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188A - 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 Google Patents

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188A
KR20030011188A KR1020010045756A KR20010045756A KR20030011188A KR 20030011188 A KR20030011188 A KR 20030011188A KR 1020010045756 A KR1020010045756 A KR 1020010045756A KR 20010045756 A KR20010045756 A KR 20010045756A KR 20030011188 A KR20030011188 A KR 20030011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teering
plate
central shaft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7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양구
Original Assignee
이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구 filed Critical 이양구
Priority to KR1020010045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1188A/en
Publication of KR20030011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188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PURPOSE: A steering-auxiliary mechanism equipped with a wheel-steering angle indicator is provided to easily and safely perform steering wheel-operation by installing a wheel-steering angle indicator to a steering-auxiliary mechanism. CONSTITUTION: A steering-auxiliary mechanism equipped with a wheel-steering angle indicator comprises a case(10) fixed to a steering wheel; a central shaft(30) housed in the case; a handle(20) supported to the central shaft; a transparent protective plate(21) installed on the handle; a cylindrical scale plate(50) with a notch mark indicating rotation of wheels; a moving plate housed in the scale plate, with having gear teeth formed on the inner wall and a rotational frequency-indicating hand pictured on the top; an angle-indicating hand disposed between the scale plate and the moving plate and fixed at the end portion of the central shaft; a first gear disposed inside the moving plate and fixed to the central shaft; a second gear transmitting rotation of the first gear to a third gear engaged with the teeth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the second gear and the moving plate; and a base plate supporting the second gear and the third gear and fixing the scale plate. The base plate is supported to the central shaft, to freely rotate, with a weight at an end. The steering-auxiliary mechanism is simp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and therefore, the expense is cut down.

Description

차륜 조향각 지시계가 장착된 스티어링 보조기구{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본 발명은 차륜 조향각 지시계가 장착된 스티어링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보조기구에 차륜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차륜 조향각 지시계를 설치하여 스티어링 휠 조작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assist mechanism equipped with a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assist mechanism capable of rotating the steering wheel more easily, by installing a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indicating a rotation angle of the wheel. This is to make the operation easier and safer.

정차 또는 주차된 차량을 다시 운행하는 경우에, 전륜이 조향된 상태에서 이를 인지하지 않은 채 출발하게 되면 예기치 않은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안전을 위하여 전륜이 어느 정도 회전되어 있는 지, 즉 조향각을 확인하여야 한다.In the case of re-starting a parked or parked vehicle, if the front wheel is steered and not aware of it, the risk of unexpected accidents is very high, so how much the front wheel is rotated for safety, ie steering angle Should be checked.

이 경우, 숙달된 운전자의 경우 스티어링 휠의 위치만을 보고도 어느 정도 인지가 가능하지만, 운전이 미숙하거나 다른 차종을 처음 운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부득이 타이어의 위치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여야 한다.In this case, the experienced driver can see how much of the steering wheel by looking at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wheel, but if the driver is inexperienced or the first time to drive another vehicle, you must check the position of the tire by eye.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차량의 조향각을 표시하는 장치, 즉 차륜 조향각 지시계가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조향각 지시계는 크게 전자식과 기계식의 두가지로 대별될 수 있는 데, 전자식 조향각 지시계의 경우 스티어링 컬럼에 회전각을 감지하는 센서롤 설치하고,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각도를 계기판에 설치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표시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oint, a device for displaying a steering angle of a vehicle, that is, a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These steering angle indicators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two types, electronic and mechanical.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steering angle indicator, a sensor roll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is installed in a steering column, and a separat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on the instrument panel. It is displayed through.

기계식 조향각 지시계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의 커버 중앙부에 부착되며, 내부에는 무게추를 사용한 하우징을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에 연결된 지시침을 설치하여 조향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mechanical steering angle indicator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cover of the steering wheel, as shown in FIG. 1, and therein, a housing using a weight is installed therein, and a reduction gear and an indicator needle connected to the reduction gear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to adjust the steering angle. It is configured to display.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해서 운전석에서도 차륜의 조향상태를 알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전자식 장치의 경우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미 생산된 차량에는 부착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convenience of knowing the steering state of the wheel in the driver's seat, but the electronic device is complicated in its configuration, not only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but also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attach to already produced vehicles. have.

