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520A -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520A
KR20030011520A KR1020020026695A KR20020026695A KR20030011520A KR 20030011520 A KR20030011520 A KR 20030011520A KR 1020020026695 A KR1020020026695 A KR 1020020026695A KR 20020026695 A KR20020026695 A KR 20020026695A KR 20030011520 A KR20030011520 A KR 20030011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obile telephone
mirror surface
surface area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엔도도모히로
Original Assignee
씩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씩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씩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5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휴대전화기(1)의 외측 게이스에 있어서, 누름 버튼(push button)이 설치되는 표면영역(11)이외의 표면영역에, 경면(2)을 설치한 것에 근거하여, 휴대용 거울의 기능을 겸용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이고, 휴대용 거울의 기능을 겸용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의 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Cellular Phones}
본 발명은 기존의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화장용의 거울로서의 기능을 겸용시키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는 근년 소형화되어, 또한 기능도 다변화되어 있는 경향에 있다.
다른쪽, 외출의 때에 화장을 하는 것등을 목적으로 하는 휴대용 거울은 장신용구로서 상식적인 물품이다.
단지, 휴대용 전화기와 휴대용 거울을 각각 개별로 신체에 장착하여 갖고 다니는 것은 번잡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휴대용 거울의 기능을 겸용시킨다고 하는 발상은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거울로서의 기능을 겸용시키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도1은 실시예 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실시예 2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금속입자를 외측 케이스에 비산시켜, 경면을 형성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3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a)는 누름버튼 및 안쪽에 스피커가 설정되어, 귀와 접촉하는 측의 평면도이고, (b)는 경면을 설치한 측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전형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전화기 2 : 경면
11,12 : 표면영역 21 : 금속입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구성은 휴대전화기의 외측 케이스에 있어서, 누름 버튼이 설치되는 표면영역이외의 표면영역에, 경면을 설치한 것에 근거하는 휴대전화기로 이루어진다.
도3(a), (b)는 본 발명이 전형적인 실시형태이고, 누름 버튼이 설치되는 표면영역(11) 및 스피커가 안쪽에 설정되어 있고, 귀를 접촉하는 표면영역(12)과 반대측의 표면영역에, 경면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1)의 주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표면영역이외의 표면영역에서 경면(2)을 설치하여, 휴대전화기(1)의 표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점에 특징을 갖고 있다.
도4는 누름 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표면영역(11)과 동 일측의 표면영역에서,스피커가 안쪽에 설정되어 있고, 귀를 접촉하는 표면영역(12)과 공통하는 표면영역에 경면(2)을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통상, 경면(2)은 금속층을 포함하는 얇은 막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의 전달에 각별한 지장은 생기지 않는다.
도 4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누름 버튼을 조작하면서, 그 위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면(2)에 의해서 자기의 용자를 관찰할 수가 있는 점에 특징을 갖고 있다.
그리고, 휴대전화기(1)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평탄하기 때문에, 금속입자(21)등에 의해서 경면반사를 실현할 수 있는 것 같은 경면(2)을 형성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경면(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입자(21)에 의한 얇은 막의 형성에 의해서 실현되어 있지만, 해당 금속입자(21)로서는, 은입자, 수은입자등이 호적이다.
경면(2)을 형성하는 가장 간편한 방법은, 베이스필름표면에 금속도금등에 의한 도포(코팅)를 하여, 또한 해당 베이스필름의 표면 또는 이면을 외측 케이스의 표면영역에 점착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표면을 점착한 경우에는, 이면을 점착한 경우에 비하여, 경면(2)을 베이스필름에 의해서 커버할 수 있는 점에서 유의이지만, 베이스필름의 투명도여하에 의해서는 경면반사의 효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서,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수시 휴대전화기를 거울로서 사용할 수 있고, 실외의 화장용구로서 수시 이용할 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근년, 휴대전화기(1)에는 접는 형식의 구성도 채용되어 있고, 해당 구성에 있어서는, 누름 버튼이 존재하는 표면영역(11)은 접은 경우에 접촉하는 안쪽표면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1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하도록, 경면(2)을 접은 경우, 누름 버튼이 존재하는 표면영역(11)과, 중첩하는 내측의 표면영역에 경면(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실시예1의 경우에 있어서도 도 4의 경우와 같이 경면(2)은 귀를 접촉하는 표면영역(12)을 겸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실시예1의 구성으로서는, 접은 경우의 안쪽면에 경면(2)이 형성되어 있고, 통상의 휴대용 거울과 같은 감각으로써 경면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통상 접은 안쪽에 경면이 존재함으로써, 외부와의 접촉에의한 경면의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2]
외측 케이스의 표면영역에 경면(2)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도금을 행한 베이스 필름의 이면을 점착시키는 방식에 한정되는 이유가 아니다.
실시예2에 있어서는, 점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입자(21)를 해당 케이스의 원하는 표면영역에서 스트레이트에 충돌시켜, 대략 평탄한 금속박막을 형성함으로써 경면(2)을 형성하고 있다.
실시예2의 방법에 의해서 경면(2)을 형성한 경우에는, 금속입자(21)가 표면영역에 강고히 고착하기 때문에, 외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경면(2)이 파괴되는 위험성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가 있다.
실시예2의 방법에 있어서도, 경면(2)을 외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마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경면(2)의 외측에 투명한 플라스틱면에 의해서 커버하는 것은 당연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서는, 휴대전화기를 휴대용 거울과 겸용시킬 수 있고, 생활의 편리의 향상에 지극히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심플한 아이디어이면서, 휴대전화기가 다면적인 이용에 도움이 되고 있고, 그 가치는 절대적이다.

