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072A -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072A
KR20030010072A KR1020010044840A KR20010044840A KR20030010072A KR 20030010072 A KR20030010072 A KR 20030010072A KR 1020010044840 A KR1020010044840 A KR 1020010044840A KR 20010044840 A KR20010044840 A KR 20010044840A KR 20030010072 A KR20030010072 A KR 20030010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ust
base
cover
dus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2497B1 (ko
Inventor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49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1Protecting the head, e.g. against dust or impact with the record carri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데크패널(11)과; 데크패널(11)로부터 설치되는 아이들기어(1,2), 이송스크류축(3) 및 가이드축(4)과 가이드부재(5)에 의해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액츄에이터 구동계가 구비된 베이스(10)와; 상기 대물렌즈(L)부위를 제외한 상부 및 측부를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픽업커버(20)를 구비한 액츄에이터와; 상기 베이스(10) 상에 힌지축(h1)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10)로부터 스프링(S)으로 탄력 설치되는 먼지덮개(30)와, 상기 베이스(10) 상의 소정위치에 마련되는 힌지축(h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먼지덮개(30)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절 캠(40)과, 상기 데크패널(11)의 마련되어 디스크를 안착시키는 턴테이블(T) 근접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먼지덮개(30)의 차폐에 따른 회절 캠(40)을 회동 가이드 하기 위한 경사면(51,52)을 갖는 고정 캠(50)으로 이루어진 먼지차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베이스의 이송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광학 디스플레이어에 있어, 디스크 면에 레이저광을 맺히도록 하는 대물렌즈를 차폐하는 먼지덮개를 픽업커버와 독립되게 설치하고, 또 이를 베이스에 구비되는 회절 캠을 이용하여 고정 캠으로부터 먼지덮개의 차폐를 원활히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픽업커버에 설치되어 회동되도록 한 먼지덮개의 차폐구조와는 달리 먼지덮개가 픽업커버와 별도로 독립적인 작동으로 차폐의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어 먼지투입으로 인한 대물렌즈의 오염방지 및 픽업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Dust covering device for optical pick-up}
본 발명은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데크패널로부터 설정된 구간을 수평 이송하는 액츄에이터 베이스와 픽업커버에 설치되었던 먼지 덮개커버를 픽업커버와는 관계없이 별도로 차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먼지 덮개 커버가 덜 닫히거나 더 닫히는 오동작 방지 및 픽업 렌즈(대물렌즈)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MDP),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나 레이저디스크 플레이어(LDP) 등과 같은 각종 광학 디스플레이어의 광기록 매체인 디스크의 수직하방에 설치되어 데크의 턴테이블 상에 안치된 디스크의 래디얼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디스크 상에서 원하는 트랙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트랙위치에서는 디스크면상에 기록된 피트에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다음 그 수신되는 반사광을 광학계를 통해 검출하며, 이렇게 검출된 반사광을 전기적 신호를 변환시켜 디스크 면상의 기록 피트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보거나 들을 수 있도록 한 재생장치이다.