기계식 장치는 전자식과는 달리 스티어링 휠 커버에 부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언제든지 탈부착이 가능하고 비용도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스티어링 휠 커버상에서 돌출된 형태로 부착되는 것이므로 정면충돌 사고시에는 치명적인 손상을 가할 위험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운전석 에어백의 경우 기본으로 장착되어 출고되는 차량이 많은 데, 에어백 작동시 스티어링 휠 커버를 찢고 에어백이 팽창하므로, 이과정에서 스티어링 휠 커버에 부착된 조향각 지시계가 분리되는 것은 필연적이므로 운전자에게 매우 심각한 부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Unlike the electronic, the mechanical device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t any time because it is only attached to the steering wheel cover. However, the mechanical device is protruded from the steering wheel cover, so it can be fatally damaged in the event of a frontal collision. .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driver's seat airbag is installed as a standard vehicle, but since the steering wheel cover is torn and the airbag is inflated when the airbag is operated, it is inevitable that the steering angle indicator attached to the steering wheel cover is separated during this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very serious injuri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기계식 조향각 지시계의 장점은 그대로 지니면서, 아울러 충돌시에 운전자에게 부상을 입힐 위험이 없는 차륜 조향각 지시계가 장착된 스티어링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mechanical steering angle indicator, and also provides a steering aid equipped with a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without the risk of injury to the driver during a collision. It is technical problem to do.

도1은 종래의 기계식 차륜 조향각 지시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echanical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보조기구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 stee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에서 표시된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indicated in FIG.

도4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륜 조향각 지시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5는 도4에 도시된 차륜 조향각 지시계에 대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shown in FIG.

도6는 도4에 도시된 차륜 조향각 지시계의 눈금판에 대한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of the scale plate of the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shown in FIG.

도7은 도4에 도시된 차륜 조향각 지시계의 이동판에 대한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a moving plate of the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shown in FIG.

도8은 도4에 도시된 차륜 조향각 지시계에 대한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the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shown in FIG.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보조기구의 두번째 실시예의 차륜 조향각 지시계에 대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of a second embodiment of a stee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케이스,20 … 손잡이,10... Case 20. handle,

21 … 보호판,30 … 중심축,21. Protection plate, 30. Central Axis,

31 … 플랜지,32, 33 … 높이 조절용 홈,31. Flange, 32, 33... Height adjusting groove,

40 … 고정핀,41 … 돌출부,40…. Fixed pin, 41... projection part,

42 … 걸림턱,43 … 스프링,42. ... spring,

50 … 눈금판,60 … 이동판,50... . Moving Plate,

61 … 각도 지시침,62 … 제1기어,61. Angle indicator hand 62. 1st Gear,

63 … 제2기어,65 … 제3기어,63. Second gear 65. Third Gear,

67 … 회전수 지시침,70 … 베이스 판,67. 70 rpm indicator hand; Base plate,

71 … 무게추,72 … 리브,71. Weight, 72... live,

80 … 브레이크 추,81 … 장공,80... Brake weight 81. Construction Worker,

90 … 제1 하부기어,91 … 제2 하부기어,90... First lower gear 91. Second lower gear,

92 … 내부 기어.92. Gear insid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내부에 원통형 공간부를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윗면에 설치되는 투명한 보호판과; 투명한 재질로 된 윗면에 차륜의 회전을 표시하는 눈금을 갖고 밑면은 개방된 원통형 눈금판과; 상기 눈금판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중심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며 내벽면에 기어이를 가지고 윗면에는 회전수 지시침이 그려져 있는 이동판과; 상기 눈금판과 이동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중심축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각도 지시침과; 상기 이동판의 내부에 위치하며 중심축에 고정되는 제1기어와, 제1기어의 측면에 위치하며 제1기어의 회전을 제3기어로 전달하는 제2기어와, 제2기어와 상기 이동판의 내벽에 형성된 이와 맞물리는 제3기어와; 상기 제2기어 및 제3기어를 지지하고, 눈금판을 고정하며, 일단부에 무게추를 갖고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상기 중심축에 지지되는 베이스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s detachably fixed to the steering wheel; A central shaft accommodated in the case, a handle supported to rotate freely on the central shaft and having a cylindrical space therein,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plat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andle; A cylindrical scale plate having a scale indicating a rotation of the whe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material and having an open bottom surface; A moving plate accommodated in the scale plate and supported to rotate freely on the central axis, the moving plate having a gear tooth on an inner wall thereof, and a rotation speed indicator needle being draw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 angle indicator hand positioned between the scale plate and the moving plate and fixed to an end portion of the central axis; A first gear positioned inside the moving plate and fixed to a central axis; a second gear positioned on a side of the first gear and transmitting rotation of the first gear; and a second gear and the moving plate. A third gear engaged with the tooth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gear; And a base plate supported on the central axis to support the second gear and the third gear, to fix the scale plate, and to rotate freely with a weight at one end.

