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261B1 -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3261B1 KR100803261B1 KR1020070035873A KR20070035873A KR100803261B1 KR 100803261 B1 KR100803261 B1 KR 100803261B1 KR 1020070035873 A KR1020070035873 A KR 1020070035873A KR 20070035873 A KR20070035873 A KR 20070035873A KR 100803261 B1 KR100803261 B1 KR 1008032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base plate
- driven gear
- main shaft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05—Mechanical indicators, e.g. in or near steering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3—Hand wheels with a device allowing single-hand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을 차량의 핸들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handle of the vehicle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베이스판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기준판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a reference plat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표시판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5a to 5c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캡 20. 주축10.
30. 베이스판 40. 기준판30.
50. 표시판 60. 메인기어50.
70. 종동기어군 80. 무게추70. Follower Gear 80. Weight
90. 브레이크 디스크 100. 브레이크기어90. Brake
본 발명은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부품수를 간소화시켜 제작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차량의 핸들을 회전시키는 순간에 오작동이 발생되어 운전자가 핸들의 회전수를 오인하는 것 등을 방지하도록 된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by simplifying the total number of parts, the malfunction occurs at the moment when the driver rotates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he driver misunderstand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eering wheel,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for a vehicle.
차량을 정차 또는 주차한 후에 다시 운행할 경우, 차량의 전륜이 조향된 상태에서 그대로 운행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처럼 전륜이 똑바로 되어있지 않고 각도가 틀어진 상태에서 그대로 운행하면, 예기치 못한 각종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차량 재운행시 전륜의 조향 각도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When the vehicle is parked or parked again, many people operate the vehicle with the front wheels steered.However, if the front wheels are not straight and run at the wrong angle, unexpected accidents may occur. Because of the danger,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gain.
그런데, 차량의 전륜 조향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운전석 창문을 열고 직접 타이어의 조향각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운전이 미숙하거나 다른 차종을 처음 운전하는 사람을 위해 차량의 전륜의 조향각을 표시하는 장치가 시중에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However, in order to check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it is inconvenient to open the driver's seat window of the vehicle and check the steering angle of the tire directly. Display devic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and used.
이러한 조향각 표시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핸들을 돌리게 되면, 화살표가 차량의 조향 각도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직접 차량 전륜의 조향각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Such a steering angle display device has an advantage in that when the driver turns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he arrow indicates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does not have to directly check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그러나, 종래의 조향각 표시장치는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비교적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으며, 아울러, 부품수가 많이 들어 제품 코스트가 높아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teering angle display devi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parts is relatively high as a whole, an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duct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large number of parts.
