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713A - 토양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토양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713A
KR20030005713A KR1020010041124A KR20010041124A KR20030005713A KR 20030005713 A KR20030005713 A KR 20030005713A KR 1020010041124 A KR1020010041124 A KR 1020010041124A KR 20010041124 A KR20010041124 A KR 20010041124A KR 20030005713 A KR20030005713 A KR 20030005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washing
mounting table
washing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4738B1 (ko
Inventor
최상일
민경석
소정현
채재근
송태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건설
최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건설, 최상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건설
Priority to KR10-2001-004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738B1/ko
Publication of KR20030005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안착되도록 설계된 베이스(1) 상에 저면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재(2)로 결합 설치되는 설치대(10)와; 상기 베이스(1)의 상측과 설치대(10)의 저면에 연결 설치되어 설치대(10)의 일측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20)과; 상기 설치대(10) 상으로부터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대(11)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오염토양을 공급받아 1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전세척조(30)와; 상기 설치대(10) 상에 체인으로 전세척조(30)와 연결 설치되는 제 1구동부(40)와; 상기 전세척조(3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설치대(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염토양을 2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주세척조(50)와; 상기 설치대(10) 상에 설치되어 주세척조(50)를 지지하기 위한 로울러부재(60)와; 상기 설치대(10) 상에 체인으로 주세척조(50)와 연결 설치되는 제 2구동부(70)와; 상기 설치대(10) 상에 설치되며 주세척조(50) 내부로 세척수 분사노즐(81)이 배선되어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핑수단(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전세척조를 통해 연속적인 토양의 공급 및 계면활성제와 세척이 동시에 이송되도록 하면서, 이를 주세척조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함께 1차적으로 세척된 오염토양을 2차적으로 세척 처리하여 세척수는 토양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양오염의 계면력을 최대로 저하시켜 원상태의 토양으로 복권이 가능하면, 이와 같은 공정은 오염토양의 공급이 연속적이어서 토양오염복원에 따른 오염토양의 처리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세척장치는 차량에 탑재 가능하게 하여 이송에 따른 작업성 또한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양 세척장치{Soil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토양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오염된 토양 세척에 있어, 연속적인 토양의 공급과,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세척에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양을 최소로 절감하며, 특히 유류 화합물로 오염된 부지의 복원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처리용량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토양오염의 경우 일단 오염이 되고 나면 지표수 및 지하수의 수질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등 주변 환경에 2차 오염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오염된 토양은 반드시 현장에서 빠른 시간 내에 정화시켜 복원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토양 세척기법은 이미 1970년대 말 미국에서 처음 개발되어 현재는 미국을 비롯하여 독일 네덜란드 등 많은 나라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특허기술중의 하나로서 각 지역, 각 국의 적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적용범위가 넓기 때문에 다양한 유기 오염물질 및 중금속이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는 현 실정에 비추어 보아 현장 적용이 크고 경제적으로도 효율성이 뛰어난 정화기법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정유공장을 비롯한 각종 유류 취급 공장지역 내의 토양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염토양을 효율적으로 굴착하고, 이를 복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볼 때 토양세척기법은 크게 Ex-situ 세척기법과 In-situ 세척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Ex-situ 세척기법은 흔히 토양 세척(Soil Washing)이라고도 하는데 토양내 오염 내 물질의 분포 및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처리범위의 오염토양을 굴착한 후, 적절한 세척용액을 이용하여 오염된 토양을 세척하는 기법으로 one-site 처리와 off-site 처리로 나눌 수 있다.
상기 In-situ 세척기법은 토양을 굴착하지 않고 세척용액 주입정, 세척용액 배출정, 세척유출수 처리시설, 펌프 및 계장시설, 휘발물질 처리시설 등을 오염된 부지에 설치하여 토양 내에서 세척수를 순환시켜 세척하는 기법으로 처리시간이 길며, 토양공극이 막혀 세척장치에 있어 세척용액의 회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토양세척기법은 오염물질에 대한 토양의 혼합정도, 입경분포, 비중에 의해 세척효율이 좌우된다.
