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526A -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 - Google Patents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526A
KR20030011526A KR1020020032030A KR20020032030A KR20030011526A KR 20030011526 A KR20030011526 A KR 20030011526A KR 1020020032030 A KR1020020032030 A KR 1020020032030A KR 20020032030 A KR20020032030 A KR 20020032030A KR 20030011526 A KR20030011526 A KR 20030011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coupled
noise prevention
sound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렬
Original Assignee
문상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렬 filed Critical 문상렬
Priority to KR102002003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1526A/ko
Publication of KR2003001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52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파 작업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저하시킬 수 있는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자유 전단면(400)의 일측으로 위치되는 소음 흡수부(12)와, 상기 소음 흠수부(12)의 고정 지지를 위한 지지부(14)와, 다수의 소음 배출구(16)를 갖는 제 1소음 방지구(10) 및 제 2소음 방지구(20)로 이루어진 제 1소음 방지부(100);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의 제 1소음 방지구(10) 내측면 일단으로 결합되고, 유압 실린더(32)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문(34)이 중앙에 설치되며, 다수의 소음 배출구(16)가 형성된 제 1격벽판재(30);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의 일단으로 체결수단(B)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차량의 이동 공간 확보되고 다수의 소음 배출구(16)가 형성되어지는 제 2소음 방지부(200); 상기 제 2소음 방지부(200)의 일단으로 체결수단(B)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격벽판재(30)와 동일한 제 2격벽판재(30')가 구비되며, 다수의 소음 배출구(16)가 형성되는 제 3소음 방지부(300); 상기 제 3소음 방지부(300)에 결합된 제 2격벽판재(30')의 내부로 그 일단이 관통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2소음 방지부(200)의 제 1소음 방지구(10) 내측면에 연결부재(42)를 통해 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된 분진 배출부(40); 상기 제 3소음 방지부(300)와 제 1소음 방지부(100)의 저면으로 위치되고, 그 내부에 각각 결합되어진 지지부(14)에 체결수단(B)을 통해 상기 제 1,2,3 소음 방지부(100,200,300)와 연결되는 이송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Noise Prevention for Tunnel Improvement}
본 발명은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공사를 하기 위한 발파 작업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저하시킬 수 있는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을 굴착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발파 작업을 실시하게 되고, 상기 발파 작업은 최초의 자유 전단면에 드릴을 이용하여 다수의 장전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장전공마다 일정량의 폭약을 장전하고, 이를 동시에 발파함으로서 터널의 입구가 형성되고, 이를 반복하여 터널을 계속 굴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터널 공사를 하기 위해서 계속되는 발파 작업은 발파시 발생되는 폭약의 소음과 돌의 파편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항상 작업자가 안전 거리를 확보한 다음 발파 작업이 이루어지며, 발파시 파편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장 주변으로 천을 이용하여 장막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터널을 건설하기 위해 반복되는 발파 작업은 발파시 발생되는 폭약의 소음으로 인해 작업현장 주변의 주민들에게 육체적, 심적 고통을 주게 되며, 이로 인한 다수의 민원 항의로 공사가 지연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폭약의 소음 및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해 야간에는 발파 작업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널을 건설하기 위한 발파 작업시 발파되는 부분을 커버하여 발파시 발생되는 폭약의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저하시키고, 파편이 사방으로 튀지 않고 일정 공간 내부에 모아지도록 하여 안전 사고의 방지와 파편의 수거가 용이한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제 1소음 방지구12: 소음 흡수부
14: 지지부16: 소음 배출구
20: 제 2소음 방지구30: 제 1격벽판재
30': 제 2격벽판재32: 유압 실린더
34: 출입문40: 분진 배출부
42: 연결부재50: 이송부
100: 제 1소음 방지부200: 제 2소음 방지부
300: 제 3소음 방지부400: 자유전단면
B: 체결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자유 전단면의 일측으로 위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폭약의 발파시 폭발 소음을 흡수하여 저하시키기 위한 소음 흡수부와, 그 양단에 이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그 내부에 결합되고, 다수의 소음 배출구가 형성된 제 1소음 방지구 및 상기 제 1소음 방지구와 동일한 형상으로 그 외부면과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어 체결수단에 결합되어 폭발 소음을 이중 저하시키는 제 2소음 방지구로 이루어진 제 1소음 방지부와; 상기 제 1소음 방지부의 제 1소음 방지구 내측면 일단으로 결합되고, 그 내부에 위치되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문이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 및 파편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며, 다수의 소음 배출구가 형성된 제 1격벽판재와; 상기 제 1소음 방지부의 일단으로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소음 방지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다소 그 폭이 길게 형성되어져 차량의 이동 공간 확보 및 전파되는 