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256Y1 -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 - Google Patents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256Y1
KR200180256Y1 KR2019990023697U KR19990023697U KR200180256Y1 KR 200180256 Y1 KR200180256 Y1 KR 200180256Y1 KR 2019990023697 U KR2019990023697 U KR 2019990023697U KR 19990023697 U KR19990023697 U KR 19990023697U KR 200180256 Y1 KR200180256 Y1 KR 200180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ncrete
slab
plywood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해산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해산철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해산철강
Priority to KR2019990023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바닥판 거푸집구조에 있어서 종래의 데크 플레이트 및 목재 거푸집에 대한 단점을 보완 및 개선하여 강재와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통상의 거푸집구조에 있어서;
하부에 해체공(26)이 형성된 ㄷ-채널(10)이 클립 바(18)와 함께 볼트(22)체결되어 빔(1)의 상부 양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ㄷ-채널(10)의 개구부를 통해 거더(12)가 대향되는 ㄷ-채널(1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거더(12)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판으로 이용되는 합판(14)이 위치되되, 상기 합판(14)과의 접촉면이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를 제공하여,
시공성, 안전성이 우수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공사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완료후 해체가 가능하여 콘크리드면 노출로 균열 발생의 육안 식별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시 추적조사가 우수한 유용한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 {SLAB SHEETING STRUCTURE FOR BRIDGE}
본 고안은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바닥판 거푸집구조에 있어서 종래의 데크 플레이트 및 목재 거푸집에 대한 단점을 보완 및 개선하여 강재와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종래의 거푸집은 목재 거푸집이거나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를 이용한 거푸집이었다.
목재 거푸집은 하부 플랜지에 목재 브레이스(brace) 및 수직재가 설치되고 종방향 목재가 설치되어 목재 상단에 합판이 고정된 다음 철근이 배근되는 구조였다.
데크 플레이트는 구배에 의한 조정 및 헌치(hunchy)부에 ㄷ-형강 및 ㄷ-채널이 설치되고 기시공된 형강부 및 교량상부 프랜지에 데크 플레이크가 설치되고 이 데크 플레이트가 구조물에 용접 고정된 후 끝단부등이 크로스(cross)된 상태에서 철근이 배근되는 구조였다.
목재 거푸집의 구조는 콘크리트 완료후 해체가 가능하고 콘크리트면 노출로 인해 균열 등의 추적조사가 가능하나, 시공성이 불리하고 안전관리에 불리하며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공사비가 고가이어서 경제성이 불리하고 시공시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비계 등을 설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데크 플레이트의 거푸집 구조는 시공성, 안전성이 우수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공사비가 저렴하나, 해체가 불가능한 영구 거푸집화로 콘크리트면이 미노출되어 균열 등과 같은 하자 발생시 유지관리가 매우 어렵고 이 데크 플레이트가 교량 하중 증가의 원인이 되며(설계시 미반영됨) 장기적으로 도장등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데크 플레이트 및 목재 거푸집 구조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부각시키는 구조로 시공성, 안전성이 우수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공사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완료후 해체가 가능하여 콘크리드면 노출로 균열 발생의 육안 식별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시 추적조사가 우수한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통상의 거푸집구조에 있어서;
하부에 해체공이 형성된 ㄷ-채널이 클립 바와 함께 볼트체결되어 빔의 상부 양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ㄷ-채널의 개구부를 통해 거더가 대향되는 ㄷ-채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거더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판으로 이용되는 합판이 위치되되, 상기 합판과의 접촉면이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ㄷ채널을 설치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내측빔에서의 확대 정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외측빔에서의 확대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빔에서의 확대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빔, 2: 기둥, 10: ㄷ-채널, 12: 거더, 12a: 스틸 파이프, 12b: 각목, 14: 합판, 16: 철근, 18: 클립 바, 19: 지지판, 20: 보강 플레이트, 22: 볼트, 24: 너트, 26: 해체공, 28: 캔틸레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ㄷ채널을 설치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의 설치상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내측빔에서의 확대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외측빔에서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빔에서의 확대 정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통상의 거푸집구조에 있어서;
하부에 해체공(26)이 형성된 ㄷ-채널(10)이 클립 바(18)와 함께 볼트(22)체결되어 빔(1)의 상부 양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ㄷ-채널(10)의 개구부를 통해 거더(12)가 대향되는 ㄷ-채널(1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거더(12)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판으로 이용되는 합판(14)이 위치되되, 상기 합판(14)과의 접촉면이 밀폐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교량의 기둥(2) 상부에 종횡으로 빔(1)이 설치 배열된다.
ㄷ-채널(10)은 교량의 기둥(2)에 설치된 빔(1)의 상면에서 ㄷ-채널(10)이 볼트(22)체결되어 빔(1)의 상부 양측면에 고정되되 ㄷ-채널(10)의 개구부가 빔(1)의 양외측을 향한다.
이때 ㄷ-채널(10)의 하측으로는 콘크리트 완료후 거더(12) 등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해체공(26)이 형성된다.
ㄷ-채널(10)의 볼트(22) 체결시 클립 바(18)가 같이 체결되어 상기 클립 바(18)는 ㄷ-채널(10)을 고정시키고 차후 철근(16) 배근시에는 철근(16)을 지지하며, 이 클립 바(18)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에 묻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 바(18) 대신에 도 6에서 처럼 볼트(22) 체결시 이용되는 너트(24)에 지지판(19)을 세워 용접함으로써 ㄷ-채널(10)을 빔(1)에 지지 고정시킬 수도 있다.