여기서, 상기 케이스를 스티어링 휠에 고정하는 수단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중심축은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손잡이는 중심축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시에 손잡이가 케이스에 대해서 회전하더라도 그에 의해서 상기 중심축이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하는 경우는 없다.Here, the means for fixing the case to the steering wheel is generally know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reto. Since the central axis is fixed to the case and the handle is free to rotate about the central axis, even if the handle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ase in use, the central axis does not rotate by the inside of the case.

상기 눈금판, 이동판, 각도 지시침, 제1 내지 제3기어 그리고 베이스 판이 하나의 조향각 지시계를 구성하며, 이는 손잡이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눈금판에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수를 표시하는 눈금이 각인되는데, 차량에 따라서 스티어링 휠의 최대 회전수가 다르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눈금의 구체적인 갯수는 한정하지 않는다.The scale plate, the moving plate, the angle indicator hand, the first to third gears and the base plate constitute one steering angle indicator, which is housed inside the handle. In addition, although the scale indica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teering wheel is imprinted on the scale plate, since the maximum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teering wheel varies depending on the vehicle, the specific number of the scales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티어링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의 밑면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리브와, 상기 리브의 측면에 접촉하며, 일단부에는 상기 중심축을 삽입하기 위한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장공을 가지며, 중심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 브레이크 추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ering aid mechanism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i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 side of the rib in contact with, one end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inserting the central axis It further comprises a brake weight that is supported to rotate freely on the central axis.

상기 브레이크 추는 중심축에 끼워진 경우에 상기 리브의 측면에 접하게 되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경우에 자중에 의해서 상기 리브를 누르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추에 형성된 장공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므로, 장착된 경우에 브레이크 추가 상하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지만 좌우로는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The brake weigh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ib when fitted to the central axis, and when the brake weight i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the rib is pressed by the weight. Since the long hole formed in the brake weight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brake is mounted, the brake hole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dditional brake but cannot move from side to sid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판의 밑면에는 측면에 이를 갖는 고리형의 내부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중심축에 고정되는 제1 하부기어와, 상기 제1 하부기어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 기어의 이와 맞물리는 제2 하부기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is formed with an annular inner gear having it on the side, the first lower gear which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fixed to the central axis, the side of the first lower gear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lower gear positioned in engagement with the teeth of the internal gea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중심축의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중심축의 측면에 형성된 2개 이상의 높이 조절용 홈과, 상기 케이스에 중심축을 상하로 슬라이드 하도록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며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통형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중심축 수용부와, 상기 중심축 수용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통형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고정핀 수용부와, 상기 고정핀 수용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리형의 걸림턱과, 몸체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돌출부와 걸림턱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a flange formed at the end of the central axis, two or more height adjusting grooves form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axis, and two cylindrical space portions formed to accommodate the central axis to slide up and down in the case and having different diameters. A central pin receiving portion, a fixed pin receiving portion formed of two cylindrical space portions having different diameters on the side of the central axis receiving portion, an annular locking jaw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xing pin receiving portion, and a protrusion on the body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pin is formed, and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locking step of the fixing pin.

상기 중심축의 하부 직경은 상기 원통형 공간부에서 작은 직경을 갖는 부분과 동일하며, 상기 중심축의 플랜지의 직경은 상기 원통형 공간부에서 큰 직경을 갖는 부분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고정핀을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어, 고정핀의 끝단부는 중심축의 측면에 형성된 높이 조절용 홈에 삽입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높이 조절용 홈의 갯수와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lower diameter of the central axis is the same as the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in the cylindrical space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flange of the central axis is the same as the portion having the large diameter in the cylindrical space portion. In addition, the spring is to push the fixing pin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the end of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ax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보조기구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stee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는 스티어링 휠 고정부와 후술할 중심축 수용부를 가지고 있으며, 스티어링 휠 고정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의 홈(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동일한 형상의 홈(14)을 갖는 덮개(13)가 볼트로 고정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은 상기 홈(13, 14)의 사이에 고정된다.2, the case 10 has a steering wheel fixing portion and a central axis receiving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steering wheel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emi-circular groove 12, as shown, the same shape thereon The cover 13 with the grooves 14 is bolted. Thus, the steering wheel is fixed between the grooves 13, 14.