이와 같이,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상부면에는 낮은 파장의 회정한계 성능을 가짐으로써 디스크 상에 직경이 약 1㎛ 정도의 초점을 맺혀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는 대물렌즈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대물렌즈는 디스크에 초점을 맺히도록 하기 때문에 투과율이 97% 이상으로 높아야 할 뿐만 아니라 항상 깨끗한 표면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사용한지 장시간 된 디스플레이어의 경우 대물렌즈의 오염으로 하여금 미작동 사례가 발생되어 오작동에 따른 수리시에는 디스플레이어를 분해한 다음 대물렌즈에 유착된 이물질을 제거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에 대하여 액츄에이터가 미작동시 즉, 워밍업상태인 경우나, 플레이 오프되는 순간 대물렌즈에 근접되는 위치에서 대물렌즈를 향해 공기를 불어 안착되려 하는 먼지를 제거해 주는 장치가 고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는 특히 습도가 많은 지역 내에서 디스플레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대물렌즈에 먼지의 유착이 가속되는 사례로 이상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책으로 디스플레이어의 미작동시에는 항상 대물렌즈를 감싸 외부로부터 먼지의 유착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장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차폐장치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어의 내측에 메인으로 설치되는 데크패널(1-1)에는 디스크를 안치시키기 위한 턴테이블(T)이 스테핑모터(도면에서 생략함)와 함께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물렌즈(L) 및 광학계 렌즈를 포함하며, 디스크로부터 초점을 상을 맺히도록 하기 위한 트렉킹 및 포커싱 동작기능을 갖는 액츄에이터를 데크패널(1-1)로부터 설정된 구간 내에서 함께 이동되는 베이스(10-1)로 구성됨에 있어, 상기 액추에이터 상측에는 픽업커버(20-1)가 설치되고, 픽업커버(20-1)의 상측에는 대물렌즈를 차폐시키기 위한 먼지덮개(30-1)가 설치되며, 상기 데크패널(1-1)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먼지덮개(30-1)의 차폐를 제어하기 위해 가이드 역할을 하는 고정 캠(50-1)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1)의 일측에는 이송 평기어가 마련된 가이드부재(5)가연결 설치되어 데크패널(1-1) 상에 구비되는 아이들 기어(1,2)에 치합되고, 이 아이들 기어(1,2)와의 치합으로 하여금 베이스(10-1)를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10-1)의 실제적인 수평이동은 데크패널(1-1)에 설치된 가이드축(4)에 대응되는 이송스크류축(3)이 베이스(10-1)에 관통 설치되어 미도시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베이스(10-1)를 이송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픽업커버(20-1)는 일측에 먼지덮개(30-1)를 가이드 하기 위한 호형의 가이드 작동편(31)부(2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먼지덮개(30-1)는 상기 가이드 날개부(21-1)에 안내되도록 일측에 안내홈(31-1)이 마련되고, 타측에는 구비되는 힌지축(h)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날개부(21-1)를 따라 회동범위를 가질 수 있는 가이드편(3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먼지덮개(30-1)와 베이스(10-1)상에는 스프링(S)이 연결 설치되어 먼지덮개(30-1)의 차폐에 따른 먼지 덮개를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먼지덮개(30-1)의 힌지축(h)은 픽업커버(20-1)에 고정 설치되어 픽업커버(20-1) 상에서 먼지 덮개가 차폐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고정 캠(50-1)은 먼지덮개(30-1)의 가이드편(32-1)이 접촉되어 고정 캠(50-1)으로 하여금 가이드편(32-1)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측에 작동편(31)면(51a)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은 일방향에 대하여 또 다른 소정각도의 경사면(51b)를 가지고 있어 먼지덮개(30-1)의 오프상태에서 오픈상태로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먼지덮개의 동작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정보를 재생 또는 기록시키고자 하는 디스크를 플레이어에 수용시켜 데크패널(1-1)에 구비된 턴테이블(T)에 안치와 더불어 디스크로부터의 사용자의 설정된 위치까지 액츄에이터는 구동된다.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은 데크패널(1-1)의 이송스크류축(3)의 회전구동으로 베이스(10-1)와 함께 이동되며, 이때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부재(5)의 이송평기어 부분은 데크패널(1-1)상의 아이들기어(1,2)의 치합에 따라 안정적인 이송을 실시한다.
상기 베이스(10-1)의 이동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상부인 픽업커버(20-1)에 설치된 먼지덮개(30-1)는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개방된다.
상기 먼지덮개(30-1)의 개방은 먼지덮개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편(32-1)이 데크패널(1-1)상에 고정 설치된 고정 캠(50-1)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고, 이때 먼지덮개(30-1)의 타측 부분인 안내홈(31-1)은 힌지축(h)을 중심으로 상기 픽업커버(20-1)의 호형의 가이드 날개부(21-1)에 안내되어 회동되므로서 대물렌즈(L) 부위를 개방시켜 준다.