간단한 세척 처리단계를 들면, 오양토양의 굴착과 수송공정; 부피가 큰 협작물질이나 덩어리진 흙을 제거하는 잔처리 공정; 세척제와 기계적 마찰력을 이용한 토양으로부터의 오염물질분리공정; 세척유출수 후처리공정; 정화된 토양의 복토 또는 재활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정중에서 세척제와 기계적 마찰을 이용하는 토양세척은 1공정 이후에 복원토양의 설정된 기준치까지 세척작업을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기때문에 세척에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과다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세척수의 유출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세척 장비로서는 반복적인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처리 속도 및 그 장비의 성능이 기대하는 정도에 이르지 못하여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각 지역에 거치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장치의 설치 및 회수 등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오염토양복원장소로 이동이 간편하고, 오염토양의 공급에 따른 연속적인 세척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세척수와 복원된 토양을 별도로 배출처리할 수 있는 토양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면으로부터 안착되도록 설계된 베이스 상에 저면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재로 결합 설치되는 설치대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과 설치대의 저면에 연결 설치되어 설치대의 일측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설치대 상으로부터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대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오염토양을 공급받아 1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전세척조와; 상기 설치대 상에 체인으로 전세척조와 연결 설치되는 제 1구동부와; 상기 전세척조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설치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염토양을 2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주세척조와; 상기 설치대 상에 설치되어 주세척조를 지지하기 위한 로울러부재와; 상기 설치대 상에 체인으로 주세척조와 연결 설치되는 제 2구동부와; 상기 설치대 상에 설치되며 주세척조 내부로 세척수 분사노즐이 배선되어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핑수단으로 구성된 토양 세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세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의 진행통로를 보이기 위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조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조의 회전속도에 의한 세척효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와 토양의 비율 변화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 디젤오염 토양의 세척효율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설치대 20: 높이조절수단
30: 전세척조32: 이송스크류축
40: 제 1구동부50: 주세척조
52: 나선형 웨어부53: 날개편
54: 여과망60: 로울러부재
70: 제 2구동부80: 펌핑수단
81: 분사노즐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인 세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토양 세척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안착되도록 설계된 베이스(1) 상에 저면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재(2)로 결합 설치되는 설치대(10)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1)의 상측과 설치대(10)의 저면사이에는 설치대(10)의 일측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2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20)은 수동식 스크류 잭 또는 유압 잭을 적용하여 높이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설치대(10) 상으로부터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대(11)상에는 외부로부터 오염토양을 공급받아 1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전세척조(3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전세척조(30)는 일측에 토양을 공급받기 위한 유입구(31a) 및 토양을 배출시키기 위한 토출구(31b)가 마련된 원통형의 몸체(31)와, 몸체(31) 내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게 설치되어 유입되는 토양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축(32)과, 이송스크류축(32)의 일단에 결합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스프라켓(3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세척조(30)의 제원은 전체길이가 740mm이고, 몸체(31)의 직경은 40mm이며,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축(32)의 피치(pitch) 간격은 16mm 정도이다.
