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263A -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263A
KR20030007263A KR1020020068114A KR20020068114A KR20030007263A KR 20030007263 A KR20030007263 A KR 20030007263A KR 1020020068114 A KR1020020068114 A KR 1020020068114A KR 20020068114 A KR20020068114 A KR 20020068114A KR 20030007263 A KR20030007263 A KR 2003000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plate
holding rod
support
j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환
Original Assignee
이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환 filed Critical 이용환
Priority to KR1020020068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7263A/ko
Publication of KR2003000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26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81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between horizontal surfaces, e.g. the floor and the cei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며 상단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사각지주봉의 하부에 각각 다른 코일경과 외경과 권수와 높이를 가지는 3개의 코일스프링이 사각지주봉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집적설치되는 탄성지지대를 설치하고 이 탄성지지대의 상부에는 일측에 사각지주봉의 네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2개씩 한 조로 된 베어링이 설치되며 타측에 사용자가 올라서거나 앉을 수 있는 좌석판과 발판이 설치되는 프레임이 설치되어 탄성지지대에 의해 사각지주봉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도록 구성하므로써, 탄성지지대에 내장된 3개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어떠한 체중범위에서도 운동에 적절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운동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사각지주봉의 네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베어링에 의해 전후좌우측으로 치우치거나 유동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원활하게 유동되므로 사용수명이 보다 향상될 뿐 아니라 더욱 더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Sporting apparatus for a standing jump}
본 발명은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며 상단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사각지주봉의 하부에 각각 다른 코일경과 외경과 권수와 높이를 가지는 3개의 코일스프링이 사각지주봉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집적설치되는 탄성지지대를 설치하고 이 탄성지지대의 상부에는 일측에 사각지주봉의 네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2개씩 한조로 된 베어링이 설치되며 타측에 사용자가 올라서거나 앉을 수 있는 좌석판과 발판이 설치되는 프레임이 설치되어 탄성지지대에 의해 사각지주봉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도록 구성하므로써, 탄성지지대에 내장된 3개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어떠한 체중범위에서도 운동에 적절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운동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사각지주봉의 네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베어링에 의해 전후좌우측으로 치우치거나 유동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원활하게 유동되므로 사용수명이 보다 향상될 뿐 아니라 더욱 더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력이나 관절등이 약한 노약자에게는 청소년이나 성인이 즐겨하는 등산이나 달리기 등의 실외운동이나 러닝머신과 같은 각종 헬스용 운동기구들을 이용한 실내운동이 오히려 몸에 무리가 가게 하거나 해를 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노약자는 땀을 흘려 지방을 분해시키는 격한 운동보다는 관절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가볍게 몸을 움직이므로써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거나 장운동이 되게 하여 소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걷기, 줄넘기, 제자리 뜀뛰기 등의 운동이 권장되고 있다.
따라서, 노약자에게 권장되고 있는 이러한 운동을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 여러 가지 운동기구들이 안출되어 왔는데, 그 중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관절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몸의 상하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운동효과를 높이는 뜀뛰기용 운동기구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프링을 이용한 뜀뛰기용 운동기구에는 이른바 스카이콩콩이라고 불리는 운동기구와 코일스프링이 장착된 기구를 신발바닥에 장착하여 뜀뛰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운동기구들은 많은 숙련도를 요하며 중심을 잃고 쓰러질 경우 부상의 우려가 있어 노약자에게 부적합할 뿐 아니라 운동기구에 의해 지면이나 바닥에 심한 충격을 가하게 되거나 진동소음을 유발하게 되므로 실내에서 행하기 어려운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폐단을 극복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 1993 -21105호의 운동기구가 알려져 있는데, 이 운동기구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운동기구(30)는 평판(31)의 상면일측에 구름발판(32)을 갖는 주스프링(33)이 설치되며 상면타측에는 