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269U -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269U
KR20000002269U KR2019980012010U KR19980012010U KR20000002269U KR 20000002269 U KR20000002269 U KR 20000002269U KR 2019980012010 U KR2019980012010 U KR 2019980012010U KR 19980012010 U KR19980012010 U KR 19980012010U KR 20000002269 U KR20000002269 U KR 200000022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urface
mobile phone
mirror
battery pa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김영걸
Original Assignee
김영일
김영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일, 김영걸 filed Critical 김영일
Priority to KR2019980012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269U/ko
Publication of KR200000022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269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여러 형태의 공지의 휴대전화기에 거울 기능을 갖는 거울면을 형성한 것으로, 휴대전화기의 배터리팩(1), 몸체(4), 플립 또는 덮개의 어느 한 면에 거울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거울면은 거울 기능을 갖는 유리재질, 금속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 형성하거나 거울면의 형성이 가능한 물질의 코팅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거울을 휴대할 필요가 없고 또한, 여러 사람이 눈치채지 못하게 거울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에 거울 또는 거울 역할을 하는 거울면을 형성하여, 휴대시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수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전화기는, 크게 나누어 몸체와 이 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으로 이루어진다. 이 배터리 팩은 주로 전화기 몸체 뒷부분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결합되는 부위의 몸체 또는 배터리팩 면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전화기 다른 종류로는 도 3과 같이, 전화기 몸체가 양분되어 있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몸체의 하단에 힌지(10)를 구성하여 덮개(11)를 구성한 것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여러 형태의 휴대전화기에 최소한의 구조 변경을 주거나 또는 구조 변경을 전혀 주지 않고 거울면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휴대시 별도의 거울이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타인에게 거울을 사용한다는 사실도 거의 모르게 은폐하여 거울면을 사용할 수 있게 휴대폰을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거울면를 사용치 않을 경우, 거울면이 휴대전화기의 외부에 전혀 노출되지 않으므로, 휴대전화기의 외관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게 구성하였으며, 또 거울면이 오염 및 파손되는 것으로부터 보호될수 있게 구성 한 것이다.
도 1은 휴대전화기 배터리 팩에 거울면을 형성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휴대전화기의 몸체(4)에 거울면(5)을 형성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다른 형태의 휴대전화기에 본 고안을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배터리팩 2,5,6,7 ; 거울면
4 ; 몸체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각종 여러 형태의 공지의 휴대전화기에 거울면를 형성함에 있어, 휴대전화기의 배터리팩(1), 몸체(4) 또는 덮개의 어느 한 면에 거울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거울면은 거울 기능을 갖는 유리재질, 금속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 형성하거나 또는, 반사면의 형성이 가능한 물질의 코팅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의 예시와 함께 상술한다.
도 1은 휴대전화기 배터리팩(1)의 평평한 면에 거울면(2)을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팩의 안쪽면은, 즉 슬라이딩 결합부(3)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 안쪽은 완전히 평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곳에 거울면(2)을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시킨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몸체(4)에 거울면(5)을 형성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도 3은 반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형으로 나오는 휴대폰에 거울면(6)을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여기선 플립(8)에 거울면(6)을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다.
도 4는 보턴부(9)를 덮을 수 있는 덮개(11)를 갖는 휴대폰에 거울면(7)을 형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11)의 안쪽면에 형성시킨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거울면들은 어떤 재질로든 제조 가능하다. 가장 통상적인 것은 유리재질의 뒤에 일루미늄과 코팅면을 형성한 거울, 또는 유리재질 전면에 알루미늄 코팅면으로 형성한 거울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이다. 이것은 유리재질의 거울을 충분히 얇게 제작할 경우 가능하다. 그러나 배터리팩이나 몸체의 결합부에 변형을 주어 거울의 두께에 무관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가능한 기존의 휴대폰의 구조 변경이 없이 부착 또는 형성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반사물질을 도포 또는 코팅하는 방법과 평평한 면을 갖는 얇은 거울면를 접착제로 접착하는 방법이다.
한 예로, 얇은 반사 거울면으로 이루어지는 얇은 금속판, 예를 들어 질긴 성질을 갖는 얇은 강판에 반사면을 구성할 수 있는 코팅물질을 코팅하여 종이와 같이 매우 얇게 만들어, 일정 크기로 오려 접착제로 부착할 수도 있다. 종이와 같이 얇은 금속판으로 반사면을 형성하는 것은 이미 나와 있는 거울면 금속판을 사용하면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다.