또한, 운전자가 차량의 핸들을 돌리는 순간 차량 핸들의 회전수를 인지시키는 부분이 본의 아니게 과도하게 회전되거나 따로 돌아가는 현상(소위, 롤링 현상)이 발생되므로, 운전자가 핸들의 회전수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오작동으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oment that the driver turns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he part that perceiv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vehicle steering wheel unintentionally excessively rotated or rotated separately (so-called rolling phenomenon) occurs, so that the driver does not properly recogniz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eering wheel There is a problem that a malfunction occurs such as not possible, and furtherm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inevitably reduced due to such a malfun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며 제품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운전자가 차량의 핸들 조작시 핸들의 회전수를 제대로 인지시키지 못하는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the manufacturing operation is faster, easier and can reduce the product cost, furthermore, the driver to operate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t is to provide a handle navigation structure of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prevent malfunctions that do not properly recogniz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handle, and als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에 투시창(16)이 구비된 캡(10)과, 상기 캡(10)에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내장됨과 동시에 차량의 핸들(1)에 연결되는 주축(20)과, 상기 캡(10)에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주축(2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판(30)과, 상기 베이스판(30)의 상측부에 고정 결합되며 투명한 상면에는 차륜의 회전을 표시하는 눈금(42)이 구비된 기준판(40)과, 상기 기준판(40)과 베이스판(30) 사이에서 상기 주축(2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회전수 지시부(54)가 구비된 표시판(50)과, 상기 베이스판(30)의 하측에서 상기 주축(20)에 고정 결합된 메인기어(60)와, 상기 메인기어(60)의 회전력을 상기 표시판(50)에 전달하여 상기 주축(20)과 메인기어(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표시판(50)을 회전시키는 종동기어군(70)과, 상기 종동기어군(70)을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판(30)의 저면에 구비된 자성체 무게추(80)와, 상기 자성체 무게추(80)와 마주하도록 상기 베이스판(30)의 저면부에 구비된 금속제의 브레이크 디스크(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object, the
상기 종동기어군(70)은 상기 메인기어(60)에 기어 결합된 제1종동기어(72)와, 상기 제1종동기어(72)에 축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30)의 상측에 구비된 제2종동기어(75)와, 상기 제2종동기어(75)에 기어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판(50) 저면부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기어부에 기어결합된 제3종동기어(7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driven
상기 제1종동기어(72)의 기어축은 상기 베이스판(30)의 타측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종동기어(72)의 기어축(73)에는 상기 베이스판(30)의 상측에서 상기 제2종동기어(75)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3종동기어(77)는 상기 베이스판(3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종동기어(75)와 상기 표시판(50) 저면부의 기어부(56)에 기어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gear shaft of the first driven
상기 제1종동기어(72)의 기어축(73)은 상기 베이스판(30)을 관통하는 베이스 판 관통부(73a)의 직경이 상기 제1종동기어 고정부(73b)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 관통부(73a)와 제1종동기어 고정부(73b) 사이에 단차부(73s)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In the
상기 캡(10)은 베어링(22)에 의해 상기 주축(20)의 둘레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판(30)과 표시판(50)은 상기 주축(20)의 둘레부에 각각 베어링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상기 주축(20)은 상단부에 드라이버홈(24a)이 형성된 헤드부(24)가 구비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나사부(26)가 구비되어 상기 나사부(26)가 상기 캡(10)의 하측 중앙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축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상기 표시판(50)의 상면에는 차량의 전륜 조향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차륜 표시부(5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upper surface of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에 투시창(16)이 구비된 캡(10)과, 상기 캡(10)에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내장됨과 동시에 차량의 핸들(1)에 연결되는 주축(20)과, 상기 캡(10)에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주축(2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부에는 무게추(80)가 구비된 베이스판(30)과, 상기 베이스판(30)의 상측부에 고정 결합되며 투명한 상면에는 차륜의 회전을 표시하는 눈금(42)이 구비된 기준판(40)과, 상기 기준판(40)과 베이스판(30) 사이에서 상기 주축(2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회전수 지시부(54)가 구비된 표시판(50)과, 상기 베이스판(30)의 하측에서 상기 주축(20)에 고정 결합된 메인기어(60)와, 상기 메인기어(60)의 회전력을 상기 표시판(50)에 전달하여 상기 주축(20)과 메인기어(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표시판(50)을 회전시키는 종동기어군(70)과, 상기 무게추(80)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판(3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주축(20) 