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266A -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 Google Patents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266A
KR20030013266A KR1020020045223A KR20020045223A KR20030013266A KR 20030013266 A KR20030013266 A KR 20030013266A KR 1020020045223 A KR1020020045223 A KR 1020020045223A KR 20020045223 A KR20020045223 A KR 20020045223A KR 20030013266 A KR20030013266 A KR 20030013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polymer elastic
layer
polymer
elastic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쿠마노리오
츠츠미야스히로
와타나베가주마사
Original Assignee
이치가와 게오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가와 게오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가와 게오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3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26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1/00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1/00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 D21G1/0066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using a special calendering belt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21F3/0209Wet presses with extended press nip
    • D21F3/0218Shoe presses
    • D21F3/0227Belts or sleev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21F3/0209Wet presses with extended press nip
    • D21F3/0218Shoe presses
    • D21F3/0227Belts or sleeves therefor
    • D21F3/0236Belts or sleeves therefor manufacturing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83Hard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6Voids specified as clo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6Voids specified as closed
    • Y10T428/249977Specified thickness of void-containing component [absolute or relative], numerical cell dimension or den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50FELT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종래형의 탄성벨트 있어서, 고분자탄성부재층의 수지 특성만으로 유연성을 발휘시키는 경우는 구조적 강도가 부족하고, 스프레이 분사로 보유기포에 의해 유연성을 확보하려고 하면 제조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등의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문제를 해소한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체의 종이시트에 접하는 측을 고분자탄성부재층으로 피복하여 형성되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탄성부재층이 치밀한 제1고분자탄성부재층과 무수한 공극을 갖는 제2고분자탄성부재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극을 갖는 중층에 의한 유연성과 치밀한 표층에 의해 종이시트의 요철에 대한 추종성을 얻어질 수 있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Elastic belt for papermaking calender}
본 발명은 자신의 내구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종이의 표면평활성(表面平滑性)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종이의 표면평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카렌다 가공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 카렌다 가공을 위한 카렌다장치에는 여러 종의 형태가 있지만, 그 대표적인 카렌다장치에는 ① 한 쌍의 강철제 롤러로 닛프를 구성하는 머신카렌다와 ② 강철제 롤러를 탄성커버로 입힌 탄성롤러와 강철제로 닛프를 구성하는 슈퍼카렌다가 있다.
상기①의 머신카렌다는 닛프가 경질롤러들의 선압으로 종이의 밀도가 높은 부분에 보다 강한 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는 밀도변화가 생길 뿐만 아니라, 인쇄의 균일성을 저하시킨다. 한편, 상기 ②의 슈퍼카렌다는 탄성커버의 작용에 의해 닛프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상기 머신카렌다의 결점을 약간 해결할 수 있지만, 탄성커버와 이 탄성커버가 감겨져있는 롤러와의 사이에 열이 축적되기 때문에 탄성커버가 박리(剝離)하는 일도 있고,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근년, 상기 머신카렌다와 수퍼카렌다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탄성재료에 의해 구성된 무단상(無端狀)의 벨트를 사용하는 카렌다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를 8도 및 9도에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한 카렌다장치는 강철제의 상하롤러(P₁, P₂)사이에 형성된 닛프부(Pa)를 긴탄성벨트(1)상에 겹쳐서 종이시트(W)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이 긴탄성벨트(1)는 하부롤러(P₂)의 원주를 크게 무단상으로 돌아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롤러(P₁)는 