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1259A -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편집 제어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편집 제어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1259A
KR20030001259A KR1020020033054A KR20020033054A KR20030001259A KR 20030001259 A KR20030001259 A KR 20030001259A KR 1020020033054 A KR1020020033054 A KR 1020020033054A KR 20020033054 A KR20020033054 A KR 20020033054A KR 20030001259 A KR20030001259 A KR 20030001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ent data
content
record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847B1 (ko
Inventor
아베미끼
호소이다까후미
마쯔다히로미
다나까마사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21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 G11B20/002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 G11B20/0029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the key being stored in a management area, e.g. the video manager [VMG] of a DV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된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입력된 제2 컨텐츠 데이터가 데이터 기록 장치의 기록 매체에 선택적으로 기록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라는 명령이 제공되는 경우, 데이터가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로 판정되면 기록된 데이터의 편집이 금지되거나 제한된다. 데이터 기록 장치가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반환하도록 하는 경우, 데이터가 편집된 것으로 판정되면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은 금지된다.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의 반환시, 제1 컨텐츠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기록 장치에 의해 얻어진 컨텐츠 ID는 동일한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해 얻어진 컨텐츠 ID에 대해 정합된다.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편집된 것을 인식되면, 컨텐츠 ID 정합 프로세스는 생략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 장치, 편집 제어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DATA TRANSFER SYSTEM, DATA TRANSFER APPARATUS, DATA RECORDING APPARATUS, EDIT CONTROLL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음악 데이터 등의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 및 기록을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 장치, 편집 제어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를 1차 기록 매체로서 사용하며 음악 데이터 등의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른 기록 매체(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즐거움을 위해 그 2차 기록 매체로부터 음악 등을 재생하는 구성이 있다. 컨텐츠 데이터는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 영상 데이터, 게임 데이터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로서 주로 분배(distribute), 전송 및/또는 사용되는 데이터를 지칭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HDD에는, CD-DA(컴팩트 디스크 디지털 오디오) 및 DVD(디지털 다용도 디스크)를 포함하는 패키지 매체로부터 재생된 음악 데이터 등의 컨텐츠 데이터가 축적되거나, 또는 개인용 컴퓨터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음악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 데이터가 축적된다.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에 2차 기록 매체의 기록 장치를 접속하여, HDD의 컨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또는 이동시킨다. 사용자는 해당 2차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적절한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재생 장치에 로딩된 매체로부터 음악 등의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2차 기록 매체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 카드, 광 자기 디스크(예를 들어, 미니 디스크), CD-R(기록 가능한 CD), CD-RW(재기록 가능한 CD), DVD-RAM, DVD-R, DVD-RW를 포함하는 다양한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2차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인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는 현재 널리 보급되어있다. 다양한 형태의 데스크-탑형 기록 및 재생 장치나, 포터블형 기록 및 재생 장치 등이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나 소유하고 있는 하드웨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위한 이러한 장치 중 어느 것이나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 또는 유사한 스타일에서의 컨텐츠 데이터의 구성을 생각할 때에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고려해야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컨텐츠 데이터의 분배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패키지 매체를 개별적으로 구입하는 등하여, HDD에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한 후, 그 축적된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컨텐츠 데이터에 관한 저작권자의 이익이 정당하게 보호되지 않을 수 있다. 잠재적인 또는 현재의 이러한 오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지털 데이터로서의 컨텐츠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 및 데이터 처리 약정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 하나는 SDMI(보안 디지털 음악 초기화(initiative))라고 한다.
이 SDMI에 의해 규정된 데이터 경로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SDMI는 저작권 보호와 일반 사용자의 이익(개인적 용도를 위한 복사 귄리)을 감안한 후, 1차 기록 매체(즉,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HDD)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 컨텐츠 데이터의 합법적인 전송 및 기록을 수행하는 규정을 제공한다. HDD에 축적된 컨텐츠 데이터는 2개의 넓은 카테고리, 예를 들어 네트워크(이하 네트워크 컨텐츠라 함) 상의 외부 서버로부터 예를 들어 분배된 컨텐츠 데이터, 및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거나 내부에 통합되어 있는 적합한 디스크 드라이브에 로딩된 CD-ROM, CD-DA, DVD 등의 패키지 매체로부터 재생 및 판독된 컨텐츠 데이터에 속한다.
SDMI는 1차 기록 매체(즉, HDD)로부터 2차 기록 매체(미니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에 컨텐츠 데이터가 전송되어 복사되기 전에, 저작권 보호 및 개인 용도의 복사 권리의 보호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는 기술적 특징을 규정한다. 이러한 특징 중 일부는 이하에서 기술된다.
SDMI에서, 컨텐츠 데이터는 1차 기록 매체로부터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전달된다. 이 2차 기록 매체에는 컨텐츠가 암호화된 상태로 기록된다. 컨텐츠 데이터가 SDMI 설정으로 암호화된 방식의 HDD 등의 1차 기록 매체에 기록 및 축적되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는 1차 기록 매체로부터 2차 기록 매체에 변화되지 않은 상태(즉, 암호화된 상태)로 복사된다. 2차 기록 매체가 재생을 위해 로딩되는 재생 장치는 복사된 컨텐츠 데이터를 암호화된 상태로부터 재생시킬 수 있는 복호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는 상기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컨텐츠 ID를 기록하는 영역이 포맷의 일부로서 준비되어 있다. 컨텐츠 ID는 1차 기록 매체의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1차 기록 매체(HDD)에 축적된 각각의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생성되며, 각각의 컨텐츠 ID는 사용 가능한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과 함께 매체에 저장된다.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이 2차 기록 매체에 복사되는 경우에는, 그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ID도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컨텐츠 ID는 1차 기록 매체측과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컨텐츠 권리 관리에 이용된다. 1차 기록 매체측에 대해서는, 컨텐츠 권리는 2차 기록 매체로의 컨텐츠 데이터 전송(복사)권이고, 2차 기록 매체측에 대해서는, 컨텐츠 권리는 복사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권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1차 기록 매체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의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권리의 전송)를 "체크아웃"이라고 하며,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의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실제로는 권리의 반환)을 "체크인"이라고 한다.
SDMI 방식에서는, 체크아웃 및 체크인에 관해서는, 전송의 취급 룰(Usage Rule)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에 대해서는 1차 기록 매체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의 체크아웃은 3회까지 허용된다(전송권은 「3회」가 된다). 1차 기록 매체에 대한 체크아웃이 행해지면,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은 그 권리가 2차 기록 매체측으로 양도되는 권리 중 하나를 가진다. 즉,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은 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2회의 전송권을 가지며; 그 후에,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컨텐츠에 대한 재생권을 얻는다. 또한,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에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이 체크인되면, 컨텐츠 데이터의 권리가 반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반환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권이 손실되는 반면, 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권 중 하나가 복원된다.
이러한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는 각각의 컨텐츠 데이터마다 사용 가능한 컨텐츠 ID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체크아웃 때에는, 관심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 및 컨텐츠 ID가 2차 기록 매체측에 기록된다. 이것은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해진다(즉, 재생권이 얻어진다). 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권 중 하나가 사용 규정에 의해 감소된다(즉, 컨텐츠 ID 중 하나가 양도된 것이라고 간주된다). 체크인 때에는, 실제로는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은 반환되지 않고, 2차 기록 매체로 컨텐츠 데이터가 소거된다. 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하나의 컨텐츠 ID의 반환이 고려되고 하나의 전송권이 사용 규정에의한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고;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소거된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에 대한 재생권이 손실된다.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는 컨텐츠 데이터가 암호화 상태에서 복사 및 기록되도록 컨텐츠 데이터가 체크인 및 체크아웃될 때, 전술한 방식의 컨텐츠 권리 관리된다. 이러한 관리는 컨텐츠 데이터의 무제한의 복사를 방지하고 개인적 용도를 위한 사용자의 복사권을 보장함으로써 저작권 보호를 위해 제공되게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서 동작하는 HDD에 다운로드되는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키 CK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을 위하여, HDD에 암호화 형식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키 CK를 사용하여 ATRAC3 방식(또는 적절한 다른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컨텐츠 데이터 A3D로 가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키 x로 암호화된 데이터 아이템 y가 E(x, y)로서 표현된다. 암호화된 데이터 아이템 E(x, y)가 키 x에 의해 복호화될 때, 복호화된 데이터 아이템은 D{x, E(x, y)}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ATRAC3 방식의 압축 데이터를 A3D로 하면, 컨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 A3D는 E(CK, A3D)로 표현된다. 암호화된 데이터E(CK, A3D)가 키 CK를 이용하여 복호화될 때, 복호화된 데이터는 D{CK, E(CK, A3D)}로 표현된다.