상기 설치대(10) 상에 체인으로 전세척조(30)와 연결 설치되는 제 1구동부(40)가 위치하고, 상기 전세척조(3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설치대(10) 상에는 오염토양을 2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주세척조(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전세척조(30)를 일부분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주세척조(50)를 살펴보면,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51)를 갖되, 몸체(51) 내부 직경 길이방향에 연이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토양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나선형 웨어부(52)와, 상기 몸체의 내부직경에 형성된 나선형 웨어부(52) 사이사이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이송되는 토양을 간섭시키기 위한 날개편(53)과, 상기 몸체(51)의 일측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세척수를 걸러내기 위한 여과망(54)과, 상기 몸체(51)의 외측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로울러부재(60)에 안내되는 가이드링부(55)와, 상기 몸체(51)의 일단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제 2구동부(70)로부터 몸체(51)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프라켓(56)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세척조(50)의 몸체(51)는 그 길이가 500mm이고, 원통형의 몸체 직경은 140mm 원형의 관형태로 내벽에 일체로 형성된 나선형 웨어부(52)의 피치간격은 28mm이고, 몸체(51)의 내벽으로부터의 나선형 웨어부의 길이는 25mm로 그 사이사이에 위치되는 날개편(53)은 몸체를 중심상에서 볼 때 45°각도를 갖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설치대(10) 상에는 주세척조(50)를 지지하기 위한 로울러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대(10) 상에 체인으로 주세척조(50)와 연결 설치되는 제 2구동부(70)가 위치한다.
상기 제 1구동부(40) 및 제 2구동부(70)는 감속기(G)가 부착 설치된 구동모터(M1,M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치대(10) 상에는 주세척조(50) 내부로 세척수 분사노즐(81)이 배선되어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핑수단(80)이 설치되며, 주세척조(50)로부터 세척된 토양을 받아 외부로 토양 배출시키는 배출구(3) 및 토양으로부터 분리되는 세척수를 받아 배출처리하기 위한 배수구(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토양 세척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토양 세척장치는 운반 차량에 탑재가 가능하여 오염토양을 복원하고자 하는 지역으로부터 용이하게 이동하여 작업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다.
오염된 토양의 굴착에 의해 1차적으로 부피가 큰 협작물이나, 덩어리진 토양은 주변에 설치되는 분리기에서 작업되어 오염된 토양을 본 발명인 세척장치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오염 토양의 공급이 이루어지기 전 세척에 필요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미리 혼합하여 공급하도록 하는데,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세척조(30)의 몸체(31)에 마련된 유입구(31a)로 오염된 토양을 주입하는 형태로 공급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 전세척조(30)의 몸체측 유입구(31a)로 투입된 토양은 설치대(10) 상의 제 1구동부(40)의 구동모터(M1)을 통해 감속기(G)에서 설정된 회전비를 갖도록 구동하고, 상기 감속기(G)로부터 체인에 의해 몸체(31) 외측에 설치된 스프라켓(33)을 구동시키고, 스프라켓(33)의 구동으로 그 내측에 설치된 이송스크류축(32)의 회전구동에 따라 오염토양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세척조(30) 내부를 따라 이송스크류축(32)에 간섭되어 이동하는 토양은 함께 포함되어 믹싱된 계면활성제의 화학작용으로 인해 토양으로부터의 오염물질의 계면장력을 저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전세척조(30)를 따라 끝까지 이송되는 오염토양은 몸체에 형성된 토출구(31b)를 통해 주세척조(50)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전 세척조는 설치대(10) 상에 설치된 제 2구동부(70)의 구동모터(M2) 및 감속기(G)에 의해 몸체(51)의 일단 외측에 설치된 스프라켓(56)의 회전구동으로 몸체(51)자체를 회전 구동시키고, 이때 설치대(10) 상에 설치된 로울러부재(60)는 상기 회전되는 몸체(51)의 외측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링부(55)를 구름 안내시켜 안정적인 몸체(51)의 원활한 회전구동과 함께 지지역할을 해준다.
한편, 상기 주세척조(50) 내부 깊숙한 곳에서 전세척조(30)의 몸체(51)측 토출구(31b)를 통해 배출된 오염토양은 주세척조(50)의 몸체(51) 내경에 형성된 나선형 웨어부(52)를 따라 상기 전세척조(30)의 오염토양의 진행방향과 반대되도록 일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주세척조(50)로 수용된 전세척조(30)의 일단 위치에는 설치대(10) 상으로부터 설치된 펌핑수단(80)으로부터 세척수는 펌핑수단과 연결 설치된 분사노즐(81)을 통하여 주세척조(50) 내부 깊숙한 지점에서 세척수를 분사시켜 전세척조(30)로부터 배출되는 토양과 혼합되게 한다.