외주연의 메인기어(60)에 기어 결합된 브레이크기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차량의 핸들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베이스판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기준판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표시판의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면에 투시창(16)이 구비된 캡(10)과, 이 캡(1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며 차량의 핸들(1)에 연결되는 주축(20), 상기 캡(10)에 내장된 베이스판(30), 기준판(40), 표시판(50), 메인기어(60), 종동기어군(70), 자성체 무게추(80) 및 브레이크 디스크(90)로 구성된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base plat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reference plat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A through 5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operating st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캡(10)은 하부캡(12)과 상부캡(14)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하부캡(12)의 일측 상단부와 상부캡(14)의 일측 하단부에는 맞걸림부(12a,14a)가 각각 형성되어, 상부캡(14)의 맞걸림부(14a)와 하부캡(12)의 맞걸림부(12a)를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한 다음, 상부캡(14)과 하부캡(12)의 타측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B)에 의해 상부캡(14)과 하부캡(12)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캡(10)을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캡(12)의 타측부 저면을 관통하는 볼트(B)를 상부캡(14)의 타측부에 체결하여 상부캡(14)과 하부캡(12)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The
또한, 상부캡(14)의 상면에는 투명한 재질의 투시창(16)이 구비되고, 하부캡(12)의 중앙부에는 내주면에 나사부(18a)가 형성된 결합보스(18)가 인서트되어 있다. 또한, 하부캡(12)은 결합보스(18)의 상부측에 베어링(22)이 내장되므로, 하부캡(12)과 상부캡(14)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캡(10)이 주축(20)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p 14 is provided with a
이때, 상기 주축(20)은 핸들(1)에 고정된 연결브라켓(3)에 고정되고, 상기 캡(10)은 주축(20)의 외주면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시에 캡(10)이 연결브라켓(3)에 대해 회전하더라도 주축(20)이 캡(1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일은 없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주축(20)은 캡(10)의 중앙부 내부에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내장된다. 구체적으로, 캡(10)을 구성하는 하부캡(12)의 중앙부에는 내주연에 나사부(18a)가 형성된 결합보스(18)가 인서트되고, 주축(20)은 상단부에 드라이버홈(24a)이 형성된 헤드부(24)가 구비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나사부(26)가 구비된 볼트축 형상으로 구성되어, 주축(20)의 하측 나사부(26)를 하부캡(12)의 중앙부에 인서트된 결합보스(18)에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하면 주축(20)이 하부캡(12)에 연결된다. 이때, 주축(20)의 나사부(26) 상측 외주면에는 하부캡(12)에 내장된 베어링(22)이 결합되므로, 주축(20)이 하부캡(12)에 대해 상대회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축(20)이 캡(10)의 내부 중앙부에 상대회전 가능하다.The
또한, 주축(20)은 차량의 핸들(1)(이른바, 스티어링 휠이라고 하지만 편의상 핸들이라 칭함)에 고정된 연결브라켓(3)에 고정 연결되므로, 주축(20)이 차량의 핸들(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연결브라켓(3)은 일측부에 반원형홈(5a)을 갖는 핸들 고정부(5)가 형성되고, 핸들 고정부(5) 위에 반원형홈(6a)을 갖는 덮개(6)가 구비된 형상으로 구성된다.The connecting
이에 따라, 연결브라켓(3)의 일측부는 핸들 고정부(5)와 덮개의 결합에 의해 차량의 핸들(1)에 고정되는 한편, 연결브라켓(3)의 타측부에 볼트 형상의 연결축(8)을 관통시켜 상기 캡(10)의 하부캡(12) 중앙부에 구비된 결합보스(18) 내주연의 나사부(18a)에 나사식으로 체결하면, 상기 주축(20)이 연결축(8)과 연결브라켓(3)을 매개로 차량의 핸들(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one side of the connecting
다시 말해, 주축(20)은 연결축(8)과 연결브라켓(3)을 매개로 차량의 핸들(1)에는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캡(10)을 구성하는 하부캡(12)의 중앙부에 인서트된 베어링(22)에 결합되므로, 차량의 핸들(1) 회전에 따라 주축(20)이 캡(10)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상기 베이스판(30)은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베이스판(30)의 중앙부는 주축(2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캡(10)에 내장된다. 베이스판(30)은 캡(10)의 중심부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주축(20)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베이스판(30)의 중앙부는 베어링(32)을 통해 주축(20)의 외주연에 결합되므로, 베이스판(30)이 주축(20)에 대해 상대회전될 수 있다.The
또한, 베이스판(30)의 일측부에는 원호형의 무게추(80)가 결합되어 있다. 구 체적으로, 베이스판(30)은 후술할 제1종동기어(72)의 기어축(73)이 관통되는 위치의 반대편 위치인 일측부 저면에 원호형의 무게추(80)가 고정되어 있다. 이 무게추(80)는 베이스판(30)이 항상 지면 방향을 향하도록 제위치(0점 위치)를 잡아주는 기능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n
상기 베이스판(30)의 상측부에는 기준판(40)이 고정된다. 이 기준판(40)은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기준판(40)의 하단부가 베이스판(30)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기준판(40)은 상면이 투명하게 구성되는데, 기준판(40)의 투명한 상면에는 차륜(즉, 차량의 전륜)의 회전을 표시하는 눈금(42)이 구비된다. 이 눈금(42)은 기준판(40)의 투명한 상면에 인쇄되어 있다. The