1차 기록 매체인 HDD에서, 암호화 컨텐츠 데이터(E(CK, A3D))는 루트 키 KR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 키 CK(즉, E(KR, CK))와 함께 저장된다. 예를 들면 외부 서버로부터 암호화 컨텐츠 데이터(E(CK, A3D))와 함께 암호화 컨텐츠키(E(KR, CK))가 다운로드된다. 2차 기록 매체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암호화 컨텐츠 데이터(E(CK, A3D)) 및 암호화 컨텐츠 키(E(KR, CK))는 1차 기록 매체인 HDD로부터 전송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는 루트 키(KR)를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루트 키(KR)를 이용하여, 컨텐츠 키(CK)를 복호하고 복호화 컨텐츠 키(CK)를 이용하여 암호화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 된다.
루트 키(KR)는 저작권자측의 의지 및/또는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마다 다른 루트 키(KR)를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SDMI는 루트 키(KR)의 적절한 처리에 의해서 컨텐츠 데이터의 분배처를 한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바람직한 설정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분배처 한정 기능으로, EKB(인에이블링 키 블록)라는 데이터가 목적 단말에 분배되고, 그 결과 컨텐츠 데이터가 전송되는 정규의 단말은 EKB에 의해서 루트 키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으로, EKB는 암호화 컨텐츠 데이터 및 암호화 컨텐츠 키와 함께 서버로부터 분배되어 HDD에 저장된다.
여기서, 현재 널리 보급된 미니 디스크(광 자기 디스크)를 2차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것을 생각한다. SDMI 대응의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는 암호화 상태(E(CK, A3D))의 체크아웃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장치에 로딩된 미니 디스크에 기록한다. 재생시에는, 우선 SDMI 대응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는 복호화 처리(D{CK, E(CK, A3D)}=A3D)를 통해 로딩된 디스크로부터 ATRAC3 데이터(A3D)를 얻은 후, 데이터에 의해 표현된 음악 또는 다른 소스의 재생 및 출력을 위해 데이터를 적절하게 디코딩한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보급된 미니 디스크 시스템은 미니 디스크에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즉, 3개의 미니 디스크 시스템은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로서 작동될 때에는 복호화 기능이 없다. 따라서, SDMI 대응의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가 미니 디스크에 기록되더라도, 컨텐츠 데이터는 SDMI에 대응하지 않는 많은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없다. 2개 타입의 장치 사이의 데이터 재생 관점에서의 호환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일반 사용자가 구입한 SDMI 컨텐츠 데이터의 합법적인 이용을 상당 부분 제한하는 것이며, 일반 사용자에 대한 SDMI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가치나 만족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복사가 미니 디스크 또는 다른 적절한 2차 기록 매체에 복호화된 상태로 기록되도록 SDMI 컨텐츠 데이터가 SDMI에 대응하지 않은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에 전송되기 전에 SDMI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복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컨텐츠 데이터의 무제한 복사를 가능하게 하여 불법으로 복사된다. 이에 의해 SDMI의 본래의 목적인 저작권 보호가 실현될 수 없다.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하나의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전송 방식을 본 출원인은 먼저 제안하였다: 즉,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경우에, 데이터 전송 장치(1차 기록 매체)가 전송처가 되는 데이터 기록 장치(2차 기록 매체)의 인증을 행한다.데이터 전송 장치는 데이터 기록 장치가 인증된 조건 및 포함된 컨텐츠 제공자측(예를 들어, 저작권자)의 허락이 있는 조건의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 허가한다. 컨텐츠 데이터는 암호화 상태에서 전송 라인 상에 전송된다.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는 2차 기록 매체에 의해 복호화되고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상기 방법은 컨텐츠 데이터의 비 암호화 상태에서의 복사를 허용하여 사용자가 편의를 도모하며, 저작권 보호를 보장한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전술한 방법은 다음의 단점을 입증한다: SDMI 컨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 또는 체크인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 널리 보급된 2차 기록 매체, 즉 미니 디스크에는 컨텐츠 ID를 기록할 수 없다. 미니 디스크에는 컨텐츠 ID를 기록하는 영역이 없으며, 이미 보급된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는 컨텐츠 ID를 관리하는 기능이 없다.
예를 들어, 미니 디스크의 관리 영역(U-TOC)에 컨텐츠 ID를 기록하는 새로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에 의한 기록 또는 편집을 통해 U-TOC가 업데이트되면, 새롭게 할당된 영역에 기록된 모든 컨텐츠 ID는 손실된다. 컨텐츠 ID는 미니 디스크 측에서 관리될 수 없으며, 현재의 디바이스와의 호환성은 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유지된다. 컨텐츠 ID를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체크인 전송 관리를 행할 수 없게 된다.
미니 디스크 등의 2차 기록 매체측에서, 예를 들면 컨텐츠 ID에 의해 식별되는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 그 자체에 기초한 컨텐츠 ID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크를 씨크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의 판독이 필요하기 때문에, 처리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컨텐츠 ID는 2차 기록 매체측에서 생성되어도, 1차 기록 매체측의 컨텐츠 ID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결국 관리가 불가능해진다.
아울러, 미니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서는 그 위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각종 편집이 허용된다.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미니 디스크에서는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일반적으로 트랙이라고도 불리는 음악 또는 다른 소스를 나타내는 데이터 단위)이 분할, 조합, 소거, 이동(트랙 번호 이동)될 수 있다.
HDD에서 미니 디스크로 체크아웃된 컨텐츠 데이터는 분할, 조합 또는 편집되면 HDD에 저장된 원래의 컨텐츠 데이터와는 다른 데이터가 된다. 이것은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의 원래의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권이 복원된다는 점에서 체크인 기능이 문제가 된다. 컨텐츠 ID가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컨텐츠 데이터의 분할, 조합 또는 편집이 행하여지면, 생성되는 컨텐츠 ID는 다른 컨텐츠 ID가 된다. 고려되는 추가의 문제점으로서, 체크아웃 전송과 무관하게, 미니 디스크는 또한 디스크를 조작하는 각각의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될 수 있는 특정 컨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사용자는 미니 디스크 또는 SDMI 대응 시스템과 관계없이 SDMI 규격에 따라 기록이나 편집 가능한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기록이나 편집 절차와 SDMI 방식에서의 체크아웃 및 체크인 전송 사이에 정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관점에서 수행되며 비 암호화 상태의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공된 1차 기록 매체와 2차 기록 매체 사이에서의 컨텐츠 데이터의 편집을 효율적 방식으로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 장치, 편집 제어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수신된 상기 데이터는 프로그램 영역 및 관리 영역으로 구성된 기록 매체에 기록됨-가 제공되며,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는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수단; 상기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 상기 제1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 상기 복호화 수단에 의해 복호화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선택적으로 기록하고, 또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라는 명령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편집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통신 라인을 통해서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1차 기록 매체를 구비한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통신 라인 상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교환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라인 상으로 전송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수단;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 상기 제1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 상기 복호화 수단에 의해 복호화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 영역에 선택적으로 기록하고, 또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제1 식별자를 상기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에 기초한 제2 식별자를 생성하는 식별자 생성 수단;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식별자를 상기 통신 라인 상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편집되는 경우,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제1 식별자를 교환하는 교환 수단;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반환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해 얻어진 상기 제2 식별자 및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제2 식별자 사이의 정합 결과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며; 반환될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편집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정합 결과에 따르지 않고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통신 라인을 통해서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통신 라인 상의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 교환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 수단;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1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통신 라인 상의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식별자 또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반환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저장하는 제2 저장 수단;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반환되는 경우,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가 상기 수신 수단에 수신되게 하는 정합 수단; 및 상기 정합의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의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 수단 및 상기 제1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의 상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 및 상기 복호화 수단에 의해 복호화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 영역에 선택적으로 기록하고, 또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상기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는 또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에 기초한 컨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는 컨텐츠 식별자 생성 수단; 및 상기 컨텐츠 식별자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또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의 상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된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저장하는 제2 저장 수단;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의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전송 장치로 반환되는 경우, 반환될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제2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 식별자에 대해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정합시키는 정합 수단; 및 상기 정합 수단에 의한 정합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면,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 영역에 암호화되지 않은 수신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반면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고, 이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편집되는 식별자를 기록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암호화 상태로 입력된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입력된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편집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편집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상기 관리 영역으로부터 재생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라는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 상기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재생된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인 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서 편집될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판정 단계에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편집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기록 장치를 접속하는 통신 라인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 사이에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식별자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가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반환하는 경우, 반환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가 편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판정 단계에서 편집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금지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판정 단계에서 편집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 식별자에 대해 반환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정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정합 단계에서 정합된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암호화를 위해 사용되는 키로 구성된 3개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암호화를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EKB(인에이블링 키 블럭)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암호화를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인에이블링 키 블럭(EKB)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상적인 시스템 구조를 도시하는 블럭 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처리되는 SDMI 컨텐츠 데이터를 위한 통상적인 데이터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1차 기록 매체가 구비된 장치의 블럭 다이어그램.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2차 기록 매체가 구비된 장치의 블럭 다이어그램.