소음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소음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 2소음 방지부와; 상기 제 2소음 방지부의 일단으로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소음 방지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내측면에 상기 제 1격벽판재와 동일한 제 2격벽판재가 결합되어져 전파되는 소음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소음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 3소음 방지부와; 상기 제 3소음 방지부에 결합된 제 2격벽판재의 내부로 일단이 관통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2소음 방지부의 제 1소음 방지구 내측면에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발파시 발생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분진 배출부와; 상기 제 3소음 방지부와 제 1소음 방지부의 저면으로 위치되고, 그 내부에 각각 결합되어진 지지부에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어져 각각 결합되어진 상기 제 1, 제 2, 제 3소음 방지부를 이동시키는 이송부가 구비된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의 구성 및 작용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의 구성은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 전단면(400)의 일측으로 위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폭약의 발파시 폭발 소음을 흡수하여 저하시키기 위한 소음 흡수부(12)와, 그 양단에 이를 고정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4)가 그 내부에 결합되고, 다수의 소음 배출구(16)이 형성된 제 1소음 방지구(10) 및 상기 제 1소음 방지구(10)와 동일한 형상으로 그 외부면과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어 체결수단(B)에 결합되어 폭발 소음을 이중 저하시키는 제 2소음 방지구(20)로 이루어진 제 1소음 방지부(10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의 제 1소음 방지구(10)(10) 내측면 일단으로 결합되고, 그 내부에 위치되는 유압 실린더(32)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문(34)이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 및 파편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며, 다수의 소음 배출구(16)가 형성된 제 1격벽판재(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의 일단으로 체결수단(B)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다소 그 폭이 길게 형성되어져 차량의 이동 공간 확보 및 전파되는 소음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소음 배출구(16)가 형성되는 제 2소음 방지부(200)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2소음 방지부(200)의 일단으로 체결수단(B)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내측면에 상기 제 1격벽판재(30)와 동일한 제 2격벽판재(30')가 결합되어져 전파되는 소음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소음 배출구(16)가 형성되는 제 3소음 방지부(3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소음 방지부(300)에 결합된 제 2격벽판재(30')의 내부로 일단이 관통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2소음 방지부(200)의 제 1소음 방지구(10) 내측면에 연결부재(42)를 통해 결합되어 발파시 발생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분진 배출부(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3소음 방지부(300)와 제 1소음 방지부(100)의 저면으로 위치되고, 그 내부에 각각 결합되어진 지지부(14)에 체결수단(B)을 통해 결합되어져 각각 결합되어진 상기 제 1, 제 2, 제 3소음 방지부(100,200,300)를 이동시키는 이송부(5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의 작용은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널을 공사하기 위한 선행작업으로 자유전단면(400) 내부에 드릴을 이용하여 장전공을 형성한 다음 그 내부에 폭약을 장전하고 이를 동시에 발파할때 발생하는 소음을 최대한 저하시키키 위한 것으로 우선 자유전단면(400)의 일측으로 제 1소음 방지부(100)를 면접되게 위치시킨다.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는, 제 1, 제 2소음 방지구(10,20)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제 1소음 방지구(10)는 그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폭약 발파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여 저하시키키 위한 스펀지와 같은 소음 흡수부(1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 흡수부(12)의 각 모서리에는 이를 견고히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4)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14)는 제 1소음 방지구(10)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소음 방지구(10)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된 소음 배출구(16)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제 1소음 방지구(10) 내부로 전파되는 폭발음이 소음 흡수부(12)를 거치면서 다수의 소음 배출구(16)로 미세한 소음이 배출되며, 일정 공간 내부에서 폭음으로 인한 울림을 방지하지는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소음 방지구(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 2소음 방지구(20) 역시 그 내부에 상기 지지부(14)가 결합되며, 그 지지부(14) 내측으로 상기 소음 흡수부(12)가 결합되고, 상기 제 1소음 방지구(10) 보다는 다소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져 제 1소음 방지구(10)의 외부면과 일정 간격차로 위치하게 되고, 그 결합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B)을 통해 상기 제 2소음 방지구(20) 내부에 결합된 지지부(14)를 관통하여 제 1소음 방지구(10) 내부에 결합된 지지부(14)로 체결되어 결합됨으로서 제 1소음 방지부(1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의 제 1소음 방지구(10) 내측 일단으로 제 1 격벽판재(30)가 체결수단(B)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 1격벽판재(30) 역시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그 중앙 부위에는 출입문(34)이 형성되며, 또한 다수의 소음 배출구(16)가 형성된다.