상기 전세척조(30)의 토출구(31b)로부터 배출되는 오염토양은 상기 펌핑수단(80)에 의해 주세척조(50)의 내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와 함께 혼합되면서 주세척조(50)의 나선형 웨어부(52)를 따라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나산형 웨어부(52)를 따라 이송되는 오염토양은 이송과 동시에 세척수로 인하여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작용을 한다. 즉, 세척수로 인해 토양과 함께 혼합되어 있는 계면활성제와 함께 1차 세척공정을 완성한 오염 토양의 헹굼(Rinsing)작용을 하여 세척수로 하여금 오염물질과의 분리를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헹굼작용에 있어, 주세척조(50)의 개방된 부위로 이송되어 나오는 토양은 나선형 웨어부(52)와 나선형 웨어부(52) 사이사이에 형성된 날개편(53)에 간섭이 일어나면서 이동되는데, 이는 더욱이 토양으로부터의 오염물질의 계면장력을 약화시켜 이송진행중의 세척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나선형 웨어부(52)를 따라 세척수와 함께 혼합된 토양의 이송은 전세척조(30)로부터 계속되는 오염토양의 공급에 비례하도록 이송되어 나오다가 세척수는 주세척조(50)의 몸체(51)에 구비된 여과망(54)을 통해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때의 세척수는 설치대(10) 상에 설치된 배수구(4)를 따라 별도로 집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세척이 완료되어 최종적으로 주세척조(50)의 개방된 부위로 나오는 토양은 설치대(10) 상에 설치된 배수구(4)로 통과 처리되어 토양을 복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오염 토양은 주 세척조로부터의 공급에 이어 주세척조(50)를 통해 나오는 과정으로 토양의 세척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토양복원을 위한 세척에 있어, 세척장치의 가동에 따라 주세척조(50)의 몸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가운데 있어, 다음과 같이 실험을 통하여 세척정도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먼저,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와 그 토양의 비율 변화에 따른 세척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조건으로 주세적조로부터의 토양의 주입속도 15㎥/day, 토양과 함께 혼합되는 계면활성제POE5/POE14의 비는 1:1(농도 0.1%)정도를 유지시키고, 전세척조(30)의 몸체 내에 설치된 이송스크류축의 회전속도를 16rpm으로 설정하고, 주세척조(50) 회전속도를 4rpm으로 고정하고, 세척수와 토양의 비율(부피/중량비)을 1, 2, 3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세척수와 토양의 비율범위 내에서 처리효율이 80% 정도로 차이가 크게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제적 운전을 위하여 세척수/토양 비를 1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참고 도 5)
또한,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통해 토양의 체류시간과 세척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세척장치 회전속도의 변화에 의한 세척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계산과 실체실험을 통한 결과 자료를 바탕으로 정상상태의 토양 흐름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주세척조(50)와 전세척조(30)의 회전비율을 보정하여 주었다.