도 8은 미니-디스크에 대한 클러스터 포멧을 설명하는 도면.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미니-디스크의 영역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미니-디스크 시스템을 위한 U-TOC 섹터 0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미니-디스크 시스템을 위한 U-TOC 섹터 0에서의 링크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증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단계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가 분배, 전송 및 암호화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디바이스 노드 키(DNK)로 암호화가 수행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가 복호화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체크-아웃 제어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체크-아웃 응답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기록 객체 제어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기록 객체 응답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체크-인 제어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체크-인 제어 명령의 "서브기능" 데이터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체크-인 응답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체크-인 응답 명령을 설명하는 또 다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배타적(exclusive) 로그인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배타적 로그아웃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체크-아웃 세션을 구성하는 단계의 흐름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체크-아웃 세션을 구성하는 추가 단계의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체크-아웃 세션을 구성하는 단계의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컨텐츠 ID가 생성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컨텐츠 ID 대응 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체크-아웃 동안 컨텐츠 ID가 생성되는 단계의 흐름도.
도 32a 및 3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체크-인 세션 전에 컨텐츠 ID가 생성되는 단계의 흐름도.
도 33a 및 3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체크-인 세션 전에 컨텐츠 ID가 생성되는 추가 단계의 흐름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록 제어 플래그가 실행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과금 정보의 검색 단계의 흐름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과금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선결제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차 기록 매체측 기기(PC)
2 : CPU
3 : ROM
4 : RAM
5 : 하드 디스크(HDD)
6 : 출력부
7 : 입력부
8 : 통신부
9 : 드라이브
10 : I/O 인터페이스
11 : 접속부
20A : 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재생 장치)
20B : 2차 기록 매체측 기기(SDMI 대응 기록/재생 장치)
90 : 디스크 미디어 등
91 : 컨텐츠 서버
110 : 네트워크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다음의 순서로 설명한다.
1. 암호화 키의 트리 구조 및 EKB
2. 시스템 구성
3. SDMI 컨텐츠의 데이터 경로
4.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PC;1차 기록 매체측 기기)
5.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2차 기록 매체측 기록/재생 장치)
6. 미니 디스크의 관리 방식
7. 인증 처리
8. 컨텐츠 암호화 방식
9. 각종 명령
10. 컨텐츠의 체크-아웃 및 체크-인
11. 컨텐츠 ID의 생성 및 관리 방식
12. 체크-아웃 시 및 체크-인 전의 컨텐츠 ID의 생성 처리
13. 컨텐츠 기입 제어 플래그
14. 과금 정보 처리
1. 암호화 키의 트리 구조 및 EKB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서, 컨텐츠 분배에 이용되는 암호화 방식 키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도 2a, 도 2b 및 도 3을 이용하여, 컨텐츠 분배측으로 부터 암호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용되는 디바이스에 의해 암호화 키가 보유되어 있는 전형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암호화 키의 트리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도 1의 최하단에 나타나는 번호 DV0∼DV15가 컨텐츠 수신측이 되는 개개의 디바이스이다. 즉 도시하는 계층트리 구조의 각 리프(리프:leaf)가 각각의 디바이스에 상당한다.
각 디바이스 DV0∼DV15는 노드 키와 리프 키로 이루어지는 키 세트를 그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노드 키는 루트로 부터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리프에 이르기 까지의 노드 각각에 할당되고, 리프 키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각 리프에 할당된다. DNK(Device Node Key )라고 불리는 키 세트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최하단에 나타내는 K0000∼K1111가 각 디바이스 DV0∼DV15에 각각 할당된 리프 키다. 참조번호 K0~K111은 최상단의 (루트 키 K루트을 갖고 있는)루트바로 아래에 있는 노드로 부터 최하단으로부터 2번째의 노드에 이르기 가지의 노드에 할당된 노드 키를 나타낸다. 또 문언 상 루트 키도 노드 키에 포함하는 적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트리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디바이스 DV0는 리프 키 K0000와, 노드 키 K000, K00, K0, 루트 키 KR로 구성되는 DNK를 소유한다. 저장 상태에 있는 DNK는 리프 키 K000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루트 키 KR은 물론이고 노드 키 K000, K00, 및 K0를 갖고 있다. 디바이스 DV5는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리프 키 K0101; 노드 키 K010, K01, K0; 및 루트 키 KR를 소유한다. 디바이스 DV15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리프 키 Kl111; 노드 키 K111, K11, K1; 및 루트 키 KR 를 소유한다.
도 1의 트리 구조는 4개의 노드 층으로된 수평 대칭 구조로 배열된 16개의 디바이스 DV0∼DV1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많은 디바이스가 다른 수의 노트 층을 갖고 있는 트리 구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트리 구조에 포함되는 각 정보 처리 장치(디바이스)에는, 여러가지 기록 매체, 예를 들면, 매립 혹은 착탈가능 형태로 각 장치에 부착된 DVD, CD, MD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을 사용하는 여러가지 타입의 정보 처리 장치가 포함되고 있다. 또한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이들 장치들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공존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디바이스,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공존하는 그러한 시스템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컨텐츠 데이터 및 키 배포되는 구성인 계층트리 구조가 적용된다.
이들의 여러가지 정보 처리 장치(디바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이 나란히 공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1의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 즉 디바이스 DV0, DV1, DV2, DV3를 동일한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하나의 그룹으로서 설정한다. 컨텐츠 프로바이더는 이 그룹을 구성하는 디바이드에 공통의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송부하거나, 이들 디바이스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컨텐츠 키를 송부할 수 있다. 이 그룹내에 있는 디바이스들 각각은 프로바이더 혹은 결제 기관 등에 컨텐츠 요금의 지불 데이터를 역시 암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프로바이더, 혹은 결제 처리 기관 등, 각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관은, 도 1의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 즉 디바이스 DV0, DV1, DV2, DV3를 하나의 그룹으로서 간주한다. 이러한 그룹은, 도 1의 트리 중에 복수 존재할 수 있다. 컨텐츠 프로바이더, 혹은 결제 처리 기관 등, 각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관은, 메시지 데이터 분배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노드 키 및 리프 키는, 어떤 하나의 키 관리 센터에 의해서 통괄하여 관리해도 좋고, 각 그룹에 대한 여러가지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결제 기관 등의 메시지 데이터 분배 수단에 의해서 그룹마다 관리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들의 노드 키 및 리프 키는 키의 누설 등의 경우에 갱신 처리가 실행된다. 이 갱신 처리는 키 관리 센터, 컨텐츠 프로바이더, 결제 기관 등이 실행한다.
이 트리 구조에 있어서, 도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4개의 디바이스 DV0, DV1, DV2, DV3는 키 K00, K0, KR를 그들의 기억수단 내에 노드 키 및 루트 키로서 공유한다. 이 노드 키 공유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공통의 컨텐츠 키를 디바이스 DV0, DV1, DV 2, DV3에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공통으로 보유하는 노드 키 K00 자체를 컨텐츠 키로서 설정하면, 새로운 키송부를 실행하지 않고 디바이스 DV0, DV1, DV2, DV3만이 공통의 컨텐츠 키의 설정이 가능하다. 새로운 컨텐츠 키 CK를 노드 키 K00로 암호화한 치 E (K00, CK)를, 네트워크를 통해 혹은 기록 매체에 저장하여 디바이스 DV0, DV1, DV2, DV 3에 배포하면, 디바이스 DV0, DV1, DV2, DV3만이, 각각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보유하는 공유 노드 키 K00를 이용하여 암호 E (K00, CK )를 풀어 컨텐츠 키 CK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주어진 시간 t에서, 디바이스 DV3가 소유하는 키 K0011, K001, K00, K0, KR이 공격자(해커)에 의해 해석되어 노출된 것이 발견된 경우, 시스템(즉,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의 그룹) 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디바이스 DV3를 시스템으로부터 분리해야할 필요가 있다.