상기 출입문(34)은 제 1소음 방지부(100)가 자유전단면(400) 일측에 면접된 상태에서 폭약을 발파할때 분진 및 돌의 파편이 사방으로 튀지 않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발파한 후에 상기 출입문(34)을 열은 다음 이를 수거하기 위한 차량 및 사람의 출입 통제와 함께 발파되어진 자유전단면(400)이 붕괴되어 무너지는 것을 어느 정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출입문(34)의 개폐수단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압 실린더(32)가 상기 출입문(34)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32)의 피스톤 로드가 문짝에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문(34)이 개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소음 방지구(10)와 그 외부면과 일정 간격차로 위치되어 체결수단(B)에 의해 결합되는 제 2소음 방지구(20)로 이루어진 제 1소음 방지부(100) 그리고, 상기 제 1소음 방지구(10) 내측면 일단으로 결합되는 제 1격벽판재(30)와 같이 이와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같는 제 3소음 방지부(300)가 이격된 거리로 위치된다.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와 제 3소음 방지부(30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3소음 방지부(300) 또한 제 1, 제 2소음 방지구(10,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소음 방지구(10) 내측 일단으로 상기 제 1격벽판재(30)와 동일한 제 2격벽판재(30')가 체결수단(B)을 통해 결합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와 이격된 거리로 위치되는 제 3소음 방지부(300) 사이에는 제 2소음 방지부(200)가 위치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 2소음 방지부(200) 역시 상기 제 1, 제 3소음 방지부(100,300)와 동일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그 외관의 폭은 다소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제 3소음 방지부(100,300) 내부 사이에 일정 공간을 확보하여 차량의 전,후진과 같은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제 3소음 방지부(100,300) 사이에 위치되는 제 2소음 방지부(200)의 결합은 각각 그 내부에 결합되어지는 지지부(14)와 지지부(14)에 체결수단(B)을 체결함으로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소음 방지부(100), 제 2소음 방지부(200) 제 3소음 방지부(300) 순으로 결합이 됨으로서 자유전단면(400)에 면접되는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가 발파시 발생되는 분진 및 파편을 제일 먼저 차단하고, 폭음으로 인한 소음은 상기 소음 흡수부(12)를 통해 흡수되면서 미세한 폭음만이 다수의 소음 배출구(16)로 배출되고,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의 일단으로 결합되는 제 2, 제 3소음 방지부(200,300)로 갈수록 전파되는 소음이 그 내부에 각각 결합되는 소음 흡수부(12)에 의해 소음이 재차 흡수되고, 나중에는 아주 미세한 소음만이 소음 배출구(16)를 통해 배출됨으로서 폭발 소음으로 인한 작업장 주변의 인근 주민들의 민원을 진정 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보다 안전한 작업 환경 및 야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유전단면(400)의 발파 작업후에 차량 및 사람이 제 3소음 방지부(300)에 결합된 제 2격벽판재(30') 중심에 형성된 출입문(34)을 통과하고 제 2소음 방지부(200) 구간을 지나 제 1소음 방지부(100)에 결합된 제 1격벽판재(30)의 출입문(34)을 열 때 쏟아지는 파편속에서 발생하는 분진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환풍기와 같은 분진 배출부(40)를 설치를 한다.
상기 분진 배출부(40)의 설치는 그 일단을 상기 제 3소음 방지부(300)에 결합된 제 2격벽판재(30')의 상부 소정 위치에 천공된 중공부에 결합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2소음 방지부(200)의 제 1소음 방지구(10) 내부 측면에 연결부재(42)를 매개로 하여 연결하여 고정한다.
한편,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와 제 3소음 방지부(300)의 저면으로 각각 위치되는 이송부(50)는 그 내부에 각각 결합되어진 각각의 지지부(14)에 체결수단(B)을 통해 결합한다.