가열장치(도시무)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긴탄성벨트(1)의 상면에 있는 종이시트(W)는 닛프부(Pa)에 도달하여 상하롤러(P₁, P₂)에서 협지되어지면, 프레스롤러에 당접되는 표면(제1표면, W₁)은 평활하게 되고, 긴탄성벨트(1)에 당접되는 표면(제2표면, W₂)은 벨트표면의 영향에 의해 제1표면(W₁)정도로는 평활하게 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이시트(W)는 전체의 밀도를 그 정도로, 변경하지 않고 인쇄에 적합한 표면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이시트(W)의 제2표면(W₂)에 있어서도 높은 평활성을 구하는 경우에는 탄성벨트(1)를 사용하지 않는 카렌다장치를 전단에 예비적으로 설치하는 것 등에 의해 해결할 수가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카렌다장치는 강철제의 롤러(P₃)와 프레스슈우(S)와 닛프부(Pb)에, 짧은탄성벨트(1)상에 겹쳐서 종이시트(W)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이 짧은탄성벨트(1)는 프레스슈우(S) 원주를 작게 무단상으로 돌아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내주측에는 윤활재가 적시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탄성벨트(1)의 상면에 있는 종이시트(W)는 닛프부(Pb)의 통과로 강철제의 롤러(P₃)에 당접되는 표면(제1표면, W₁)은 평활하게 되는 카렌다 효과에 대해서는 제8 도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지 않지만, 탄성벨트(1)에 당접되는 표면(제2표면, W₂)은 프레스슈우(S)를 사용한 닛프부(Pb)에 있어서 가압폭이 확대되기 때문에 제8 도에 도시한 카렌다장치의 경우보다 평활성이 우수한 표면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프레스슈우(S)를 사용한 닛프부(Pb)를 구성시키는 8도에 도시한 카렌다장치는, 8도에 도시한 카렌다장치에 비하여 탄성벨트(1)의 내주측에 공급되는 오일의 비산방지책을 채택하기 쉽다는 이점도 갖추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렌다장치에 사용되는 탄성벨트(1)에 요구되어 지는 특성으로서 「종이시트에 접하는 측의 고분자탄성부재층의 유연성」 「프레스측에 접하는 부분의 내구성」이 열거되어 진다. 이것들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으로서, 종래 몇 개의 제안이 되어져 있다. 예를 들면, 특표평(特表平)10-501852호, 특개소(特開昭)60-88193호 이다. 이것 중 전자(특표평10-501852호)의 종래형의 탄성벨트를 도 10에서 도시하고, 후자(특개소 60-88193호)의 종래형의 탄성벨트를 도 11에서 도시한다.
도 10에서 도시하는 종래형의 탄성벨트(1′)는, 벨트 전체의 강도를 발현시키기 위한 기체(2)와 이 기체(2)의 종이시트에 접하는 측(2a)을 피복하는 종이시트측 고분자탄성부재(3)와 기체(2)의 종이시트에 접하는 측과 반대측(프레스롤러, 프레스슈우 등에 접하는 측, 2b)을 피복하는 프레스측 고분자탄성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체(2)는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이시트측 고분자탄성부재(3)는 상술한 제1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유연하게 구성되고, 프레스측 고분자탄성부재(4)는 종이시트측 고분자탄성부재(3)보다 높은 경도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탄성벨트(1)의 종이시트측 고분자탄성부재(3)는 종이시트의 요철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프레스측 고분자탄성부재(4)는 내구성의 향상에 기여하도록 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종래형의 탄성벨트(1˝)는, 기체(2)의 종이시트측(1a)을 피복하는 종이시트측 고분자탄성부재(3´)를 갖고, 프레스측(1b)은 경사와 위사로 직제된 직포로 만들어지는 기체(2)가 그 대로 노출되고 있다. 이 기체(2)는 탄성벨트(1)의 전체의 강도를 발현시키기 데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종이시트측 고분자탄성부재(3´)는 기체(2)상에 수지재료를 스프레이로 도포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고, 층내에 기포(5)를 보유시키고 있다.
그러나, 도 10에서 도시하는 종래형의 탄성벨트(1′)에 있어서는, 종이시트측 고분자탄성부재(3)의 수지특성만으로, 보다 유연한 쿠션성을 발휘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적 강도가 부족하고, 신연, 파단(破斷)이 생기기 쉽게될 가능성이 있고, 기체(2)와의 사이에서 박리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하는 종래형의 탄성벨트(1˝)의 경우에는, 보유기포에 의해 유연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이러한 기포는 스프레이 분사에 의해 혼입되어 지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요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고, 합성수지의 유동성에 의해 생긴 기포는 수축 등에 의하여 안정된 큰 것이 얻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형의 탄성벨트가 갖는 많은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제지카렌다용으로서 최적의 유연성(쿠션성)을 갖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체의 종이시트에 접하는 측을 고분자탄성부재층으로 피복하여 형성되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탄성부재층이 치밀한 제1고분자탄성부재층과 무수한 공극을 갖는 제2고분자탄성부재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극을 갖는 중층에 의한 유연성과, 치밀한 표층에 의하여 종이시트의 요철에 대하는 추종성이 얻어질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청구범위 제 2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무수한 공극이 고분자탄성부재중에 혼입한 중공 휠라 또는 중공 마아크로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물리적으로 안정된 크기의 기포가 형성되도록 구성했다.
