규약을 분석하여 명령함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compile)하여 외부디바이스(20)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명령문서 독출모듈(210), 작업규약 변환모듈(220), 템플릿DB(230), 응용프로그램 생성모듈(240) 및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디바이스(20)란, 템플릿 코드를 참조하여 기계어로 컴파일된 각각의 명령함수에 따라 기동(起動)하는 복수개의 모듈들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디바이스(2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함수에 따라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이송모듈, 명령함수에 따라 사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모듈 및 명령함수에 따라 사물을 지지·고정하는 파지(把持)모듈, 명령함수에 따라 휴대단말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안테나모듈, 명령함수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 명령함수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아파트, 학교, 관공서, 공장 등에 구비된 자동화기기의 각각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아파트에 설치된 현관문 시건장치, 조명 점등장치,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가 외부디바이스(2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명령문서 독출모듈(210)은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로부터 인가받은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10)를 수신하고, 수신한 명령문서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여 작업규약 변환모듈(220)로 인가한다.
이때, 명령문서(10)는 상기 디바이스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와의 참조를 통해 기저장된 명령문서를 수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FID 리더기를 통해 독출될 수 있다.
작업규약 변환모듈(220)은 통신채널 규약을 각각의 외부디바이스(20)들이 해석 가능한 통신채널 정보로 변환하고, 작업수행 규약을 외부디바이스(20)들이 해석 가능한 규약(이하,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하여 응용프로그램 생성모듈(240)로 인가한다.
템플릿DB(230)는 각각 외부디바이스(20)들과의 통신연결을 위한 채널목록들을 기저장하는 저장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 디바이스 컴퓨터시스템 내부의 메모리 및 드라이버레벨 등에 상주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 생성모듈(240)은 템플릿DB(230)에 기저장된 채널목록을 참조하여 통신채널 정보를 각각의 외부디바이스(20)와 통신연결을 위한 템플릿 코드로 생성하고, 작업실행 규약을 규약에 따라 기설정된 작업을 실행토록 하는 명령함수로 생성하며,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compile)하여 템플릿 코드와 함께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로 인가한다.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은 사용자로부터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받은 키 입력신호, 및 스피커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디바이스서버(100)가 수신 가능한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생성함과 아울러 생성된 명령정보 요청정보를 명령문서 독출모듈(210)로 인가하고, 템플릿 코드를 참조하여 각각의 외부디바이스(20)들이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방법에 관하여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변환하여 디바이스서버(100)로 송신하며,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10)를 수신하는 제 1 과정(S10),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수신한 명령문서(10)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여 이를 각각의 외부디바이스(20)들이 해석 가능한 통신채널 정보 및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하는 제 2 과정(S20), 템플릿DB(230)에 기저장된 채널목록을 참조하여 통신채널 정보를 템플릿 코드로 생성하고, 작업실행 규약을 명령함수로 생성함과 아울러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하는 제 3 과정(S30), 및 템플릿 코드를 참조하여 각각의 외부디바이스(20)가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4 과정(S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5 를 참조하여 상기 S10 과정을 살피면,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고(S11),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이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바이스서버(100)가 수신 가능한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변환하며(S12),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이 변환된 명령문서 요청정보를 명령문서 독출모듈(210)로 인가하고(S13), 명령문서 독출모듈(210)이 디바이스서버(100)로 송신한 명령문서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명령문서(10)를 수신한다(S14).
또한, 구체적으로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S20 과정을 살피면, 명령문서 독출모듈(210)이 수신한 명령문서(10)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고(S21), 작업규약 변환모듈(220)이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각각의 외부디바이스(20)들이 해석 할 수 있는 통신채널 정보 및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한다(S22).
또한, 구체적으로 도 7 을 참조하여 상기 S30 과정을 살피면, 응용프로그램 생성모듈(240)이 템플릿DB(230)에 기저장된 채널목록을 참조하여 통신채널 정보를 각각의 외부디바이스(20)들과의 통신연결을 위한 템플릿 코드로 생성하고(S31), 작업실행 규약을 외부디바이스(20)들이 규약에 따라 기설정된 작업을 실행토록 하는 명령함수로 생성하며(S32),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한다(S33).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의 구성요소들간에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의 외부디바이스(2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방법의 제 1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방법의 제 2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방법의 제 3 과정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
10: 명령문서 20: 외부디바이스
100: 디바이스서버 200: 사용자 디바이스
210: 명령문서 독출모듈 220: 작업규약 변환모듈
230: 템플릿DB 240: 응용프로그램 생성모듈
250: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

Claims (9)

