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2242A -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 Google Patents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2242A
KR20030002242A KR1020010039015A KR20010039015A KR20030002242A KR 20030002242 A KR20030002242 A KR 20030002242A KR 1020010039015 A KR1020010039015 A KR 1020010039015A KR 20010039015 A KR20010039015 A KR 20010039015A KR 20030002242 A KR20030002242 A KR 20030002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oltage
voltage
delay
variable
delay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0317B1 (ko
Inventor
김세준
홍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39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317B1/ko
Priority to US10/140,280 priority patent/US6686788B2/en
Publication of KR2003000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using a chain of active delay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013Delay, i.e. output pulse is delayed after input pulse and pulse length of output pulse is dependent on pulse length of input pulse
    • H03K2005/00019Variable delay
    • H03K2005/00026Variable delay controlled by an analog electrical signal, e.g. obtained after conversion by a D/A conver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013Delay, i.e. output pulse is delayed after input pulse and pulse length of output pulse is dependent on pulse length of input pulse
    • H03K2005/0015Layout of the delay element
    • H03K2005/00195Layout of the delay element using FET's
    • H03K2005/00208Layout of the delay element using FET's using differential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013Delay, i.e. output pulse is delayed after input pulse and pulse length of output pulse is dependent on pulse length of input pulse
    • H03K2005/0015Layout of the delay element
    • H03K2005/00234Layout of the delay element using circuits having two logic leve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9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 H03L7/099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the oscillator comprising a ring oscill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는, 정 궤환 모스 크로스 커플드 연결을 갖는 지연 셀을 사용하여 지연 셀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칩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연산 증폭기와 복제 셀을 이용하여 지연 셀을 제어하여 넓은 지연 범위를 갖기 때문에 동작 범위를 넓게 설정할 수 있으며, 지터를 줄일 수 있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Delay circuit for clock synchronization device}
본 발명은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 궤환 모스 크로스 커플드 연결을 갖는 지연 셀을 사용하여 지연 셀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칩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연산 증폭기와 복제 셀을 이용하여 지연 셀을 제어하여 넓은 지연 범위를 갖기 때문에 동작 범위를 넓게 설정할 수 있으며, 지터를 줄일 수 있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클럭 동기 장치, 즉 지연 동기 루프 회로(delay locked loop; DLL) 또는 위상 동기 루프 회로(phase locked loop; PLL)에는 각각 가변 지연 라인(variable delay line; VDL) 및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가 사용된다.
가변 지연 라인(VDL) 또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는 지연 셀(delay cell)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연 셀의 지연 범위는 클럭 동기 장치(DLL, PLL)의 동작 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지연 셀을 제어하는 방식은 그 동작 방식에 따라 디지털 방식과 아날로그 방식이 있다.
먼저, 디지털 방식은 고정된 지연시간을 갖는 지연 셀의 개수를 결정하여 필요한 지연 시간을 만드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지연 셀의 고정 지연 시간에 따라 정밀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가 필요한 고속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는 부적합하다.
또한, 동작 범위와 지연 셀의 개수가 비례하므로 넓은 동작 범위를 만들기위해서는 많은 수의 지연 셀이 필요하게 되어 칩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게다가,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변화에 지연 셀의 고정 지연 시간이 민감하게 변하기 때문에 동작 범위가 좁고, 지터(jitter)가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날로그 방식은, 지연 셀이 외부 제어 전압에 가변 지연 시간을 갖기 때문에, 제어 전압을 조절하여 필요한 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높은 정밀도를 가지며, 적은 지연 셀을 가지고 넓은 동작 범위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칩 면적을 줄이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전압에 따른 지연 셀의 지연 시간의 변화율은 이득(gain)으로 표현된다. 즉, 아날로그 방식의 동작 범위는 지연 셀의 이득(gain)에 따라 결정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아날로그 지연 회로의 상세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지연 회로는, 기준 전압(VREF)을 이용하여 제어 전압(VBN)을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1)와, 제어 전압(VBN, VBP)을 이용하여 입력신호(IN, /IN)를 일정 지연시간 만큼 지연시켜 출력 신호(OUT, /OUT)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지연 셀(DEL)로 구성된 지연부(2)와, 지연 셀(DEL)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일정한 제어 전압(VBN)을 출력하는 복제 바이어스 부(replica bias unit)(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산 증폭기(1)는 기준 전압(VREF)을 기준으로 복제 바이어스 부(3)의 출력 전압(VREP)에 따라 제어 전압(VBN)의 레벨을 설정한다. 따라서, 연산 증폭기(1)는 복제 바이어스 부(3)의 출력 전압(VREP)이 기준 전압(VREF)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제어 전압(VBN)을 출력한다.