또한 청구범위 제 3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무수한 공극이 고분자탄성부재중에 기포혼입기에 의해 혼입된 기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계적으로 안정된 크기의 기포가 형성되도록 구성했다.
또한 청구범위 제 4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무수한 공극이 고분자탄성부재중에 혼입된 발포제의 작용에 의해 생긴 기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화학적으로 안정된 크기의 기포가 형성되도록 구성했다.
또한 청구범위 제 5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제1고분자탄성부재층이 JIS A 85∼95°의 경도, 제2고분자탄성부재가 제1고분자탄성부재층과 동등하던가, JIS A 80∼85°의 경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표층과 심층의 경도의 밸런스가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했다.
또한 청구범위 제 6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기체의 종이시트에 접하는 측과 반대의 측인 프레스측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 코스트의 저감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청구범위 제 7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기체의 프레스측이 제3고분자탄성부재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프레스측에 접하는 부분의 내구성과 내주측에 공급되는 오일의 불투과성의 요구를 보다 만족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청구범위 제 8항의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제3고분자탄성부재층이 JIS A 85∼95°의 경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프레스측에 접하는 부분의 내구성과 내주측에 공급되는 오일의 불투과성의 요구를 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도 1은 본원 탄성벨트의 일 실시태양을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2는 본원 탄성벨트의 타의 실시태양을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3은 본원 탄성벨트의 또 다른 실시태양을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4는 본원 탄성벨트의 다시 또 다른 실시태양을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5는 길이가 긴 본원 탄성벨트의 제조장치의 단면도,
도 6은 길이가 짧은 본원 탄성벨트의 제조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원 탄성벨트의 실시예1∼5와 비교예1과의 평가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탄성재료에 의해 구성된 무단상의 벨트를 사용하는 카렌다장치(강철제의 상하 롤러를 사용한 것)의 요부단면도,
도 9는 탄성재료에 의해 구성된 무단상의 벨트를 사용하는 카렌다장치(강철제 롤러와 프레스 슈우를 사용한 것)의 요부단면도,
도 10은 종래형의 탄성벨트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11은 종래형의 타의 탄성벨트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원 탄성벨트 11 : 기체
11a : 종이 시트 측 11b : 프레스 측
12 : 고분자탄성부재층 12a : 제1고분자탄성부재층
12b : 제2고분자탄성부재층 13 : 공극
14 : 제3고분자탄성부재층 A : 제3고분자탄성부재층의 외면
B : 기체의 프레스측 외면 T : 탱크
PR : 각반기 PO : 펌프
R : 유로 F : 트래버스장치
N : 노즐 SK : 스크레퍼
1 : 긴(짧은) 탄성벨트 1´: 종래형 탄성벨트
1″: 종래형 탄성벨트 2 : 기체
2a : 기체의 종이시트 측 2b : 기체의 프레스 측
3 : 종이시트측 고분자탄성부재층 3′: 종이시트측 고분자탄성부재층
4 : 프레스측 고분자탄성부재층 W : 종이시트
W₁: 종이시트의 제1표면 W₂: 종이시트의 제2표면
R₁, R₂: 롤러 P₁, P₂: 강철제의 상하롤러
Pa : 닛프부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태양을 도 1∼도 7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본원 탄성벨트(10)는 기체(11)의 종이시트에 접하는 측(11a)을 고분자탄성부재층(12)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 고분자탄성부재층(12)은 표층으로 되는 치밀한 제1고분자탄성부재층(12a)과 무수한 공극(13)을 갖는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체(11)의 프레스측(프레스롤러, 프레스슈우 등에 접하는 측, 11b)은 기체(11)가 노출된 채로 되어 있다.