상기 기준판(40)의 저면과 베이스판(30)의 상면 사이에는 주축(2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표시판(50)이 구비된다. 즉, 표시판(50)의 중심부가 베어링(52)에 의해 주축(20)의 외주연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표시판(50)의 상면에는 회전수 지시부(54)가 구비된다. 이 회전수 지시부(54)는 지시침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판(50)의 상면에 인쇄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판(50)의 저면 외곽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기어부(56)가 형성되어, 이 기어부(56)에 후술할 종동기어군(70)의 제3종동기어(77)가 기어결합되어 있다. A
상기 베이스판(30)의 하측에는 주축(20)에 고정 결합된 메인기어(6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캡(10)을 주축(2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베어링(22)의 상측 위치에서 스프링 와셔(22w)가 주축(20)의 둘레부에 결합되고, 이 스프링 와셔(22w) 위에서 메인기어(60)가 주축(20)의 둘레부에 고정 결합되어, 메인기 어(60)가 주축(20)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lower side of the
상기 종동기어군(70)은 메인기어(60)의 회전력을 표시판(50)에 전달하여 주축(20)과 메인기어(60)의 회전에 따라 표시판(50)을 회전시키게 된다.The driven
구체적으로, 종동기어군(70)은 메인기어(60)에 기어 결합된 제1종동기어(72)와, 이 제1종동기어(72)의 회전축(73)에 축결합되어 베이스판(30)의 상측에 구비된 제2종동기어(75)와, 이 제2종동기어(75)에 기어결합됨과 동시에 표시판(50) 저면부의 원주형 기어부(56)에 기어결합된 제3종동기어(77)로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driven
이때, 상기 제1종동기어(72) 중앙부의 기어축(73)은 베이스판(30)의 타측부(즉, 무게추(80)가 구비된 베이스판(30)의 일측부와 반대되는 위치)를 상하로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종동기어(72)의 기어축에는 제2종동기어(75)가 고정 결합되며, 제3종동기어(77)는 베이스판(30)의 상면에 핀(7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제2종동기어(75)와 표시판(50) 저면부의 원주형 기어부(56)에 기어결합된다.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주축(20)과 함께 메인기어(60)가 회전하면, 제1종동기어(72)는 베이스판(30)의 타측부를 관통하여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기어축(73)을 중심으로 메인기어(6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1종동기어(72)의 기어축(73)에 장착된 제2종동기어(75)는 제1종동기어(72)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제2종동기어(75)와 표시판(50) 저면의 원주형 기어부(56)에는 제3종동기어(77)가 기어 결합되어, 제3종동기어(77)가 제2종동기어(75)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결국, 메인기어(60)의 회전력은 제1 내지 제3종동기 어(72,75,77)에 의해 표시판(50)에 전달되어 표시판(50)이 주축(20)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판(30)은 주축(20)에 베어링(32)을 매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부 저면에는 무게추(80)가 구비되어, 주축(20)이 회전하더라도 무게추(80)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항상 제위치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이때, 상기 캡(10), 베이스판(30), 표시판(50)은 각각 베어링(22,32,52)을 매개로 주축(20)의 외주연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캡(10)은 베어링(22)에 의해 주축(20)의 둘레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판(30)과 표시판(50)은 주축(20)의 둘레부에 각각 베어링(32,52)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35는 스페이서로서, 이 스페이서(35)에 의해 베이스판(30)과 표시판(50)이 상하 간격을 유지하면서 주축(20)과 함께 베어링(32,5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In this case, the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3)의 일측부는 핸들 고정부(5)와 덮개(6)의 결합에 의해 차량의 핸들(1)에 고정시키는 한편, 연결브라켓(3)의 타측부에 형성된 통공(미도시)에 볼트 형상의 연결축(8)을 관통시켜 캡(10)의 하부캡(12) 중앙부에 구비된 결합보스(18) 내주연의 나사부(18a)에 나사식으로 체결하면, 상기 주축(20)이 연결축과 연결브라켓(3)을 매개로 차량의 핸들(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브라켓(3)과 연결축을 매개로 본 발명의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를 차량의 핸들(1)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1, one side of the connecting bracket (3) to the steering wheel (1) of the vehicle by the combination of the handle fixing part (5) and the cover (6) On the other hand, the
이처럼 본 발명의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를 차량의 핸들(1)에 장착하면, 차량의 핸들(1)은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판(30)과, 이 베이스판(30)의 상면에 고정된 기준판(40)은 베이스판(30)의 저면 일측부에 구비된 무게추(80)의 중량으로 인해 지면을 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의 주축(20)에 대해 자유롭게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핸들(1)이 어떠한 위치에 있더라도 항상 동일한 방향(즉,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In this way, when the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이를테면, 본 발명의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를 차량의 핸들(1)에 장착하면, 상기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은 무게추(80)의 중량에 의해 항상 지면을 향하는 방항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이때, 상기 표시판(50)의 회전수 지시부(54)는 기준판(40)의 상면에 구비된 눈금(42)의 중앙, 즉, 0점(도 3에 도시됨)을 가리키도록 셋팅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이하,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상술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운전자가 캡(10)을 잡고 차량의 핸들(1)을 좌측으로 한바퀴 회전시키면, 상기 주축(20)은 핸들(1)의 스티어링칼럼(미도시)을 중심으로 1회의 자전과 1회의 공전을 하는 한편, 캡(10)은 운전자가 잡고 있기 때문에, 1회의 공전만 하고 자전은 하지 않게 된다.First, when the driver grabs the
