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700A -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및 잉크젯프린터 - Google Patents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및 잉크젯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700A
KR20030011700A KR1020020045001A KR20020045001A KR20030011700A KR 20030011700 A KR20030011700 A KR 20030011700A KR 1020020045001 A KR1020020045001 A KR 1020020045001A KR 20020045001 A KR20020045001 A KR 20020045001A KR 20030011700 A KR20030011700 A KR 20030011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inter
ink
mounting portion
re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터지온스콧디
존슨데이빗씨
한슨리사엠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Publication of KR2003001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7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4Bodily-changeable print heads 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부분 장착부 커버(180)는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을 작동 가능하게 그내에 수용하기 위해 챔버(80)의 전방부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커버(180)는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이 장착부(50)상에 완전히 설치될 때,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의 토우 단부(140) 위에 위치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182)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커버(180)는 토우-힐 설치 공정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만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 위로 연장한다. 따라서, 설치자가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의 토우 단부(140)를 먼저 장착하는 한, 장착부 커버(180)는 설치를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설치자가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을 다른 방법으로 설치하려 한다면, 커버(180)는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의 토우 단부(140)가 챔버(80)내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며, 그리하여 부적절한 설치 방법임을 설치자에게 경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180)는 장착부(50)에 피봇식으로 고정되고, 중립 위치로 바이어스되며, 장착부(50)로부터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색상을 갖는다.

Description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및 잉크젯 프린터{DEVICE FOR ENSURING PROPER TOE-HEEL INSTALLATION OF A DETACHABLE PRINTER COMPONENT}
본 발명은 잉크젯 인쇄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절한 토우-힐 설치 방법이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을 프린터상의 그것의 각 장착부에 고정하는데 이용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장착부 부분 커버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는 캐리지가 페이지를 가로질러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캐리지에 고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분사하여 페이지상에 그림이나 문자를 생성한다. 잉크젯 프린터의 예로는 플로터, 팩시밀리기 및 컴퓨터에 부착된 전형적인 잉크젯 프린터를 들 수 있다. 프린터가 인쇄하는 페이지로는 종이, 마일라(Mylar), 포일, 투명지, 카드 스톡(card stock) 등 어떠한 재료의 시트도 가능하다.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공급은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카트리지는 탈착식으로 고정되고 교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사용자는 단순히 오래된 빈 잉크 카트리지를 잉크가 가득한 새 카트리지로 교체한다. 소위 이러한 카트리지-타입 프린터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프린트헤드와 잉크통을 포함하는 유닛(이하 "잉크/프린트헤드 카트리지"로 지칭함)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잉크/프린트헤드 카트리지는 인쇄 작동 동안 페이지를 가로질러 전후방으로 주행하는 캐리지내에 안착된다.
대안으로는, 오프-축(off-axis) 프린터로 보통 알려진 일부 설계에 있어서, 잉크통은 프린터헤드로부터 분리 가능한 용기이며, 이 용기가 교체될 때 프린트헤드는 캐리지상에 장착된 상태로 남아있다. 전형적인 오프-축 프린터에서는 프린트헤드만이 페이지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반면, 잉크통은 고정적이며, 프린터의 베이스에 고정된다. 잉크는 고정 잉크통으로부터 연장하는 가요성의 잉크 이송 튜브를 거쳐 입구 포트로 이송된다. 전형적으로, 잉크통은 프린터 섀시에 장착되며, 고갈되었을 때 교체되거나 재충전될 수 있다. 오프-축 프린터에는 단색 인쇄용의 단일프린트헤드가 구비되거나 또는 컬러 인쇄용의 몇개의 프린트헤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컬러 인쇄를 위해서는, 각 색상에 대해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몇개의 잉크통 및 관련 튜브가 요구된다.
오프-축 프린터의 잉크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잉크 이송 튜브는 프린트헤드에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것은 프린트헤드의 교체를 방해한다. 프린트헤드는 잉크 방울을 수백만회 분사한 후 기계적인 파손이나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형적인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트헤드는 반드시 교체되도록 설계된다. 이와 유사하게, 카트리지 타입 또는 오프-축 타입 프린터에 사용되는 잉크통 또는 용기내의 잉크 공급은 프린터 시스템의 주변 구성품인 재충전 스테이션에서 보급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 구성품(예들 들어, 잉크 카트리지, 잉크통 또는 프린트헤드)의 특성에 관계없이, 그러한 구성품들은 프린터에 정확하게 연결되는 것을 확실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잉크/프린트헤드 카트리지 등의 구성품은 캐리지내에 적절하게 안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적절한 안착 및 위치 요건은 또한 오프-축 프린터에, 특히 몇개의 잉크통 및 연결된 잉크 이송 튜브가 수반되는 곳에 적용된다.
종래에는, 잉크/프린트헤드 카트리지, 잉크통 또는 프린트헤드 등의 교체 가능한 프린터 구성품이 프린터내의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다양한 기계적인 래치, 데이텀 특징부(datum features) 및 전기적인 식별 기술이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교체 가능한 프린터 구성품은 프린터 구성품이 부착되는 프린터의 장착부내의 적절한 오목부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유한 패턴의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확하게 설치되었을 때, 토우-힐형 프린터 구성품 장착은 특히 정밀하고, 신뢰할만하며, 그리고 내구성있는 연결부를 프린터 구성품과 관련 장착부 사이에 제공한다. 이러한 용어는 스키 바인더에 통상적인 스키 부츠를 끼워 넣는 방법과 유사하게 보이는 데서 유래한다. 즉, 스키어는 먼저 자신의 토우를 스키상의 전방 바인더에 위치시킨 다음, 스키 위에 올라서서 부츠의 힐 부분 주위에 후방 바인더를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토우-힐 프린터 구성품 설치는 우선 장착부의 전방을 향해 수용되는 적절한 장착대내로 프린터 구성품의 토우 단부를 작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와, 그 후 장착부의 후방을 향해 수용되는 적절한 장착대내로 프린터 구성품의 후방 단부를 스냅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토우-힐 프린터 구성품 장착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단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 구성품의 토우 단부가 우선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개념은 대부분의 프린터 사용자들에게 반드시 직관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설치자가 프린터 구성품의 후방 단부를 부적절하게 설치하는 경우, 토우 단부는 그것의 적절한 장착대에 고정되지 않을 것이며, 보통은 프린터 구성품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프린터 구성품의 후방 단부를 먼저 구성품 장착부내의 장착대에 부적절하게 설치한 후, 일부 사용자들은 토우 단부를 그것의 장착대에 결합하기 위해 무리한 힘을 가하려할 것이다. 그러한 힘은 종종 프린터 구성품의 조기 마모 또는 파손을 야기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토우-힐 프린터 구성품 장착대에 의해 제공되는 유용한 개선점에도 불구하고, 설치자가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적절한 토우-힐 설치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따르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한 단순하고 경제적인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지는 다른 이점과 더불어,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 사항을 실현한다.