상기 손잡이(20)는 내부에는 조향각 지시계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된 보호판(21)이 윗면에 고정된다. 또한, 손잡이(20)는 부싱등에 의해서 상기 중심축(30)의 윗부분에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The handle 20 has a cylindrical space for accommodating a steering angle indicator therein, and a protective plate 21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handle 20 is supported to be freely rot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shaft 30 by a bushing or the like.

상기 중심축(30)은 상기 케이스(10)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중심축(30)의 하부는 상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하단에는 플랜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직경을 달리하는 2개의 원통형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중심축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31)와 직경이 확장된 부분의 직경은 각각 상기 케이스(10)의 2개의 원통형 공간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있어서, 중심축(30)은 상기 중심축 수용부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The central shaft 30 is fixed to the case 10 so as not to rotate.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shaft 30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upper portion, and the flange 31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 case 10 has a central axis receiving portion formed of two cylindrical spac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s shown in FIG. 2, the diameter of the flange 31 and the portion of which the diameter is expanded is 2 of the case 10.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two cylindrical spaces, the central axis 30 can slide up and down within the central axis receiving portion.

중심축(30)의 직경이 확장된 부분의 측면에는 두개의 높이 조절용 홈(32, 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 조절용 홈에는 고정핀(40)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중심축(30)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40)은 케이스(1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핀 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핀 수용부는 중심축 수용부와 유사하게 두개의 직경을 달리하는 원통형 공간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핀(40)의 몸체부분에는 돌출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 수용부의 바깥쪽 끝단에는 걸림턱(42)이 고정된다.Two height adjustment grooves 32 and 33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diameter-extended portion of the central shaft 30. The end of the fixing pin 40 is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ing groove to prevent the central shaft 30 from moving up and down. Referring to Figure 3, the fixing pin 4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case 10, the fixing pin receiving portion is a cylindrical space portion different in two diameters similar to the central axis receiving portion Is done. In addition, the protrusion 41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of the fixing pin 40, the locking jaw 42 is fixed to the outer end of the central shaft receiving portion.

상기 걸림턱(42)은 와셔와 같은 형상을 가져서, 상기 돌출부(41)와의 사이에서 스프링(43)을 개재한다. 스프링(43)은 상기 고정핀(40)을 중심축(30) 쪽으로 밀어넣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적용하고 있다.The locking jaw 42 has the same shape as the washer and interposes the spring 43 with the protrusion 41. The spring 43 applie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in 40 is pushed toward the central axis 30.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차륜 조향각 지시계에 대해서 설명한다.A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상기 조향각 지시계의 최상부에는 눈금판(50)이 위치한다. 상기 눈금판(50)은 한쪽이 열려있는 납작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윗면에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수를 표시하는 눈금이 각인되어 있다. 눈금판(50)은 후술할 베이스 판(70)에 고정되어, 베이스 판(70)과 일체로 상기 중심축(30)을 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The scale plate 5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teering angle indicator. The scale plate 50 has a flat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a scale indica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teering wheel is im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material. The scale plate 50 is fixed to the base plate 70 to be described later, and freely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30 as an axis integrally with the base plate 70.

눈금판(50)의 하부에는 상기 중심축(30)에 고정되어 있는 각도 지시침(61)이 위치하고, 각도 지시침(61)의 하부에는 이동판(60)이 위치한다. 이동판(60)은 상기 눈금판(50)과 동일할 형상을 하지만, 눈금판(5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눈금판(50)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이동판(60)의 내벽의 끝단부에는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축(30)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중심축(30)에 지지되어 있다.An angle indicating needle 61 fixed to the central axis 30 is positioned below the scale plate 50, and a moving plate 60 is positioned below the angle indicating needle 61. The moving plate 60 has the same shape as the scale plate 50 but has a smaller size than the scale plate 50 so that the moving plate 60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scale plate 50. A gear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moving plate 60 and is supported by the central shaft 30 so as to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shaft 30.