이때, 상기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은 무게추(80)의 무게에 의해 항상 지면을 향하는 일정한 방향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주축(20)은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에 대해 상대적으로 1회전하는 반면,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은 회전 하지 않고 제위치를 유지한다. 도 5a에 이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이와 같이, 주축(20)이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에 대해 상대적으로 1회전하면, 메인기어(60)가 회전하고, 메인기어(60)의 회전력은 제1 및 제3종동기어(72,75,77)를 통해 표시판(50)에 전달되기 때문에, 도 5b에 도시된 바아 같이, 주축(20)이 1회전함에 따라 표시판(50)이 회전되면서 표시판(50) 상면의 회전수 지시부(54)가 기준판(40)의 좌측으로 회전되어 눈금(42) 1을 가리키게 되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차량의 전륜이 좌측으로 한바퀴 회전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한편, 운전자가 캡(10)을 잡고 차량의 핸들(1)을 우측으로 한바퀴 회전시키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판(50) 상면의 회전수 지시부(54)가 기준판(40)의 우측으로 회전되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42) 1을 가리키게 되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차량의 전륜이 우측으로 한바퀴 회전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 grabs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전자식 조향각 표시장치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구조를 상대적으로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부품수가 적게 들어 제품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차량의 핸들(1) 중앙부에 장착되어 사용하도록 된 종래의 기계식 조향각 표시장치에 비하여 제품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overall number of parts is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lectronic steering angle display device, which can simplify the structure relatively,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 the product cost due to the low number of part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chanical steering angle display device which is mounted and used in the center of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종동기어군(70)을 벗어난 위치에서 베이스판(30)의 저면에 구비된 자성체 무게추(80)와, 이 자성체 무게추(80)와 마주하도록 베이스판(30)의 저면부에 구비된 금속제의 브레이크 디스크(9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자성체 무게추(80)와 브레이크 디스크(90)는 운전자가 차량의 핸 들(1)을 작동시킬 때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이 본의 아니게 따로 회전되어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즉, 종래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핸들(1)을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돌리는 경우, 핸들(1)의 회전수를 인지시키는 부분인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의 눈금(42)이 본의 아니게 따로 돌아가거나 한 바퀴 더 돌아가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므로, 운전자가 핸들(1)의 회전수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That is, in the related art, when the driver turns the
또한, 핸들(1) 조작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이 따로 노는 현상(이른바, 롤링 현상)으로 인해 운전자가 재차 핸들(1)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이 신속하게 제위치(즉, 0점 위치)에 정지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의 눈금(42)이 롤링 현상으로 인해 신속하게 제위치에 정지하지 못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며, 나아가, 운전자가 짜증을 느낄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phenomenon in which the
이를테면, 운전자가 차량 핸들(1)을 돌릴 때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핸들(1)의 회전수를 인지시키는 부분이 따로 돌거나 한 바퀴 더 돌아가면서 운전자가 차량 핸들(1)의 회전수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오작동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며, 롤링 현상으로 인해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이 신속하게 제위치를 잡지 못하여 불편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part that recogniz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 베이스판(30)은 종동기어군(70)을 벗어난 위치의 저면부(구체적으로, 종동기어군(70)과 반대되는 위치의 저면부)에 자성체 무게 추(80)가 구비되고, 이 자성체 무게추(80)와 마주하도록 베이스판(30)의 저면에 브레이크 디스크(90)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핸들(1)을 급격하게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자성체 무게추(80)와 브레이크 디스크(90) 사이의 인장력에 의해 베이스판(30)을 정위치에 잡아준다. 