디바이스 DV3를 시스템으로 부터 분리하는 처리에는 노드 키 K001, K00, K0 및 루트 키 KR를 각각 새로운 키 K(t)001, K(t)00, K (t)0, K(t)R로 갱신하여, 디바이스 DV0, DV1, DV2에 그 갱신 키를 전송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여기서, K(t) aaa는, 구 키 Kaaa를 기반으로 갱신된 t 세대(Generation)의 갱신 키인 것을 나타낸다.
물론 컨텐츠 분배에 있어서, 다른 사정, 예를 들면 저작권자측의 요망이나 시스템 분배 상의 형편 등의 각종 사정에 따라서, 노드 키 및/또는 루트 키 KR를 갱신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갱신은 관련된 정규의 모든 디바이스에 보고되야만 한다.
갱신 키의 배포 처리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키의 갱신은, 예를 들면, 도 2a에 나타내는 유효화 키 블록(EKB:Enabling Key Block)이라고 불리는 블록 데이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테이블을 네트워크, 혹은 기록 매체에 저장하여 관련 디바이스에 공급함으로써 실행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DV3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EKB를 디바이스 DV0, DV1, DV2에 공급한다.
유효화 키 블록(EKB)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리 구조를 구성하는 각 리프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새롭게 갱신된 키를 배포하기 위한 암호화 키에 의해서 구성된다. 유효화 키 블록(EKB)은 키 갱신 블록(KRB:Key Renewal Block)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유효화 키 블록(EKB)에는, 노드 키의 갱신이 필요한 디바이스만이 갱신 가능한 데이터 구성을 갖는 블록 데이터로서 구성된다. 도 2a의 예는, 도 1에 나타내는 트리 구조 중의 디바이스 DV0, DV1, DV2에 세대 t의 갱신 노드 키를 배포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형성된 블록 데이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키 K0011, K001, K00, K0, KR가 부정하게 노출된 경우를 상정하면, 디바이스 DV0 및 DV1는 갱신 키로서 K(t)00, K(t)0, K(t)R이 필요하고, 디바이스 DV2는 갱신 키로서 K (t) 001, K (t) 00, K (t) 0, K (t) R가 필요한다.
도 2a의 EK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EKB에는 복수의 암호화 키가 포함된다. 최하단의 암호화 키는 E(K0010, K(t)001)이다. 이것은 디바이스 DV2가 갖는 리프 키 K0010에 의해서 암호화된 갱신 노드 키 K(t)001이고, 디바이스 DV2는, 자신이 갖는 리프 키에 의해서 이 암호화 키를 복호하여, K(t)00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복호에 의해 얻은 K(t)001를 이용하여, 도 2a의 하단으로부터 2단째의 암호화 키 E(K(t)001, K(t)00)를 복호할 수 있다. 이 복호 처리에 의해 갱신 노드 키 K(t)00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a의 상에서 2단째의 암호화 키 E(K(t)00, K (t)0)를 복호하여, 갱신 노드 키 K(t)0를 얻고, 또한 상단에 있는 암호화 키 E(K (t)0, K(t)R)를 복호하여 갱신 루트 키 K(t)R를 얻는다.
한편, 디바이스 DV0, DV1에 있어서 각각 리프 키 K0000, K0001 및 노드 키 K000는 갱신하는 대상에 포함되지 않고, 갱신 키로서 필요한 것은 K(t)00, K(t)0, K(t)R 이다. 이들 디바이스 DV0, DV1에서는, 각각 도 2a의 상에서 3단째의 암호화 키 E(K000, K(t)00)를 복호하여 갱신 노드 키 K(t)00를 취득하며, 또한 암호화 키 E (K(t)00, K(t)0)를 복호하여 갱신 노드 키 K(t)0를 취득하고, 암호화 키 E(K (t)0, K(t)R)를 복호하여 갱신 루트 키 K(t)R를 얻는다. 이와 같이 하여, 디바이스 DV0, DV1, DV2는 갱신한 루트 키 K(t)R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2a의 인덱스 컬럼은 복호 키로서 사용하는 노드 키 및 리프 키의 절대 번지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트리 구조의 상위단의 노드 키 K(t)0, K(t)R의 갱신이 불필요하고, 노드 키 K00만의 갱신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갱신 노드 키 K(t)00를 디바이스 DV0, DV1, DV2에 배포하기 위해 도 2b의 유효화 키 블록(EKB)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EKB는, 예를 들면 특정한 디바이스 그룹에서 공유하는 새로운 컨텐츠 키를 배포하는 경우에 이용 가능하다. 구체예로서, 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낸 그룹 내의 디바이스 DV0, DV1, DV2, DV3가 새로운 공통의 컨텐츠 키 CK(t)를 필요로 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의 공통의 노드 키 K00를 갱신한 K(t)00를 이용하여 새로운 공통의 갱신 컨텐츠 키 CK(t)를 암호화한 데이터 E(K(t)00, CK(t))를 도 2b에 도시된 EKB와 함께 관련 디바이스에 배포한다.
이 배포에 의해, 디바이스 DV4와 같은 그 밖의 그룹의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복호되지 않는 데이터로서의 배포가 가능해진다. 즉, 디바이스 DV0, DV1, DV2는 EKB를 처리하여 얻은 갱신된 노드 키 K(t)00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 데이터를 복호하면, t 시점에서의 컨텐츠 키 CK(t)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키 구조가 트리 구조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언급한 EKB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각 키를 갱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키 구조를 이용하는 것으로, 각종 사정에 따라서 루트 키 KR 및 노드 키를 갱신하는 것도 용이하게 가능해지고, 정규인 상태에서의 컨텐츠 분배가 플렉시블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유효화 키 블록(EKB)의 포맷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노드 키의 수는 4 바이트로 나타내여진다. 또한, 노드 키의 깊이도 4 바이트로 나타내여진다. 노드 키 깊이는 유효화 키 블록(EKB)이 배포되는 디바이스에 대한 계층트리를 구성하는 노드 층의 수를 나타낸다. 4 바이트로 EKB의 버전이 나타내여진다. 또 버전은 최신의 EKB를 식별하는 기능과 컨텐츠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다. "리저브(reserved)" 영역은 예비 영역으로 자세한 설명이 필요없다.
16 바이트의 오프셋 어드레스로 위치로 부터 시작해서, 암호화된 노드 키(또는 키들)가 나타내여진다. 암호환된 키 혹은 키들은 EKB의 실제 컨텐츠를 16 ×M 바이트 영역으로 실제 EKB 컨텐츠를 나타낸다. 이들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것 같은 암호화된 키이다.
또한 암호화 EKB 버전 및 디지털 서명(Signature)이 포함되어 있다. 디지털 서명은 유효화 키 블록(EKB)을 발행한 EKB 발행국, 예를 들면 키 관리 센터, 컨텐츠 프로바이더, 결제 기관 등이 실행하는 전자 서명이다. EKB를 수령한 디바이스는 디지털 서명을 검증해서 EKB가 정당한 EKB 발행자가 정당하게 발행한 유효화 키 블록(EKB)인지를 확인한다.
2. 시스템 구성
상기한 키 구조를 채용한 본 시스템의 전형적인 구성에 대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전형적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상당하는 것은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이고,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장치에 상당하는 것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이다. 그리고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에 의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구축된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를 퍼스널 컴퓨터(1)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가 반드시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예를 들면 SDMI-준거 컨텐츠 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을 실행하는데 적합한 소프트웨어가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의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에 내장(또는 외부 부착)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5)가 1차 기록 매체( 및 1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로서 기능한다. 또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서는 HDD(5)을 1차 기록 매체로 하고 있지만, 물론 1차 기록 매체에 상당하는 기록 미디어는 HDD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등의 미디어, 기기 내장의 반도체 메모리, 가반형의 반도체 메모리(메모리 카드 등)등, 각종의 것이 생각된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통신 네트워크(110)를 통해 컨텐츠 서버(91)와 통신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서버로 부터 음악 등의 컨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컨텐츠 서버(91)는 복수 존재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사용자는 다양한 데이터 다운로드 서비스를 임의로 이용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91)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에 다운로드되는 컨텐츠 데이터로서는, SDMI 준거의 컨텐츠 데이터도 있으며 SDMI에 준거하지 않은 컨텐츠 데이터도 있다.