그 조건은 전세척조(30)로부터의 토양의 주입속도 15㎥/day이고, 토양과 함께 혼합되는 계면활성제는 POE5/POE14의 비 1:1(농도 0.1%), 세척수/토양 비 1인 운전조건에서 회전속도를 전세척조(30)의 경우 16, 18, 20rpm(이때 일정한 토양흐름을 위한 주세척조(50)의 회전속도는 4, 5, 6rpm 임)으로 변화시키면서 세척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적인 면을 살피면, 본 세척장치의 세척효율은 주어진 세척장치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대하여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회전속도(rpm)의 증가에 따라 세척효율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회전속도의 증가에 따라 토양과 세척수의 상호 교반되는 강도는 다소 증가하나 세척공정 내에서 토양 체류시간의 단축으로 세척기간이 짧아진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운전조건에서는 적절한 세척운전을 위하여 세척장치의 회전력을 16-18rpm의 범위로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참고 도 6)
또한,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통해 현장 디젤오염토양의 세척실험을 위해 설계 목표치수인 토양의 주입속도 15㎥/day, 토양과 함께 혼합되는 계면활성제는 POE5/POE14의 비 1:1(농도 0.1%), 세척수/토양 비 1인 운전조건에서 전세척조(30) 및 주세척조(50) 의 회전속도를 18rpm 및 5rpm으로 현장 디젤오염토양을 처리한 결과 토양의 처리효과는 90%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참고 도 7)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세척장치의 전세척조를 통해 연속적인 토양의 공급 및 계면활성제와 세척이 동시에 이송되도록 하면서, 이를 주세척조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함께 1차적으로 세척된 오염토양을 2차적으로 세척 처리하여 세척수는 토양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양오염의 계면력을 최대로 저하시켜 원상태의 토양으로 복권이 가능하면, 이와 같은 공정은 오염토양의 공급이 연속적이어서 토양오염복원에 따른 오염토양의 처리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세척장치는 차량에 탑재 가능하게 하여 이송에 따른 작업성 또한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면으로부터 안착되도록 설계된 베이스(1) 상에 저면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재(2)로 결합 설치되는 설치대(10)와;
    상기 베이스(1)의 상측과 설치대(10)의 저면에 연결 설치되어 설치대(10)의 일측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20)과;
    상기 설치대(10) 상으로부터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대(11)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오염토양을 공급받아 1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전세척조(30)와;
    상기 설치대(10) 상에 체인으로 전세척조(30)와 연결 설치되는 제 1구동부(40)와;
    상기 전세척조(3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설치대(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염토양을 2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주세척조(50)와;
    상기 설치대(10) 상에 설치되어 주세척조(50)를 지지하기 위한 로울러부재(60)와;
    상기 설치대(10) 상에 체인으로 주세척조(50)와 연결 설치되는 제 2구동부(70)와;
    상기 설치대(10) 상에 설치되며 주세척조(50) 내부로 세척수 분사노즐(81)이 배선되어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핑수단(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설치대(10) 상에는 주세척조(50)로부터 세척된 토양을 받아 외부로 토양 배출시키는 배출구(3) 및 토양으로부터 분리되는 세척수를 받아 배출처리하기 위한 배수구(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높이조절수단(20)은 스크류 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높이조절수단(20)은 유압 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전세척조(30)는 일측에 토양을 공급받기 위한 유입구(31a) 및 토양을 배출시키기 위한 토출구(31b)가 마련된 원통형의 몸체(31)와,
    몸체(31) 내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게 설치되어 유입되는 토양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축(32)과,
    이송스크류축(32)의 일단에 결합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스프라켓(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주세척조(5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51)를 갖되, 몸체(51) 내부 직경 길이방향에 연이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토양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나선형 웨어부(52)와,
    상기 몸체의 내부직경에 형성된 나선형 웨어부(52) 사이사이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이송되는 토양을 간섭시키기 위한 날개편(53)과,
    상기 몸체의 일측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세척수를 걸러내기 위한 여과망(54)과,
    상기 몸체의 외측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로울러부재(60)에 안내되는 가이드링부(55)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제 2구동부(70)로부터 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프라켓(5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장치.