이때 상기 먼지덮개(30-1) 측에 설치된 스프링(S)은 복원되는 형태로,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먼지덮개(30-1)의 개방으로서 광학계는 대물렌즈(L)를 통해 디스크의 기록 면에 레이저광을 입사하여 그 반사광으로서 기록된 신호를 읽거나 그 반대로 디스크 면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짐에 있어, 플레이어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베이스(10-1)는 이송스크류축(3)의 역회전구동으로 수평 이송되며, 이송되는 베이스(10-1)는 액츄에이터 즉, 대물렌즈(L)가 디스크를 읽거나 기록할 수 있는 구간으로부터 벗어나 이송되는데, 여기서 이송은 디스크를 안착하고 있는 턴테이블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10-1)의 이송동작에 있어, 먼지덮개(30-1)는 베이스(10-1)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및 픽업커버(20-1)와 일시에 이송되며, 이송되는 과정에서 먼지덮개(30-1)의 가이드편의 일단부위는 데크패널(1-1) 상의 고정 캠(50-1)에 접촉됨과 동시에 고정 캠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다가 경사면과 접하는 또 다른 각도의 경사면에 안내될 때 먼지덮개(30-1)는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첨부된 도 1과 같이 먼지덮개를 차폐시켜 대물렌즈(L)를 가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먼지덮개(30-1)의 회동은 힌지축(h)을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된 안내홈(31-1)이 픽업커버(20-1)의 호형상을 갖는 가이드 날개부(21-1)로부터 안내되어 회동되고, 이때 먼지덮개(30-1)와 베이스(10-1)에 연결 설치된 스프링(S)으로 상기 가이드편(32-1)이 고정 캠(50-1)의 경사면에 대하여 완전한 가이드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커버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먼지덮개(30-1)와 베이스(10-1)에 연결된 스프링(S)은 압축상태로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작동되는 먼지덮개(3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1)의 이동에 있어 픽업커버(20-1)의 가이드 날개부(21-1)를 통해 회동됨으로서 이때 발생되는 간섭저항과 먼지덮개(30-1)의 가이드편(32-1)이 상기 고정 캠(50-1)의 경사면으로부터 간섭으로 인해 먼지덮개(30-1)는 덜 닫히거나, 더 닫히게 되는 사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은 대물렌즈의 완전한 개방상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디스크 면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의 입사에 문제점을 발생하여 정확한 재생 및 기록이 어렵게 되는 오동작 사례의 문제점이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점은 일부 개방된 곳을 통하여 먼지가 침투되므로 대물렌즈를 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데크패널로부터 설정된 구간을 수평 이송하는 베이스와 픽업커버에 설치되었던 먼지 덮개커버를 픽업커버와는 관계없이 별도로 차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먼지 덮개 커버가 덜 닫히거나 더 닫히는 오동작 방지 및 픽업 렌즈(대물렌즈)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패널과; 상기 데크패널로부터 설치되는 아이들기어, 이송스크류축 및 가이드축과 가이드부재에 의해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며, 대물렌즈와 대물렌즈의 포커싱(focusing) 및 트렉킹(Tracking)방향으로 이송하는 구동부와 대물렌즈부위를 제외한 상부 및 측부를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픽업커버를 구비한 액츄에이터와; 상기 대물렌즈를 보호하며 상기 베이스 상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측에 렌즈를 덮는 덮개와 타측에 작동편이 소정각도로 돌출되고, 베이스 상으로부터 스프링으로 연결 설치되는 먼지덮개와, 상기 베이스 상에 마련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먼지덮개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절 캠과, 상기 데크패널 상에 고정 설치되어 회절 캠을 회동 가이드 하기 위해 일측에 경사면을 갖는 고정 캠 및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 설치되어 회절 캠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를 구비한 먼지차폐수단을 포함하는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먼지 차폐장치가 적용된 광픽업 메커니즘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먼지 차폐장치의 덮개가 오프 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먼지 차폐장치가 적용된 광픽업 메커니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차폐장치의 덮개가 오프 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 11: 데크패널
20: 픽업커버30: 먼지덮개