상기 이송부(50)는 최초의 자유전단면(400)을 발파함으로서 새로 형성된 터널의 내부로 새로운 자유전단면(400)을 발파하기 위해 제 1, 제 2, 제 3소음 방지부(100,200,300)를 터널로 이동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는, 터널을 건설하기 위한 자유전단면의 발파시 제 1소음 방지구가 자유전단면과 면접됨으로서 발파시 발생하는 폭약의 소음 흡수 및 파편의 튀는 것을 방지하고, 지속적으로 전파되는 소음을 제 2, 제 3소음 방지구 재차 흡수함으로서 작업장 주변의 인근 주민들에게 소음 공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야간 발파 작업이 가능해져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유 전단면(400)의 일측으로 위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폭약의 발파시 폭발 소음을 흡수하여 저하시키기 위한 소음 흡수부(12)와, 그 양단에 이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4)가 그 내부에 결합되고, 다수의 소음 배출구(16)가 형성된 제 1소음 방지구(10) 및 상기 제 1소음 방지구(10)와 동일한 형상으로 그 외부면과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어 체결수단(B)에 결합되어 폭발 소음을 이중 저하시키는 제 2소음 방지구(20)로 이루어진 제 1소음 방지부(100);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의 제 1소음 방지구(10) 내측면 일단으로 결합되고, 그 내부에 위치되는 유압 실린더(32)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문(34)이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 및 파편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며, 다수의 소음 배출구(16)가 형성된 제 1격벽판재(30);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의 일단으로 체결수단(B)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다소 그 폭이 길게 형성되어져 차량의 이동 공간 확보 및 전파되는 소음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소음 배출구(16)가 형성되는 제 2소음 방지부(200);
    상기 제 2소음 방지부(200)의 일단으로 체결수단(B)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소음 방지부(100)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내측면에 상기 제 1격벽판재(30)와 동일한 제 2격벽판재(30')가 결합되어져 전파되는 소음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소음 배출구(16)가 형성되는 제 3소음 방지부(300);
    상기 제 3소음 방지부(300)에 결합된 제 2격벽판재(30')의 내부로 일단이 관통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2소음 방지부(200)의 제 1소음 방지구(10) 내측면에 연결부재(42)를 통해 결합되어 발파시 발생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분진 배출부(40);
    상기 제 3소음 방지부(300)와 제 1소음 방지부(100)의 저면으로 위치되고, 그 내부에 각각 결합되어진 지지부(14)에 체결수단(B)을 통해 결합되어져 각각 결합되어진 상기 제 1, 제 2, 제 3소음 방지부(100,200,300)를 이동시키는 이송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
KR1020020032030A 2002-06-07 2002-06-07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 KR20030011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030A KR20030011526A (ko) 2002-06-07 2002-06-07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030A KR20030011526A (ko) 2002-06-07 2002-06-07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651U Division KR200261890Y1 (ko) 2001-08-03 2001-08-03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526A true KR20030011526A (ko) 2003-02-11

Family

ID=2772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030A KR20030011526A (ko) 2002-06-07 2002-06-07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15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616B1 (ko) * 2005-08-01 2006-12-08 김숙희 발파소음 저감방법 및 장치
KR101138405B1 (ko) * 2004-04-01 2012-04-26 윤영재 터널굴착용 소음 및 버력 비산의 방지 구조물
KR20200142743A (ko) * 2019-06-13 2020-12-23 김재현 터널 굴착용 발파소음 및 폭풍압 저감설비
KR102431389B1 (ko) * 2021-07-27 2022-08-10 주식회사 한라 차폐형 구조물을 활용한 친환경 노천발파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405B1 (ko) * 2004-04-01 2012-04-26 윤영재 터널굴착용 소음 및 버력 비산의 방지 구조물
KR100653616B1 (ko) * 2005-08-01 2006-12-08 김숙희 발파소음 저감방법 및 장치
KR20200142743A (ko) * 2019-06-13 2020-12-23 김재현 터널 굴착용 발파소음 및 폭풍압 저감설비
KR102431389B1 (ko) * 2021-07-27 2022-08-10 주식회사 한라 차폐형 구조물을 활용한 친환경 노천발파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7275B1 (en) Housing arrangement
KR20030011526A (ko)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
KR101091855B1 (ko) 소음 제거형 방음터널
KR200261890Y1 (ko) 터널 공사용 폭음 방지구
CN108166767A (zh) 一种施工方法及外爬架防护装置
JP3594824B2 (ja) トンネル工事における防音扉構造
KR100939495B1 (ko) 터널 갱구의 방음장치
KR100401809B1 (ko) 터널용 방음방폭장치
KR20070101560A (ko) 방호벽 및 이를 갖는 다중 아치형 터널
KR102240711B1 (ko) 터널 굴착용 발파소음 및 폭풍압 저감설비
KR200489824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JP6261942B2 (ja) トンネル低周波音低減装置
KR20110048210A (ko) 차단벽을 가지는 터널공사용 분진차단장치
KR101781400B1 (ko) 좌굴방지보강판이 구비된 보연결형 강재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027715B1 (ko) 터널 갱구부에 설치되는 완충 및 방음장치
JP4641641B2 (ja) 粉塵排出装置および粉塵排出方法
JPH11107672A (ja) 防音構造
KR200305672Y1 (ko) 터널 갱구부의 방음장치
KR102368370B1 (ko) 터널 방음 출입구 구조
JP7441986B2 (ja) 発破音低減方法及び発破音低減装置
KR101138405B1 (ko) 터널굴착용 소음 및 버력 비산의 방지 구조물
KR101721887B1 (ko) 터널 방음벽 구조
KR100226986B1 (ko) 수직갱구입구의 발파음 방음구조
CN215854787U (zh) 一种新型调度绞车
KR200241326Y1 (ko)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