설치대(34)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름발판(32)의 하면양측과 평판(31)의 상면사이에는 2개의 비틀림스프링(35a)(35b)이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설치대(34)의 상단에는 설치판 (36)에 의해 손잡이(37)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운동기구는 손잡이(37)를 잡은 상태에서 구름발판(32)위에 올라서서 발을 굴러주면 주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신체가 상방으로 상승하고 내려오면 체중에 의하여 주스프링(33)을 압축시키게 되는 방식으로 흡사 널뛰기를 하는 것처럼 뜀뛰기운동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운동기구(30)는 사용자가 올라서게 되는 구름발판 (32)의 중앙부가 1개의 주스프링(33)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구름발판(32)의 양측방이 2개의 비틀림스프링(35a)(35b)에 의해 보조적으로 지지되므로써 노약자의 다양한 체중범위에 대응하는 적합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어 체중이 가벼운 노약자의 경우에는 주스프링(33)이 너무 적게 압축되거나 체중이 무거운 노약자의 경우에는 주스프링(33)이 너무 많이 압축되어 충분한 운동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운동기구(30)를 사용하여 운동하기 위해서는 안전을 위해서 압축거리가 짧은 1개의 주스프링(33)에 의해 전체적으로 지지되는 구름발판(32)의 상면에서 손잡이(37)를 잡고 널뛰기를 하듯 구름발판(32)의 위로 뛰면서 운동해야 하는데, 노약자의 경우에는 도약을 한 후 구름발판(32)에 다시 착지할 때 발을 헛디뎌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거나 관절에 충격을 주게 되어 오히려 관절이 상하게 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여 하기 위해서는 압축거리가 긴 주스프링(33)을 사용하게 되면, 구름발판(32)의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너무 높아지게 되어 사용상의 안전성에 문제가 생기게 될 뿐만 아니라 구름발판(32)의 상면에 올라선 사용자에 의해 편하중을 지속적으로 받게 될 경우 주스프링(33)이 쉽게 좌굴변형될 우려가 있어 운동기구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단축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며 상단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사각지주봉의 하부에 각각 다른 코일경과 외경과 권수와 높이를 가지는 3개의 코일스프링이 사각지주봉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집적설치된 탄성지지대를 설치하고 이 탄성지지대의 상부에는 일측에 사각지주봉의 네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2개씩 한조로 된 베어링이 설치되며 타측에 사용자가 올라서거나 앉을 수 있는 좌석판과 발판이 설치되는 프레임이 설치되어 사각지주봉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도록 구성하므로써, 탄성지지대에 내장된 3개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어떠한 체중범위에서도 운동에 적절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운동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사각지주봉의 네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베어링에 의해 전후좌우측으로 치우치거나 유동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만 원활하게 유동되므로 사용수명이 보다 향상될 뿐 아니라 더욱 더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탄성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설치되는 베어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동기구 2 : 베이스판 2a : 방진고무
3 : 사각지주봉 3a : 숫나사부 3b : 플랜지부
4 : 연결구 5 : 손잡이 6a, 6b: 스프링설치판
7 : 가이드부 8 : 하부주름커버 9a, 9b, 9c: 코일스프링
10 : 탄성지지대 11 : 설치공 12 : 발판설치부
13 : 좌석판 14 : 좌석지주대 14a: 좌석지지부
15 : 발판 15a: 고무판 16 : 발판지지대
17a, 17b: 프레임 18, 19 : 전후방베어링 20, 21: 측방베어링
22a, 22b: 베어링설치판 23 : 상부주름커버
24a, 24b: 커버고정판 25 : 결합판 26 : 장공
27 : 베어링밀착볼트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탄성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설치되는 베어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측면에 방진고무(2a)가 부착된 베이스판(2)의 상면일측에 상단에 연결구(4)에 의해 손잡이(5)가 결합되는 숫나사부(3a)가 형성되며 하단에 플랜지부 (3b)가 일체로 형성된 사각지주봉(3)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사각지주봉(3)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단에 가이드부(7)가 돌출형성된 스프링설치판(6a)(6b)이 각각 설치되는 하부주름커버(8)의 내측에 각각 다른 코일경과 외경과 권수와 높이를 가진 3개의 코일스프링(9a)(9b)(9c)이 상기 사각지주봉(3)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삽입설치되어 있는 탄성지지대(1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지지대(10)의 상부에는 측면중앙부에 2개의 설치공(11)이 관통형성되고 일측단부에 발판설치부(12)가 돌출형성되며 하단부에 상기 스프링설치판(6a)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판(25)이 고정설치된 프레임(17a)(17b)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7a)(17b)간의 상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사각지주봉(3)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2개씩 한 조로 된 전후방베어링(18)(19)이 각각 삽입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7a)(17b)의 설치공(11)에는 상기 사각지주봉(3)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2개씩 한 조로 된 측방베어링(20)(21)이 각각 삽입설치되는 H자형상의 베어링설치판(22a)(22b)이 삽입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7a)(17b)의 상단에는 프레임(17a)(17b)외측을 감싸는 상부주름커버(23)가 