지연부(2)의 지연 셀(DEL)은, 제어 전압(VBN)에 따라 전류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전류원(4)과, 입력 전압(VIN, /VIN)을 인가 받는 입력부(5)와, 제어 전압(VBP)에 따라 저항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저항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변 전류원(4)은 제어 전압(VBN)이 제어 단자에 인가되고, 소오스가 공급 전원전압(VDD)에 연결된 엔모스 트랜지스터(NM0)로 형성된다.
입력부(5)는, 제어 단자에 각각 입력 전압(VIN, /VIN)을 인가 받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1, NM2)로 형성된다. 여기서,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1, NM2)의 소오스는 공통 연결되어 가변 전류원(4)을 형성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NM0)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가변 저항부(6)는 게이트에 제어 전압(VBP)이 인가되고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공급 전원전압(VDD)이 인가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 PM2)로 형성된다. 여기서,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 PM2)의 드레인은 각각 가변 저항부(6)를 형성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1, NM2)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입력부(5)를 형성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1, NM2)과 가변 저항부(6)를 형성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PM1, PM2)의 공통 연결된 드레인이 출력 단자를 형성하여 각각 출력 신호(VOUT, /VOUT)를 출력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지연 셀들(DEL0)로 구성된 지연부(2)에서 N 번째 지연셀(DEL0)의 입력신호(VIN, /VIN)는 N-1 번째 지연 셀(DEL0)의 출력 신호(VOUT, /VOUT)가 각각 인가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N 번째 지연 셀(DEL0)의출력신호(VOUT, /VOUT)는 N+1 번째 지연 셀(DEL0)의 입력 신호(VIN, /VIN)로 각각 입력된다.
복제 바이어스 부(3)는 상기한 지연 셀(DEL0)과 동일하게 제어 전압(VBN)에 따라 전류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전류원(31)과, 공급 전원전압(VDD) 및 기준 전압(VREF)을 인가 받는 입력부(32)와, 제어 전압(VBP)에 따라 저항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저항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복제 바이어스 부(30)의 모든 구성소자는 지연 셀(DEL0)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 구성소자로 구성된다.
따라서, 복제 바이어스 부(3)의 출력전압(VREP)의 레벨을 기준전압(VREF)의 레벨로 설정하기 이한 제어전압(VBN)을 출력한다면, 모든 지연 셀(DEL0)의 출력신호(VOUT, /VOUT)의 레벨도 기준 전압(VREF)의 레벨로 설정된다.
여기서, 제어 전압(VBP)은 전하 펌프(charge pump) 또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 DAC)에서 생성된 전압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에서 부하 트랜지스터인 가변 저항부(23)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 PM2)은 선형적인 범위에서 동작하여야만 지연 회로의 위상 분해능이 선형적인 특성을 갖는데, 이러한 경우 제어 전압(VBP)의 범위가 좁기 때문에 동작 범위가 작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의 단위 지연 셀이 정궤환 모스 크로스 커플드 연결을 사용하여 적은 수의 단위 지연 셀을 사용하더라도 넓은 동작 범위를 갖고, 지터를 줄이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도 2의 회로도에서 제어전압(VBP)에 따른 가변 저항부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 파형도.