또는 소정의 얇은 재질에 알루미늄 코팅액으로 거울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알루미늄박, 은박 등과 같이 각종 반사 거울면을 형성 할 수 있는 금속박을 사용 할 수도 있다.
또는 거울면을 형성할 수 있는 액상의 물질을 단지 휴대폰의 몸체,배터리팩, 플립, 덮개등에 도포 또는 피복하는 방법으로 거울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외 거울면을 형성하는 다른 여러 기술도 사용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접이형의 휴대폰 경우, 도 3과 같은 플립(8)이나 도 4와 같이 덮개(11)로 양분되는 것은, 플립(8) 이나 덮개(11) 또는 그 몸체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배터리팩 또는 배터리팩과 결합하는 몸체의 해당 배면에 선택적으로 거울면를 부착, 도포, 코팅 등의 여러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비록 일부 휴대전화기의 형상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휴대전화기에 거울용으로 사용 가능한 거울면을 구성한 것으로, 휴대 전화기의 어떠한 형태에 무관하게 또한 휴대전화기의 어느 위치 적인 변형 또는 구조적인 변형으로 거울면을 형성하여도, 본 고안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에 거울이 포함되어 있어 별도의 거울을 준비하여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공공의 장소에서 거울을 보는 것은 보기에도 좋치 않아 서양에선 천박한 행동으로 예의에 어긋나는 실례가 되는 점이라는 것을 감안하여 볼 때, 본 고안은 사용시 사용 사실이 타인에게 적게 노출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거울면는 휴대전화기 내부에 은폐되어 있으므로 오염이나 파손으로부터 보호 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거울면는 휴대전화기 내부에 위치하여 휴대전화기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등의 영향을 전혀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각종 여러 형태의 공지의 휴대전화기에 거울면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종 휴대전화기의 배터리팩(1), 몸체(4), 플립(8) 또는 덮개의 어느 한 면에 거울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울면은 배터리팩(1)의 평평한 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울면은 배터리팩(1)이 결합되는 몸체의 배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울면은 휴대폰 플립(8)의 내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울면은 휴대폰 덮개(11)의 내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울면은 거울 기능을 갖는 유리재질, 금속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울면은 소정의 재질에 반사면의 형성이 가능한 물질의 코팅으로 형성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울면은 거울면을 형성할 수 있는 액상의 물질을 휴대폰의 몸체,배터리팩, 플립, 덮개 중 어느 하나에 피복하여 거울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면를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KR2019980012010U 1998-07-01 1998-07-01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KR200000022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010U KR20000002269U (ko) 1998-07-01 1998-07-01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010U KR20000002269U (ko) 1998-07-01 1998-07-01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269U true KR20000002269U (ko) 2000-02-07

Family

ID=6951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010U KR20000002269U (ko) 1998-07-01 1998-07-01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2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520A (ko) * 2001-08-02 2003-02-11 씩크 가부시키가이샤 휴대전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520A (ko) * 2001-08-02 2003-02-11 씩크 가부시키가이샤 휴대전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85834S1 (en) Cell phone cover with accessory pocket
CN101252610B (zh) 便携式电子装置的反射单元
KR101307736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용의 외장 패널
KR20000002269U (ko) 거울면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JP2003032345A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0167296Y1 (ko) 핸드폰 부착용 거울
KR20030011520A (ko) 휴대전화기
KR200275027Y1 (ko) 거울이 부착된 휴대폰
KR20000058228A (ko) 거울이 부착된 휴대폰
EP1509026A3 (en) Folding cellular telephone
JP3039222U (ja) 携帯電話機のシールアンテナ
KR200211473Y1 (ko) 거울 겸용 휴대용 무선통신기기
KR20030123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KR200362406Y1 (ko) 이동통신장치용 보호커버
KR200282196Y1 (ko) 핸드폰에 부착되는 스텐레스 거울
JP3033755U (ja) 携帯機器用保護シート
KR200285669Y1 (ko) 휴대폰 액세서리
KR200187700Y1 (ko) 거울을 구비한 핸드폰
JP3038857U (ja) 携帯電話機用の付属品
KR200187681Y1 (ko) 거울이 부설된 휴대폰
KR200279639Y1 (ko) 핸드폰 부착용 거울
KR200180590Y1 (ko) 거울면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 및 이에 사용하는 거울면스티커
KR200230377Y1 (ko) 폴더형 휴대폰 덮개
KR20040046596A (ko) 거울을 가진 휴대폰
KR200202283Y1 (ko) 화장용 거울을 갖는 휴대용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