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920A -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및 슈도우미러신호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및 슈도우미러신호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920A
KR20030009920A KR1020010044590A KR20010044590A KR20030009920A KR 20030009920 A KR20030009920 A KR 20030009920A KR 1020010044590 A KR1020010044590 A KR 1020010044590A KR 20010044590 A KR20010044590 A KR 20010044590A KR 20030009920 A KR20030009920 A KR 20030009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stem clock
clock pulses
track
pseud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9920A/ko
Publication of KR2003000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92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3/00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 H03K23/40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all stages, i.e. synchronous counters
    • H03K23/42Out-of-phase 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counter stag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및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는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 분주 시스템 클락 및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슈도우 미러신호를 발생하는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부를 구비한다. 슈도우 미러신호는 광 디스크에 포함된 트랙의 데이터 미기록구간에서 발생되며, 슈도우 미러신호와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간의 위상차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는 트랙의 데이터 미기록구간에서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를 이용하여 슈도우 미러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에 의해 트랙카운트가 정확히 수행될 수 있고, 트랙 점프 에러가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및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 방법{Pseudo mirror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pseudo mirror signal in optical disc system}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시스템에서 트랙카운트를 수행하기 위한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및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미기록구간에서 트랙카운트를 수행하기 위한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및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 ROM :CDROM) 또는 콤팩트 디스크 리드/라이트(compact disc read/write :CDRW)에서는 디스크의 트랙에 레이저를 입사시킨 후 반사광을 픽업(pick-up)하며, 픽업된 상기 반사광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읽어낸다. 상기 디스크에는 나선형(spiral)트랙이 만들어져 있고, 상기 트랙에 데이터가 입력된 피트(pit)들이 내재되어 있는 데, 상기 레이저는 상기 나선형의 트랙을 추적하여 트랙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낸다.
광 디스크 시스템은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해서 트랙점프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 컴퓨터의 트랙점프명령이 트랙킹 서보(tracking servo)에 전달된다. 트랙점프명령을 받은 트랙킹 서보는 트랙 카운터를 이용하여 광 디스크 시스템의 광픽업부를 정해진 트랙까지 점프시킨다. 즉, 트랙점프가 수행될 때, 액츄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는 광픽업부가 트랙을횡단한다.
전술한 트랙점프가 수행될 때, 트랙 제로 크로스(track zero cross) 신호(TZC)와 미러신호(MIRR)에 의해 트랙의 수가 카운팅된다. 미러신호(MIRR)는 광픽업부가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픽업할 때, 트랙과 트랙간의 데이터가 없는 부분에서 RF 증폭기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이며, 트랙 크로스 신호(TZC)는 광픽업부가 트랙을 픽업할 때 발생되는 신호이다. 그리고, 미러신호(MIRR)의 위상은 트랙 제로 크로스신호(TZC)의 위상보다 대략 90도 정도 늦을 수 있다.
도 1은 트랙의 데이터 기록구간과 데이터 미기록구간에서 발생되는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 및 미러신호(MIRR)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 디스크의 트랙구간 중 데이터 기록구간과 데이터 미기록구간이 교차되어 있는 영역 중 데이터 미기록 구간에서는 트랙 제로 크로스신호(TZC)가 발생한다. 그러나, 데이터 미기록 구간에서는 RF 증폭기로부터 RF 엔빌로프 신호(RFRP)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미러신호(MIRR)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광픽업부가 트랙점프를 수행할 때,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 및 미러 신호(MIRR)의 트랙 카운트 오차에 의해 트랙 점프 에러(track jump error)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의 데이터 미기록 구간에서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를 이용하여 슈도우 미러 신호를 발생하는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및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트랙의 데이터 기록구간과 데이터 미기록구간에서 발생되는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 및 미러신호(MIRR)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를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신호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운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카운트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카운트/비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카운트/비교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출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출력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는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 분주 시스템 클락 및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슈도우 미러신호를 발생하는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부를 구비한다. 