KR10-2001-0041124A 2001-07-10 2001-07-10 토양 세척장치 KR100404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124A KR100404738B1 (ko) 2001-07-10 2001-07-10 토양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124A KR100404738B1 (ko) 2001-07-10 2001-07-10 토양 세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810U Division KR200250277Y1 (ko) 2001-07-10 2001-07-10 토양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713A true KR20030005713A (ko) 2003-01-23
KR100404738B1 KR100404738B1 (ko) 2003-11-07

Family

ID=2771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124A KR100404738B1 (ko) 2001-07-10 2001-07-10 토양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7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747B1 (ko) * 2009-06-11 2010-05-19 (주) 선일인바텍 오염토 복원을 위한 토양 세척장치
US9487412B2 (en) 2011-11-10 2016-11-08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mediating contaminated soil by separation of highly contaminated coarse soil
US9718104B2 (en) 2011-11-10 2017-08-01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mediating highly contaminated fine soil using multiple micro hydrocyclo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92B1 (ko) 2007-09-20 2007-11-28 주식회사 알파환경엔지니어링 토양 세척 설비용 월류식 침사지 및 이를 통한 무방류 토양세척 설비
KR100837418B1 (ko) 2008-02-29 2008-06-12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오염 토양 세척장치
KR101205123B1 (ko) 2012-03-13 2012-11-2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계면활성제 거품을 이용한 회분식 오염토양 정화처리장치
KR101639691B1 (ko) 2015-12-15 2016-07-14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미세토양 정화를 위한 초음파 세척장치
KR101682201B1 (ko) 2016-03-21 2016-12-02 환경관리 주식회사 토양 복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2626B2 (ja) * 1996-03-06 2003-12-22 清水建設株式会社 汚染土壌の物理化学的処理法
JPH10249324A (ja) * 1997-03-14 1998-09-22 Kameda Kazuhisa 汚染土壌改質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3544611B2 (ja) * 1997-11-18 2004-07-21 鹿島建設株式会社 汚染土壌の浄化処理方法
JP2000051836A (ja) * 1998-08-06 2000-02-22 Furukawa Co Ltd 汚染土壌の浄化装置
KR100291561B1 (ko) * 1998-09-15 2001-06-01 박호군 토양 세척 장치
JP2000210652A (ja) * 1999-01-26 2000-08-02 Kotoo:Kk 汚染土壌の無害化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747B1 (ko) * 2009-06-11 2010-05-19 (주) 선일인바텍 오염토 복원을 위한 토양 세척장치
US9487412B2 (en) 2011-11-10 2016-11-08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mediating contaminated soil by separation of highly contaminated coarse soil
US9718104B2 (en) 2011-11-10 2017-08-01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mediating highly contaminated fine soil using multiple micro hydrocycl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4738B1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258B1 (ko)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KR100404738B1 (ko) 토양 세척장치
KR101209709B1 (ko) 스크류 이송식 슬러지 농축 장치
KR100928559B1 (ko) 분뇨와 축산폐수 및 하수 처리용 다단 스크린장치
KR20140122174A (ko) 미세협잡물 제거기능 향상을 위한 고압세척기가 장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다단 스크린장치
CN108911218A (zh) 一种养殖污水处理设备
KR100837418B1 (ko) 오염 토양 세척장치
KR100291561B1 (ko) 토양 세척 장치
CN112110608A (zh) 一种高效废水处理装置
KR200250277Y1 (ko) 토양 세척장치
CN114477561A (zh) 一种石油化工污水处理曝气机
US61552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oil contaminants
KR20100046479A (ko) 수평식 다단 토양 복원장치
CN109911970B (zh) 一种具有除油功能的水污染处理装置
KR100870447B1 (ko) 토양 연속 복원장치
CN111136100A (zh) 一种污染土壤再生用翻土车
KR200354155Y1 (ko) 오염 토양의 복원과 선별 처리를 위한 토양 분류 세척 장치
JP3635138B2 (ja) ドラムスクリーン
CN115646056A (zh) 一种污水处理用循环除砂的沉砂池
CN113350859B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设备
KR100870445B1 (ko) 토양 복원장치
KR100396079B1 (ko) 폐산탱크의 슬러지 침전 방지장치
JP2007117870A (ja) 移床式集泥装置及び集泥方法
CN114289487B (zh) 一种重金属污染土壤的修复装置及其修复方法
JP2006026454A (ja) 汚染土壌処理装置、汚染土壌処理システム及び汚染土壌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