이를테면, 브레이크 디스크(90)와 자성체 무게추(80) 사이의 인장력으로 인해 베이스판(30)이 심하게 회전하는 현상(이른바, 롤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신속하게 정위치(즉, 0점 위치)를 잡을 수 있는 것이다.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핸들(1)의 회전수를 인지시키는 부분(즉,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이 브레이크 디스크(90)와 자성체 무게추(80) 사이의 인장력에 의해 신속하게 0점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되므로, 운전자가 차량 핸들(1) 조작시에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이 본의 아니게 따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차량 핸들(1)의 회전수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이처럼 핸들(1) 조작시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종래에 비하여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의 눈금(42)이 신속하게 제위치에 정지하여 위치를 잡기 때문에, 사용이 더 간편하고 운전자에게 짜증을 불러 일으키는 등의 경우가 없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ion that recogniz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vehicle steering wheel 1 (that is, the
한편, 상기 제1종동기어(72)의 기어축은 상기 베이스판 관통부(73a)의 직경이 상기 제1종동기어 고정부(73b)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 관통부(73a)와 제1종동기어 고정부(73b) 사이에 단차부(73s)가 형성된다. 도 1에 의하면, 제1종동기어(72)의 기어축은 베이스판(30)을 관통하는 베이스판 관 통부(73a)의 직경에 비하여 제1종동기어 고정부(73b)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판 관통부(73a)와 제1종동기어 고정부(73b) 사이에 단차부(73s)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단차부(73s)는 제품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ear shaft of the first driven
다시 말해, 상기 제1종동기어(72)의 기어축을 상기 베이스판(30) 상면부의 제2종동기어(75) 중앙부와 베이스판(30)의 타측부 및 브레이크기어(100)의 중앙부를 관통시킴과 동시에 제1종동기어(72)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결합함으로써, 베이스판(30)의 타측부 상면에는 제2종동기어(75)를 구비하고 베이스판(30)의 타측부 저면에는 제1종동기어(72)를 구비하게 되는데,이처럼 제1종동기어(72)의 기어축을 제2종동기어(75), 베이스판(30) 및 제1종동기어(72)를 관통하도록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종동기어(72) 기어축 외주연의 단차부(73s)가 제1종동기어(72)의 중앙부 상단에 걸려지면서 각 부분(즉, 제1종동기어(72), 제2종동기어(75), 브레이크기어(1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조립이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gear shaft of the first driven
또한, 상기 캡(10)은 베어링에 의해 주축(20)의 둘레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판(30)과 표시판(50)은 주축(20)의 둘레부에 각각 베어링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축(20)에 대해 캡(10)과 베이스판(30) 및 표시판(50)이 베어링을 통해 정밀 작동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작동상의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주축(20)은 상단부에 드라이버홈(24a)이 형성된 헤드부(24)가 구 비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나사부(26)가 구비되어 상기 나사부(26)가 캡(10)의 하측 중앙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축 형상으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이 주축(20)이 볼트축 형상으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주요 부분의 조립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축(20)을 베어링을 매개로 베이스판(30)의 중앙부에 결합하고, 상기 주축(20)을 캡(10)의 하부 중앙부(즉, 하부캡(12)(10)의 중앙부)에 구비된 결합보스(18)에 예비적으로 끼운 다음, 상기 주축(20) 상단의 헤드부(24)에 형성된 드라이버홈(24a)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주축(20)을 회전시키면, 하부캡(12)(10) 중앙부에 인서트된 결합보스(18)에 주축(20)을 볼트 결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판(30)과 표시판(50)을 간단하게 캡(10)의 내부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보다 용이하면서도 신속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표시판(50)의 상면에는 차량의 전륜 조향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차륜 표시부(58)가 더 구비된다. 이 차륜 표시부(58)는 차량의 전륜과 동일한 한 쌍의 타이어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차량 핸들(1)의 회전에 의해 표시판(50)이 회전하면, 표시판(50)과 함께 차량 전륜의 회전 방향과 각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전륜의 회전 각도와 방향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므로, 운전자가 더욱더 용이하게 핸들(1)의 회전수와 차량 전륜의 조향각을 알아보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보다 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캡(10)을 주축(2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 게 결합하는 베어링과 메인기어(60) 사이에는 주축(20)의 외주연에 결합된 스프링와셔가 개재되는데, 이 스프링와셔는 차량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주축(20)의 나사 결합 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ring washer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도 6에 의한 본 발명은 캡(10), 주축(20), 베이스판(30), 기준판(40), 표시판(50), 메인기어(60) 및 종동기어군(70)을 갖는 것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 무게추(80)를 벗어난 위치에서 베이스판(3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주축(20) 외주연의 메인기어(60)에 기어 결합된 브레이크기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6에 의한 본 발명은 자성체 무게추(80)와 브레이크 디스크(90) 대신에 브레이크기어(100)에 의해 베이스판(30)과 기준판(40)이 롤링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ure 6