도 4는 도 2의 회로도에 따른 동작 시뮬레이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30 : 연산 증폭기20, 50 : 지연부
21, 31, 51, 61 : 가변 전류원22, 32, 52, 62 : 입력부
23, 33, 53, 63 : 가변 저항부30 : 복제 바이어스부
DEL1, DEL2 : 지연 셀
PM11-PM16, PM20-PM22 : 피모스 트랜지스터
NM10-NM12, NM21-NM26 : 엔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는, 복수개의 단위 지연 셀들이 직렬로 연결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지연 셀은, 전류 제어 전압에 따라 전류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전류 발생수단; 크로스 커플드 연결된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저항 제어 전압에 따라 저항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저항 수단; 및 상기 가변 전류 발생수단 및 가변 저항 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이전 단의 단위 지연 셀의 출력 신호를 인가받는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변 저항 수단과 입력수단의 공통 연결된 노드가 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는, 기준 전압을 사용하여 조절 전압에 따라 전류 제어전압의 레벨을 설정하는 연산 증폭 수단; 상기 연산 증폭 수단에 의해 설정된 레벨을 갖는 전류 제어전압 및 저항 제어전압에 따라 지연 시간이 설정되는 복수개의 단위 지연 셀들이 직렬로 연결된 지연수단; 및 상기 연산 증폭 수단에 의해 설정된 레벨을 갖는 전류 제어전압 및 저항 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조절 전압을 출력하는 복제 바이어스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회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지연 셀은,
전류 제어 전압에 따라 전류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전류 발생수단; 크로스 커플드 연결된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저항 제어 전압에 따라 저항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저항 수단; 및 상기 가변 전류 발생수단 및 가변 저항 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이전단의 단위 지연 셀의 출력 신호를 인가받는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변 저항 수단과 입력수단의 공통 연결된 노드가 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는, 기준 전압(VREF)을 이용하여 제어 전압(VBN)을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10)와, 제어 전압(VBN, VBP)을 이용하여 입력신호(VIN, /VIN)를 일정 지연시간 만큼 지연시켜 출력 신호(VOUT, /VOUT)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지연 셀(DEL1)로 구성된 지연부(20)와, 지연 셀(DEL1)과 동일한 구성소자로 구성되어 지연부(20)의 지연셀(DEL1)이 일정한 레벨의 출력전압(VOUT, /VOUT)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조절전압(VREP)을 출력하는 복제 바이어스 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산 증폭기(10)는 기준 전압(VREF)을 기준으로 복제 바이어스 부(30)의 출력 전압(VREP)에 따라 제어 전압(VBN)의 레벨을 설정한다. 따라서, 연산 증폭기(10)는 복제 바이어스 부(30)의 출력 전압(VREP)의 레벨이 기준 전압(VREF)의 레벨과 동일하도록 설정하는 제어 전압(VBN)을 출력한다.
지연부(20)의 지연 셀(DEL1)은, 제어 전압(VBN)에 따라 전류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전류원(21)과, 입력 전압(VIN, /VIN)을 인가 받는 입력부(22)와, 제어 전압(VBP)에 따라 저항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저항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변 전류원(21)은 제어 전압(VBN)이 제어 단자에 인가되고, 소오스가 전원전압(VDD)에 연결된 엔모스 트랜지스터(NM10)로 형성된다.
입력부(22)는, 제어 단자에 각각 입력 신호(VIN, /VIN)를 인가 받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11, NM12)로 형성된다. 여기서,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11, NM12)의 소오스는 공통 연결되어 가변 전류원(21)을 형성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NM10)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가변 저항부(23)는 게이트에 제어 전압(VBP)이 인가되고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공급 전원전압(VDD)이 인가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1, PM12)과,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1, PM12)과 각각 병렬로 연결되고, 게이트가 각각 출력 단자(VOUT, /VOUT)에 연결된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3, PM14)과, 출력 단자(VOUT, /VOUT)에 크로스 커플드 연결된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5, PM16)로 형성된다. 여기서,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1, PM12)의 드레인은 각각 가변 저항부(2)를 형성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11, NM12)의 드레인에 공통 연결되어 출력 단자(VOUT, /VOUT)를 형성하다.
여기서, 복수개의 지연 셀들(DEL1)로 구성된 지연부(20)에서 N 번째 지연 셀(DEL1)의 입력신호(VIN, /VIN)는 N-1 번째 지연 셀(DEL1)의 출력 신호(VOUT, /VOUT)가 각각 인가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N 번째 지연셀(DEL1)의 출력신호(VOUT,/VOUT)는 N+1 번째 지연 셀(DEL1(N+1))의 입력 신호(VIN, /VIN)로 각각 입력된다.
여기서, 제어 전압(VBP)은 전하 펌프(charge pump) 또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 DAC)에서 생성된 전압이다.
가변 저항부(23)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1, PM13 및 PM12, PM14)은 제어 전압(VBP)에 따라 저항 값이 결정되는 가변 저항으로 동작한다.
크로스 커플드 연결된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5, PM16)은 각각 출력 단자(VOUT, /VOUT)에 대해 정궤환 경로(positive feedback path)를 형성한다.