네트워크(110)를 형성하는 전송로는 유선 또는 무선의 공중 회선망이라도 좋고, 퍼스널 컴퓨터(1)와 컨텐츠 서버(91)의 전용 회선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110)로서는, 예를 들면 인터넷, 위성 통신망, 광 파이버망, 기타 각종의 통신 회선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의 HDD(5)에는, 내장 혹은 외부 부착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해 CD-DA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90) (이하, 디스크(90)라고도 한다)로부터 재생된 음악 등의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시킬 수도 있다. 디스크(90)로 부터 검색된 컨텐츠 데이터는 HDD(5)에 기록 저장된다.
퍼스널 컴퓨터(1)에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또는 20B)를 접속하여, 이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또는 20B)에 HDD(5)에 축적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가능하게 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또는 20B)는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장치(기록 재생 장치)로 기능하여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전송되어 온 컨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할 수 있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또는 20B)의 구체예로서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로서 SDMI 대응의 기록 장치를 들고 있다. 이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서는, 2차 기록 매체로서,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SDMI 대응의 메모리 카드가 상정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는 예를 들어 SDMI 대응의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2차 기록 매체에는 SDMI 대응의컨텐츠가 암호화된 상태로 기록 된다.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는 SDMI 대응의 컨텐츠 데이터의 식별자가 되는 컨텐츠 ID를 저장하는 관리 정보 포맷이 형성되어 있다. HDD(5)에 컨텐츠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데이터 기입시에는 컨텐츠 ID를 발생하여, 발생된 콘테츠 ID를 컨텐츠 데이터와 함께 HDD(5)에 저장한다. 또한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도 컨텐츠 ID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는,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를 식별해주는 컨텐츠 ID도 기록할 수 있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는, SDMI 대응이 아닌 데이터 기록 장치이다. 이 후에 좀 더 자세하게 설명되겠지만, 이 장치는 저작권 보호가 요구되는 SDMI 컨텐츠를, 암호화를 푼 상태에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2차 기록 매체로서는 미니 디스크이다. 이 경우에,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는 미니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를 기록 재생 장치(20A)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저작권 보호 기능이 손상되지 않도록 SDMI 대응의 컨텐츠 데이터가 비 암호화 상태로 기록되게 하는 조건으로는 후술하는 인증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미니-디스크 등의 2차 기록 매체(즉, 일반 공중에게 널리 이용되고 있는 매체)는 콘테츠 ID를 수용하는데 전용되는 영역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별한 컨텐츠 ID 관리 체계의 채택이 요구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가 데이터를 기록 재생하는 기록 매체로는 미니 디스크 이외에도,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 카드나, 광 자기 디스크로서의 미니 디스크, 혹은 CD-R (CD Recordable), CD -RW(CD Rewitable), DVD-RAM, DVD-R, DVD-RW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서는 이들의 미디어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이면 좋다.
퍼스널 컴퓨터(1)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또는 20B)에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IEEE1394 포트 등을 통해 접속된다. 물론 다른 전송 규격의 유선 전송로, 혹은 무선 전송로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 등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도 좋다.
3. SDMI 컨텐츠의 데이터 경로(path)
도 5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시스템을 상정한 경우 SDMI에서 책정된 전형작인 데이터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데이터 경로는, 예를 들면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5)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1)에 음악 컨텐츠의 축적 및 외부 기기(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된 데이터 경로이다. 특히, 데이터 경로들은 퍼스널 컴퓨터(1)에 있어서 음악 컨텐츠 데이터의 축적 및 전송 처리를 행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다. 도 5의 데이터 경로 상의 수순 또는 처리는 DP1∼DP9의 부호를 붙이고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응 개소를 이 부호로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네트워크(110)를 통해 외부 서버(91)로부터 분배된 컨텐츠 데이터(네트워크 컨텐츠)는, 우선 그것이 SDMI에 준거한 저작권 보호되는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알기 위한 확인이 행해진다(DP1). 분배되는 네트워크 컨텐츠로서는, 서버측이 SDMI에 준거한 컨텐츠로서 송신하여 오는 것(이하, SDMI 준거 컨텐츠)과, SDMI와는 무관계한 컨텐츠(이하, 비 SDMI 컨텐츠)가 있다.
SDMI 준거 컨텐츠의 경우에는, 그 데이터는 예를 들면 DES 등의 암호 체계에 따라 컨텐츠 키 CK를 이용해서 암호화되어 있다. 컨텐츠 데이터가 ATRAC3에 의해 압축 방식으로 인코드된 데이터(A3D)라고 하면, SDMI 준거 컨텐츠 데이터는 E(CK,A3D)로서 분배된다.
분배된 네트워크 컨텐츠 데이터가 SDMI 준거 컨텐츠인 경우에 이들은 1차 기록 매체로서 기능하는 HDD(5)에 SDMI 컨텐츠로서 축적된다(DP1 + DP2). 이 경우, 컨텐츠 데이터는 분배된 E(CK, A3D)의 상태로 HDD(5)에 기입된다. 혹은, 암호화 콘테츠 데이터가 일단 복호된 후, 다른 키 CK'로 암호화가 행해져서 E(CK', A3D)의 상태로 HDD(5)에 기입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컨텐츠 데이터가 비 SDMI 컨텐츠 데이터인 경우에는, 워터 마크 체크, 즉 전자 워터마크에 의한 스크리닝 처리가 행하여진다(DP1+ DP3).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에 내장 또는 부착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로,CD-ROM 드라이브)에 의해 CD-DA 및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로 부터 재생되는 모든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워터 마크 체크가 행해 진다(DP3). 즉, SDMI에 준거하지 않은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워터 마크 체크가 행해지게 된다.
임의의 콘테츠 데이터가 워터 마크 체크에 합격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컨텐츠 데이터는 SDMI 데이터 경로 상에서 복사불가한 것으로 취급된다(DP3~DP5). 컨텐츠 데이터가 복사불가능한 데이터로서 취급하는 것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설계에 의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거절된 컨텐츠 데이터는 다른 매체로 복사나 이동을 위한 전송을 금하거나, 혹은 SDMI 준거의 컨텐츠 처리 중에 HDD(5)로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가 워터 마크 체크에 합격한 경우, 즉 전자 워터마크가 존재하여, 또한 복사 제어 비트로서 복사 허가가 확인된 경우에는, 이 컨텐츠 데이터는합법적으로 복사 가능한 컨텐츠 데이터로 간주된다. 계속해서 그 컨텐츠 데이터를 SDMI에 준거한 것으로서 취급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행해진다(DP4). 이러한 컨텐츠 데이터를 SDMI에 준거한 것으로서 취급해야하는가 여부는 소프트웨어 설계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된다.
컨텐츠 데이터가 SDMI에 준거한 것으로 취급으로 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 SDMI 취급으로서 해당 SDMI에 준거한 컨텐츠 데이터 경로로부터는 제외된다(DP6). 그러한 경우에, 이 컨텐츠 데이터를 SDMI에 대응하지 않은 기록 장치에 전송되게 하여도 좋다.
한편, 컨텐츠 데이터를 SDMI에 준거한 데이터로서 취급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컨텐츠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SDMI 컨텐츠로서 HDD(5)에 축적된다(DP4~DP2). 예를 들면 이 데이터는 E(CK,A3D)의 상태, 또는 E(CK',A3D)의 상태로 HDD(5)에 축적된다
이상의 데이터 경로에 의해,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5)에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얻어진 SDMI 취급의 컨텐츠(SDMI 네트워크 컨텐츠)나, CD-DA 등의 디스크 혹은 다른 미디어로부터 추출한 SDMI 취급의 컨텐츠가 축적된다. 가각각의 SDMI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취급 룰(Usage Rule)에 근거한 콘테츠 마다의 관리를 위해 컨텐츠마다 고유한 컨텐츠 ID가 생성되고, HDD(5)에 기억된다.
HDD(5)에 저장된 SDMI 컨텐츠(SDMI 네트워크 컨텐츠 또는 SDMI 디스크 컨텐츠)는, 소정의 룰을 기초로,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 전송되어, 이 장치에 탑재된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복사가능하게 된다. 특정 조건하에서는, 이 컨텐츠 데이터를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 대신에 기록 재생 장치(20A)에 전송할 수도 있다.
HDD(5)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1)에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된다. SDMI 디스크 컨텐츠의 경우에는, SDMI 디스크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송의 취급 룰(Usage Rule)이 결정된다. 그 취급 룰들이 부합되는 경우에만 콘테츠 데이터가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 대하여 복사를 위한 전송이 인정된다(DP8).