Claims (6)

  1. 휴대전화기의 외측 케이스에 있어서, 누름 버튼이 설치되는 표면영역이외의 표면영역에, 경면을 설치한 것에 근거하는 휴대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누름 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면과 동일측의 표면영역에 경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누름 버튼을 설치한 표면영역과 반대측의 표면영역에 경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외측 케이스를 접은 방식으로 하고 있는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접기에 의해서 서로 중첩하는 안쪽면의 영역에 경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경면을 베이스필름에 도포하여, 해당 베이스필름을 외측 케이스의 표면영역에 점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입자의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서 경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KR1020020026695A 2001-08-02 2002-05-15 휴대전화기 KR20030011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34655 2001-08-02
JP2001234655A JP2003046622A (ja) 2001-08-02 2001-08-02 携帯電話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520A true KR20030011520A (ko) 2003-02-11

Family

ID=1906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695A KR20030011520A (ko) 2001-08-02 2002-05-15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027609A1 (ko)
JP (1) JP2003046622A (ko)
KR (1) KR20030011520A (ko)
CN (1) CN14060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6732A1 (de) * 2003-03-27 2004-10-07 Mohammad-Sadegh Tavana Kombinative handygeräte
US20040229668A1 (en) * 2003-05-14 2004-11-18 Lin Chih Kang Kiln formed glass decorated casing for cellular phone
WO2007071176A1 (fr) * 2005-12-19 2007-06-28 Xiangwei Wang Telephone mobile dote d'un miroir, d'un couteau et d'un ouvre-bouteille
JP5311925B2 (ja) * 2008-08-25 2013-10-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515A (ja) * 1996-06-20 1998-01-16 Hideya Kozama 蓋状部材を有する携帯電話器
JPH1093674A (ja) * 1996-09-17 1998-04-10 Kokusai Electric Co Ltd 鏡付き携帯電話機
KR20000002269U (ko) * 1998-07-01 2000-02-07 김영일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KR20000006759A (ko) * 1999-10-27 2000-02-07 홍진의 휴대폰용 거울
KR20000007769U (ko) * 1998-10-09 2000-05-06 위순임 거울겸용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
KR20010035876A (ko) * 1999-10-04 2001-05-07 양국진 간이화장용구가 내장된 핸드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4820B1 (de) * 1995-05-03 2003-1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gbares funkkommunikations gerät mit integrierter kamera und bildanzeigevorrichtung
US6311077B1 (en) * 1999-07-08 2001-10-30 M3 Advisory Services, Inc. Combined cosmetics compact and cellular radiotelephone
JP4201442B2 (ja) * 1999-11-05 2008-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2001217908A (ja) * 2000-01-31 2001-08-10 Nec Corp 携帯無線機器
US6424823B1 (en) * 2000-02-09 2002-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 phone with integrated personal mirr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515A (ja) * 1996-06-20 1998-01-16 Hideya Kozama 蓋状部材を有する携帯電話器
JPH1093674A (ja) * 1996-09-17 1998-04-10 Kokusai Electric Co Ltd 鏡付き携帯電話機
KR20000002269U (ko) * 1998-07-01 2000-02-07 김영일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KR20000007769U (ko) * 1998-10-09 2000-05-06 위순임 거울겸용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
KR20010035876A (ko) * 1999-10-04 2001-05-07 양국진 간이화장용구가 내장된 핸드폰
KR20000006759A (ko) * 1999-10-27 2000-02-07 홍진의 휴대폰용 거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6040A (zh) 2003-03-26
US20030027609A1 (en) 2003-02-06
JP2003046622A (ja)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3580B2 (ja) ケース
US6424823B1 (en) Cell phone with integrated personal mirror
JP2005501434A (ja) ケース
US20070103762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hangeable color cueing
EP1035710A1 (en) Mobile telephone with articulated flap above the keypad
KR20030011520A (ko) 휴대전화기
JP4171654B2 (ja) 携帯通信装置のケース
KR200391006Y1 (ko) 키스타입의 휴대폰
KR19980032086U (ko) 휴대용 전화기
CN213846760U (zh) 一种用于老年手机的手机壳
KR200194591Y1 (ko) 얼굴이 비치는 핸드폰
GB2294836A (en) Hands-free headset for mobile telephones
KR20040110534A (ko) 거울기능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케이스 및 상기배터리케이스의 제조방법
JP4097256B2 (ja) 携帯電話機
KR20000002269U (ko)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KR200167296Y1 (ko) 핸드폰 부착용 거울
TWI410113B (zh) 攜帶式通訊裝置
KR20000058228A (ko) 거울이 부착된 휴대폰
KR200275027Y1 (ko) 거울이 부착된 휴대폰
KR200202283Y1 (ko) 화장용 거울을 갖는 휴대용전화기
KR200318565Y1 (ko) 거울전화기
KR20000059908A (ko) 휴대폰
JP3080990U (ja) 鏡付き携帯機器
KR200188127Y1 (ko) 2층 구조를 갖는 휴대폰 덮개
KR20060096229A (ko) 키스타입의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