상기 슈도우 미러신호는 광 디스크에 포함된 트랙의 데이터 미기록구간에서 발생되며, 상기 슈도우 미러신호와 상기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간의 위상차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다수의 분주된 시스템클락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분주 시스템 클락 선택부와, 상기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의 소정의 엣지와 상기 엣지의 다음 엣지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카운팅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을 출력하는 카운트부와,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과 상기 카운트부의 출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과 상기 카운트부의 출력값이 동일할 때 발생하는 홀드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트/비교부와, 상기 홀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카운트부는 리셋신호에 의해 카운팅을 시작하며, 상기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의 소정의 엣지와 상기 엣지의 다음 엣지사이에서 발생하는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출력하는 주기 카운터와, 로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저장하는 제1저장회로와,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을 생성하는 2분주회로와,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을 저장하는 제2저장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카운트/비교부는 리셋신호에 의해 카운팅을 시작하고, 상기 홀드신호에 의해 카운팅을 홀드하며,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을 카운팅하여 출력하는 하프 카운터와, 상기 홀드신호를 출력하는 비교회로를 구비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은 트랙의 데이터 미기록 구간에서 트랙카운트를 수행하기 위한 슈도우 미러신호를 발생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은 (a) 광 디스크 시스템의 시스템 클락을 분주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 발생한 분주 시스템 클락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c)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의 소정의 엣지와 상기 엣지의 다음 엣지사이에서 발생하는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카운팅된 개수를 2분의 1로 감소하는 단계와, (d)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의 개수의 2분의 1을 카운팅하는 단계와, (e) 상기 (c)단계에서 감소된 카운트값과 상기 (d)단계에서 카운트값이 동일한 지를 비교하는 단계와, (f) 상기 (e)단계의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d)단계에서의 카운팅을 홀드시키는 홀드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g) 상기 (f)단계의 홀드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슈도우 미러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단계는 (c1) 상기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의 소정의 엣지와 상기 엣지의 다음 엣지사이에서 발생하는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c2) 상기 (c1)단계에서 출력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저장하는 단계와, (c3) 상기 (c2)단계에서 저장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2분의 1로 감소하는 단계와, (c4) 상기 (c3)단계에서 감소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는 트랙의 데이터 미기록구간에서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를 이용하여 슈도우 미러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에 의해 트랙카운트가 정확히 수행될 수 있고, 트랙 점프 에러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를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는 제어신호 발생부(100) 및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부(200)를 구비한다.
트랙 제로 크로스신호(TZC), 분주 시스템 클락들(SC/4, SC/8, SC/16, SC/32) 및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명령(MC_CMD)이 제어신호 발생부(100)에 인가된다. 그리고, 제어신호(CONT)가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부(200)에 인가된다. 분주 시스템 클락들(SC/4, SC/8, SC/16, SC/32)은 마이크로 컴퓨터(미도시)의 시스템 클락(SC, 33.8688MHz)을 4분주, 8분주, 16분주 및 32분주한 시스템 클락들이다.
제어신호 발생부(100)는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 분주 시스템 클락들(SC/4, SC/8, SC/16, SC/32) 및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명령(MC_CMD)에 응답하여, 제어신호(CONT)를 발생한다.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부(200)는 제어신호(CONT) 및 트랙 제로 크로스신호(TZC)에 응답하여, 슈도우 미러신호(PSEUDO_MIRR)를 발생한다. 슈도우 미러신호(PSEUDO_MIRR)는 트랙점프가 수행될 때, 트랙 제로 크로스신호(TZC)와 함께 트랙의 점프수를 카운팅하는 데 사용된다.
도 3은 도 2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부(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신호(CONT)는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의 엣지(E1)와 엣지(E2), 엣지(E2)와 엣지(E3), 엣지(E3)와 엣지(E4)의 중간에서 발생된다.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는 제어신호(CONT)에 의해 슈도우 미러신호(PSEUDO_MIRR)로 된다. 슈도우 미러 신호(PSEUDO_MIRR)는 광 픽업부가 트랙의 내주에서 외주로 점프할 때 발생하는 신호이다. 슈도우 미러 신호의 반전신호(/PSEUDO_MIRR)는 광픽업부가 트랙의 외주에서 내주로 점프할 때 발생하는 신호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신호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신호 발생부(100)는 분주 시스템 클락 선택부(110), 카운트부(130), 카운트/비교부(150) 및 출력부(170)를 구비한다.
분주 시스템 클락 선택부(110)는 분주 시스템 클락들(SC/4, SC/8, SC/16, SC/32)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분주 시스템 클락(DS_CK)를 출력한다.
카운트부(130)는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에 포함되는 소정의 엣지와 상기 엣지의 다음 엣지사이에서 발생하는 분주 시스템 클락(DS_CK) 펄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카운트부(130)는 상기 저장된 카운트 값을 2분주하여 저장한 후 2분주 카운트값(HF_CNT)을 출력한다.
카운트/비교부(150)는 분주 시스템 클락(DS_CK)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을 카운팅하여, 카운트/비교부(150)에서 카운팅된 카운트값과 2분주 카운트값(HF_CNT)이 동일한 지를 비교한다. 그리고, 카운트/비교부(150)는 상기 카운트값과 2분주 카운트값(HF_CNT)이 동일하면, 카운트/비교부(150)에 포함된 하프 카운터의 카운팅을 홀드(hold)시키는 홀드신호(HOLD)를 출력한다.
출력부(170)는 홀드신호(HOLD)에 응답하여, 제어신호(CNT)를 출력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운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운트부(130)는 주기 카운터(111), 제1저장회로(113), 2분주회로(115) 및 제2저장회로(117)를 구비한다.