이 데이터 경로에 있어서, 1차 기록 매체(HDD5)로부터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또는 20A)로 기록 재생되는 2차 기록 매체(메모리 카드 등)에 대한 복사 전송이「체크아웃」이고, 반대로 2차 기록 매체로부터의 1차 기록 매체에의 이동 전송이「체크인」이다. 컨텐츠 데이터가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의 이동의 경우. 이 데이터는 2차 기록 매체로 부터 삭제된다.
SDMI 디스크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송의 취급 룰로서는, 체크 아웃 전송의 최대 가능 횟수는 미리 결정된다.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에 관하여 예를 들면 3회까지의 체크아웃이 허용될 수 있다. 이는 SDMI 대응의 3개의 2차 기록 매체까지는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복사(체크아웃)가 허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체크인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그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체크아웃 횟수가 1씩 감산 된다. 예를들면, 소정의 콘테츠 데이터 아이템이 3개의 SDMI 대응 2차 기록 매체에 복사된 후 이 콘테츠 데이터 아이템이 그 중 하나의 2차 기록 매체로부터 체크인되면,그 컨텐츠 아이템은 또 한번 다른 SDMI 대응 2차 기록 매체에 복사가능하게 된다. 즉, 항상 최대 3개의 SDMI 대응2차 기록 매체에 컨텐츠 데이터가 병존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으로 된다.
SDMI 네트워크 컨텐츠의 경우도, SDMI 네트워크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송의 취급의 룰(Usage Rule)이 결정되어 있고, 그 취급 룰을 기초로,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 대하여 복사를 위한 전송이 인정된다(DP7).
SDMI 디스크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체크아웃 횟수의 상한 등이 결정되는 것이지만, 그 상한 횟수은 SDMI 디스크 컨텐츠의 경우의 취급 룰과 동일하게 하여도 좋고 다른 횟수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체크아웃 상한을 1회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 경우는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이 한번만 하나의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만 복사될 수 있다. 일단 해당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이 체크인되면, 다른 매체로의 재차 복사 전송이 가능해진다.
SDMI 컨텐츠 데이터가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상기 취급 룰에 따라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그 전송 선로 상에서는 암호화 상태로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콘테츠 데이터는 상기한 E(CK,A3D)의 상태 또는 E(CK',A3D)의 상태에서 전송된다. 암호화되어 전송되어 온 SDMI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는,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암호화 상태대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한다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가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된 SDMI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검색된 컨텐츠 데이터의 암호화를 복호하여 재생한다. 즉,E(CK,A3D)의 상태 또는 E(CK',A3D)의 상태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키 CK, 또는 키 CK'를 이용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즉, D{CK, E(CK, A3D)}= A3D, 또는 D{CK', E(CK', A3D)}= A3D, 로서 암호 해독된 ATRAC3 데이터(A3D)로서 원래의 컨텐츠 데이터를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ATRAC3 컨텐츠 데이터는 예를들면 오디오 데이터로 신장 처리되어 음악으로 재생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SDMI 준거의 컨텐츠 데이터는 복사 관리 조치를 통해서 저작권 보호가 가능해진다. 즉, 데이터가 데이터 경로를 경유해 전송되어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 체크아웃된 후 이 장치에 탑재된 2차 기록 매체 상에 이를 때까지 암호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1)에 기록 재생 장치(20A)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채용된다. 기록 재생 장치(20A)는,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와는 다르게, 미니 디스크 등과 같은 2차 기록 매체에 암호화를 푼 상태에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다. 암호화를 푼 상태로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그 미니 디스크에 복사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통상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 의해서도 재생 가능해지고,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암호화를 푼 상태에서 기록하는 것은, 저작권 보호의 점에서 문제점이 생긴다. 그래서, 기록 재생 장치(20A)에 암호화가 해제된 상태로 기입된 컨텐츠 데이터의 잠재적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들어, SDMI 네트워크 컨텐츠를 기록 재생 장치(20A)에 전송하여 암호화를 푼 상태에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하는 것을 허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3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예를 들면, (1) 기록 재생 장치(20A)가 적절하게 인증되어야할 것, (2) 전송하려고 하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복사 기록을 저작권자측이 인정하고 있는 것, (3) 체크아웃 및 체크인으로서 전송의 취급의 룰(Usage Rule)를 만족할 것.
이 (1), (2), (3)의 전송 조건이 만족되는 한,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 이외의 기기에 대해서는 무제한인 복사 전송은 할 수 없으므로, 저작권 보호 기능도 확보된다. 전송을 행하는 전송로상에서는 데이터가 암호화 상태로 유지되므로(이 데이터는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암호 해독을 행한다) 저작권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DMI 네트워크 컨텐츠를 기록 재생 장치(20A)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3개의 전송 조건이 만족되는지가 체크된다(DP9). 즉, 먼저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소정의 인증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플래그 정보등으로부터 저작권자측의 복사 허가의 의지가 확인된다. 또한 체크인 및 체크아웃의 취급 룰이 컨텐츠 데이터에 관련해서 체크된다.
세 가지 조건이 만족되면, SDMI 네트워크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20A)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 전송 선로 상에서는 암호화 상태대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즉 예를 들면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한 E(CK, A3D)의 상태 또는 E(CK', A3D)의 상태에서 전송된다.
이 암호화된 SDMI 네트워크 컨텐츠 데이터는, 후술하는 도 7의 구성의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수신 처리된 후, 복호부(28)에서 암호화가 복호되어, 예를 들면 원래의 ATRAC3 압축 데이터(A3D)로 된다. 그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는, 기록/재생부(25)에 공급되기 전에 도 7의 인코더/디코더(24)에 의해 인코드된다. 번갈아서, 기록/재생부(25)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미니 디스크(100)에 복사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가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복사된 SDMI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는 통상의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디코드 처리, 즉 EFM 복조, ACIRC 에러 정정, 및 ATRAC 압축 방식에 대한 압축해제 처리를 통해서만 디코딩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미니 디스크(100)가 통상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 장전된 경우에도, 컨텐츠 데이터가 통상 재생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복사된 SDMI 네트워크 컨텐츠 데이터를, SDMI 비대응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재생시켜, 음악 등을 즐길 수 있다.
또, 도 5의 데이터 경로에 있어서, DP7, DP8, DP9의 취급 룰 체크 등에 의해서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 허가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 재생 장치(20A, 20B)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지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4.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 예(1차 기록 매체측 기기/PC)
도 6은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작용하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의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설명하는 예는,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를 형성하는 경우이지만,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구축되는 등에 의해, 데이터 전송 전용의 기기로서 형성되더라도 좋다.
본예의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기능을 구현시키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퍼스널 컴퓨터(1)에 인스톨된다. 이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 작용하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로 실현된다. 본 명세서에서, "퍼스널 컴퓨터" 또는 "컴퓨터"라고 말하고 있는 것은, 소위 범용 컴퓨터로서의 광의의 의미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내장되고 있는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5)나 ROM(3)에 사전에 기록해 둘 수 있다. 혹은 프로그램은, 플로피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0nly Memory), M0(Magneto o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제거할 수 있는 기록 매체(90)에,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저장(기록)해 둘 수 있다. 이러한 제거할 수 있는 기록 매체(90)는, 소위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거할 수 있는 기록 매체(90)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것 외에,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디지털 위성 방송 링크를 통해 컴퓨터에 무선으로 전송되거나,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유선으로 전송된다. 컴퓨터에서는, 전송되어 오는 프로그램을, 통신부(8)를 통해 수신하여, 내장된 HDD(5)에 인스톨할 수 있다.
도 6의 퍼스널 컴퓨터(1)는, 버스(12)를 통해 I/O 인터페이스(10)에 접속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2)를 내장하고 있다. CPU(2)는, I/O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서, 키보드나, 마우스, 마이크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7)를 조작함에 의해 지령이 입력되면, 그것에 따라서, ROM(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혹은 CPU(2)는, HDD(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위성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고 통신부(8)로 수신되어 HDD(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또는 드라이브(9)에 장착된 광 디스크 등의 제거할 수 있는 기록 매체(90)로부터 판독되어 HDD(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4)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런 로딩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CPU(2)는, 후술하는 SDMI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CPU(2)의 처리 결과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I/O 인터페이스(1O)를 통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6)로부터 출력된다. 혹은 그 결과는 통신부(8)를 통해 송신시키거나, 또는 필요하면 HDD(5)에 기록시킨다.