또한, 이동판(60)의 윗면에는 회전수 지시침(67)이 그려져 있다(도7 참조). 따라서, 눈금판(50)의 하부에 이동판(60)이 수용되면, 눈금판(50)의 윗면은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각도 지시침(61)과 회전수 지시침(67)을 모두 눈금판(50)의윗면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도8 참조).Further, the rotation speed indicating needle 67 is dra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60 (see FIG. 7). Therefore, when the moving plate 6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cale plate 50, the upper surface of the scale plate 5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both the angle indicator needle 61 and the rotational speed indicator needle 67 are the scale plate 50.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upper surface (see Figure 8).

이동판(60)의 하부에는 제1기어(62)가 중심축(30)에 고정되어 있고, 제1기어(62)에 맞물리는 제2기어(63)는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으로 이를 가지며, 상부의 이가 제1기어(62)와 맞물리고, 하부의 이는 제3기어(65)와 맞물리게 되어 있다. 제2기어(63)는 베이스 판(70)에 핀(64)으로 고정되어 있어, 베이스 판(70) 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제2기어(63)의 측면에는 상기 이동판(60)의 내벽에 형성된 이와 맞물리는 제3기어(65)가 위치한다. 제3기어(65)도 제2기어(63)와 동일한 방법으로 베이스 판(70)에 고정된다.The first gear 62 is fixed to the central axis 3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60, and the second gear 63 meshing with the first gear 62 has two stages as shown. The upper teeth engage with the first gear 62 and the lower teeth engage with the third gear 65. The second gear 63 is fixed to the base plate 70 by a pin 64, so that the second gear 63 can freely rotate on the base plate 70. A third gear 65 engaged with the teeth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moving plate 60 is positioned at the side of the second gear 63. The third gear 65 is also fixed to the base plate 70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gear 63.

상기 베이스 판(70)은 중심축(30)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중심축(30)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눈금판(50)과 제2기어(63) 및 제3기어(65)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판(70)의 밑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에 무게추(71)가 형성되어 있고, 무게추(71) 보다 반경방향으로 안쪽에는 원주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리브(72)가 위치한다. 도5에서는 상기 리브(72)의 단면이 90°로 절곡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고, 리브(72)의 끝단면에는 상기 브레이크 추(80)의 끝단부(82)가 접하고 있다. 상기 리브(72)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고리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base plate 70 is supported by the central axis 30 so as to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30, and fixes the scale plate 50, the second gear 63, and the third gear 65. . In addition, a weight 71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70 in the radially outer side, and ribs 72 are formed to protrud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than the weight 71. In FIG. 5, the cross section of the rib 72 is shown bent at 90 °, and the end portion 82 of the brake weight 80 is in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rib 72. The rib 72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브레이크 추(8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의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8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81)에 중심축(30)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추(80)는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brake weight 80 has a fan shape as shown in FIG. 4, and an end hole 81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central axis 3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81. . Therefore, the brake weight 80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스티어링 보조기구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면,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은 지면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 판(70)과, 베이스 판(70)에 고정된 눈금판(50)은 베이스 판(70) 밑면에 위치하는 무게추(71)의 중량으로 인해 지면을 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브레이크 추(80)도 지면을 향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판(70)과 브레이크 추(80)는 중심축(30)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스티어링 휠이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항상 동일한 방향, 즉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When the steering aid i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since the steering wheel is generally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base plate 70 and the scale plate 50 fixed to the base plate 70 are The weight of the weight 71 position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70 faces the ground. Similarly, the brake weight 80 also faces the ground, and as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70 and the brake weight 80 are supported to rotate freely about the central axis 30, so that the steering wheel is at any position. Is always in the same direction, ie the direction towards the ground.

이때, 상기 각도 지시침(61)과 회전수 지시침(67)은 모두 상기 눈금판(50)의 윗면에 표시된 눈금의 중앙, 즉 0을 가리키도록 세팅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angle indicator needle 61 and the rotation speed indicator needle 67 are both set to point to the center of the scal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le plate 50, that is, zero.