여기서, 지연 셀(DEL1)의 지연 시간(TD)은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Cload는 차동 출력 단자(VOUT, /VOUT) 사이의 캐패시턴스이고, Vswing은 출력 전압(VOUT, /VOUT)의 스윙 폭이며, Isource는 가변 전류원(10)에 의해 생성된 전류이다.
이때, Cload와 Vswing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지연 시간(TD)은 Isource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초기에 로우 레벨의 입력 전압(VIN)이 인가되면, 입력부(212)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M11)는 턴 오프, 엔모스 트랜지스터(NM12)는 턴 온 되어 출력 전압(VOUT)은 로우 레벨이 된다.
입력 전압(VIN)이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하면, 입력부(22)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M11)는 턴 오프 상태에서 턴 온 상태로 변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M12)는 턴 온 상태에서 턴 오프 상태로 변함에 따라 엔모스 트랜지스터(NM11)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M12)에 흐르는 전류는 감소하게 된다.
이때, 반전 출력 단자(/VOUT)의 전압은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천이하여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1, PM13, PM15)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비반전 출력 단자(VOUT)의 전압은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천이하여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2, PM14, PM16)에 흐르는 전류는 감소하게 된다.
제어 전압(VBP)이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1, PM12)을 턴 온 시킬 만큼의 충분한 전압 레벨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저항부(23)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1, PM13 및 PM12, PM14)에 흐르는 전류(Ipmos)는 공급 전원전압(VDD)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출력 전압(VOUT, /VOUT)에 대한 전압 스윙 폭(VPP)의 절반에서 공통 노드 레벨(common node level)을 형성한다.
한편, 제어 전압(VBP)이 가변 저항부(23)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1, PM12)을 턴 온 시킬 만큼 충분한 전압 레벨(여기서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보다 약간 큰 전압 레벨)이 아닌 경우,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1, PM12)이 거의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저항부(23)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1, PM13 및 PM12, PM14)에 흐르는 전류(Ipmos)는 공급 전원전압(VDD)이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게 되지만, 출력 단자(VOUT, /VOUT)에 크로스 커플드 연결된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15, PM16)에 의해 선형적으로 감소되도록 동작하여 선형성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출력 전압(VOUT, /VOUT)에 대한 전압 스윙 폭(VPP)의 절반에서 공통 노드 레벨(common node level)을 형성할 수 있다.
복제 바이어스 부(30)는 상기한 지연 셀(DEL1)과 동일하게 제어 전압(VBN)에 따라 전류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전류원(31)과, 공급 전원전압(VDD) 및 기준 전압(VREF)을 인가 받는 입력부(32)와, 제어 전압(VBP)에 따라 저항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저항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기준 전압(VREF)은 지연 셀(DEL1)의 출력 전압(VOUT, /VOUT)의 스윙 폭(Vswing)을 설정한다.
연산 증폭기(10)는 DC 이득 특성 때문에 복제 바이어스 부(30)의 출력 전압(/VREP)이 기준 전압(VREF)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제어전압(VBN)을 출력한다.
여기서, 기준 전압(VREF)은 입력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에 상관없이 일정하기 때문에 지연 셀(DEL1)의 출력 전압(VOUT, /VOUT)의 스윙 폭(Vswing)은 주파수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전압(VBP)에 따른 지연 셀(DEL1)의 지연 시간의 차이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도이다. 여기서는, 입력 신호(VIN)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전압(VBP)이 "0V"일 경우에는 입력 신호(VIN)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할 때 출력 신호(OUT)는 거의 지연 없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한다.
제어 전압(VBP)이 증가함에 따라 입력 신호(VIN)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에 비례하여 출력 신호(OUT)가 천이하는 시점이 지연된다.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는 연산 증폭기(10)에 의해 일정한 출력 전압(VOUT) 레벨을 유지하도록 설정된 제어전압(VBN)에 의해 가변 전류원(21)의 전류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어신호(VBP)에 따라 가변 저항부(23)의 저항 값을 조절하여 지연 셀(DEL1)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클럭 동기 회로의 지연 회로는, 기준 전압(VREF)의 레벨과 동일한 조절전압(VREP)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 전압(VBN)을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40)와, 제어 전압(VBN, VBP)을 이용하여 입력신호(VIN, /VIN)를 일정 지연시간 만큼 지연시켜 출력 신호(VOUT, /VOUT)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지연 셀(DEL2)로 구성된 지연부(50)와, 지연 셀(DEL2)과 동일한 구성소자로 구성되어 제어전압(VBN)에 따라 조절전압(VREP)을 출력하는 복제 바이어스 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산 증폭기(40)는 기준 전압(VREF)을 기준으로 복제 바이어스 부(30)의 출력 전압(VREP)에 따라 제어 전압(VBN)의 레벨을 설정한다. 따라서, 연산 증폭기(40)는 복제 바이어스 부(60)의 출력 전압(VREP)이 기준 전압(VREF)과 동일하도록 설정하는 제어 전압(VBN)을 출력한다.