다시 말해, 도 6에 의하면, 운전자가 차량의 핸들(1)을 급격하게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브레이크기어(100)가 베이스판(30)의 위치를 잡아준다. 이를테면, 브레이크기어(100)와 주축(20) 외주연의 메인기어(6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베이스판(30)이 심하게 회전하는 현상(이른바, 롤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신속하게 제위치(즉, 0점 위치)를 잡을 수 있으며, 이러한 브레이크기어(100)를 구비함으로 인한 효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효과와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FIG. 6,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종래의 전자식 조향각 표시장치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구조를 상대적으로 간소화시킬 수 있고, 부품수가 적게 들어 제품 코스트를 낮출 수 있으며, 차량의 핸들 중앙부에 장착되어 사용하도록 된 종래의 기계식 조향각 표시장치에 비하여 제품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lectronic steering angle display device, the overall number of parts is relatively reduced,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relatively simplifie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 cost can be lowered.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display device.
둘째, 베이스판 저면부(구체적으로, 제1종동기어의 기어축이 관통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자성체 무게추가 구비되고, 이 자성체 무게추와 마주하도록 금속제의 브레이크 디스크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핸들을 급격하게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자성체 무게추와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의 인장력에 의해 베이스판의 위치를 잡아주기 때문에, 차량 핸들의 회전수를 인지시키는 부분, 즉, 베이스판과 기준판이 본의 아니게 따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핸들의 회전수와 전륜의 조향각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며, 나아가,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ly, a magnetic weight is provided at the base plate bottom portion (specifically, a posi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gear shaft of the first driven gear penetrates), and a metal brake disc is provided to face the magnetic weight. Even when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s rapidly rotated, the base plate is positioned by the tension force between the magnetic weight and the brake disc, so that the part that recogniz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vehicle steering wheel, that is, the base plate and the reference plate is unintention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eparate rotation, thereby preventing a malfunction such as the driver not being aware of the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and the steering wheel angle of the front wheel in advance, and further improve product reliability.
셋째, 표시판의 상면에는 차량의 전륜 조향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차륜 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표시판과 함께 차량 핸들의 회전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 여 운전자가 차량 전륜의 회전 각도와 방향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하기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Third, a wheel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driver visually display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steering wheel together with the display panel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rotation angle and the direction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at a glance. Since it is possible to use,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넷째, 차량의 핸들과 함께 회전하는 주축은 상단부에 드라이버홈이 형성된 헤드부가 구비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축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주축을 캡의 내부에 볼트식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주요 부분인 베이스판과 표시판을 캡의 내부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보다 용이하면서도 신속하다.Fourth, the main shaft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handle of the vehicl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olt shaft having a head portion formed with a driver groove in the upper end and a screw portion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lower end, Since the base plate and the display plate, which are main parts, can be easily assembled inside the cap, the assembly is easier and faster.