상기 중심축(30)은 상기 케이스(10) 내에 고정되어 있고, 케이스(10)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20)는 중심축(30)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만일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고 스티어링 휠을 한바퀴 회전시키면, 상기 중심축(30)은 스티어링 컬럼을 중심으로 하여 1회의 공전과 1회의 자전을 하게 되며, 손잡이(20)는 1회의 공전을 하며 자전은 하지 않게 된다.The central axis 30 is fixed in the case 10 and is configured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case 10.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20 is supported to rotate freely about the central axis (30). If the user grasps the handle 20 and rotates the steering wheel one round, the central shaft 30 has one revolution and one rotation about the steering column, and the handle 20 has one revolution. It will not rotat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판(70)은 무게추(71)에 의해서 항상 지면을 향하는 일정한 방향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상기 중심축(30)은 베이스 판(7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1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기어(65)와 이동판(60)은 특정한 값으로 기어비가 정해져 있어서, 예를 들어 중심축(30)이 1회전하는 동안 상기 이동판(60)이 1/12 만큼 회전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판(60)의 윗면에 그려져 있는 회전수 지시침(67)도 1/12 회전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ase plate 70 is always fixed in a constant direction toward the ground by the weight 71, the central axis 30 is eventually rotated relative to the base plate 70 by one rotation. Will be The gear ratios of the first to third gears 65 and the moving plate 60 are determined to a specific value. For example, the moving plate 60 rotates by 1/12 while the central axis 30 is rotated once. If it is set to, the rotation speed indicating needle 67 dra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60 is also rotated 1/12.

따라서, 스티어링 휠이 한바퀴 회전하면 눈금판(50)은 처음의 위치와 동일하지만, 이동판(60)은 1/12 만큼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회전수 지시침(67)이 1/12 만큼 회전한 위치로 옮겨가게 되면서 상기 눈금판(50)에 미리 각인되어 있는 눈금 '1'의 위치를 가리키게 되어 운전자에게 스티어링 휠의 회전수를 알려주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once, the scale plate 50 is the same as the initial position, but the moving plate 60 is rotated by 1/12, and as a result, the rotation speed indicator 67 is rotated by 1/12. While moving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scale '1' previously imprinted on the scale plate 50 to inform the driver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teering wheel.

상기 각도 지시침(61)은 스티어링 휠이 회전된 각도를 표시한다. 즉, 상기 중심축(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심축(30)이 90도 자전하면 각도 지시침(61)도 90도 회전하게 되어, 상기 눈금판(50)의 윗면을 통해서 보면 처음에는 눈금 '0'의 위치에 있다가 중심축(30)이 90도 자전한 후에는, 눈금판(50)에 대해서 90도 회전한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The angle indicator 61 displays the angle at which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That is, since it is fixed to the central axis 30, when the central axis 30 is rotated 90 degrees, the angle indicator hand 61 is also rotated 90 degrees, when viewed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scale plate 50, the scale ' After the central axis 30 is rotated 90 degrees in the position of 0 ', it is in the position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cale plate 50.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려면, 상기 눈금판(50) 및 눈금판(50)을 고정한 베이스 판(70)이 항상 지면을 향하고 있어야 하는 데, 브레이크 추(80)는 무게추(71)의 역할을 보조하게 된다. 즉, 브레이크 추(80)는 중심축(30)을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81)에 삽입하고 있으므로,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서 상기 리브(72)의 단부를 누르게 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눈금판(50)이 움직이지 않도록 더욱 확실하게 고정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action accurately, the scale plate 50 and the base plate 70 fixing the scale plate 50 should always face the ground, but the brake weight 80 serves as the weight 71. To help. That is, since the brake weight 80 inserts the central axis 30 into the long hole 8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brake weight 80 is mounted to the steering wheel, the end portion of the rib 72 is pressed by its own weight. Thus, the scale plate 50 is more securely fixed so as not to move.

만일, 안전상의 문제나 기타 이유로 상기 손잡이(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핀(40)을 외부로 약간 빼낸 후 손잡이(20)를 눌러서 상기 중심축 수용부의 내부로 슬라이드 시킨 후 다시 고정핀(40)을 놓으면, 중심축(30)의 측면에 형성된 홈 중에서 상부에 있는 홈(33)과 고정되어 중심축(3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If, for safety or other reasons, the handle 20 is not used, the fixing pin 40 is slightly pulled out to the outside, and then the handle 20 is pushed into the central shaft accommodating part and the fixing pin is again. When the 40 is placed, it is fixed with the groove 33 on the upper side of the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axis 30 so that the central axis 30 is fixed without moving.

