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205A -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 - Google Patents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205A
KR20030012205A KR1020010046141A KR20010046141A KR20030012205A KR 20030012205 A KR20030012205 A KR 20030012205A KR 1020010046141 A KR1020010046141 A KR 1020010046141A KR 20010046141 A KR20010046141 A KR 20010046141A KR 20030012205 A KR20030012205 A KR 20030012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dust separator
limit
hollow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킴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킴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킴스솔루션
Priority to KR102001004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2205A/ko
Publication of KR20030012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2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역학 필터를 장착하여 공기 정화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체가 통과되도록 내부에 중공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중공내에 설치되며,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원뿔형의 공기 흡입구(14); 상기 공기 흡입구(14)의 타측 단부와 연속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싱(10)의 중공내에 설치되며,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게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리미트(22)가 결합되는 원뿔형의 가요성 원뿔체(16); 상기 리미트(22)와 상기 인입 파이프(34) 사이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모듈(48); 및 상기 가요성 원뿔체(16)의 타측단부와 연속 결합되는 인입 파이프(3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AERODYNAMIC DUST SEPARATOR}
본 발명은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의 필터링을 실현하기 위한 설비는 기체가 통과하도록 된 커버를 구비한 것이 잘 알려져 있으나, 그 설비는 공기가 심하게 오염되었을 경우, 필터의 작동부가 신속하게 채워지기 때문에 장기간 연속적으로 작동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가스가 통과하는 케이징을 이용하는 분진 분리기를 이용하고 있는바, 케이징 내부에는 축을 따라 기체가 통과하는 커버를 이용한 가요성 원뿔체가 위치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 분진 트랩은 이외에도 공기 흡입구와 연속 파이프를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분진 분리기는 필터링되는 표면의 효율적인 정화 작용이 정기적으로 재생되어야 한다는 조건하에서만 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역학 필터를 장착하여 공기 정화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역학을 이용한분진 분리기의 일예로써, 기체가 통과되도록 내부에 중공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중공내에 설치되며,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원뿔형의 공기 흡입구; 상기 공기 흡입구의 타측 단부와 연속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중공내에 설치되며,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원뿔형의 가요성 원뿔체; 및 상기 가요성 원뿔체의 타측단부와 연속 결합되는 인입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공기역학 필터를 이용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것으로, 케이싱의 축 대칭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순차적으로 내부 원뿔형 캐비티를 형성하는 링 또는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순환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는 공기역학 분진 분리 모듈과 연결되는 기체가 통과하는 커버가 달린 가요성 원뿔체를 채용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를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마이크로 모듈만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 A "를 보인 부분 확대도; 및
도 4는 도 1의 " B "를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징 12 : 연결 플렌지
14 : 공기 흡입구 16 : 가요성 원뿔체
18 : 제 1부싱 20 : 제 1클램프
22 : 리미트 24 : 제 2클램프
26 : 서포트 28 : 스크류
30 : 너트 32 : 제 1링
34 : 인입 파이프 36 : 커넥션
38 : 플렌지 커넥션 40 : 제 1핀
42 : 제 2핀 44 : 제 1부싱
46 : 제 2부싱 48 : 마이크로 모듈
50 : 제 2링 52 : 인입 리미트
54 : 제 1커넥션링 56 : 제 2커넥션링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진 분리기를 전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분진 분리기중 마이크로 모듈 설비를 보여주며, 도 3에는 도 1의 분진 분리기 중 "A"의 확대도이며, 도 4에는 도 1의 분진 분리기 중 "B"의 확대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역학 분진 분리기는 케이싱(10), 연결 플렌지(12) 및 공기 흡입구(14)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축 대칭을 이루며 두께는 얇게 형성된다. 공기 흡입구(14)는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공기 흡입구(14)의 넓은 배출부에는 가요성 원뿔체(16)와 케이싱(10)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의 고정 방법은 가요성 원뿔체(16)와 제 1부싱(18)을 제 1클램프(20)에 의해 조여주는 것이다.
가요성 원뿔체(16)의 좁은 배출부에는 제 2클램프(24)를 이용하여 리미트(22)가 연결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리미트(22)는 서포트(26)에 포함되며, 스크류(10)에 의해 축방향으로 위치를 바꿀 수 있으며, 너트(30)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케이싱(10)은 너트(30)를 돌려서 필요한 만큼 조여준다. 케이싱(10)과 리미트(22)의 유입부가 유연하게 접하기 위해 제 1링(32)가 장착되어 있다. 리미트(22)의 출구는 인입 파이프(34)로 이어지며, 인입 파이프(34)는 커넥션(36)에 연결한다. 커넥션(14)은 플렌지 커넥션(38)를 통과하여 케이싱(10)의 대칭축에 대해 45도 각도로 장착한다.
공기 흡입구(14)과 서포트(9)의 축방향은 얇은 커버가 구부려져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 2싱(50)과 제 3부싱(47)에 삽입된 제 1핀(40)과 제 2핀(46,47)에 의해 유지된다.