ㄷ-채널(10)을 보강하기 위하여 ㄷ-채널(10)에 보강 플레이트(20)가 설치된다.
거더(12)는 빔(1)의 양외측에 고정된 ㄷ-채널(10)의 개구부를 통해 대향된 ㄷ-채널(10) 사이에 개재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더(12)는 스틸 파이프(12a) 상부에 합판(14)고정에 사용되는 각목(12b)을 얹혀 구성되나, 필요에 따라 길이가 길거나 거더(12)가 하중을 많이 받는 경우에는 도 5b처럼 스틸 파이프(12a) 2개에 하나의 각목(12b)을 얹혀 구성되기도 한다.
합판(14)은 상기 거더(12) 상부에 위치되고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판으로 이용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형틀 및 하중을 지탱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합판(14)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시 콘크리트가 합판(14) 접합면 사이로 흘러 내릴 경우가 발생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합판(14) 접합면을 테이프나 실링제에 의해 접합면이 밀폐된다.
이후에는 통상의 배관, 배선 및 철근(16)이 합판(14) 상부에 설치되어 거푸집을 이룬다.
한편 가장 외측 빔(10)의 외측으로는 캔틸레버(28)가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되 경사각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거푸집의 합판 상부에 콘크리트를 일정한 두께로 타설하고 양성하여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가 완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은 해체가 가능한 바, 거푸집의 해체는 해체공(26)을 통해 ㄷ-채널(10)의 볼트(22)를 풀면 ㄷ-채널(10)이 떨어져 해체되고 스틸 파이프(12a), 각목(12b), 합판(14)순으로 간단하게 해체된다.
또한 가장 외측 빔(10)에 설치된 캔틸레버(28)에 있어서도 볼트(22)를 풀면 간단히 해체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해체된 거더(12), 합판(14), ㄷ-채널(10), 캔틸레버(28)는 차후 거푸집 공사시에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구조는 시공시에는 규격화된 시공으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거더(12), 합판(14) 등의 공장제작 및 용접을 하지 않으므로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해체후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사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안전관리면에서 하부에 비계등이 불필요하여 원가 및 안정성에 유리한 것이다.
또한 사후 관리면에서 콘크리트 완료후 거푸집의 해체가 가능하여 콘크리트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균열발생 등의 육안식별이 가능하고 유지보수시 추적조사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데크 플레이트 및 목재 거푸집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부각시키는 구조로 시공성, 안전성이 우수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공사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완료후 해체가 가능하여 콘크리드면 노출로 균열 발생의 육안 식별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시 추적조사가 우수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통상의 거푸집구조에 있어서;
    하부에 해체공(26)이 형성된 ㄷ-채널(10)이 클립 바(18)와 함께 볼트(22)체결되어 빔(1)의 상부 양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ㄷ-채널(10)의 개구부를 통해 거더(12)가 대향되는 ㄷ-채널(1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거더(12)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판으로 이용되는 합판(14)이 위치되되, 상기 합판(14)과의 접촉면이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
KR2019990023697U 1999-11-01 1999-11-01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 KR200180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697U KR200180256Y1 (ko) 1999-11-01 1999-11-01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697U KR200180256Y1 (ko) 1999-11-01 1999-11-01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256Y1 true KR200180256Y1 (ko) 2000-05-01

Family

ID=1959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697U KR200180256Y1 (ko) 1999-11-01 1999-11-01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2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480A (ko) * 2000-06-26 2002-01-09 김준규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30001685A (ko) * 2001-06-26 2003-01-08 동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480A (ko) * 2000-06-26 2002-01-09 김준규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30001685A (ko) * 2001-06-26 2003-01-08 동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2355B2 (ja) 水中構造物の補強方法、水中構造物
JP2994222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桁の場所打ち床版部の施工方法及びその型枠
KR100310619B1 (ko) 철골콘크리트구조물의 상판 거푸집 지지구조
KR200381303Y1 (ko) 흙막이벽과 슬래브간의 연결부를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20010044894A (ko)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 시공방법
EP0882162B1 (en) Composite-structure building framework
JP2004183232A (ja) 建設構造物の鋼製構造材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KR200180256Y1 (ko)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구조
KR100324704B1 (ko)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 공사방법
JP4437064B2 (ja) 合成床版橋のコンクリート床版の構築方法および型枠構造
KR100339440B1 (ko) 강합성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KR100469638B1 (ko)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KR101078292B1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CN111764298A (zh) 钢构桥箱梁现浇合拢段共用支撑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334257B1 (ko)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공사방법
KR20210004289A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JPH11222812A (ja) 構造物の高さ変更方法
JP2003213622A (ja) コンクリート横桁による鋼桁橋
KR200245272Y1 (ko) 피.에스.씨 빔 교량의 크로스 빔 거푸집 설치구조
KR100610739B1 (ko) 강상자를 이용한 ps 콘크리트 거더 정착단부 보강공법
JP2748008B2 (ja) 建築物の梁の施工方法
KR960011365B1 (ko) 철골철근콘크리트보의 하부형틀 고정방법
JPS5918023Y2 (ja) 吊り足場取付部材
JPH0523981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アーチ橋の施工法
JPH04277233A (ja) 柱用捨型枠およびそれぞれに使用する枠板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