결합되는 커버고정판(24a)(24b)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7a) (17b)의 발판설치부(12)의 상부일측에는 상단부에 좌석판(13)이 설치되는 좌석지지부(14a)가 힌지결합된 좌석지주대(14)가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며 타측에는 상면에 미끄럼방지용 고무판(15a)이 부착된 발판(15)이 고정설치되는 발판지지대(16)가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는 각 부품을 용접하여 결합하거나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운동기구의 이동 및 설치와 유지보수를 위해서 해체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의 작용관계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코일경과 외경과 권수와 높이를 가지는 3개의 코일스프링(9a)(9b) (9c)를 사각지주봉(3)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삽입되어 집적설치되도록 하므로써, 가벼운 체중이 가해질 경우에는 제 1스프링(9a)와 제 2스프링(9b)가 제 3스프링(9c)의 상부까지 압축되어 탄성지지되며 무거운 체중이 가해질 경우에는 제 1스프링(9a)과 제 2스프링(9b)이 압축되는 동시에 제 3스프링(9c)까지 압축되어 탄성지지되므로 다양한 체중범위에 걸쳐 적절한 운동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의 유동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지주봉(3)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게 되는 발판(15)이 고정설치된 프레임(17a)(17b)이 내측상하부에 각각 2개씩 한 조로 삽입설치된 전후방베어링(18)(19)과 상기 프레임(17a)(17b)의 설치공(11)에 삽입설치된 베어링설치판(22 a)(22b)의 내측에 각각 2개씩 한 조로 삽입설치된 측방베어링(20)(21)에 의해 사각지주봉(3)의 네 측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므로써, 운동시 발판(15)이 설치된 프레임(17a)(17b)이 탄성지지대(10)에 의해 사각지주봉(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로 유동하더라도 사용자가 올라선 발판(15)이 전후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원활하게 유동되므로써 운동상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설치판(22a)(22b)에는 측방베어링(20)(21)의 일측이 삽입설치되는 장공(26)과 베어링밀착볼트(27)가 체결되어 있어 베어링설치(22a)(22b)에 설치된 베어링밀착볼트(27)를 조이거나 풀어서 장공(26)에 삽입설치된 측방베어링 (20)(21)의 일측이 사각지주봉(3)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써, 운동시 운동기구(1)에 설치된 발판(15)의 상하유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체중에 알맞은 운동강도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베어링이 설치된 프레임(17a)(17b)의 외측과 탄성지지대(10)의 외측에는 각각 상부주름커버(23)와 하부주름커버(8)가 설치되므로써, 코일스프링내로 노약자의 손이나 발이 삽입되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베어링과 코일스프링에 급유된 윤활유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운동기구(1)를 보다 청결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 선상태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제자리 뜀뛰기운동을 하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발판(15)일측에 고정된 좌석지주대(14)의 상단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좌석판(13)을 상방으로 젖혀놓은 후 발판(15)상면에 두발을 딛고 올라선 다음, 양손으로 손잡이 (5)를 잡고 발뒤꿈치를 가볍게 들어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또는 발판 (15)상면에 선채로 양팔을 나란하게 들어올려 앞뒤로 자연스럽게 반복적으로 흔들어 주게 되면, 이러한 동작의 반작용에 의해 탄성지지대(10)가 받아 부드럽게 상하로 유동하면서 사용자의 몸이 상하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본 발명의 운동기구(1)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좌석판(13)을 수평하게 내린 후 사용자가 발판(15)상면에 손잡이(5)를 등지고 올라서서 엉덩이를 좌석판(13)에 안착시킨 다음, 양팔을 흔들거나 발뒤꿈치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것을 반복하게 되므로써 자연스럽게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는 베이스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며 상단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사각지주봉의 하부에 각각 다른 코일경과 외경과 권수와 높이를 가지는 3개의 코일스프링이 사각지주봉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집적설치된 탄성지지대를 설치하고 이 탄성지지대의 상부에는 일측에 사각지주봉의 네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한조의 베어링이 설치되며 타측에 사용자가 올라서거나 앉을 수 있는 좌석판과 발판이 설치되는 프레임이 설치되어 탄성지지대에 의해 사각지주봉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도록 구성하므로써, 탄성지지대에 내장된 3개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어떠한 체중범위에서도 운동에 적절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운동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사각지주봉의 네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베어링에 의해 전후좌우측으로 치우치거나 유동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원활하게 유동되므로 사용수명이 보다 향상될 뿐 아니라 더욱 더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측면에 방진고무(2a)가 부착된 베이스판(2)의 상면일측에는 상단에 연결구 (4)에 의해 손잡이(5)가 결합되는 숫나사부(3a)가 형성되며 하단에 플랜지부(3b)가 일체로 형성된 사각지주봉(3)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사각지주봉(3)의 하부에는, 상하단에 가이드부(7)가 돌출형성된 스프링설치판(6a)(6b)이 각각 설치되는 하부주름커버(8)의 내측에 각각 다른 