상기 기체(11)의 프레스측(11b)은,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을 구성할 시에, 그 구성수지로, 도 2와 같이, 피복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에 있는 공극(13)이 기체(11)의 프레스측(11b)의 수지 중에도 함유되어 있다{공극(13)을 갖지 않도록 일도 있다}.
상기 기체(11)는 본원 탄성벨트(10)의 전체의 강도를 발현하기 위하여 기여한다. 기체(11)로서는, 경사와 위사를 소망의 조직으로 직제한 직포로 구성되는 것, 경사와 위사를 교차상태로 중합시킨 것으로 직제하지 않은 것, 세폭(細幅)의 대상체(帶狀體)를 폭 방향으로 일부 중첩(스파이럴형상으로 감음)시킨 것, 그 외종방향과 횡방향의 강도를 갖는 부재를 지칭하고 그것들이 적의 선택 사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즉, 기체(11)는 그 두께방향의 중간부위에서 종이시트측으로 부터 수지층과 프레스측으로 부터 수지층을 접합시키기 위하여, 이 부위에 미리 충전사를 삽입하여 놓는 일도 있다.
상기 기체(11)의 종이시트측의 고분자탄성부재층(12)은 표층을 구성하는 제1고분자탄성부재층(12a)과 중층을 구성하는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을 갖는다. 상기 제1고분자탄성부재층(12a)은 종이표면을 평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공극이 존재하지 않는 치밀한 층으로 되어있다. 한편, 상기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은 무수한 공극(13)을 갖는 유연한 층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본원 탄성벨트(10)는 중층이 바란스가 좋은 쿠션성을, 표층이 종이시트의 요철에 대한 추종성을 각각 발휘함과 동시에, 표층과 중층내에 보유하는 공극(13)의 흔적을 종이시트에 전사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공극이 존재하지 않는 치밀한 층인 제1고분자탄성부재층(12a)의 형성은 , 본원 탄성벨트(10)의 경도를 높이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이 제1고분자탄성부재층(12a)은, 구체적으로는 1㎜ 이하의 극히 얇은 층으로 구성되지만, 이 층의 배치비율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본원 탄성벨트(10)는 구조적으로 경도가 높게된다. 그래서, 사용수지에는 평활성이 뛰어난 폴리우레탄수지가 우수하다. 또한, 표면조도를 20㎛이하로 하면 좋다고 판정하고 있다. 다시, 제1고분자탄성부재층(12a)의 사용수지의 경도는 JIS A 85∼95°의 범위로 선택하면 좋다.
상기 무수한 공극(13)을 갖는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은 본원탄성벨트(10)의 유연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이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의 배치비율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유연도를 높일 수 있다. 사용수지로는 폴리우레탄수지이던지 이소프렌 고무가 적당하다. 이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에 사용되는 수지경도는 제1고분자탄성부재층(12a)과 동등하던가, JIS A 80∼85°와 같이 약간 낮은 경도로 하는 것이, 본원 탄성벨트(10)의 전체의 쿠션성의 향상과 기체의 마크를 해소하는 데에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본원 탄성벨트(10)는, 도 1에 도시하는 본원 탄성벨트(10)와 같이, 기체(11)의 종이시트측(11a)을 피복하는 고분자탄성부재층(12)이 치밀한 표층으로 되는 제1고분자탄성부재층(12a)과 무수한 공극(13)을 갖는 유연한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으로 구성되는 점에서는 공통이지만, 기체(11)의 프레스측(11b)을 제3고분자탄성부재(14)로 피복한 점에 특징이 있다. 제3고분자탄성부재(14)로 피복한 프레스측(11b)은 단순히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내주측에 공급되는 오일의 불투과성의 요구를 보다 만족시킨다. 도 3의 경우, 제3고분자탄성부재(14)의 외면 A는, 상기 기체(11)의 프레스측(11b)의 외면 B와 일치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본원 탄성벨트(10)는, 기체(11)의 종이시트측(11a)을 피복하는 고분자탄성부재층(12)이 치밀한 표층으로 되는 제1고분자탄성부재층(12a)과 무수한 공극(13)을 갖는 유연한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으로 구성되는 점 및 기체(11)의 프레스측(11b)을 제3고분자탄성부재(14)로 피복한 점은 도 3에 도시하는 본원 탄성벨트(10)와 공통이지만, 본 도의 경우에는, 제3고분자탄성부재(14)의 외면 A가 기체(11)의 프레스측(11b)의 외면 B를 초과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갖고 있다. 이것은 「종이시트에 접하는 측의 고분자탄성부재층의 유연성」, 「프레스측에 접하는 부분의 내구성」의 요구를 만족하는 데에 유효하다.