본 발명은 프린터 구성품이 설치될 챔버의 전방부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부분 장착부 커버이다. 커버는 프린터 구성품의 토우 단부를 수용하는 챔버의 부분 위에 위치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을 포함한다. 프린터 구성품이 장착부상에 완전히 설치되면 편평한 상부 표면은 프린터 구성품 위에 위치되며, 전술한 토우-힐 설치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만 프린터 구성품 위로 연장한다.
따라서, 설치자가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토우-힐 설치를 수행하는 한, 장착부 커버는 설치를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설치자가 프린터 구성품을 토우-힐 설치 과정을 이용하는 대신 다른 방법으로 설치하려 한다면, 커버는 프린터 구성품의 토우 단부가 챔버내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며, 이에 의해 부적절한 설치를 설치자에게 경고한다. 또한, 커버는 설치자에게 시각적 장애물로서의 기능도 하며, 그리하여 프린터 구성품의 다른 부분을 설치하려 하기 전에, 토우 단부가 먼저 커바 아래로 설치되어야 함을 권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는 장착부로부터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색상이며, 또한 이 장치의 시각적인 장점을 강조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으로부터 장착부까지 연장하는 아암에 의해 피봇점에서 장착부에 피봇식으로 고정되고, 장착부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빔 스프링이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며, 그리하여 커버를 중립 위치에 바이어스시킨다. 빔 스프링 및 피봇점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이 올바른 토우-힐 설치 동안 상방으로 다소 편향되는 것을 허용하며, 그리하여 프린터 구성품의 토우 단부가 장착부의 적절한 영역내로 들어가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커버 아래로 프린터 구성품의 토우 단부가 들어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의 전연은 상향각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를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간략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캐리지의 확대 및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탈착식 키 요소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 캐리지 커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탈착식 잉크통이 분리된 상태와, 동일 잉크통이 캐리지상에 설치된 상태(점선으로 표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캐리지의 도 2의 5-5 선을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스프링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제 1 탈착식 키 요소의 확대 후방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제 2 탈착식 키 요소의 확대 후방 사시도,
도 9는 도 2의 캐리지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10-10 선을 따라 취한 도 9의 캐리지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11-11 선을 따라 취한 도 9의 캐리지의 확대 단면도로서, 실선으로 폐쇄 위치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가능한 개방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캐리지의 가능한 래치 해제 위치를 나타내는 도 2의 캐리지의 측면도,
도 13은 캐리지의 가능한 개방 위치를 나타내는 도 2의 캐리지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프린터24, 24a, 24b :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
26 : 섀시30 : 캐리지
32, 32a 내지 32f : 프린트헤드50 : 장착부
80 : 잉크통 챔버140 : 토우 단부
142 : 후방 단부180 : 커버
182 : 커버 상부 표면200 : 립
잉크통 등의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이 설치되는 장착 챔버의 전방부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부분 장착부 커버(180)를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터(20)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A. 일반 조립체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잉크젯 인쇄 메커니즘[본 명세서에서는 잉크젯 프린터(20)로 도시됨]의 실시예로서, 이것은 산업체, 사무실, 가정 또는 다른 환경에서의 사업 보고서, 서신, 컴퓨터를 이용한 문서출력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잉크젯 인쇄 메커니즘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구현할 수 있는 일부의 인쇄 메커니즘은 플로터, 휴대용 인쇄 유닛, 복사기, 카메라, 비디오 프린터 및 팩시밀리기를 포함한다.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개념은 잉크젯 프린터(20)의 환경에서 설명한다.
프린터 구성품이 모델별로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전형적인 잉크젯 프린터(20)는 섀시(26), 프린터(20)에 인쇄 매체의 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인쇄 매체 취급 시스템(28), 및 인쇄 구역(34)에서 인쇄 매체에 대해 프린트헤드(32)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가능한 인쇄 캐리지(30)를 포함한다. 인쇄 매체로는 종이, 카드-스톡, 투명지, 마일라(Mylar), 포일 등 어떠한 타입의 적합한 시트 재료일 수도 있지만, 편의를 위해, 도시된 실시예는 인쇄 매체로서 종이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인쇄 매체 조정 시스템(28)은, 예를 들어 일련의 통상적인 모터구동 롤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인쇄 매체를 공급 트레이로부터 인쇄 구역(34)을 거쳐 출력 트레이(36)까지 이동시킨다.
인쇄 구역(34)내에서, 매체 시트는 프린트헤드(32)로부터 잉크를 수용한다. 각각의 프린트헤드(32)는 당업자들에게 잘 공지된 방법으로 다수의 노즐이 관통하여 형성된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바닥면(38)을 구비한다. 도시된 프린트헤드(32)는 열 잉크젯 프린트헤드이지만, 압전 프린트헤드 등 다른 타입의 프린트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프린트헤드(32)는 노즐과 연결된 다수의 저항기를 포함한다. 선택된 저항기에 전압을 인가하면, 가스 기포가 형성되어 노즐로부터 노즐 아래의 인쇄 구역(34)내 종이의 시트상에 잉크 방울을 분사한다.