코일경과 외경과 권수와 높이를 가진 3개의 코일스프링(9a)(9b)(9c)이 상기 사각지주봉(3)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삽입설치되어 있는 탄성지지대(10)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지지대(10)의 상부에는, 측면중앙부에 2개의 설치공(11)이 관통형성되고 일측단부에 발판설치부(12)가 돌출형성되며 하단부에 상기 스프링설치판 (6a)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판(25)이 고정설치된 프레임(17a)(17b)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7a)(17b)간의 상하부에는 상기 사각지주봉(3)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2개씩 한 조로 된 전후방베어링(18)(19)이 각각 삽입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17a)(17b)의 설치공(11)에는 상기 사각지주봉(3)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2개씩 한 조로 된 측방베어링(20)(21)이 각각 삽입설치되는 H자형상의 베어링설치판(22a) (22b)이 삽입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7a)(17b)의 상단에는 프레임(17a)(17b)외측을 감싸는 상부주름커버(23)가 결합되는 커버고정판(24a)(24b)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7a)(17b)의 발판설치부(12)의 상부일측에는 상단부에 좌석판(13)이 설치되는 좌석지지부(14a)가 힌지결합된 좌석지주대(14)가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며 타측에는 상면에 고무판(15a)이 부착된 발판(15)이 고정설치되는 발판지지대(16)가 수평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
KR1020020068114A 2002-11-05 2002-11-05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 KR20030007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114A KR20030007263A (ko) 2002-11-05 2002-11-05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114A KR20030007263A (ko) 2002-11-05 2002-11-05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051U Division KR200305538Y1 (ko) 2002-11-05 2002-11-05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263A true KR20030007263A (ko) 2003-01-23

Family

ID=2772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114A KR20030007263A (ko) 2002-11-05 2002-11-05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72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851A1 (ko) * 2014-08-14 2016-02-18 염상봉 밸런스보드와 그를 이용한 시스템
CN108992903A (zh) * 2018-07-31 2018-12-14 合肥康之恒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装置的体育器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3002238A1 (en) * 1981-12-23 1983-07-07 Hideyoshi Kojima Jumping exercise implement
KR19980062539U (ko) * 1997-04-03 1998-11-16 정애현 요동유희구
KR200154626Y1 (ko) * 1996-11-14 1999-08-16 홍기상 조립식 트위스트기 겸용 뜀뜰기
KR100267015B1 (ko) * 1998-05-29 2000-09-15 홍기상 운동용 계단 걷기식 뜀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3002238A1 (en) * 1981-12-23 1983-07-07 Hideyoshi Kojima Jumping exercise implement
KR200154626Y1 (ko) * 1996-11-14 1999-08-16 홍기상 조립식 트위스트기 겸용 뜀뜰기
KR19980062539U (ko) * 1997-04-03 1998-11-16 정애현 요동유희구
KR100267015B1 (ko) * 1998-05-29 2000-09-15 홍기상 운동용 계단 걷기식 뜀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851A1 (ko) * 2014-08-14 2016-02-18 염상봉 밸런스보드와 그를 이용한 시스템
CN108992903A (zh) * 2018-07-31 2018-12-14 合肥康之恒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装置的体育器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522B2 (en) Ball and frame exercising apparatus
US7341548B2 (en) Ball and frame exercising apparatus
US20090170672A1 (en) Rehabilitation leg press apparatus and method
KR101086029B1 (ko) 스트레칭기구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6270448B1 (en) Leg stretch exercising device
JP2021019852A (ja) 下肢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404151Y1 (ko) 계단식 스텝퍼
KR200305538Y1 (ko)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
KR20030007263A (ko) 제자리 뜀뛰기용 운동기구
KR101230029B1 (ko) 안전장치를 갖는 역기내리기 운동기구
JP2019083994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578447B1 (ko) 하체 운동기구
KR200478393Y1 (ko) 복합 운동기구
KR20190002555U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1570229B1 (ko) 뜀뛰기 운동기구
CN110917567B (zh) 一种多功能健身康复锻炼装置
JP2006223791A (ja) 運動補助装置
KR101245074B1 (ko) 헬스자전거용 안장의 높낮이 조절기구
KR200441542Y1 (ko) 4개의 발판을 가진 계단오르기 헬스스텝퍼
KR20100006535U (ko) 4개의 발판을 가진 계단오르기 헬스스텝퍼
RU2095107C1 (ru)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тренажер
CN214232587U (zh) 一种滑步机
KR101078622B1 (ko) 다리운동기구
KR200489544Y1 (ko)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