상기 기체(11)의 프레스측(11b)을 피복한 제3고분자탄성부재층(14)의 외면 A는, 카렌다장치의 구성부품인 롤러, 실린더 및 스쿠레버 등과 접촉하는 프레스측 표면으로 되어 대마모성을 높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경도는 JIS A 85∼95°의 범위로 선택하면 적당하다. 제3고분자탄성부재층(14)의 구조적 경도의 조정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공극을 형성하여 그 형성비율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최적 경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있다.
본원 탄성벨트(10)의 종이시트측(11a)의 고분자탄성부재층(12)을 구성하는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이 갖는 무수한 공극(13)으로서는, 이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의 구성재료 중에 중공 휠라 또는 중공 마아크로캡슐을 혼입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 공극(13)의 직경은 100㎛ 정도가 양호한 것이 확인되고 있다.
상기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중의 공극(13)의 비율(공극율)은 2∼30% 정도가 바람직 한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이 공극(13)의 공극율을 유지하는 데에는 중공 휠라 또는 중공 마아크로캡슐의 혼입량을 수지분(樹脂分)에 대하여 0.5∼50% 중량%로 하면 좋다.
상기 공극(13)은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중에 미리 기포혼입기(도시무)에 의해 혼입한다고 하는 기계적 수단으로 얻은 기포도, 밀 혼입한 발포제의 발포작용이라고 하는 화학적 수단으로 얻은 기포라도 좋지만, 어떤 수단에 의한 기포라도 안정된 크기인 것이 양호한 쿠션성을 확보하는 데에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중공 휠라 또는 중공 마아크로캡슐을 사용한 경우에는 안정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극(13)을 갖는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b)과 프레스측의 제3고분자탄성부재층(14)은, 고무, 에라스토마 중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수지이던지, 그의 물성면으로 하면 열경화성 우레탄수지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에 의하여 본원 탄성벨트(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고분자탄성재료(Z)를 수용한 탱크(T) 내에 각반기(PR)를 회전시켜 투입된 중공 휠라 또는 중공 마아크로캡슐(CM)을 고분자탄성재료(Z)중에 균등하게 혼입시켜, 이 중공 휠라 또는 중공 마아크로캡슐(CM)을 갖는 고분자탄성재료(Z)를 펌프(PO)에서 탱크(T)에서 흡인하여, 유로(R), 트래버스장치(F) 및 노즐(N)을 경유하여 롤러(R₁, R₂)사이에 무단상으로 설치되고 화살표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기체(11, 종이시트측 11a로 된다)상에 균등하게 도포한다. 너무 많이 도포된 고분자탄성재료는 스크레퍼(SK)로 제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기체(11)의 종이시트측(11a)상에 중공 휠라 또는 중공 마아크로캡슐(CM)을 갖는 고분자탄성재료(Z)에 의해 고분자탄성부재층(12)을 형성한 후 , 이 층(12)을 도시하지 않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경화 시켜 소정의 경도에 도달하면, 그 위에 기체 등을 혼입하고 있지 않은 고분자탄성재료(Z)에 의해 제1고분자탄성부재층(12a)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열경화시켜, 이 제1고분자탄성부재층(12a)이 경화한 후 표면을 연마하여 본원 탄성벨트(10)를 완성시킨다.