프린트헤드(32)는 캐리지(30)에 의해 운반되며, 이 캐리지(30)는 통상적인구동 벨트/풀리 및 모터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안내 로드(40)를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안내 로드(40)는 스캐닝 방향 또는 스캐닝 축을 규정하며, 이것을 따라 프린트헤드(32)가 인쇄 구역(34) 위를 횡단한다. 프린트헤드(32)는 섀시(26)내에 위치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프린터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도체 스트립을 거쳐 수신된 명령에 따라 인쇄 구역(34)내에 위치된 인쇄 매체 페이지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잉크 방울을 선택적으로 분사한다. 제어기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전형적인 컴퓨터인 호스트 장치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린트헤드 캐리지 모터 및 용지 취급 시스템 구동 모터는 프린터 제어기에 응답하여 작동하며 당업자들에게 잘 공지된 방법으로 작동할 수 있다. 프린터 제어기는 또한 키보드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작동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는 작동자에게 프린터 상태 또는 컴퓨터상에 운용되고 있는 특정 프로그램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장치 등의 입력 장치, 및 모니터는 모두 당업자들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특히, 인쇄 매체는 입력 트레이내의 인쇄 매체 입력 스택으로부터 인쇄 매체 공급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공급된다. 그 후 인쇄 매체는 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안내 로드(4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진행하며, 한편 프린트헤드(32)를 수납하고 있는 캐리지(30)는 안내 로드(40)상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32a)와, 이 프린트헤드(32a)와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식 잉크통(24a)을 수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잉크통(24a)은 온-축이며, 잉크통(24a) 및 프린트헤드(32a) 모두는 각각의 장착부(50, 52)에서 캐리지(30)에 탈착식으로 고정되며, 장착부(50, 52)중 적어도 하나는 적절한 프린터 구성품이 적절한 장착부(50, 52)에 삽입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한 분리 가능한 키 요소(22a, 22b)를 포함한다.
B. 캐리지 조립체-온-축 잉크통
도 2, 도 9, 도 12 및 도 1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30)는 도 2에 도시된 프린트헤드 장착부(52)에 대한 잉크통 장착부(50)의 결합 위치(58), 도 13에 도시된 개방 위치(60) 및 도 12에 도시된 래치 해제 위치(62)를 규정하는 피봇점(56)에서 프린트헤드 장착부(52)에 피봇식으로 고정되는 잉크통 장착부(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장착부(50, 52)를 서로 피봇식으로 고정하는 하나의 공지된 방법은 장착부(50, 52)중 하나상의 피봇점(56)으로부터 장착부(50, 56)중 다른 하나상에 수용되는 정합 구멍내로 샤프트(64)를 연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 구멍은 노치식 탭(6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탭(66)은 잉크통 장착부(50)가 프린트헤드 장착부(52)에 대해 규정된 위치에 있을 때에만 샤프트(64)의 정합 단부(68)를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배향은 샤프트(64)의 정합 단부(68)를 노치식 탭(66)을 통해 위치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이들 장착부(50, 52)를 서로 신속하게 조립하게 한다. 또한, 일단 조립되면, 정합 단부(68)는 조립된 제품의 동작 동안 이들 2개의 장착부(50, 52)를 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린트헤드 장착부(52)는 가이드 로드(40)를 조작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안내 로드 결합부(70)와, 적어도 하나의 탈착식 프린트헤드(32)를 조작 가능하게 그내에 수용하기 위한 프린트헤드 장착부(5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캐리지는 검정색, 청록색, 심홍색 및 노랑색 등의 다수의 색상으로 인쇄할 수 있도록 4개의 프린트헤드(32a 내지 32d)[프린트헤드(32a, 32d)만이 도면에 도시됨]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각각의 프린트헤드(32a 내지 32d)는 프린터 제어기에 의해 명령이 내려질 때 결합하도록 프린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잉크통 장착부(50)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식 잉크통(24a, 24b)을 조작 가능하게 그내에 수용하기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특히, 잉크통 장착부(50)는 잉크통 챔버(80)를 그내에 규정하는 전방 플랜지(72), 후방 플랜지(72), 좌측 플랜지(76) 및 우측 플랜지(7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잉크통 장착부(50)는 그내에 다수의 잉크통 챔버(80a, 80b)를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플랜지(82)를 포함한다. 도 2,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캐리지(30)는 그내에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탈착식 잉크통(24a, 24b), 즉 좌측 잉크통(24a) 및 우측 잉크통(24b)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잉크통중 하나[여기에서는 우측 잉크통(24b)]는 그내에 다수의 잉크 챔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의해 3가지 다른 색상의 잉크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잉크통[여기에서는 좌측 잉크통(24a)]은 보다 용적이 큰 단일 색상의 잉크를 포함하는 것이바람직하다. 따라서, 그것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색상의 잉크로 충전될 수 있으며, 그 색상은 보통 검정색이다.
잉크통(24a, 24b) 및 프린트헤드(32a 내지 32d)가 캐리지(30)에 적절하게 장착되고 잉크통 장착부(50) 및 프린트헤드 장착부(52)가 결합 위치(58)(도 2)에 있을 때, 탈착식 잉크통(24a, 24b)내의 잉크 챔버는 각각의 프린트헤드(32a 내지 32d)와 유체 연통하며, 프린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각각의 잉크통(24a, 24b)은 이 잉크통(24a, 24b)이 그것들 각각의 잉크 저장 챔버(80a, 80b)내로 안착되는 경우에 대응 저니 커넥터(90)를 조작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위치된 전도성 전기 커넥터 결합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유사하게, 유체 채널(92)은, 잉크통 장착부(50)가 결합 위치(58)에 있을 때, 잉크통(24a, 24b)의 개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잉크통 장착부(50)를 통해 각각의 프린트헤드(32a 내지 32d)까지 연장한다.