주기 카운터(111)는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의 소정의 엣지와 상기 엣지의 다음 엣지사이에서 발생하는 분주 시스템 클락(DS_CK) 펄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트값(CNT)을 출력한다. 주기 카운터는 16 비트 카운터를 구비한다.
제1저장회로(113)는 카운트값(CNT)을 저장하며, 2분주회로(115)는 카운트값(CNT)을 2분주하여 2분주 카운트값(HF_CNT)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2저장회로(117)는 2분주 카운트값(HF_CNT)을 저장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카운트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는 분주 시스템 클락(DS_CK)에 의해 지연신호들(TZC_1, TZC_2, TZC_3)로 된다. 리셋신호(RS)는 제2지연신호(TZC_2)의 엣지들에서 활성화되어, 주기카운터(111)의 출력값을 0으로 리셋한다. 리셋신호(RS)는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의 소정의 엣지와 엣지사이를 지시하고, 지연신호들(TZC_1, TZC_2)의 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로드 신호(LOAD)는 제1저장회로(113)에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의 소정의 엣지와 상기 엣지의 다음 엣지사이에서 발생하는 분주 시스템 클락(DS_CK) 펄스의 개수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이다. 로드 신호(LOAD)는 지연신호들(TZC_2, TZC_3)의 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드신호(LOAD)에 의해 제1저장회로(113)의 출력값(CNT_LOAD)은,예를 들어, M 및 N으로 나타난다. M 및 N은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TZC)의 소정의 엣지와 상기 다음 엣지사이에서 발생하는 분주 시스템 클락(DS_CK) 펄스의 개수들이다.
제1저장회로(113)의 출력값(CNT_LOAD)은 2분주되어 2분주 카운트값(HF_CNT)이 되는 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분주 카운트값(HF_CNT)이 M/2 및 N/2 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카운트/비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카운트/비교부(150)는 하프 카운터(151) 및 비교회로(153)를 구비한다.
하프 카운터(151)는 리셋신호(RS)에 의해 카운트값이 리셋되며, 분주 시스템 클락(DS_CK) 펄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펄스 개수의 2분의 1(HF_COUNTER)을 출력한다. 하프 카운터(151)는 16 비트 카운터를 구비한다.
비교회로(153)는 하프 카운터(151)의 출력값(HF_COUNTER)과 2분주 카운트값(HF_CNT)을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회로(153)는 하프 카운터(151)의 출력값(HF_CUNTER)과 2분주 카운트값(HF_CNT)이 동일하면, 하프 카운터(151)의 카운팅을 홀드하는 홀드신호를 출력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카운트/비교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리셋신호(RS)에 의해 하프 카운터(151)의 출력값은 0이 된다. 2분주 카운트값(HF_CNT) 및 하프 카운터(151)의 출력값이 M/2로 되면, 홀드신호(HOLD)가 "하이"상태로 활성화된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출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출력부(170)는 지연회로(171) 및 논리조합회로(173)를 구비한다.
지연회로(171)는 홀드신호(HOLD)를 지연하여, 지연홀드신호(HOLD_DL)를 출력한다. 논리조합회로(173)는 지연홀드신호(HOLD_DL) 및 홀드신호(HOLD)에 응답하여, 제어신호(CNT)를 출력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출력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신호(CNT)는 홀드신호(HOLD) 및 지연된 홀드신호(HOLD_DL)의 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이 설명된다.
단계(S100)에 따르면, 광 디스크 시스템의 시스템 클락을 분주한다.단계(S105)에 따르면,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명령에 의해 분주 시스템 클락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단계(S110)에 따르면,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의 소정의 엣지와 상기 엣지의 다음 엣지사이에서 발생하는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단계(S115)에 따르면, 카운팅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2분의 1로 감소시킨다. 단계(S120)에 따르면, 감소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저장한다.
단계(S125)에 따르면,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을 카운팅한다. 단계(S130)에 따르면, 감소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와 카운팅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 개수의 2분의 1이 동일한 지를 비교한다.
감소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와 카운팅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이 동일하지 않으면, 실행은 단계(S125)로 진행된다.
감소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와 카운팅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이 동일하면, 실행은 단계(S135)로 진행된다.
단계(S135)에 따르면,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을 출력하는 하프 카운터의 카운팅을 홀드하는 홀드신호를 발생한다.
단계(S140)에 따르면, 상기 홀드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단계(S145)에 따르면,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슈도우 미러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는 트랙의 데이터 미기록구간에서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를 이용하여 슈도우 미러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에 의해 트랙카운트가 정확히 수행될 수 있고, 트랙 점프 에러가 감소될 수 있다.