다음으로, 기체(11)의 프레스측(11b)에 제3고분자탄성재료층(14)을 피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롤러(R₁, R₂)사이에 무단상으로 설치된 기체(11)를, 제1, 제2고분자탄성부재층(12a, 12b)과 함께 롤러(R₁, R₂)로부터 떼어내어,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표리를 반전시켜서 다시 한번 롤러(R₁, R₂)사이에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그 위(프레스측)에 기체 등을 혼입하고 있지 않은 고분자탄성재료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표면을 연마하는 것에 의하여 고분자탄성재료층(14)을 완성시킨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한 쌍의 롤러(R₁, R₂)사이에 기체(11)를 설치하여 본원 탄성벨트(10 )의 제조방법을 설명했지만, 도 6과 같이 단일의 롤러(R₃)상에서 기체(11)의 배치 및 고분자탄성재료의 도포작업을 행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특히 본원 탄성벨트(10 )를 짧은 탄성벨트로 제조하는 경우에 우수한 방법이다. 그 작업 수순은 상기 도 5의 것과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원 탄성벨트(10 )를 구성하는 경우, 기체(11)의 종이시트측(11a)을 피복한 제2고분자탄성재료층(12b)과 프레스 측(11b)을 피복한 제3고분자탄성재료층(14)과의 접합면(경계)은 기체(11)의 상면에 있는 경우와, 기체(11)의 후방향의 중간(이 경우에는 기체의 중간에 충전사를 삽입하여 놓으면 좋다)에 있는 경우와, 기체(11)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가 있다.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는 자유롭게 결정하여도 좋다.
(실시예1)
삼중직(三重織)의 직포로 되는 기체(11)의 종이시트측(11a)에, 중공 마아크로캡슐을 2중량% 혼입한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하여 제2고분자탄성재료층(12b; 경도=JIS A90°)을 구성하고, 그 위에 동 재료(폴리우레탄)로 되는 치밀한 제1고분자탄성재료층(12a; 경도=JIS A85°)을 두께 1㎜로 구성하고, 연마후 기체(11)의 프레스 측(11b)을 동 재료(폴리우레탄)로 피복하여 제3고분자탄성재료층(경도=JIS A90°)을 구성하여 본원 탄성벨트를 얻었다. 이 경우, 제2고분자탄성재료층과 제3고분자탄성재료층의 접합면(경계)은 기포(11)의 상면이다.
(실시예2)
삼중직(三重織)의 직포로 되는 기체(11)의 종이시트측(11a)에, 중공 마아크로캡슐을 2중량% 혼입한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하여 제2고분자탄성재료층(12b; 경도=JIS A90°)을 구성하고, 그 위에 이소프렌 고무 (Isoprene rubber)로 되는 치밀한 제1고분자탄성재료층(12a; 경도=JIS A80°)을 두께 1㎜로 구성하고, 연마후 기체(11)의 프레스 측(11b)을 동 재료(폴리우레탄)로 피복하여 제3고분자탄성재료층(경도=JIS A85°)을 구성하여 본원 탄성벨트를 얻었다. 이 경우, 제2고분자탄성재료층과 제3고분자탄성재료층의 접합면(경계)은 기포(11)의 상면이다.
(실시예3)
삼중직(三重織)의 직포로 되는 기체(11)의 종이시트측(11a)에, 발포제에 의한 독립기포를 15% 혼입한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하여 제2고분자탄성재료층(12b; 경도=JIS A85°)을 구성하고, 그 위에 이소프렌 고무 (Isoprene rubber)로 되는 치밀한 제1고분자탄성재료층(12a; 경도=JIS A80°)을 두께 1㎜로 구성하고, 연마후 기체(11)의 프레스 측(11b)을 폴리우레탄으로 피복하여 제3고분자탄성재료층(경도=JIS A85°)을 구성하여 본원 탄성벨트를 얻었다. 이 경우, 제2고분자탄성재료층과 제3고분자탄성재료층의 접합면(경계)은 기포(11)의 상면이다.
(실시예4)
삼중직(三重織)의 직포로 되는 기체(11)의 종이시트측(11a)에, 중공 마아크로캡슐을 2중량% 혼입한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하여 제2고분자탄성재료층(12b; 경도=JIS A90°)을 구성하고, 그 위에 동 재료(폴리우레탄)로 되는 치밀한 제1고분자탄성재료층(12a; 경도=JIS A85°)을 두께 1㎜로 구성하고, 연마후 기체(11)의 프레스 측(11b)을 동 재료(폴리우레탄)로 피복하여 제3고분자탄성재료층(경도=JIS A90°)을 구성하여 본원 탄성벨트를 얻었다. 이 경우, 제2고분자탄성재료층과 제3고분자탄성재료층의 접합면(경계)은 기포(11)의 두께의 중앙이다.