지연부(50)의 지연 셀(DEL2)은, 제어 전압(VBP)에 따라 전류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전류원(51)과, 입력 전압(VIN, /VIN)을 인가 받는 입력부(52)와, 제어 전압(VBN)에 따라 저항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저항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변 전류원(51)은 제어 전압(VBP)이 제어 단자에 인가되고, 소오스가 공급 전원전압(VDD)에 연결된 피모스 트랜지스터(PM20)로 형성된다.
입력부(52)는, 제어 단자에 각각 입력 전압(VIN, /VIN)을 인가 받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51, PM52)로 형성된다. 여기서,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51, PM52)의 소오스는 공통 연결되어 가변 전류원(51)을 형성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PM50)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가변 저항부(53)는 게이트에 제어 전압(VBN)이 인가되고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공급 전원전압(VDD)이 인가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21, NM22)과,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21, NM22)과 각각 병렬로 연결되고, 게이트가 각각 출력 단자(VOUT, /VOUT)에 연결된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23, NM24)과, 출력 단자(VOUT, /VOUT)에 크로스 커플드 연결된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25, NM26)로 형성된다. 여기서,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21, NM22)의 드레인은 각각 가변 저항부(50)를 형성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21, NM22)의 드레인에 공통 연결되어 출력 단자(VOUT, /VOUT)를 형성하다.
여기서, 입력 신호(VIN, /VIN)는 복수개의 지연 셀(DEL2)로 구성된 지연부(50)에서 N-1 번째 지연 셀(DEL2)의 출력 신호(VOUT, /VOUT)가 각각 인가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N 번째 지연 셀(DEL2)의 출력신호(VOUT, /VOUT)는 N+1 번째 지연 셀(DEL2)의 지연 셀(DEL2)의 입력 신호(VIN, /VIN)로 각각 입력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는 연산 증폭기(40)에 의해 일정한 출력 전압(VOUT) 레벨을 유지하도록 설정된 제어전압(VBN)에 의해 가변 저항부(53)의 저항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어신호(VBP)에 따라 가변 전류원(51)의 전류 값을 조절하여 지연 셀(DEL2)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회로의 실시예에서는 연산 증폭기(10, 40) 및 복제 바이어스 부(30, 60)을 사용하여 일정한 출력 전압(VOUT)의 레벨을 유지하도록 설정하였지만, 단순히 지연부(20, 50)만을 사용하여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는 정궤환 크로스 커플드 연결된 모스를 사용하여 넓은 지연 범위를 갖기 때문에 적은 수의 지연 셀을 사용하더라도 넓은 동작 범위를 갖고, 지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복수개의 단위 지연 셀들이 직렬로 연결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지연 셀은,
    전류 제어 전압에 따라 전류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전류 발생수단;
    크로스 커플드 연결된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저항 제어 전압에 따라 저항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저항 수단; 및
    상기 가변 전류 발생수단 및 가변 저항 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이전 단의 단위 지연 셀의 출력 신호를 인가받는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변 저항 수단과 입력수단의 공통 연결된 노드가 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수단은,
    게이트에 저항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복수개의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드레인에 공통 연결되어 상기 출력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복수개의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가 드레인에 공통 연결되어 크로스 커플드 연결로 각각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3 및 제4 피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전류 발생수단은,
    게이트에 전류 제어전압이 인가되고, 드레인이 상기 입력 수단에 접속되고, 소오스가 접지전압에 접속된 엔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수단은,
    게이트에 저항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복수개의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드레인에 공통 연결되어 상기 출력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복수개의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접지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가 드레인에 공통 연결되어 크로스 커플드 연결로 각각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3 및 제4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전류 발생수단은,
    게이트에 전류 제어전압이 인가되고, 드레인이 상기 입력 수단에 접속되고, 소오스가 전원전압에 접속된 피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6. 기준 전압을 사용하여 조절 전압에 따라 전류 제어전압의 레벨을 설정하는 연산 증폭 수단;
    상기 연산 증폭 수단에 의해 설정된 레벨을 갖는 전류 제어전압 및 저항 제어전압에 따라 지연 시간이 설정되는 복수개의 단위 지연 셀들이 직렬로 연결된 지연수단; 및
    상기 연산 증폭 수단에 의해 설정된 레벨을 갖는 전류 제어전압 및 저항 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조절 전압을 출력하는 복제 바이어스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회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지연 셀은,
    전류 제어 전압에 따라 전류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전류 발생수단;
    크로스 커플드 연결된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저항 제어 전압에 따라 저항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저항 수단; 및