다음에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보조기구의 두번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단, 두번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판(70)의 밑면의 구성 외에는 첫번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Next, referring to FIG. 9, a second embodiment of a stee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70,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상기 베이스 판(70)의 하부에는 제1 하부기어(90)가 중심축(30)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제1 하부기어(90)의 측면에는 제2 하부기어(91)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판(70)의 하부에는 고리형으로 돌출된 내부 기어(92)가 형성되고, 내부 기어(92)의 측면에는 이가 형성되어서 제2 하부기어(91)와 맞물린다.The first lower gear 90 is fixed to the central shaft 3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70, and the second lower gear 91 is positioned at the side of the first lower gear 90. In addition, an inner gear 92 protruding in an annular shape is formed below the base plate 70, and teeth ar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inner gear 92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lower gear 91.

상기 제1 하부기어(90), 제2 하부기어(91) 및 내부 기어의 기어비는 1:1로 형성되어 있어서, 중심축(30)이 1회 자전하면 내부 기어가 형성된 베이스 판(70)도 중심축(30)의 자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1회 회전하게 된다.The gear ratio of the first lower gear 90, the second lower gear 91 and the inner gear is formed to be 1: 1, so that when the central shaft 30 is rotated once, the base plate 70 having the inner gear also formed It rotates on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30).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 판(70)은 중심축(30)이 회전하는 만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항상 처음에 고정된 위치, 즉 지면을 향하는 위치를 향하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base plate 7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the central axis 30 rotates, so that the base plate 70 always faces the first fixed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toward the groun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해서, 베이스 판이 항상 지면을 향하도록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운전자는 운전석 내에서도 차륜의 조향각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급격하게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켜도 베이스 판이 관성에 의해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ase plate is reliably fixed to always face the ground, so that the driver can more accurately grasp the steering angle of the wheel even in the driver's seat, and even if the steering wheel is suddenly rotated, the base plate is idling by inertia. Can be prevented.

아울러, 스티어링 보조기구와 차륜 조향각 지시계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고, 차량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간단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의 지출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a steering aid and a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separately, and even when the vehicle is replaced, it is possible to simply attach and detach, thereby reducing the expense of the cost.

또한, 필요시에 손잡이의 높이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사고시에도 치명적인 부상을 입을 염려가 없어지는 효과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handle can be lowered when necessary, it also provides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risk of fatal injury even in an accident.

Claims (4)