Claims (10)

  1.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 분주 시스템 클락 및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슈도우 미러신호를 발생하는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슈도우 미러신호는 광 디스크에 포함된 트랙의 데이터 미기록구간에서 발생되며, 상기 슈도우 미러신호와 상기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간의 위상차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도우 미러신호와 상기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간의 위상차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다수의 분주된 시스템클락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분주 시스템 클락 선택부:
    상기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의 소정의 엣지와 상기 엣지의 다음 엣지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카운팅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을 출력하는 카운트부;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과 상기 카운트부의 출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과 상기 카운트부의 출력값이 동일할 때 발생하는 홀드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트/비교부; 및
    상기 홀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는
    리셋신호에 의해 카운팅을 시작하며, 상기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의 소정의 엣지와 상기 엣지의 다음 엣지사이에서 발생하는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출력하는 주기 카운터;
    로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저장하는 제1저장회로;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을 생성하는 2분주회로; 및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을 저장하는 제2저장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카운터는 16 비트 카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카운트/비교부는
    리셋신호에 의해 카운팅을 시작하고, 상기 홀드신호에 의해 카운팅을 홀드하며, 상기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의 2분의 1을 카운팅하여 출력하는 하프 카운터; 및
    상기 홀드신호를 출력하는 비교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로신호 발생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카운터는 16 비트 카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홀드신호를 소정의 시간 지연하여 지연 홀드 신호를 발생하는 지연회로;
    상기 홀드신호 및 상기 지연 홀드 신호를 논리조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논리조합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9. 트랙의 데이터 미기록 구간에서 트랙카운트를 수행하기 위한 슈도우 미러신호를 발생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 디스크 시스템의 시스템 클락을 분주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발생한 분주 시스템 클락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c)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의 소정의 엣지와 상기 엣지의 다음 엣지사이에서 발생하는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카운팅된 개수를 2분의 1로 감소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의 개수의 2분의 1을 카운팅하는 단계;
    (e) 상기 (c)단계에서 감소된 카운트값과 상기 (d)단계에서 카운트값이 동일한 지를 비교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의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d)단계에서의 카운팅을 홀드시키는 홀드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의 홀드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슈도우 미러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트랙 제로 크로스 신호의 소정의 엣지와 상기 엣지의 다음 엣지사이에서 발생하는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출력하는 단계;
    (c2) 상기 (c1)단계에서 출력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저장하는 단계;
    (c3) 상기 (c2)단계에서 저장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2분의 1로 감소하는 단계; 및
    (c4) 상기 (c3)단계에서 감소된 분주 시스템 클락 펄스의 개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방법.
KR1020010044590A 2001-07-24 2001-07-24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및 슈도우미러신호 발생 방법 KR20030009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590A KR20030009920A (ko) 2001-07-24 2001-07-24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및 슈도우미러신호 발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590A KR20030009920A (ko) 2001-07-24 2001-07-24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및 슈도우미러신호 발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920A true KR20030009920A (ko) 2003-02-05

Family

ID=2771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590A KR20030009920A (ko) 2001-07-24 2001-07-24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및 슈도우미러신호 발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99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6998B2 (en) Method of determining ADIP information through counting identical bits and different bits
US6285638B1 (en) Disk and disk recording apparatus
RU2228545C2 (ru)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оптическое ди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писи на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US5875163A (en) Rotation control apparatus operating with a sync signal having variable intervals
US5638350A (en) Multibea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in which direction of movement of plurality of light beams is determined based on order in which each of light beams crosses track
KR100378247B1 (ko) 기록매체와,기록매체에기록및기록매체로부터재생하는방법
US5621710A (en) CD-ROM Drive and a control method for optimally controlling the spindle motor
JP3485088B2 (ja) 信号処理回路及び信号処理方法
KR20030009920A (ko)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슈도우 미러신호 발생회로 및 슈도우미러신호 발생 방법
US5991250A (en) Optical disc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clock stabilization information on a portion of a unit block adjacent a discontinuous recording position
US6577569B1 (en) Optical disk reroducing device
JP2000182327A (ja) 光学記憶装置
JPH09167354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トラックカウントパルス整形回路
KR20030032175A (ko) 다이나믹 기입 전략을 위한 최소의 지연을 가지는 버퍼링방법, 버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cd-rw/dvd-rw 시스템
US5228020A (en) System for detecting rotational deviation of a rotary recording medium and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signal from the recording medium
KR100501687B1 (ko) 광학기록/재생장치의 기록영역 검출장치 및 그의 검출방법
US7715290B2 (en) Method for correcting write strategy data of an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drive using the same
JP4512059B2 (ja) 光ディスクへの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JP3596539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US6097780A (en) Track counter
JP3159210B2 (ja) 光ディスク
JP2612830B2 (ja) 情報記録媒体
KR19990045163A (ko) 광 디스크 구동 장치 및 광 디스크 구동 제어 방법
KR19980017404A (ko) 광디스크시스템의 등화기 파라메타 최적제어장치
JPH05266479A (ja) 相変化形光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