이런 구조의 통신부(8)는, 도 4의 네트워크(110)를 통한 각종 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컴퓨터(1)는, 외부의 컨텐츠 서버(91)로부터 음악 컨텐츠 등의 네트워크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된다. 다운로드되는 네트워크 컨텐츠 데이터는, 상술한 데이터 경로에 따라, SDMI 대응의 컨텐츠 데이터로서의 처리, 혹은 SDMI 비대응의 컨텐츠로서의 처리가 행해진다. 적어도 다음의 SDMI 대응의 처리로서는 SDMI 컨텐츠로서 HDD(5)에 저장된다. HDD(5)에 축적된 SDMI 컨텐츠 데이터는,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 또는 인증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한 전송 대상의 컨텐츠가 된다.
접속부(11)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들(20A, 20B)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예를 들면 접속부(11)는 USB 인터페이스, 또는 IEEE1394 인터페이스 등의 예가 생각된다. 물론 다른 규격의 유선 인터페이스나, 적외선이나 전파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이더라도 좋다.
도 5로 설명한 데이터 경로를 실현하기 위한 각종 처리는, 각각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 지향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더라도 좋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서 분산 처리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은, 멀리 위치한 컴퓨터 또는 컴퓨터들에 전송될 수 있다.
5.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 예(2차 기록 매체를 조작하는 기록 재생 장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20A)의 구성 예를 도 7에 나타낸다. 이 예는, 미니 디스크 레코더가 기록 재생 장치(20A)로 작용하며, 미니 디스크(광 자기 디스크)가 2차 기록 매체(100)로서 채용되는 경우이다. 이하, 2차 기록 매체(100)는 미니 디스크(100)라고 표기한다.
또, 도 7에 있어서는, 2차 기록 매체(10)로서의 미니 디스크에 대한 기록 재생 데이터의 처리계, 및 상기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처리계만을 나타내어,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구동계, 디스크에 대한 서보제어계, 데이터 재생 출력계 등은 통상의 미니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와 동일한 특징 및 기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자세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MD 제어부(CPU)(21)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재생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기로서 작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데이터 기록 또는 재생 동작 동안, MD 제어부(21)는 회전 구동, 스핀들 서보, 포커싱 서보, 트랙킹 서보, 슬래드(sled) 서보를 제어하며, 디스크로의 광학 헤드/자기 헤드의 레이저광 및 자계 인가 동작을 조절하며, 기록 또는 재생된 데이터의 인코딩/디코딩을 제어한다.
기록/ 재생부(25)는, 광학 헤드, 자기 헤드, 디스크 구동계, 서보 제어계 등이 구비되고, 실제로 미니 디스크(100)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부위이다.
인코더/디코더(24)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데이터의 인코딩, 및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재생된 재생 데이터의 디코딩를 행한다. 공지된 바와같이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록 데이터는 ACIRC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드 처리나 EFM 변조 처리가 실시된다. 특히, 인코더/디코더(24)는, 기록 데이터에 대하여 ACIRC 인코드 및 EFM 인코드를 행하여 기록/재생부(25)에 공급하게 된다.
데이터 재생시, 인코더/디코더(24)는 기록/재생부(25)로부터 판독되어 공급되어 온 데이터에 대하여 2진화 처리, EFM 복조, ACIRC 방식의 에러 정정 처리 등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버퍼 메모리(30)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데이터, 재생 데이터의 버퍼링을 행한다. 특히 쇼크-프루프(shock-proof) 기능으로서 알려져 있는 버퍼링 기능도 행한다.
데이터 기록시에는, 버퍼 메모리(30)에는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된 기록 데이터가 일단 축적된다. 버퍼링된 데이터는 소정 데이터량마다 간헐적으로 판독되어 인코더/디코더(24)에 공급되어, 기록 처리에 제공된다.
데이터 재생시에는, 버퍼 메모리(30)는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판독되어, 인코더/디코더(24)에 의해 디코드된 데이터가 일단 축적된다. 그리고, 버퍼링된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판독되어 코덱(23)에 의해 압축 디코딩 처리에 제공된다.
코덱(23)은, ATRAC/ATRAC3에 의한 압축 처리, 및 신장 처리를 행한다.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기 전에 데이터는, ATRAC/ATRAC3에 기초하여 압축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인코딩 된다. 따라서 해당 기록 재생 장치(20A)에, 압축 부호화가 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 예를 들면 PCM 오디오 데이터 등이 기록 데이터로서 입력된 경우에는, 코덱(23)으로 ATRAC 방식 또는 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져, 그 압축 데이터가 인코더/디코더(24)에 공급되게 된다.
데이터 재생시에는, 데이터는 디스크로부터 기록/재생부(25)에 의해 판독되고, 인코더/디코더(24)에 의해 디코딩된다. 디코딩된 데이터는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 상태의 데이터를 나타내며, 이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30)를 통해 코덱(23)에 공급된다. 코덱(23)은 ATRAC/ATRAC3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신장 처리하여, 예를 들면 44.1 KHz에서 16 비트 양자화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복조된다. 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출력계의 회로에서, 예를 들면 D/A 변환, 아날로그 신호 처리, 증폭 처리 등이 행해져, 스피커 출력 신호가 되어, 음악 등으로서 재생된다. 혹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다른 기기에 대하여 출력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은, 통상의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기록 재생 장치에도 구비되는 구성 요소이지만, 본예의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에 대응하는 부위가 또한 설치된다. 특히, 기록 재생 장치(20A)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수신, 복호 등의 처리를 행하는 부위로서, 통신부(26), DMA(27), 복호부(28) ,캐쉬 메모리(29), 플로우 제어부(31), 및 시스템 제어부(32)가 설치된다.
시스템 제어부(32)(CPU)는, 해당 기록 재생 장치(20A)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부위이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32)는 퍼스널 컴퓨터(1)와의 인증을 위한 통신이나 데이터 생성의 지시나,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각종 명령의 교환, 전송되어 오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처리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들의 제어에 따라서 MD 제어부(21)에 지시를 내어,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재생, 관리 정보의 판독이나 갱신 등의 제어도 행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조작부나 표시부가 제공된다. 이들 부위들은 시스템 제어부(32)에 의해 제어되며, 조작부는 사용자 조작의 감시 및 조작에 따른 처리를 행하며, 표시부는 표시 제어를 행한다.
통신부(26)는, 도 6의 퍼스널 컴퓨터(1)의 접속부(11)에 접속되어, 퍼스널 컴퓨터(1)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부위이다. 통신부(26)는 USB 또는 IEEE1394 등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를 행한다. 통신부(26)에 의해서 수신되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통신으로서는, 각종 명령 및 SDMI 컨텐츠 등이 있다.
통신부(26)에 의해 수신된 SDMI 컨텐츠로서의 데이터는, DMA(Direct MemoryAccess)(27)의 제어에 의해, 캐쉬 메모리(29)에 저장된다. 선택적으로, DMA(27)가 아니라 CPU 제어에 의해서, 캐쉬 메모리(29)로의 데이터 이동을 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복호부(28)는, SDMI 컨텐츠 데이터에 관한 암호화 처리에 대응하기 위한 부위이다. 특히, 캐쉬 메모리(29)에 기억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암호 해독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비 암호화 상태로 해독한 컨텐츠 데이터는, 동일한 캐쉬 메모리(29)의 다른 영역에 이동된다.
SDMI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키 CK 또는 CK'으로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컨텐츠 키 CK, CK'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가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지만, 상기 도 1의 설명으로 언급한 DNK (Device Node Key)는, 컨텐츠 키가 인식되게 하는 정보로서 기록 재생 장치(20B)에 보유된다. 이 기록 재생 장치(20B)는, 도 1에 있어서의 하나의 디바이스(DVx)에 대응하며, DNK를 구성하는 리프(leaf) 키에 의해서 암호화된 노드 키 및 루트 키와, 당해 기기에서 특정된 리프 키의 사용에 의해 암호화된 노드 및 루트 키를 처리한다. 복호부(28)는 주위 환경에 따라서 DNK 또는 전송되는 상술한 EKB를 사용하여 컨텐츠 키 CK를 인식한다.
SDMI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컨텐츠 키 CK가 인식 가능하게 하는 정보인 DNK를 복호부(28)가 기억할 때, 복호부(28)는, 컨텐츠 키 CK에서 암호화된 상태에서 송신된 컨텐츠 데이터, 즉 예를 들면 E(CK, A3D)의 상태의 컨텐츠를, 복호할 수 있다. 즉 D{CK, E(CK, A3D)}= A3D로서, 복호된 ATRAC3 압축 상태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호된 ATRAC3 압축 데이터는, 인코더/디코더(24)에서의인코드 처리를 지나서, 기록/재생부(25)에 의해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할 수 있다.