31: 작동편40: 회절 캠
41: 안내편42: 누름편
50: 고정캠60: 스톱퍼
L: 대물렌즈S: 스프링
T: 턴테이블
이하,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인 먼지 차폐장치가 적용된 광픽업 메커니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차폐장치의 덮개가 오프 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먼지덮개(30)의 차폐장치의 구성은 플레이어의 내측에 설치된 데크패널(11)로부터 설치되며, 액츄에이터 구동계를 포함하는 베이스(10)를 이송시키기 위한 아이들기어(1,2), 이송스크류축(3) 및 가이드축(4)과 가이드부재(5)에 의해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계의 상측에는 대물렌즈(L)부위를 제외한 상부 및 측부를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픽업커버(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픽업커버(20) 상의 소정위치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먼지덮개(30)의 소정위치에연결 설치된 스프링(S)에 의해 먼지덮개(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먼지덮개(30)는 힌지축(h1) 일측에 작동편(31)이 소정의 각도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S)은 먼지덮개가 픽업커버(20)상의 대물렌즈(L)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팽창되고, 열린 상태에서 복귀되는 인장스프링이 채택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0) 상의 소정위치에 마련되는 힌지축(h2)을 중심으로 상기 먼지덮개(30)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절 캠(4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데크패널(11)의 마련되어 디스크를 안착시키는 턴테이블(T) 근접 위치에는 먼지덮개(30)의 차폐에 따른 회절 캠(40)을 회동 가이드 하기 위해 경사면을 갖는 고정 캠(5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절 캠(40)은 힌지축(h2)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 캠(50)의 경사면에 가이드 되기 위한 안내편(41)이 일체로 형성되고, 안내편(41)이 위치하는 힌지축(h2)의 타측에는 상기 먼지덮개(30)의 작동편(31)을 가압시키기 위한 누름편(42)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0) 상에는 회절 캠(40)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60)가 구비되되, 여기서 스톱퍼(60)는 소정길이를 갖고, 체결이 용이한 체결나사의 채택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광픽업용 렌즈보호를 위한 먼지 차폐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크패널(11)에 구비된 턴테이블에 정보를 재생 또는 기록하고자 하는 디스크의 안치가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디스크로부터 초기 도는 해당하는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입력신호에 따라 데크패널(11)상의 액츄에이터는 미도시된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은 데크패널(11)의 이송스크류축(3) 회전구동으로 베이스(10)와 함께 데크패널(11)의 설정구간 내에서 이동되며, 이때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부재(5)의 이송평기어 부분은 데크패널(11) 상의 아이들기어(1,2)의 상호간 치합에 따라 안정적인 이송을 돕는다.
상기 베이스(10)의 이동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상부인 픽업커버(20)상에 설치된 먼지덮개(30)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먼지덮개(30)의 개방에 따라 액츄에이터상의 중심에 위치하는 대물렌즈(L)를 개방시켜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주어지는 레이저광을 전달받아 디스크면으로 입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먼지덮개(30)의 개방은 초기 데크패널(11)로부터 이송스크류축(3)에 의해 베이스(10)의 이동이 이루지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10)에 힌지축(h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절 캠(40)의 회동에 따라 먼지덮개(30)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회절 캠(40)의 안내편(41)은 상기 힌지축(h2)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이 되게 회절됨에 있어, 데크패널(11)에 고정 설치된 고정 캠(50)의 내측 경사면(51)을 따라 접촉된 상태로 미끄러져 내려가게 된다.
이와 연계동작으로 상기 회절 캠(40)의 안내편(41)과 대응되며, 먼지덮개(30)의 작동편(31)에 의해 가압하고 있던 소정길이의 누름편(42)은 상기 안내편(41)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작동편(31)은 누름편(42)의 일단부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밀어 회동되게 한다.
