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1685A -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1685A
KR20030001685A KR1020010036507A KR20010036507A KR20030001685A KR 20030001685 A KR20030001685 A KR 20030001685A KR 1020010036507 A KR1020010036507 A KR 1020010036507A KR 20010036507 A KR20010036507 A KR 20010036507A KR 20030001685 A KR20030001685 A KR 2003000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concrete
bridge
hole
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석
이송훈
Original Assignee
동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6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1685A/ko
Publication of KR2003000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68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크플레이트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태와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함과 동시에, 물고임현상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돌출부(11)와 요입부(12)가 교호로 구성되게 한 통상의 데크플레이트(10)를 구성하되, 돌출부(11)상에 투시공(13)을 뚫어 구성한 다음 그 위에 투명수지판(14)을 접착 구성하고, 상기 요입부(12)상에는 배수공(16)을 뚫고, 배수공(17) 윗쪽에는 부직포(17)가 위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for bridge construction}
본 발명은 교량시공시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크플레이트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바닥면에 물고임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교량의 유지관리보수가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시공시 주로 프레임과 프레임사이에 요철형으로 구성된 데크플레이트를 횡설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따라서 철판으로 요철구성된 데크플레이트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콘크리트에 함유된 물기가 아래로 집수되면서 물고임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물고임현상으로 인하여 콘크리트가 부식되거나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타설시 콘크리트가 데크플레이트상에 충분히 충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없고, 시공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태 즉 균열이나 변화 등의 상태를 식별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상기한 현상을 단순히 추측으로만 판단할 뿐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교량의 유지관리 및 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교량시공시 데크플레이트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물고임현상을 방지케 하여 부식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 유지케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므로서 교량의 유지관리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시공용 데크플레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상에 배수공을 뚫어 구성하되, 상기 배수공이 위치하는 상면에는 부직포를 깔아 콘크리트타설시 몰탈의 흘러내림을 방지케함과 동시에 물기는 배수되게 하고, 또한 데크플레이트의 적절한 위치에는 장방형의 투시공을 뚫어구성하고, 상기 투시공상에는 투명수지판을 접착구성하여 데크플레이트상에 위치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여 교량의 유지관리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데크플레이트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 데크플레이트의 요부분해사시도로서 일부절단한 상태도.
도 3 :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상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도.
도 4 : 본 발명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데크플레이트(11)--돌출부
(12)--요입부(13)--투시공
(14)--투명수지판(15)--콘크리트
(16)--배수공(17)--부직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데크플레이트의 단면구성도로서 돌출부(11)와 요입부(12)가 교호로 구성된 통상의 데크플레이트(10)를 구성하되, 상기 돌출부(11)에는 투시공(13)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투시공(13)상면에 투명수지판 (14)을 접착 구성하므로서 투시공(13)을 통하여 데크플레이트(10)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5)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요입부(12)에는 배수공(16)을 뚫어 구성하되, 그 위에 부직포(17)를 깔아 구성하므로서 데크플레이트(10)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15)가 배수공(16)을 통하여 흘러내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요입부(12)에 고이는 물은 외부로 배출되게 하므로서 물고임현상을 방지케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10)의 돌출부(11)와 요입부(12)에 구성되는 투시공(13)과 배수공(16)의 갯수는 적절히 뚫어 사용하되, 투시공(13)은 취약부에 뚫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 설명부호 (20)은 교량, (21)은 주프레임, (22)는 보조프레임, (23)은 까치발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4에서와 같이 교량(20)시공시 주프레임(21)과 보조프레임(22)사이에 연결설치한 다음 그 위에 콘크리트(15)를 타설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데크플레이트(10)는 데크플레이트(10)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5)의 