1. 프린트헤드 접근
잉크통 장착부(50)와 프린트헤드 장착부(52) 사이의 피봇 연결은 유지보수, 서비스 및 교체를 위한 프린트헤드(32a 내지 32d)로의 용이한 접근을 허용한다. 특히, 캐리지(30)는 프린터(20)의 섀시(26)에 존재하는 접근 도어(94)를 통해 캐리지(30)로의 용이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가이드 로드(40)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캐리지(30)가 그와 같이 위치되면, 서비스시에 잉크통 장착부(50)가 들어올려져, 피봇점(56)을 중심으로 피봇하여 개방 위치(60)로 이동하며, 그리하여 프린트헤드 장착부(52)를 노출하고 프린트헤드(32a 내지 32d)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지(30)가 결합 위치(58)에 있지 않을 때(도 2), 잉크통(24a, 24b)으로부터 프린트헤드(32a 내지 32d)로의 잉크 공급은 중단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공지된 방법은 캐리지(30)가 결합 위치(58)에 있을 때(도 2), 잉크통(24a, 24b)과 각각의 프린트헤드(32a 내지 32d) 사이에 실질적인 기밀 밀봉을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프린트헤드(32a 내지 32d)로부터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잉크통(24a, 24b)으로부터 채널내로 잉크를 끌어들이는 진공을 유체 채널(92)에 형성한다. 실질적인 진공은 캐리지가 결합 위치에서 이탈할 때 해제된다. 따라서, 캐리지가 결합 위치를 이탈하면 채널(92)을 통해 유체가 흐르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로드(98)는 각각의 채널(92)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잉크통 장착부(50)로부터 프린트헤드 장착부(52)까지 작동 가능하게 연장한다. 도 9 및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로드(98)는 연장된 위치까지 바이어스되어, 잉크통 장착부(50)를 그것의 래치 해제 위치(62)(도 12)로부터 그것의 결합 위치(58)(도 2)까지 가압함으로써 각각의 로드(98)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하며, 그에 의해 잉크통 장착부(50)와 프린트헤드 장착부(52) 사이에 힘을 가한다. 이러한 힘은 프린트헤드(32a 내지 32d)를 현재의 기준점에 유지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채널(92)은 잉크통 장착부(50)가 결합 위치(58)(도 2)에 있을 때 인터록킹하는 잉크통 장착부(50)와 프린트헤드 장착부(52)상에 인터록킹 노즐(100)과 정합 오목부(102)를 포함하며, 그에 의해 유체 채널(92)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고 연결부를 실질적인 기밀 상태로 만든다. 보다 바람직하게는,잉크통 장착부(50)가 결합 위치(58)에 있을 때, 연장된 위치까지 바이어스되는 수축식 실(104)이 각각의 노즐(100)과 정합 오목부(102)의 연결부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그에 의해 잉크 채널내로의 예기치 않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필터(도시되지 않음)는 또한 이들 연결부에서 유체 통로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의해 프린트헤드(32a 내지 32d)의 예기치 않은 오염을 방지한다.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보수 동안 잉크통 장착부(50)가 예기치 않게 그것의 개방 위치(6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지용 멈춤쇠(108)가 잉크통 장착부(50) 또는 프린트헤드 장착부(52)중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잉크통 장착부(50)가 개방 위치(60)에 있을 때 저지용 멈춤쇠(108)는 잉크통 장착부(50) 또는 프린트헤드 장착부(52)중 다른 하나에서 연장하는 탭(110)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그에 의해 잉크통 장착부(50)를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2. 캐리지 래칭 메커니즘
바람직하게는, 잉크통 장착부(50)를 그것의 결합 위치(58)(도 2)에 고정하기 위해 래칭(latching) 메커니즘(112)이 제공된다. 또한, 잉크 유동 밸브의 로드(98)를 원래의 위치로부터 편향시키는 것과 관련된 비교적 큰 힘 때문에, 래칭 메커니즘(112)은 레버로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의해 사용자가 레버를 고정하는 데 요구되는 힘을 최소화한다.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메커니즘(112)은 피봇부(116)에서 잉크통 장착부(50)에 피봇식으로 고정되는 핸들(11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핸들(114)은 피봇부(116)의 일측상에 레버 아암(118)을 규정하고 피봇부(116)의 타측상에 모멘트 아암(120)을 규정한다. 모멘트 아암(120)에는 피봇부(116)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좌측 및 우측 결합 아암(122a, 122b)이 각각 피봇식으로 고정된다. 결합 아암(122a, 122b)의 대향 단부(124)는 프린트헤드 장착부(52)로부터 연장하는 후크(128)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26)를 포함한다.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통 장착부(50)를 그것의 결합 위치(58)에 배치하기 위해 그것의 래치 해제 위치(62)(도 11)로부터, 사용자는 프린트헤드 장착부(52)로부터 연장하는 후크(128) 위에 결합 아암(122a, 122b)상의 개구(126)를 위치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핸들(114)의 레버 아암(118)을 화살표(13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 12). 이러한 동작은 잉크통 장착부(50)가 프린트헤드 장착부(52)를 향해 피봇부(116)를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강제하여, 이들 두 부분을 함께 잡아당긴다. 좌측 및 우측 결합 아암(122a, 122b)이 모멘트 아암(120)을 중심으로 피봇하는 지점이 피봇부(116)를 따라 정렬된 수직 평면 위로 그리고 그 평면을 지나 회전할 때, 장착부(50, 52)가 서로 분리되도록 강제하는 힘은 실제로 이들 구성품을 서로 구속시키며, 또한 잉크통 장착부(50)의 결합 위치(58)를 규정한다.
잉크통 장착부(50)를 그것의 결합 위치(58)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는 핸들(114)의 레버 아암(118)을 화살표(132) 방향으로 단순히 들어올린다(도 2). 좌측 및 우측 결합 아암(122a, 122b)이 모멘트 아암(120)에 접촉하는 지점이 피봇부(116)로부터 연장하는 수직 평면 위를 후방으로 가로지르면, 잉크통 장착부(50)상에 작용하는 힘은 잉크통 장착부(50)를 도 12의 래치 해제 위치(62)로 가압한다.