상기 작동편(31)의 가압력 해제는 곧 먼지덮개(30)와 픽업커버(20)에 연결 설치되며, 팽창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스프링(S)을 초기상태로 복귀시켜 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S)은 긴장상태에서 먼지덮개(30)의 회동과 동시에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인장스프링이다.
상기 회절 캠(40)에 의한 먼지덮개(30)의 개방에 따라 회절 캠(40)의 누름편(42)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려 하지만, 베이스(10) 상에 설치되는 스톱퍼(60)에 의해 상기 누름편(42)는 스톱퍼(60)에 걸려 더 이상의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스프링(60)은 먼지덮개의 개방과 동시에 완전한 초기의 복원상태로 먼지덮개(30)의 개방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먼지덮개(30)가 회절 캠(40)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동작에 있어, 먼지덮개(30)는 순수하게 회절 캠(40)과 데크패널(11)에 고정 설치된 고정 캠(50)에 의하여 그 차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픽업커버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기존의 먼지덮개와 달리 독립적인 운동으로 본 발명에서 픽업커버(20)와는 별개로 간섭없이 먼지덮개(30)의 안정적인 열고 닫힘 동작의 구현가능으로 먼지덮개가 덜 열리거나 더 닫히는 동작불량을 방지하여 대물렌즈(L)의 정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먼지덮개(30)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절 캠(40)은 기존에 고정 캠과 직접적인 접촉을 하여 먼지덮개를 개방하는 방식에 비하여, 고정 캠(50)과의 거리를 두고 먼지덮개(30)를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이스(10)의 이송에 따라 회절 캠(40)의 누름편(42)이 직접적으로 먼지덮개(30)의 작동편(31)을 가압 또는 해제시킴으로써, 최단구간 내에 픽업성능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반대로 베이스(10)를 역 수평이송 즉, 디스크의 재생을 완료하거나 플레이어를 오프시키는 구동을 정지시키는 상태에서 베이스(10)가 데크패널(11)의 턴테이블(T)방향으로 이송해 오는 과정에서, 먼저 회절 캠(40)의 안내편(41)은 데크패널(11) 상에 설치된 고정 캠(50)의 경사면(51)을 접촉되고, 안내편(41)의 접촉에 따라 힌지축(h2)을 중심으로 누름편(42)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개방된 먼지덮개(30)의 작동편(31)을 가압시켜 준다.
상기 작동편(31)의 가압에 따라 회동되어 픽업커버(20)측의 중심상에 위치하여 대물렌즈(L)를 차폐시키는 먼지덮개(30)는 힌지축(h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이 되게 회동되며, 이때 먼지덮개(30)측과 픽업커버(20)에 연결 설치된 스프링(S)은 회동되는 간격차이에 의해 다시 팽창되는 상태가 된다.
즉, 이때는 회절 캠(40)의 안내편(41)이 고정 캠(50)에 안내되면서 누름편(42)은 먼지덮개의 작동편(31)을 가압하는 형태로 먼지덮개와 픽업커버 상에 연결 설치된 스프링(S)을 인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동되는 먼지덮개(30)가 회절 캠(40)의 누름편(42)에 의해 완전히 회동되는 상태는 회절 캠(40)의 안내편(41)이 고정 캠(50)의 경사면(51)으로부터 이어지는 또 다른 경사면(52)에 위치하는 상태로서 먼지덮개(30)의 차폐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먼지덮개(30)는 액츄에이터 상부에 결합된픽업커버(20)와는 별도로 완전하게 독립적으로 작동됨으로서 픽업의 성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것이고, 먼지덮개(30)의 덜 닫힘으로 인한 먼지 침투에 대한 대물렌즈(L)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의 이송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광학 디스플레이어에 있어, 디스크 면에 레이저광을 맺히도록 하는 대물렌즈를 차폐하는 먼지덮개를 픽업커버와 독립되게 설치하고, 또 이를 베이스에 구비되는 회절 캠을 이용하여 고정 캠으로부터 먼지덮개의 차폐를 원활히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픽업커버에 설치되어 회동되도록 한 먼지덮개의 차폐구조와는 달리 먼지덮개가 픽업커버와 별도로 독립적인 작동으로 차폐의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어 먼지투입으로 인한 대물렌즈의 오염방지 및 픽업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데크패널과;
    상기 데크패널로부터 설치되는 아이들기어, 이송스크류축 및 가이드축과 가이드부재에 의해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며, 대물렌즈와 대물렌즈의 포커싱(focusing) 및 트렉킹(Tracking)방향으로 이송하는 구동부와 대물렌즈부위를 제외한 상부 및 측부를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픽업커버를 구비한 액츄에이터와;
    상기 대물렌즈를 보호하며 상기 베이스 상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측에 렌즈를 덮는 덮개와 타측에 작동편이 소정각도로 돌출되고, 베이스 상으로부터 스프링으로 연결 설치되는 먼지덮개와,
    상기 베이스 상에 마련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먼지덮개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절 캠과,