다섯째, 상기 캡은 베어링에 의해 주축의 둘레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판과 표시판은 주축의 둘레부에 각각 베어링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축에 대해 캡과 베이스판 및 표시판이 베어링을 통해 정밀하게 회전 작동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작동상의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fth, the cap is rela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shaft by the bearing, and the base plate and the display plate are resp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shaft by the bearing. Since the bearing can be rotated precisely,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operational accurac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자성체 무게추와 브레이크 디스크 대신에 브레이크기어를 구비한 것으로, 운전자가 차량의 핸들을 급격하게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브레이크기어와 주축 외주연의 메인기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베이스판이 심하게 회전하는 현상(이른바, 롤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신속하게 제위치(즉, 0점 위치)를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rake gear instead of the magnetic weight and the brake disc, even when the driver rotates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sharply by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brake gear and the main gear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main shaft The phenomenon that the base plate is not severely rotated (so-called roll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and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quickly set in place (that is, zero point position).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5873A KR100803261B1 (en) | 2007-04-12 | 2007-04-12 |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5873A KR100803261B1 (en) | 2007-04-12 | 2007-04-12 |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03261B1 true KR100803261B1 (en) | 2008-02-13 |
Family
ID=3934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5873A KR100803261B1 (en) | 2007-04-12 | 2007-04-12 |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326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91162A (en) * | 2021-12-22 | 2022-04-08 | 临朐弘泰汽车配件有限公司 | Steering wheel with counting functio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45537A (en) | 1982-02-25 | 1983-08-30 | Niles Parts Co Ltd | Display device of direction in automobile tire |
KR960001468U (en) * | 1994-06-22 | 1996-01-19 | 박영수 | Front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
KR20030011188A (en) * | 2001-07-28 | 2003-02-07 | 이양구 | 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
KR20050102375A (en) * | 2004-04-22 | 2005-10-26 | 홍성원 | Wheel rotation angle indicator according to the automobile steering wheel operation |
KR20070001044A (en) * | 2006-12-13 | 2007-01-03 | 이황진 | Steering knob with function of steering angle display |
-
2007
- 2007-04-12 KR KR1020070035873A patent/KR10080326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45537A (en) | 1982-02-25 | 1983-08-30 | Niles Parts Co Ltd | Display device of direction in automobile tire |
KR960001468U (en) * | 1994-06-22 | 1996-01-19 | 박영수 | Front wheel steering angle indicator |
KR20030011188A (en) * | 2001-07-28 | 2003-02-07 | 이양구 | 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
KR20050102375A (en) * | 2004-04-22 | 2005-10-26 | 홍성원 | Wheel rotation angle indicator according to the automobile steering wheel operation |
KR20070001044A (en) * | 2006-12-13 | 2007-01-03 | 이황진 | Steering knob with function of steering angle display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91162A (en) * | 2021-12-22 | 2022-04-08 | 临朐弘泰汽车配件有限公司 | Steering wheel with counting function |
CN114291162B (en) * | 2021-12-22 | 2023-06-06 | 临朐弘泰汽车配件有限公司 | Steering wheel with counting 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26342B2 (en) | Steering device | |
US11407436B2 (en) | Steering wheel with fixed center | |
CA2929231C (en) | Spring adjustment indicator for a door closure | |
JP2018070117A (en) | Steering device | |
KR100803261B1 (en) |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 |
WO2008120231A2 (en) | Device for steering returnability and centering for a vehicle and method of its assembly | |
CN104494682A (en) | Steering handle type electronic steering mechanism | |
KR100803262B1 (en) |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 |
CN202717563U (en) | Anti-falling device | |
US2845893A (en) | Steering direction indicator | |
KR20080113158A (en) |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 |
CN102815650A (en) | Falling-protection device | |
CN111295325B (en) | Electric drive device for a bicycle | |
KR101713803B1 (en) |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 |
KR20100043477A (en) | 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structure and mounting bracket | |
CN218431388U (en) | Improved mechanism of steering column with angle sensor | |
KR200371547Y1 (en) | A wheel running direction indication device for cars | |
CN110843900A (en) | Steering column limiting device of steer-by-wire system and steer-by-wire automobile | |
JPS58145537A (en) | Display device of direction in automobile tire | |
CN214028065U (en) | Balance car pivot device | |
KR200217496Y1 (en) | Steering angle indication device of vehicles | |
KR200165154Y1 (en) | Steering angle indication device of vehicles | |
KR200252871Y1 (en) | An auxiliary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degree indicator | |
CN201902487U (en) | Display device for automobile adjusting arm | |
US1361008A (en) | Odometer-operating mea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