C.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 설치
바람직하게는, 프린터(20)는 잉크통(24a, 24b) 등의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이 그것의 적절한 장착부(50, 52)에 올바르게 설치, 안착 및 정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확실히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를 포함한다.
1 . "토우-힐(Toe-Heel) 장착부 커버
본 실시예의 잉크통 장착부(24a, 24b)와 같은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은 "토우-힐" 설치로 보통 지칭되는 메커니즘 및 방법을 통해 잉크통 장착부(5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스키 바인더에 통상적인 스키 부츠를 끼워 넣는 방법과 유사하게 보이는 데서 유래한다. 즉, 스키어는 먼저 자신의 토우를 스키상의 전방 바인더에 위치시킨 다음, 스키 위에 서서 부츠의 힐 부분 주위에 후방 바인더를 고정시킨다. 프린터(20)에 있어서 이러한 설치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하기의 예는 본 발명의 잉크통 장착부(24a, 24b)에 대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의 원리는 통상적인 잉크/프린트헤드 카트리지, 프린트헤드(32) 또는 오프-축 장착식 잉크통 등 다른 어떤 타입의 제거 가능한 프린터 구성품에도 동등하게 적용된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인식되어야 한다.
특히, 각 잉크통(24a, 24b)은 선단 토우 단부(140)와 후방 장착 단부(142)를 규정하는 직사각형과 같은 규정된 형상을 각각 갖는다. 잉크통(24a, 24b)은 대응하는 잉크통 챔버(80a, 80b)의 형상보다 다소 작다. 좌측 및 우측 토우-단부 가이드(146a, 146b)[참조부호(146a)만 도시됨)는 각각의 잉크통(24a, 24b)의 좌측면 및 우측면(148a, 148b)으로부터 연장하며, 각기 대응하는 잉크통 챔버(80a, 80b)의 좌측면 및 우측면(148a, 148b)을 따라 정렬된 안내 레일(150)과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며, 가이드 레일(150)은 잉크 저장 챔버(80a, 80b)의 후방 단부(154)를 향해 토우-단부 안내 리셉터클(152)로 인도하여, 토우-단부 가이드(146a, 146b)를 그내에서 작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전방 탭(도시되지 않음)은 잉크통(24a, 24b)으로부터 연장하여, 잉크통 챔버(80a, 80b)에 수용되는 정합 탭 장착 챔버(155)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잉크통(24a, 24b)의 후방 장착 단부(142)는 잉크통 챔버(80a, 80b)의 각각의 측벽상에 수용되는 각 정합 슬롯(160a, 160b)과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 좌측 및 우측 후방 장착 단부 가이드(158a, 158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통(24a, 24b)의 후방 장착 단부(142)의 하부(164)를 향해 작동 가능하게 고정된 레버(162)는 연장된 위치(166)(도 2에 도시됨)까지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 레버(162)는 잉크통 장착부(50)의 전방 플랜지(72)상에서 립(170)(도 5)을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그로부터 연장하는 노치(168)를 포함하며, 그에 의해 잉크통 장착부(50)에 잉크통(24a, 24b)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한다.
각각의 잉크통(24a, 24b)은, 토우 단부(140)를 각 잉크통 챔버(80a, 80b)내로 먼저 배치하여 좌측 및 우측 토우 단부 가이드(146a, 146b)가 미끄럼 가능하게 가이드 레일(150)과 결합하게 하는 설치자에 의해 각각의 잉크통 챔버(80a, 80b)내로 설치된다. 사용자는 토우 단부 안내 리셉터클(152)을 향해 잉크통(24a, 24b)의 토우 단부(140)를 미끄럼 운동시킨다. 토우 단부 가이드(164a, 146b)가 각각의 리셉터클(152)에 안착되면, 그 후 사용자는 잉크통(24a, 24b)의 상면(172)을 후방 장착 단부(142)를 향해 하방으로 가압하여, 좌측 및 우측 후방 장착 단부 가이드(158a, 158b)가 각 정합 슬롯(160a, 160b)을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여, 잉크통(24a, 24b)을 각 잉크통 챔버(80a, 80b)내로 올바르게 위치시킨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된 바와 같이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올바른 설치를 촉진하기 위해서, 잉크통 챔버(80a, 80b)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장착부 커버(180)가 잉크통 장착부(50)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커버(180)는 잉크통(24a, 24b)의 토우 단부(140)를 수용하는 잉크통 챔버(80a, 80b) 위에 위치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182)을 포함한다. 각각의 잉크통(24a, 24b)이 잉크통 장착부(50)상에 완전히 설치되면, 편평한 상부 표면(182)은 각각의 잉크통(24a, 24b) 위에 위치되며, 전술한 토우-힐 설치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만 잉크통(24a, 24b) 위로 연장한다. 따라서,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자가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토우-힐 설치를 수행하는 한, 장착부 커버(180)는 설치를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설치자가 잉크통 장착부(24a, 24b)를 토우-힐 설치 과정을 이용하는 대신 다른 방법으로 설치한다면, 커버(180)는 잉크통(24a, 24b)의 토우 단부(140)가 각각의 잉크통 챔버(80a, 80b)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며, 그리하여 부적절한 설치를 설치자에게 경고한다. 예를 들어, 설치자가 먼저 레버(162)로부터 전방 플랜지(72)상의 립(170)까지 연장하는 노치(168)를 고정하려 하고, 그 후 각 잉크통 챔버(80a, 80b)내로 잉크통(24a, 24b)의 토우 단부(140)를 낮추려 한다면, 장착부 커버(180)는 잉크통(24a, 24b)의 토우 단부(140)가 각 잉크통 챔버(80a, 80b)내로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며, 그에 의해 부적절한 설치 방법을 설치자에게 경고한다. 이와 유사하게, 설치자가 단순히 잉크통의 바닥 표면(190)을 각 잉크통 챔버(80a, 80b)의 하부 표면(192)에 평행하게 하여 잉크통(24a, 24b)을 잉크통 챔버(80a, 80b)내로 삽입하려 한다면, 장착부 커버(180)는 잉크통(24a, 24b)의 토우 단부(140)가 각각의 잉크통 챔버(80a, 80b)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80)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182)으로부터 연장하는 아암(196)에 의해 잉크통 장착부(50)에 피봇 점(194)에서 피봇식으로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빔 스프링(198)이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182)으로부터 연장하여, 잉크통 장착부(50)의 후방 플랜지(74)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중립 위치로 커버(180)를 바이어스시킨다. 빔 스프링(198) 및 피봇점(194)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182)이 토우-힐 설치 과정 동안 다소 상방으로 편향되도록 하며, 또한 편향된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182)과 그것과 접하고 있는 잉크통(24a, 24b)의 토우 단부(140)를 각각의 잉크통 챔버(80a, 80b)를 향해 가압하며, 이에 의해 잉크통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182)의 전연(200)은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각을 이루어 커버(180) 아래로 잉크통(24a, 24b)의 토우 단부(140)가 들어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커버(180)는 캐리지(30)의 잉크통 장착부(50)와 프린트헤드 장착부(52)와 대조되는 색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품 간의 색상의 대조는 설치자가 보다용이하게 커버(180)를 식별할 수 있게 하며, 이에 의해 잉크통의 부적절한 설치에 대한 장애를 설치자에게 경고한다.