(실시예5)
삼중직(三重織)의 직포로 되는 기체(11)의 종이시트측(11a)에, 중공 마아크로캡슐을 2중량% 혼입한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하여 제2고분자탄성재료층(12b; 경도=JIS A90°)을 구성하고, 그 위에 동 재료(폴리우레탄)로 되는 치밀한 제1고분자탄성재료층(12a; 경도=JIS A85°)을 두께 1㎜로 구성하고, 연마후 기체(11)의 프레스 측(11b)을 동 재료(폴리우레탄)로 피복하여 제3고분자탄성재료층(경도=JIS A90°)을 구성하여 본원 탄성벨트를 얻었다. 이 경우, 제2고분자탄성재료층과 제3고분자탄성재료층의 접합면(경계)은 기포(11)의 상면이다.
(비교예)
삼중직(三重織)의 직포로 되는 기체(11)의 종이시트측(11a)에,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하여 제2고분자탄성재료층(12b; 경도=JIS A90°)을 구성하고, 그 위에 동 재료(폴리우레탄)로 되는 치밀한 제1고분자탄성재료층(12a; 경도=JIS A85°)을 두께 1㎜로 구성하고, 연마후 기체(11)의 프레스 측(11b)을 동 재료(폴리우레탄)로 피복하여 제3고분자탄성재료층(경도=JIS A90°)을 구성하여 본원 탄성벨트를 얻었다. 이 경우, 제2고분자탄성재료층과 제3고분자탄성재료층의 접합면(경계)은 기포(11)의 두께의 중앙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본원 탄성벨트에 대하여, 도 9에 도시하고 있는 카렌다장치를 사용하여, 카렌다효과 , 압축피로성, 굴곡피로성에 대한 평가(우, 양, 약간 좋음, 불량)한 결과와, 총합판정(우, 양, 불량)을 도 7의 표에 보였다. 여기서, 비교예 1은 중공마아크로캡슐을 혼입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이 표에 의하면, 실시예 1∼5는 카렌다효과 , 압축피로성, 굴곡피로성에 대해서는 약간 좋음이 포함되어 있지만, 우나 양이다. 비교예 1은 카렌다효과, 압축피로성, 굴곡피로성에 대해서는「우」이지만, 카렌다효과에 대해서는「불량」으로 되고 총합판정도 「불량」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체의 종이시트에 접하는 측을 고분자탄성부재층으로 피복하여 형성되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탄성부재층이 치밀한 제1고분자탄성부재층과 무수한 공극을 갖는 제2고분자탄성부재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무수한 공극을 갖는 중층에 의한 유연성과 양호한 쿠션성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치밀한 표층에 의해 종이시트의 요철에 대한 추종성을 얻어질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청구범위 제 2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무수한 공극이 고분자탄성부재중에 혼입한 중공 휠라 또는 중공 마아크로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고분자탄성부재층 중에 물리적으로 안정된 크기의 기포가 형성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청구범위 제 3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무수한 공극이 고분자탄성부재중에 기포혼입기에 의해 혼입된 기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고분자탄성부재층 중의 무수한 공극이 기계적으로 안정된 크기의 기포가 형성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청구범위 제 4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무수한 공극이 고분자탄성부재중에 혼입된 발포제의 작용에 의해 생긴 기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고분자탄성부재층 중의 무수한 공극이 화학적으로 안정된 크기의 기포가 형성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청구범위 제 5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제1고분자탄성부재층이 JIS A 85∼95°의 경도, 제2고분자탄성부재가 제1고분자탄성부재층과 동등하던가, JIS A 80∼85°의 경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표층과 심층의 경도의 바란스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청구범위 제 6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기체의 종이시트에 접하는 측과 반대의 측인 프레스측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의 저감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청구범위 제 7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기체의 프레스측이 제3고분자탄성부재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스측에 접하는 부분의 내구성과 내주측에 공급되는 오일의 불투과성의 요구를 보다 만족시킬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청구범위 제 8항의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제3고분자탄성부재층이 JIS A 85∼95°의 경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프레스측에 접하는 부분의 내구성과 내주측에 공급되는 오일의 불투과성의 요구를 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8)