스티어링 휠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10)와;A case 10 detachably fixed to the steering wheel; 상기 케이스(10) 내에 수용되는 중심축(30)과, 상기 중심축(30)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내부에 원통형 공간부를 갖는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의 윗면에 설치되는 투명한 보호판(21)과;A central shaft 30 accommodated in the case 10, a handle 20 freely rotated on the central shaft 30 and having a cylindrical space therein, and a transparent portion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andle 20. A protective plate 21; 투명한 재질로 된 윗면에 차륜의 회전을 표시하는 눈금을 갖고 밑면은 개방된 원통형 눈금판(50)과;A cylindrical scale plate 50 having a scale indicating a rotation of a wheel on an upper surfac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having an open bottom surface; 상기 눈금판(5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중심축(30)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며 내벽면에 기어이를 가지고 윗면에는 회전수 지시침(67)이 그려져 있는 이동판(60)과;A moving plate 60 accommodated in the scale plate 50 and supported to rotate freely on the central axis 30 and having a gear tooth on an inner wall thereof, and a rotation speed indicator needle 67 being drawn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눈금판(50)과 이동판(6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중심축(30)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각도 지시침(61)과;An angle indicator (61) positioned between the scale plate (50) and the movable plate (60) and fixed to an end of the central axis (30); 상기 이동판(60)의 내부에 위치하며 중심축(30)에 고정되는 제1기어(62)와, 제1기어(62)의 측면에 위치하며 제1기어(62)의 회전을 제3기어(65)로 전달하는 제2기어(63)와, 제2기어(63)와 상기 이동판(60)의 내벽에 형성된 이와 맞물리는 제3기어(65)와;The first gear 62 is located inside the moving plate 60 and is fixed to the central shaft 30, and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gear 62 and rotates the first gear 62 to the third gear. A second gear (63) to be transmitted to (65), a second gear (63) and a third gear (65) engaged with the teeth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moving plate (60); 상기 제2기어(63) 및 제3기어(65)를 지지하고, 눈금판(50)을 고정하며, 일단부에 무게추(71)를 갖고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상기 중심축(30)에 지지되는 베이스 판(7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 조향각 지시계가 장착된 스티어링보조기구.A base plate supported by the central shaft 30 to support the second gear 63 and the third gear 65, fix the scale plate 50, and freely rotate with the weight 71 at one end; A steering aid equipped with a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7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 판(70)의 밑면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리브(72)와, 상기 리브(72)의 측면(73)에 접촉하며, 일단부에는 상기 중심축(30)을 삽입하기 위한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장공(81)을 가지며, 중심축(30)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 브레이크 추(8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 조향각 지시계가 장착된 스티어링 보조기구.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70 in contact with the rib 72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ide surface 73 of the rib 72,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inserting the central axis 30 Therefore, the steering aid having a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rake weight (80) having an extended long hole (81), which is supported to rotate freely on the central axis (3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 판(70)의 밑면에는 측면에 이를 갖는 고리형의 내부 기어(9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판(70)의 하부에 위치하며 중심축(30)에 고정되는 제1 하부기어(90)와, 상기 제1 하부기어(90)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 기어(92)의 이와 맞물리는 제2 하부기어(91)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 조향각 지시계가 장착된 스티어링 보조기구.An underside of the base plate 70 is formed with an annular inner gear 92 having a side surface thereof, the first lower gear 90 positioned below the base plate 70 and fixed to the central axis 30. And a second lower gear 91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lower gear 90 and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internal gear 92.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중심축(30)의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31)와, 중심축(30)의 측면에 형성된 2개 이상의 높이 조절용 홈(32, 33)과, 상기 케이스(10)에 중심축(30)을 상하로 슬라이드 하도록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며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통형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중심축 수용부와, 상기 중심축 수용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통형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고정핀 수용부와, 상기 고정핀 수용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리형의 걸림턱(42)과, 몸체부분에 돌출부(41)가 형성된 고정핀(40)과, 상기 고정핀(40)의 돌출부(41)와 걸림턱(42)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43)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 조향각 지시계가 장착된 스티어링 보조기구.Flange 31 formed at the end of the central shaft 30, two or more height adjustment grooves (32, 33) form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shaft 30, and the central shaft 30 in the case 10 A central pin receiving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slide up and down and having two cylindrical spac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 fixed pin receiving portion formed of two cylindrical spac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form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axis receiving portion, and the fixing An annular locking jaw 42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a fixing pin 40 having a protrusion 41 formed on the body portion, and a protrusion 41 and a locking jaw 42 of the fixing pin 40. Steering aid equipped with a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ring (43) interposed between.
KR1020010045756A 2001-07-28 2001-07-28 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KR200300111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756A KR20030011188A (en) 2001-07-28 2001-07-28 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756A KR20030011188A (en) 2001-07-28 2001-07-28 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983U Division KR200252871Y1 (en) 2001-07-28 2001-07-28 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188A true KR20030011188A (en) 2003-02-07

Family

ID=2771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756A KR20030011188A (en) 2001-07-28 2001-07-28 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118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61B1 (en) * 2007-04-12 2008-02-13 이양구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KR100803262B1 (en) * 2007-04-12 2008-02-13 이양구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61B1 (en) * 2007-04-12 2008-02-13 이양구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KR100803262B1 (en) * 2007-04-12 2008-02-13 이양구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9028B2 (en) Neutral position display device for electrically conductive winding cable in steering handle for vehicle
EP1647457B1 (en) Steering lock apparatus
EP0417670B1 (en) Air bag device
KR200252871Y1 (en) 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KR20030011188A (en) 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KR101289838B1 (en) Seatbelt retractor
JPH0541465B2 (en)
US6133648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enabling or disabling an actuatab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S58170673A (en) Device for indicating direction of tire of vehicle
JPH01148640A (en) Steering device for automobile
JPS58145537A (en) Display device of direction in automobile tire
KR200357676Y1 (en) Wheel Rotation Angle Indicator according to the Automobile Steering Wheel Operation
KR100803261B1 (en)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JP5315943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200217496Y1 (en) Steering angle indication device of vehicles
KR100331424B1 (en) indication device for steering position of vehicle
KR20050102375A (en) Wheel rotation angle indicator according to the automobile steering wheel operation
EP4190671A1 (en) A steering wheel arrangement
JPS58149833A (en) Car tire direction indicating unit
KR100803262B1 (en)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CN213892765U (en) Balance car slewing mechanism and electrodynamic balance car
KR200165154Y1 (en) Steering angle indication device of vehicles
KR20080113158A (en)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KR200195637Y1 (en) An indicator for a tire's air pressure
KR20100043477A (en)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and mounting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