2. 조력 스프링(helper spring)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10)은 잉크통(24a, 24b)의 설치와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잉크통 챔버(80a, 80b)내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210)은 각각의 잉크통(24a, 24b)을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낸 비설치 위치(212)로 바이어스하지만, 각각의 개별 잉크통(24a, 24b)이 도 5에 점선으로 나타낸 설치 위치(214)에 래칭되는 동안 압축된체로 유지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한 하나의 공지된 효과적인 스프링 설계는 도 6에 도시된 빔 스프링(210)이다. 스프링(210)은 대체로 "C"자형인 장착부(216)와 그로부터 연장하는 긴 빔 부분(218)을 포함한다. 빔 부분(218)의 말단부(220)는 비설치 위치(212)에서 각각의 잉크통(24a, 24b)을 지지하도록 정렬된 비스듬한 단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C"자형 장착부(216)는 잉크통 장착부(50)로부터 각각의 개별 잉크통 챔버(80a, 80b) 아래로 연장하는 아암(224)에 클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개별 잉크통 챔버(80a, 80b)는 각각의 개별 잉크통((24a, 24b)이 각각의 잉크통 챔버(80a, 80b)내의 설치 위치(214)에 있을 때 스프링(210)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26)를 포함한다.
스프링(210)을 구성하는 공지된 바람직한 재료는 고강도 스테인리스 강 및 베릴륨 구리를 포함한다. 스프링의 특정한 형상은 그것의 힘과 변형 특성을 최적화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특히 효과적인 빔 형상은 "C"자형 장착부(216)를 향해 넓고 스프링의 말단부(220)로 갈수록 좁아지는 베이스를 갖는 삼각형이다. 부재의 유사한 형상 부분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프링(210)에 의해 제공되는 힘의 특성을 강화한다.
스프링(210)은 각각의 잉크통(24a, 24b)의 토우-힐 설치를 촉진함으로써 각 잉크통(24a, 24b)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잉크통(24a)이 도 5의 비설치 위치(212)에 있고 스프링(210)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잉크통(24a)의 토우 단부(140)는 좌측 및 우측 토우 단부 가이드(146a, 146b)가 각각의 토우 단부 안내 리셉터클(152)내에 작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적절히 정렬된다. 또한, 스프링(210)은 레버(162)가 래치 해제 상태일 때 잉크통(24a)의 후방 장착 단부(142)를 위로 가압함으로써 잉크통(24a)의 용이한 제거를 돕는다.
또한, 설명된 바와 같이 설치자가 레버(162)를 부적절하게 래칭하면, 스프링(210)은 잉크통(24a)의 후방 장착 단부(142)를 상방으로 가압할 것이며,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부적절한 설치를 시각적으로 경고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터 섀시(26)는 잉크통(24a)이 도 5에 도시된 비설치 위치(212)에 있을 때 후방 장착 단부(142)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정지부(도시되지 않음)를 규정한다. 후방 장착 단부(142)가 이들 정지부와 접촉할 때의 캐리지(30)의 위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 경고등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잉크통(24a)의 부적절한 설치를 알리는데 이용될 수 있다.
D. 탈착식 키 요소
바람직하게는, 프린터는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탈착시 키 요소(22a, 22b)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잉크통(24a, 24b) 등의 각각의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은 그로부터 연장하는 고유한 패턴의 식별 탭(220a 내지 220f)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좌측 잉크통(24a)은 탭(220a 내지 220c)을 포함하고, 이중 2개는 좌측 잉크통의 레버(162)의 좌측에 있으며, 우측 잉크통(24b)은 탭(220d 내지 220f)을 포함하고, 이중 2개는 우측 잉크통의 레버(162)의 우측에 있다. 이러한 패턴의 탭(220a 내지 220f)은 특정 프린터에 수납된 잉크의 종류, 색상 및/또는 품질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잉크통(24a)을 위한 탭 패턴은 검정색 잉크를 수납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고, 우측 잉크통(24b)상에 표시된 탭 패턴은 이 잉크통이 파란색, 심홍색 및 노란색 색상의 잉크를 수납하는 다중 챔버임을 나타낸다.