  1. 기체의 종이시트에 접하는 측을 고분자탄성부재층으로 피복하여 형성되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탄성부재층이 치밀한 제1고분자탄성부재층과 무수한 공극을 갖는 제2고분자탄성부재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한 공극이 고분자탄성부재중에 혼입한 중공 휠라 또는 중공 마아크로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한 공극이 고분자탄성부재중에 기포혼입기에 의해 혼입된 기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한 공극이 고분자탄성부재중에 혼입된 발포제의 작용에 의해 생긴 기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분자탄성부재층이 JIS A 85∼95°의 경도, 제2고분자탄성부재가 제1고분자탄성부재층과 동등하던가, JIS A 80∼85°의 경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6. 제 1 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종이시트에 접하는 측과 반대의 측인 프레스측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7. 제 1 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프레스측이 제3고분자탄성부재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분자탄성부재층이 JIS A 85∼95°의 경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KR1020020045223A 2001-07-31 2002-07-31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KR200300132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2598A JP2003049383A (ja) 2001-07-31 2001-07-31 製紙カレンダ用弾性ベルト
JPJP-P-2001-00232598 2001-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266A true KR20030013266A (ko) 2003-02-14

Family

ID=1906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223A KR20030013266A (ko) 2001-07-31 2002-07-31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58291B2 (ko)
EP (1) EP1281808B1 (ko)
JP (1) JP2003049383A (ko)
KR (1) KR20030013266A (ko)
CN (1) CN1285461C (ko)
CA (1) CA2396106C (ko)
DE (1) DE6021463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7162A1 (de) * 2005-08-06 2007-02-08 Voith Patent Gmbh Papiermaschinenband
DE102005060590A1 (de) * 2005-12-17 2007-06-21 Voith Patent Gmbh Walzenmantel
DE102006003703A1 (de) * 2006-01-26 2007-08-02 Voith Patent Gmbh Transportband
DE102007019960A1 (de) * 2007-04-27 2008-11-06 Voith Patent Gmbh Verbesserungen bei Transferbändern, Hintergrund der Erfind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2620A (en) * 1983-09-19 1985-11-12 Beloit Corporation Paper machine belt
US5334418A (en) * 1991-11-15 1994-08-02 Reeves Brothers, Inc. Compressible fabric substrate
SE502960C2 (sv) 1994-06-15 1996-02-26 Nordiskafilt Ab Albany Arrangemang för kalandrering
DE69838755T3 (de) * 1997-04-02 2012-05-24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Polyurethanschaum,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von schäumen
JP2001089989A (ja) * 1999-09-20 2001-04-03 Ichikawa Woolen Textile Co Ltd 湿紙搬送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1162307B1 (de) * 2000-06-06 2003-11-12 Thomas Josef Heimba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Co. Schuhpressenband für Papier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0359A (zh) 2003-03-05
CA2396106C (en) 2008-01-15
CA2396106A1 (en) 2003-01-31
US6858291B2 (en) 2005-02-22
EP1281808A1 (en) 2003-02-05
JP2003049383A (ja) 2003-02-21
DE60214636D1 (de) 2006-10-26
EP1281808B1 (en) 2006-09-13
US20030024675A1 (en) 2003-02-06
DE60214636T2 (de) 2007-09-13
CN1285461C (zh) 200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8696B1 (en) Belt for papermaking
US4552620A (en) Paper machine belt
AU658808B2 (en) Endless belt for dewatering press
CA2054383C (en) Method for coating of a roll, and a roll coating
JP5227475B1 (ja) 湿紙搬送ベルト、抄紙システムおよび抄紙方法
KR100532551B1 (ko) 제지용 탄성벨트
US6331231B1 (en) Web transfer belt and production process for the same
EP2623667A1 (en) Paper making shoe press belt
KR20060108747A (ko) 프레스 벨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6225839A (ja) シュープレス用ベルト
KR20030013266A (ko) 제지카렌다용 탄성벨트
JP3803106B2 (ja) 製紙用ベルトおよび製紙用ベルトの製造方法
US20030024677A1 (en) Shoe press belt
CN110869556A (zh) 压套及其应用和用于制造压套的方法
KR20060031878A (ko) 프레스벨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슈프레스롤
JP2007500292A (ja) 溝を有する表面ベルト又は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