충진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콘크리트 (15) 타설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크플레이트(10)의 요입부(12)에 뚫린 배수공(16)을 통하여서는 콘크리트(15)타설시 발생하는 물기가 배수되며 배수공(16)윗쪽에는 부직포(17)가 깔려 있어 콘크리트(15)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데크플레이트(10)상에 콘크리트(15)을 타설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물고임현상이 없게 되므로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투시공(13)을 통하여 콘크리트(15)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되므로 사용중 콘크리트의 균열이나 변화과정을 육안으로 직접확인한 다음 조치할 수 있어 유지관리 및 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교량시공시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상에 투시공과 배수공을 구성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충진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될뿐 아니라 시공후에는 변화상태를 육안으로 직접확인할 수 있어 교량의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며, 콘크리트타설시 배수공을 통하여 물기가 외부로 배수되므로 종래와 같은 물고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교량시공시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10)에 구성된 돌출부(11)상에 투시공(13)을 뚫어 구성하되, 투시공(13)상에 투명수지판 (14)을 접착 고정하여 데크플레이트(10)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5)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요입부(12)에는 배수공(16)을 뚫어 구성하되, 배수공(16) 윗쪽에 부직포(17)를 깔아 구성하므로서 콘크리트(15) 타설시 발생하는 물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KR1020010036507A 2001-06-26 2001-06-26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KR20030001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507A KR20030001685A (ko) 2001-06-26 2001-06-26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507A KR20030001685A (ko) 2001-06-26 2001-06-26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173U Division KR200247455Y1 (ko) 2001-06-26 2001-06-26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685A true KR20030001685A (ko) 2003-01-08

Family

ID=2771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507A KR20030001685A (ko) 2001-06-26 2001-06-26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168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3526A1 (en) * 1984-11-28 1986-06-04 Permanent Formwork Limited Improvements in fibre reinforced cement
KR200180256Y1 (ko) * 1999-11-01 2000-05-01 주식회사해산철강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
KR200232759Y1 (ko) * 2001-02-12 2001-09-28 재욱강업 주식회사 배수구와 투시창이 구비된 데크 플레이트
KR200247428Y1 (ko) * 2001-06-12 2001-10-29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강화 플래스틱제 투명 데크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3526A1 (en) * 1984-11-28 1986-06-04 Permanent Formwork Limited Improvements in fibre reinforced cement
KR200180256Y1 (ko) * 1999-11-01 2000-05-01 주식회사해산철강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
KR200232759Y1 (ko) * 2001-02-12 2001-09-28 재욱강업 주식회사 배수구와 투시창이 구비된 데크 플레이트
KR200247428Y1 (ko) * 2001-06-12 2001-10-29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강화 플래스틱제 투명 데크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6676E (en) Mortar and debris collection device and system
KR101002440B1 (ko) 교량용 빗물 배수장치의 집수구
KR20030001685A (ko)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KR200247455Y1 (ko)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NO841456L (no) Dreneringsplate
KR102259534B1 (ko) 바닥 습기 배출 탈기구 및 그 탈기구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0482391U (zh) 基础底板后浇带的止水钢板支撑结构
KR200197327Y1 (ko) 배수로용 집수구
KR101197670B1 (ko) 교량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200232759Y1 (ko) 배수구와 투시창이 구비된 데크 플레이트
KR20000058758A (ko) 교량의 배수처리 시공방법
KR200279913Y1 (ko) 교량 죠인트 접속부의 누수받이
CN207498769U (zh) 一种道路结构
WO2020149467A1 (ko) 매지보강부재를 가진 누수방지 배수트랩 및 그 시공방법
KR200380620Y1 (ko) 교량 내부 침투수 배수관
EP1528155A2 (en) Railway bridge drain
KR200419448Y1 (ko) 과도한 상향 수압을 수용하기 위한 배수 구조체
KR100437650B1 (ko) 교량용 집수구
JP4454760B2 (ja) 土間コンクリートの排水管装置および排水管施工方法
JP4459803B2 (ja) 取り替え用上部排水桝
JP2601062B2 (ja) 透水性型枠
CN106193636B (zh) 一种混凝土剪力墙自养护方法
KR20120109897A (ko) 욕실용 배수트랩 슬리브
KR100496732B1 (ko) L형 측구 구배 조정장치
KR200391425Y1 (ko) 물끊기 하부 바닥면의 상향경사를 이용한 수직용 물끊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