    상기 데크패널 상에 고정 설치되어 회절 캠을 회동 가이드 하기 위해 일측에 경사면을 갖는 고정 캠 및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 설치되어 회절 캠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를 구비한 먼지차폐수단을 포함하는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차폐수단은 상기 먼지덮개가 위치하는 상기 베이스 상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고정 캠에 가이드 되기 위한 안내편이일체로 형성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타측에에는 상기 먼지덮개의 작동편을 가압시키기 위한 누름편이 형성된 회절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차폐수단은 상기 데크패널에 마련되어 디스크를 안착시키는 턴테이블 근접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먼지덮개의 차폐에 따른 회절 캠을 회동 가이드 하기 위해 경사면을 갖는 고정 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먼지차폐수단은 스톱퍼가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
KR10-2001-0044840A 2001-07-25 2001-07-25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 KR100432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840A KR100432497B1 (ko) 2001-07-25 2001-07-25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840A KR100432497B1 (ko) 2001-07-25 2001-07-25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072A true KR20030010072A (ko) 2003-02-05
KR100432497B1 KR100432497B1 (ko) 2004-05-22

Family

ID=2771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840A KR100432497B1 (ko) 2001-07-25 2001-07-25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462B1 (ko) * 2004-07-22 2006-07-14 삼성전기주식회사 대물렌즈 보호수단이 구비된 광디스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0906B2 (ja) * 1994-06-30 2002-09-0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3513849B2 (ja) * 1996-08-05 2004-03-31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KR100327317B1 (ko) * 1998-07-08 2002-03-06 이형도 광 디스크 플레이어
JP2000076696A (ja) * 1998-08-28 2000-03-14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462B1 (ko) * 2004-07-22 2006-07-14 삼성전기주식회사 대물렌즈 보호수단이 구비된 광디스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2497B1 (ko) 200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397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프레임,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세트, 및 전자기기
EP0501337B1 (en)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20000071609A (ko) 광 픽업 장치 및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
KR100432497B1 (ko) 광픽업용 먼지 차폐장치
US20070242589A1 (en) Stabilizing holographic disk medium against vibrations and/or controlling deflection of disk medium
JP3352416B2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ー
JP3440490B2 (ja) 光学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20050017662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 이송장치
EP1346351B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optical recording media
US5331611A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magnetic-field generating device in photo-magnetic ty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226836Y2 (ko)
JPH07235074A (ja) 光学ヘッド防塵装置
KR100327317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US20080046902A1 (en) Disc Device
KR0122763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00294877B1 (ko) 휴대용컴퓨터
KR930005287Y1 (ko) 콤팩트 디스크 픽업렌즈 커버장치
JPH04186554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開閉装置
JPH051038Y2 (ko)
KR950004049Y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보호장치
JPH0437291Y2 (ko)
KR100541404B1 (ko) 광픽업의 렌즈 보호장치
JPS61296561A (ja) デイスク駆動装置
JP2002298411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2298409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