  1. 외부디바이스(20)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들이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수행 규약 및 통신채널 규약을 포함하는 명령문서(10)들을 기저장하며,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10)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디바이스서버(100);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변환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서버(100)로 송신하고, 송신한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10)를 수신하며, 상기 명령문서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여 이를 각각의 외부디바이스(20)들이 해석 가능한 통신채널 정보 및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하고, 상기 통신채널 정보를 템플릿 코드로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작업실행 규약을 분석하여 명령함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하여 상기 외부디바이스(20)들을 제어하는 사용자 디바이스(200);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로부터 인가받은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를 상기 디바이스서버(1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명령문서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는 명령문서 독출모듈(210)과; 상기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상기 외부디바이스(20)가 해석 가능한 통신채널 정보 및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하는 작업규약 변환모듈(220)과; 상기 외부디바이스(20)와의 통신연결을 위한 채널목록들을 기저장하는 템플릿DB(230)와; 상기 채널목록을 참조하여 상기 통신채널 정보를 상기 외부디바이스(20)와 통신연결을 위한 템플릿 코드로 생성하고, 상기 작업실행 규약을 규약에 따라 기설정된 작업을 실행토록 하는 명령함수로 생성하며,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하여 상기 템플릿 코드와 함께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로 인가하는 응용프로그램 생성모듈(240);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받은 키 입력신호, 및 스피커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상기 디바이스서버(100)가 수신 가능한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생성함과 아울러 생성된 명령문서 요청정보를 상기 명령문서 독출모듈(210)로 인가하고, 상기 템플릿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외부디바이스(20)가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제어하는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문서(10)는,
    온톨로지 언어(Ontology Language) 형식으로 구성되며,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및 웹 온톨로지 언어(OWL: Web Ontology Languag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디바이스(20)는, 상기 템플릿 코드를 참조하여 기계어로 컴파일된 각각의 명령함수에 따라 기동하는 복수개의 모듈로 구성되며, 아파트, 학교, 관공서, 공장에 구비된 자동화기기의 각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디바이스(20)는,
    상기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이송모듈;
    상기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상기 자동화기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모듈;
    상기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상기 자동화기기를 지지ㆍ고정하는 파지모듈;
    상기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휴대단말기 및 PDA에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안테나모듈;
    상기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와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 및
    상기 기계어로 컴파일된 명령함수와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시스템.
  6.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변환하여 디바이스서버(100)로 송신하며, 상기 명령문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명령문서(10)를 수신하는 제 1 과정;
    수신한 명령문서(10)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여 이를 각각의 외부디바이스(20)들이 해석 가능한 통신채널 정보 및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하는 제 2 과정;
    템플릿DB(230)에 기저장된 채널목록을 참조하여 상기 통신채널 정보를 템플릿 코드로 생성하고, 상기 작업실행 규약을 명령함수로 생성함과 아울러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하는 제 3 과정; 및
    상기 템플릿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외부디바이스(20)가 컴파일된 명령함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4 과정; 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과정은,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이 상기 키 입력신호 및 음성신호를 상기 디바이스서버(100)가 수신 가능한 명령문서 요청정보로 변환하는 단계와;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듈(250)이 상기 변환된 명령문서 요청정보를 명령문서 독출모듈(210)로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문서 독출모듈(210)이 디바이스서버(100)로 송신한 명령문서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명령문서(10)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명령문서 독출모듈(210)이 수신한 명령문서(10)에 포함된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독출하는 단계; 및
    작업규약 변환모듈(220)이 상기 통신채널 규약 및 작업수행 규약을 각각의 외부디바이스(20)들이 해석 할 수 있는 통신채널 정보 및 작업실행 규약으로 변환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응용프로그램 생성모듈(240)이 템플릿DB(230)에 기저장된 채널목록을 참조하여 상기 통신채널 정보를 각각의 외부디바이스(20)들과의 통신연결을 위한 템플릿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실행 규약을 외부디바이스(20)들이 규약에 따라 기설정된 작업을 실행토록 하는 명령함수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명령함수를 기계어로 컴파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 생성방법.
KR20080042655A 2008-05-08 2008-05-08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2655A KR100972960B1 (ko) 2008-05-08 2008-05-08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2655A KR100972960B1 (ko) 2008-05-08 2008-05-08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865A KR20090116865A (ko) 2009-11-12
KR100972960B1 true KR100972960B1 (ko) 2010-07-30

Family

ID=4160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2655A KR100972960B1 (ko) 2008-05-08 2008-05-08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9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976A (ko) * 2001-04-12 2001-07-13 이경일 인터넷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13732A (ko) * 2001-08-09 2003-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976A (ko) * 2001-04-12 2001-07-13 이경일 인터넷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13732A (ko) * 2001-08-09 2003-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 홈서버의 가전기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865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4534E1 (en) Dynamic machine synthesis for wireless device access and management
US20080255852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voice command processing
US7730199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cessing a data stream
JP200817811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データ生成ユニット、遠隔制御機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データ生成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データの決定方法、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データ
KR20070060957A (ko)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원격 제어 방법
JP2018036972A (ja) ファイルフォーマット変換装置及びその変換方法
US7392060B2 (en) Mobile exchange infrastructure
KR100972960B1 (ko) 외부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자동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487387A (zh) 智能家居控制方法及装置
CN105867317B (zh) 一种指令下达、接收方法、装置及智能家居系统
US200301588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Pawar et al. Priot: Prototyping the internet of things
US8813044B2 (en) Dynamic optimization of mobile services
CN101546474B (zh) 遥控器以及其系统
López-de-Ipiña et al. Touch computing: Simplifying human to environment interaction through NFC technology
KR100946666B1 (ko) 사용자기기의 키패드를 이용한 외부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70035892A (ko) 연료전지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547346B1 (ko) 업무통합 연동을 위한 동기/비동기 통신방식의 동적 전문 관리시스템
JP7421669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での簡易plcプログラミング
CN104010026A (zh) 一种控制家电的方法、装置和家电控制系统
US20080256560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interacting with services through a native user interface in a soa environment
KR100679631B1 (ko) 인증정보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증정보 관리방법
KR100653084B1 (ko) 홈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페이지 자동설정방법 및 이를적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JP2007274107A (ja) Ip電話機遠隔操作システム
JP372825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