소정의 프린터(20)에서는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올바른 배치 및 배향이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검정색 잉크를 수납하고 있는 잉크통은 검정색 잉크 채널 및 연관된 프린트헤드와 유체 연통하는 잉크 카트리지 챔버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만약 부주의로 인해 다른 색상의 잉크가 이 채널 및 대응 프린트헤드에 배치되면, 이들 구성품은 오염이 되며, 더 이상 설계대로 기능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공급 잉크가 정확한 잉크 챔버내에 장착되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의 키 요소(22a, 22b)는 사용 가능한 고유한 패턴의 식별 탭(220a 내지 220f)중 하나를 관통 수용하도록 고유한 패턴의 슬롯(224a 내지 224f)을 포함하며,다른 패턴의 식별 탭(220a 내지 220f)이 통과하는 것을 막는다. 키 요소(22)는 잉크통(24a)이 잉크통 장착부(50)상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잉크통(24a)중 하나의 탭(220a 내지 220c)이 차지하는 공간에 인접하여 잉크통 장착부(50)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3, 도 7 및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키 요소(22a, 22b)는 키 탭 부분(232), 식별 라벨 탭 부분(234) 및 그로부터 연장하는 장착부(236)를 갖는 베이스 장착부(230)를 포함한다. 장착부(236)는 잉크통 장착부(50)의 전방 플랜지(72)상에 수용되는 크기의 장착 슬롯(238)과, 전방 플랜지(72)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240)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플랜지(72) 및 장착부(236)는 고유한 세트의 정합 슬롯(245)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부정확한 키 요소(22)가 전방 플랜지(72)상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탭 부분(234)은 키 요소에 맞는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종류를 표시하는 고유의 표면 표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라벨(246)을 수용하는 표시면(24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라벨(246a)은 그것이 부착된 키 요소(22a)가 검정색 잉크통을 수용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탈착식 키 요소(22b)상에 설치되는 탈착식 키 라벨(246b)은 그것이 부착된 키 요소(22b)가 다색상 잉크통을 수용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표시면은 고유의 형상 또는 배향을 갖는다. 예들 들어, 하나의 키 요소(22b)상의 표시면(244)은 표시면의 좌측상에 편평한 바아(252)와 둥근 우측부를 가질 수 있으며, 한편 다른 키 요소(22a)상의 표시면(224)은 우측상에 편평한 바아(252)를 배치하고, 둥근 좌측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립자가 표시면(244)상에 바르지 않은 라벨(246a, 246b)을 배치할 가능성이 줄어드는데, 이는 각각의 표시면(244)에 대한 정확한 라벨이 그것이 정확하게 부착되는 표시면에 대응하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키 요소(22a, 22b)는 프린터(20)에 탈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계열의 프린터는 상이한 기능을 갖는 다양한 다른 프린터를 제작하기 위해 동일한 기본 캐리지(30) 등에 의존할 수 있다. 소정의 프린터 설치를 위한 구성 제어는 특정 프린터 구성을 위한 적절한 키 요소(22a, 22b)를 선택하는 제조자에 의해 통제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조자, 소비자 또는 서비스 기술자가 흑백 프린터를 컬러 프린터로 전환하거나 또는 개선된 구성품으로 프린터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프린터의 구성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새로운 프린터 구성을 수용하도록 적절한 프린터 구성품이 교체된 후, 새로운 잉크통을 수용하도록 잉크통 챔버를 다시 잠그기 위해 키 요소(22a, 22b)만이 변경될 필요가 있다.
E. 대안적인 실시예
전술한 사항은 캐리지의 잉크통 장착부내에 잉크통을 설치 및 위치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프린트헤드, 잉크/프린트헤드 카트리지 등의 다른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에도 동등하게 적용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들에 의해 다른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예상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대안적인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그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다양한 변경 및 동등물로 확대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자가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적절한 토우-힐 설치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따르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한 단순하고 경제적인 장치로서, 부분 장착부 커버가 제공된다.

Claims (10)

  1.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의 프린터(20)내로의 정확한 설치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토우 단부(140) 및 후방 단부(142)를 구비하는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과,
    상기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의 토우 단부(140) 및 후방 단부(142)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프린터에 고정되는 장착부(50)와;
    상기 장착부(50)에 상기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이 고정될 때, 상기 장착부(50)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의 토우 단부(140)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커버(180)로서, 상기 토우 단부(140)가 상기 장착부(50)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후방 단부(142)가 상기 장착부(50)에 고정되기 전에, 상기 토우 단부(140)가 상기 커버(180) 아래에 위치되어야 하도록 장착부(50)에 대해 커버(180)의 중립 위치를 규정하는, 커버(180)를 포함하는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은 잉크통(24, 24a, 24b)인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20)는 잉크젯 프린터인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80)는 설치 동안 상기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의 토우 단부(140)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비스듬한 전연 립(200)을 갖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182)을 구비하는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80)는 피봇점(194)에서 상기 장착부(50)에 피봇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버의 중립 위치를 벗어나 다소 편향하는 것이 가능한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80)는 상기 커버의 중립 위치로 바이어스되는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80)는 상기 커버(180)와 상기 장착부(50) 사이에서 연장하는 빔 스프링(198)에 의해 커버의 중립 위치로 바이어스되는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80)는 상기 장착부(50)의 색상으로부터 시각적으로 구별이 가능한 색상인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9. 잉크젯 프린터(20)에 있어서,
    섀시(26)와,
    모터와,
    상기 섀시(26)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섀시(26)에 대한 왕복운동을 위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캐리지(30)와,
    토우 단부(140) 및 후방 단부(142)를 갖는 탈착식 잉크통(24, 24a, 24b)과;
    캐리지(30)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잉크통(24, 24a, 24b)과 유체 연통하고,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린트헤드(32, 32a 내지 32d)와,
    상기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24, 24a, 24b)의 토우 단부(140) 및 후방 단부(142)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잉크통 챔버(80)내에 상기 잉크통(24, 24a, 24b)을 탈착식으로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캐리지(30)에 고정되는 장착부(50)와;
    상기 장착부(50)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커버(180)로서, 상기 커버(180)는 상기 잉크통 챔버(80)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하여, 상기 토우 단부(140)가 상기 장착부(50)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후방 단부(142)가 상기 장착부(50)에 고정되기 전에, 상기 토우 단부(140)가 상기 커버(180) 아래에 그리고 상기 잉크통 챔버(180)내에 위치되어야 하는, 커버(180)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80)는 설치 동안 상기 잉크통(24, 24a 24b)의 토우 단부(140)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비스듬한 전연 립(200)을 갖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182)을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터.