    상기 가변 전류 발생수단 및 가변 저항 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이전 단의 단위 지연 셀의 출력 신호를 인가받는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변 저항 수단과 입력수단의 공통 연결된 노드가 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전류 제어 전압에 따라 전류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전류 발생수단;
    크로스 커플드 연결된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저항 제어 전압에 따라 저항 값이 조절되는 가변 저항 수단; 및
    상기 가변 전류 발생수단 및 가변 저항 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전압 및 상기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변 저항 수단과 입력수단의 공통 연결된 노드가 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지연 수단의 단위 지연 셀과 동일한 구성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수단은,
    게이트에 저항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전원전압이인가되는 복수개의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드레인에 공통 연결되어 상기 출력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복수개의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가 드레인에 공통 연결되어 크로스 커플드 연결로 각각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3 및 제4 피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전류 발생수단은,
    게이트에 전류 제어전압이 인가되고, 드레인이 상기 입력 수단에 접속되고, 소오스가 접지전압에 접속된 엔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수단은,
    게이트에 저항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복수개의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드레인에 공통 연결되어 상기 출력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복수개의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접지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가 드레인에 공통 연결되어 크로스 커플드 연결로 각각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3 및 제4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전류 발생수단은,
    게이트에 전류 제어전압이 인가되고, 드레인이 상기 입력 수단에 접속되고, 소오스가 전원전압에 접속된 피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KR10-2001-0039015A 2001-06-30 2001-06-30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KR100400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015A KR100400317B1 (ko) 2001-06-30 2001-06-30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US10/140,280 US6686788B2 (en) 2001-06-30 2002-05-06 Delay circuit of clock synchronization device using delay cells having wide delay r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015A KR100400317B1 (ko) 2001-06-30 2001-06-30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242A true KR20030002242A (ko) 2003-01-08
KR100400317B1 KR100400317B1 (ko) 2003-10-01

Family

ID=1971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015A KR100400317B1 (ko) 2001-06-30 2001-06-30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86788B2 (ko)
KR (1) KR100400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4552B2 (en) * 2003-02-28 2005-05-17 Teradyne, Inc. Low-jitter delay cell
JP4501352B2 (ja) * 2003-03-31 2010-07-14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7106109B2 (en) * 2004-07-16 2006-09-12 Winbond Electronics Corp. Biasing circuit 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thereof
US7276946B2 (en) * 2004-07-16 2007-10-02 Micron Technology, Inc. Measure-controlled delay circuits with reduced phase error
US7598788B2 (en) * 2005-09-06 2009-10-06 Broadcom Corporation Current-controlled CMOS (C3MOS) fully differential integrated delay cell with variable delay and high bandwidth
US7679418B2 (en) * 2007-04-27 2010-03-16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Voltage level shifter and buffer using same
US20080309386A1 (en) * 2007-06-15 2008-12-18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Bias generator providing for low power, self-biased delay element and delay line
KR20120045561A (ko) *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집적 회로
US9514831B2 (en) 2014-01-29 2016-12-06 Sandisk Technologies Llc Multi-clock generation through phase locked loop (PLL) reference
US9325276B2 (en) * 2014-03-03 2016-04-26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lock oscillator temperature coefficient trimming
WO2019049842A1 (ja) * 2017-09-07 2019-03-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素子を用いた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演算回路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7363A1 (de) * 1986-05-23 1987-11-26 Schott Glaswerk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ylindersymmetrischen koerpern mit vorgegebenem radialem gefaelle physikalischer materialeigenschaften und anwendungen
US5004328A (en) * 1986-09-26 1991-04-02 Canon Kabushiki Kaisha Spherical lens and imaging device using the same