리미트(22)는 인입 파이프(34) 사이에 공기역학 마이크로 모듈(20)을 장착하는 가능성도 고려된다. 이 모듈은 항공 역학적으로 판명된 제 2링(50)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인입 리미트(22)로 이어진다. 마이크로모듈(20)은 제 1커넥션링(23)과 제 2커넥션링(24)를 이용하여 가요성 원뿔체(16)의 리미트(70)에 조여 장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제시된 기술정 결정의 특징은 분진가스 혼합물이 우회하는 하드성분에게 특징적인 분진을 매개로 한 고착과 이후의 경화, 시멘트접합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한다는 것이다. 이를 방해하는 것은 가요성 원뿔체의 진동과 카오스 변형이다.
필터링 효과는 직물 가요성 효스로 된 필터의 효과와 대등하다. 그 필터와 달리 본 발명의 필터는 먼지가 쌓이지 않고 가요성 원뿔체의 좁은 부분과 분진 테이킹 파이프를 통해 분진 침전 호퍼로 나가게 된다.
분진 분리기의 가능성은 공기역학적 윤곽으로 형성된 하드 링 또는 플레이트 시스템에 속하는 다른 콘의 가요성 원뿔체의 아웃렛에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커진다. 두가지 종류의 농축기를 순차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공기 정화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는 천으로된 커버의 필터 능력이 저하되는 가장 협소하며 한정된 분진 분리기의 부분에서 정화된 공기가 빠져나가는 작용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기체가 통과되도록 내부에 중공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중공내에 설치되며,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원뿔형의 공기 흡입구(14);
    상기 공기 흡입구(14)의 타측 단부와 연속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싱(10)의 중공내에 설치되며,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게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리미트(22)가 결합되는 원뿔형의 가요성 원뿔체(16);
    상기 리미트(22)와 상기 인입 파이프(34) 사이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모듈(48); 및
    상기 가요성 원뿔체(16)의 타측단부와 연속 결합되는 인입 파이프(3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모듈(48)은 제 1커넥션링(23)과 제 2커넥션링(24)를 이용하여 상기 가요성 원뿔체(16)의 상기 리미트(70)에 조여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원뿔체(16)와 제 1부싱(18)은 제 1클램프(20)에 의해 조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원뿔체(16)의 좁은 배출부에는 제 2클램프(24)로써 상기 리미트(22)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14)와 상기 서포트(9)의 축방향은 얇은 케이싱(10)과 함께 자유롭게 구부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
KR1020010046141A 2001-07-31 2001-07-31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 KR20030012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141A KR20030012205A (ko) 2001-07-31 2001-07-31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141A KR20030012205A (ko) 2001-07-31 2001-07-31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205A true KR20030012205A (ko) 2003-02-12

Family

ID=2771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141A KR20030012205A (ko) 2001-07-31 2001-07-31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220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6159U (ko) * 1986-04-18 1987-11-24 유준상 공해방지용 대기오염가스 정화장치
KR920011561A (ko) * 1990-12-19 1992-07-24 양윤석 배기 가스 처리장치 및 배기 가스 처리방법
WO1996018450A1 (en) * 1994-12-15 1996-06-20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eparation of particulate from flue gas of fossil fuel combustion and gasifi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6159U (ko) * 1986-04-18 1987-11-24 유준상 공해방지용 대기오염가스 정화장치
KR920011561A (ko) * 1990-12-19 1992-07-24 양윤석 배기 가스 처리장치 및 배기 가스 처리방법
WO1996018450A1 (en) * 1994-12-15 1996-06-20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eparation of particulate from flue gas of fossil fuel combustion and gasif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7902A (en) Air cleaner system for over-highway trucks
KR100335882B1 (ko) 필터크리닝시스템및가스노즐
JP4804404B2 (ja) 燃料ポンプ装置及び燃料供給装置
EP2010303B1 (en) Fine filtering apparatus using flexible fiber filter module
US7648633B2 (en) Hollow fibre membrane module with a fixed structure
US4367080A (en) Pressure-gas connection for dust-laden gas filters
TW202015792A (zh) 中空絲膜模組
US4146469A (en) Mounting of cleaners in papermaking system
KR20120011407A (ko) 필터 조립체
JP4220465B2 (ja) 高圧下で給送される流体を濾過する装置
KR20030012205A (ko) 공기역학을 이용한 분진 분리기
US8663352B2 (en) System for purifying gas
JPH10180050A (ja) 膜分離装置
CN113060798A (zh) 可更换过滤膜组件的罐型过滤设备
US8069990B2 (en) Sealing gasket for a filter element, and a module including a filter element fitted with such a sealing gasket
NZ548552A (en) Filtration device including a loop and a circulation pump
US4096067A (en) Volume displacement rod and holder
KR20180033902A (ko) 중공사형 막 모듈
CA23449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hickening of fiber suspensions
CN209188524U (zh) 一种多孔进水管的超滤膜组件
CN219231977U (zh) 一种抗污染内压式超滤膜组件
CN219272580U (zh) 在线分析沉降过滤装置
CN219596034U (zh) 一种浆料过滤器
CN220531027U (zh) 一种应用于真空泵的空气过滤装置
SE9800317D0 (sv) Trycksil med skrotavskilj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