KR1020020045001A 2001-07-31 2002-07-30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및 잉크젯프린터 KR200300117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19,733 US6779874B2 (en) 2001-07-31 2001-07-31 Device for ensuring proper toe-heel installation of a detachable printer component
US09/919,733 2001-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700A true KR20030011700A (ko) 2003-02-11

Family

ID=2544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001A KR20030011700A (ko) 2001-07-31 2002-07-30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및 잉크젯프린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79874B2 (ko)
EP (1) EP1281531B1 (ko)
JP (1) JP3732808B2 (ko)
KR (1) KR20030011700A (ko)
DE (1) DE60228915D1 (ko)
TW (1) TW5831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4423B2 (en) * 2004-03-18 2006-02-07 Nu-Kote International, Inc. Printer carriage interlock for ink cassette
JP4590317B2 (ja) * 2005-07-04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7789500B2 (en) * 2006-12-21 2010-09-07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device fluid reservoir chassis with alignment features
JP4981105B2 (ja) * 2009-07-09 2012-07-18 シルバーブルック リサーチ ピーティワイ リミテッド ページ幅印字ヘッドプリンタカートリッジの共通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クレードル
JP4932936B2 (ja) * 2009-11-17 2012-05-16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71313B2 (ja) * 2011-12-08 2017-08-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7275732B2 (ja) * 2019-03-25 2023-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7018A (en) * 1988-11-21 1990-03-06 Hewlett-Packard Company Printhead-carriage alignment and electrical interconnect lock-in mechanism
US5563638A (en) 1992-09-21 1996-10-08 Hewlett-Packard Company Ink-jet printhead capping and wiping method and apparatus
US5621441A (en) 1992-09-21 1997-04-15 Hewlett-Packard Company Service station for inkjet printer having reduced noise, increased ease of assembly and variable wiping capability
US5408746A (en) * 1993-04-30 1995-04-25 Hewlett-Packard Company Datum formation for improved alignment of multiple nozzle members in a printer
US5646665A (en) * 1993-04-30 1997-07-08 Hewlett-Packard Company Side biased datum scheme for inkjet cartridge and carriage
JP3133906B2 (ja) * 1993-08-19 2001-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US5684518A (en) 1993-10-29 1997-11-04 Hewlett-Packard Company Interconnect scheme for mounting differently configured printheads on the same carriage
US5619239A (en) * 1993-11-29 1997-04-08 Canon Kabushiki Kaisha Replaceable ink tank
US5712668A (en) 1994-03-25 1998-01-27 Hewlett-Packard Company Rotary Multi-ridge capping system for inkjet printheads
JP3042826B2 (ja) * 1995-02-21 2000-05-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該インクタンクを着脱自在に保持するホルダ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183077B1 (en) 1995-04-27 2001-02-06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keying ink supply containers
JP3479392B2 (ja) 1995-08-01 2003-1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連結構造
JP3280202B2 (ja) * 1995-08-01 2002-04-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3376248B2 (ja) 1996-07-12 2003-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液体吐出システム、液体容器の組合せ、及び液体吐出制御方法
US6139135A (en) 1997-03-03 2000-10-31 Hewlett-Packard Company Inkjet printing with replaceable set of ink-related components (printhead/service module/ink supply) for each color of ink
JPH10250093A (ja) 1997-03-11 1998-09-22 Brother Ind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US5949459A (en) 1997-06-04 1999-09-07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 ink container
US6135585A (en) 1999-01-08 2000-10-24 Hewlett-Packard Company Replaceable capping system for inkjet printheads
US6443567B1 (en) * 1999-04-27 2002-09-03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ejecting cartridge and recording device using same
JP2001063097A (ja) * 1999-04-27 2001-03-13 Canon Inc 液体供給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液体供給容器
JP2001010078A (ja) 1999-04-27 2001-01-16 Canon Inc インクタンク、該インクタンクが取り付けられるホルダー、該ホルダー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インクタンクのホルダーへの装着方法
JP2001058417A (ja) * 1999-08-24 2001-03-06 Canon Inc インクタンク、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8915D1 (de) 2008-10-30
EP1281531A1 (en) 2003-02-05
US20030025764A1 (en) 2003-02-06
US6779874B2 (en) 2004-08-24
JP2003053965A (ja) 2003-02-26
TW583101B (en) 2004-04-11
EP1281531B1 (en) 2008-09-17
JP3732808B2 (ja)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5795B2 (en) Ink container having electronic and mechanical features enabling plug compatibility between multiple supply sizes
US6386692B1 (en) Ink container configured for use with compact supply station
KR20030011698A (ko) 프린터 구성품의 프린터와의 호환성을 설정하기 위한메커니즘 및 잉크젯 프린터
KR100730865B1 (ko) 교체 가능한 잉크 용기 및 전기적이고 유체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방법
US6508547B2 (en) Replaceable ink container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US8727515B2 (en) Container installation guide for a fluid ejector assembly
KR20030011699A (ko) 잉크젯 프린터 캐리지
KR20040015165A (ko) 교체식 잉크 저장 용기, 인쇄 시스템 작동 방법 및 교체식잉크 저장 용기의 제조 방법
US20030076390A1 (en) Replaceable ink container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EP1259380B1 (en) Ink container for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receiving station
KR20030011700A (ko) 탈착식 프린터 구성품의 정확한 설치 메커니즘 및 잉크젯프린터
US20020057317A1 (en) Ink container configured for use with printer
EP1122077B1 (en) Replaceable ink container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