US5080706A (en) * 1990-10-01 1992-01-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Energy Method for fabrication of cylindrical microlenses of selected shape
US5155631A (en) * 1990-10-01 1992-10-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Energy Method for fabrication of cylindrical microlenses of selected shape
US5179303A (en) * 1991-10-24 1993-01-12 Northern Telecom Limited Signal delay apparatus employing a phase locked loop
US5262690A (en) * 1992-04-29 1993-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riable delay clock circuit
US5485490A (en) * 1992-05-28 1996-01-16 Rambus, Inc. Method and circuitry for clock synchronization
US5600280A (en) * 1993-12-17 1997-02-04 Cirrus Logic, Inc. Differential amplifier and variable delay stage for use in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5426398A (en) * 1994-08-19 1995-06-2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speed differential mode voltage controlled ring oscillator
US5559476A (en) * 1995-05-31 1996-09-24 Cirrus Logic, Inc.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cluding voltage controlled delay circuit with power supply noise isolation
US5576647A (en) * 1995-06-22 1996-11-19 Marvell Technology Group, Ltd. Charge pump for phase lock loop
US5955929A (en) * 1996-08-27 1999-09-21 Silicon Image, Inc.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resistant to supply voltage noise
US5748048A (en) * 1996-12-12 1998-05-0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frequency gain compensation circuit
US5867327A (en) * 1997-04-23 1999-02-02 Blue Sky Research Process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microlenses
US6104254A (en) * 1997-11-18 2000-08-15 Vlsi Technology, Inc. VCO in CMOS technology having an operating frequency of 1 GHz and greater
US5963101A (en) * 1997-11-18 1999-10-05 Vlsi Technology, Inc. VCO with local feedback for low power supply noise sensitivity
US5994939A (en) * 1998-01-14 1999-11-30 Intel Corporation Variable delay cell with a self-biasing load
TW388807B (en) * 1998-10-21 2000-05-01 Via Tech Inc Low voltage and low jitter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T1303203B1 (it) * 1998-11-26 2000-10-30 Cselt Ct Studi E Lab T Elemento di ritardo a elevata sintonizzabilita' realizzatoin tecnologia cmos
KR100333689B1 (ko) * 1998-12-30 2002-06-20 박종섭 저전력지연회로
US6353368B1 (en) * 1999-11-09 2002-03-05 Vlsi Technology, Inc. VCO circuit using negative feedback to reduce phase noise
US6469585B1 (en) * 2000-07-25 2002-10-2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Low phase noise ring-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06818A1 (en) 2003-01-09
US6686788B2 (en) 2004-02-03
KR100400317B1 (ko)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6170B1 (en) Comparator 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ircuit
US5994939A (en) Variable delay cell with a self-biasing load
KR100374631B1 (ko) 전하펌프 회로
US8115559B2 (en) Oscillator for providing a constant oscillation signal,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oscillator
KR20190141868A (ko) 발진기
JP2004096750A (ja) バイアス電流補償を有する電流モード論理回路系
KR19990064224A (ko) 보상된 지연 로크된 루프 타이밍 버니어
JPH08195656A (ja) クロック信号発生回路およびクロック信号発生方法
USRE40053E1 (en) Delay circuit having delay time adjustable by current
KR100400317B1 (ko) 클럭 동기 장치의 지연 회로
US5973524A (en) Obtaining accurate on-chip time-constants and conductances
US6646512B2 (en) Self-bias and differential structure based PLL with fast lockup circuit and current range calibration for process variation
US67506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bi-directional charge driver circuit
US6919750B2 (en)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used for sample hold circuit
WO2006134175A2 (en) Cmos integrated circuit for correction of duty cycle of clock signal
US5793239A (en) Composite load circuit
CN114759906A (zh) 一种精度可调二倍频电路结构
US7068090B2 (en) Amplifier circuit
US6812757B2 (en) Phase lock loop apparatus
JP2006165680A (ja) Pll回路
US20060181337A1 (en) Digitally tunable high-current current reference with high PSRR
US6831492B1 (en) Common-bias and differential structure based DLL
US20020180505A1 (en) Pulsed signal transition delay adjusting circuit
JP2004235875A (ja) タイミング信号発生回路および受信回路
US8035434B2 (en) Simplified bias circuitry for differential buffer stage with symmetric l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