SDMI 컨텐츠 데이터는, 반드시 ATRAC3 압축 데이터가 암호화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컨텐츠 키 CK를 이용하여 선형 PCM 데이터가 암호화된 것등도 생각된다. 예를 들면 E(CK, PCM)의 상태의 컨텐츠가 전송되어 입력된 경우도 있다. 그 경우는, 자명하게 복호부(28)에서 D{CK, E(CK, PCM)}=PCM의 복호화 처리를 통해, 복호된 선형 PCM 데이터가 얻어진다. 해당 PCM 데이터는, 코덱(23)에 의해 ATRAC3 압축 처리가 행하여진 후, 인코더/디코더(24)에 의해 인코딩되고, 기록/재생부(25)에 의해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될 수 있다.
복호부(28)는, 또한 인증 처리를 위한 키를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후술하는 인증 처리 예로서는 기록 재생 장치(20A)가 기억하고 있는 공개 키 P, 비밀 키 S를 사용한다. 그 경우는 공개 키 P, 비밀 키 S도, 복호부(28)에 기억된다. 또한 비밀 키 S를 이용한 암호화 처리도 행한다.
또한 복호부(28)는, 해시(hash) 엔진도 탑재하고 있어, 소위 해시 함수 연산에 의해, 컨텐츠 ID를 생성하는 처리도 행한다. 이 컨텐츠 ID의 생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암호화가 해제된 SDMI 컨텐츠 데이터, 예를 들면 ATRAC3 방식의 압축 데이터나, PCM 데이터의 상태의 컨텐츠 데이터는, 캐쉬 메모리(29)로부터 플로우 제어부(31)에 전송된다. 플로우 제어부(31)는, 암호화 해제된 SDMI 컨텐츠 데이터를, 미니 디스크(100)에 대하여 기록하기 위해서, 기록 처리계인 MD 제어부(21)측(코덱(23) ,인코더/디코더(24), 기록/재생부(25), 버퍼 메모리(30)측)에 전송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MD 제어부(21)로부터의 요청(XARQ)에 따라서 플로우 제어부(31)가 데이터를 MD 제어부(21)에 전송해 간다. 이 플로우 제어부(31)에 의해서, 컨텐츠 데이터의 수신, 암호 해독 처리, 및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처리 사이의 타이밍 조정이 제공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송신된 SDMI 컨텐츠 데이터로서 E(CK, A3D)의 상태의 데이터, 또는 E(CK, PCM)의 상태의 데이터는, 비 암호화 상태로 되어, ATRAC3 압축 데이터의 상태에서 인코더/디코더(24)에 의해 인코딩되고, 기록/재생부(25)에 의해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된다.
그런데, 컨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 또는 체크인, 그 밖의 통신 세션 동안에는,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 재생 장치(20A)에 각종 명령을 송신한다. 이들의 명령은 통신부(26)에 의해서 수신되며, 시스템 제어부(32)에 전해져, 시스템 제어부(32)는, 이들의 명령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행함과 함께, 명령에 대한 응답을 통신부(26)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송신한다.
6. 미니 디스크의 관리 방식
이하,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된 데이터 및 관리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과 같은 디지털 기록/재생 시스템에서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동작이나 재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 정보로서 T0C(Table of Contents)가 기록되어 있고, 기록 재생 장치측에서는 사전에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이 TOC 정보를 판독하여 메모리에 유지해 놓고, 기록 재생 동작시에, 이 TOC 정보를 참조하여 기록 위치나 판독 위치를 파악하여 기록 재생을 위한 액세스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미니 디스크의 경우, TOC 정보로서는 재기입 불능인 정보로서 피트 기록된 P-TOC (pre-mastered TOC)와, 악곡 또는 다른 데이터의 기록 또는 소거에 따라서 재기입되도록 광 자기 기록되어 있는 U-TOC (user TOC)가 존재하여, U-TOC에 대해서는, 기록/소거에 따라서 우선 메모리 내에서 데이터를 갱신하여, 이 갱신 데이터는 소정 타이밍에서 디스크 상의 U-TOC 영역을 재기입하여 이에 유지되는 U-TOC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U-TOC에는, 디스크 상에 기록되는 오디오 데이터 등의 컨텐츠 데이터가 트랙이라고 불리는 단위로 관리된다. 즉 하나의 트랙은, 예를 들면 하나의 악곡에 상당하는 것으로 된다.
우선,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는 데이터로서, 클러스터라는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으로서는 기록 데이터로서 1 클러스터라는 단위마다의 데이터 스트림이 형성되고, 이 기록 동작의 단위가 되는 클러스터의 포맷은 도 8에 나타내여진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기록 트랙으로서는 도 8과 같이 클러스터 CL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1 클러스터가 기록 시의 최소 단위로 작용한다.
1 클러스터 CL은, 섹터 SCFC∼SCFE로서 나타내는 3 섹터의 링킹 섹터와, 섹터 SCFF로서 나타내는 1 섹터의 서브 데이터 섹터와, 섹터 SCO0∼SClF로서 나타내는 32 섹터의 메인 섹터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즉 1 클러스터는 36 섹터로 구성된다. 1 섹터는 2352 바이트로 형성되는 데이터 단위이다.
링킹 섹터 SCFC∼SCFE는, 기록 동작들간의 완충 영역이나 또는 각종 동작 조정 목적에 이용되고, 또한 서브 데이터 섹터 SCFF는, 서브 데이터로서 설정된 정보의 기록에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TOC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의 기록은 32 메인 섹터 SC00∼SClF에서 행해진다.
섹터는 또한 사운드 그룹이라는 단위로 세분화되어, 2 섹터가 11 사운드 그룹에 나누어져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SCO0 등의 짝수 섹터와, 섹터 SC 01 등의 홀수 섹터의 연속하는 두개의 섹터에, 사운드 그룹 SG00∼SG0A가 포함되는 상태로 되어있다. 하나의 사운드 그룹은 424 바이트로 형성되어 있고, 11.61 msec의 시간에 상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용한다.
하나의 사운드 그룹 SG 내에는 데이터가 좌(L) 채널과 우(R) 채널에 나누어지고 기록된다. 예를 들면 사운드 그룹 SG00은 L 채널 데이터 L0 과 R 채널 데이터 R0으로 구성되고, 또한 사운드 그룹 SG01은 L 채널 데이터 L1과 R 채널 데이터 R1으로 구성된다. 또, L 채널 또는 R 채널의 데이터 영역이 되는 212 바이트 영역은 사운드 프레임이라고 부르고 있다.
도 9의 (a) 및 (b)는 미니 디스크(100)의 영역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는 디스크 최내주측에서 최외주측까지의 영역을 나타내고 있고, 광 자기 디스크로서의 미니 디스크(100)는, 최내주측은 엠보싱 피트에 의해 재생 전용의 데이터가 형성되는 피트 영역이 되고, 여기에 P-TOC 정보가 기록된다.
피트 영역 외주는 광 자기 영역이 되어, 기록 트랙의 안내홈으로서의 홈이 형성된 기록 재생 가능 영역으로 되어있다. 이 광 자기 영역의 최내주측의 클러스터 0 ∼ 클러스터 49까지의 구간이 관리 영역이 되어, 실제의 악곡 등이 각각 하나의 트랙으로서 기록되는 것은, 클러스터 50 ∼ 클러스터 2251까지의 프로그램 영역이 된다. 프로그램 영역 외주는 판독 영역이다.
관리 영역내를 자세히 나타낸 것이 도 9의 (b)에 있다. 도 9의 (b)는 가로방향에 섹터, 세로 방향에 클러스터를 보이고 있다. 관리 영역에서 클러스터(0, 1)는 피트 영역과의 완충 영역을 구성한다. 클러스터(2)는 파워 캘리브레이션 영역(PCA)으로 작용하여, 레이저광의 출력 파워를 캘리브레이트하는데 이용된다.
클러스터(3, 4, 5)에는 U-TOC이 기록된다. U-TOC의 내용에 대하여 자세히는 후술하지만,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32개의 각 메인 섹터(SC00∼SClF)에 있어서 데이터 포맷이 규정되어, 각각 소정의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즉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각 트랙의 어드레스, 자유 영역의 어드레스 등이 기록되어, 또한 각 트랙에 부수하는 트랙 네임, 기록 일시 등의 정보가 기록할 수 있도록 U-TOC 섹터가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U-TOC 데이터가 되는 섹터를 갖는 클러스터가, 클러스터(3, 4, 5)에 3회 반복하여 기록된다.
클러스터(47, 48, 49)는, 프로그램 영역과의 완충 영역이 된다. 도 9의 (b)의 사선부 PD는, 후술하는 선불 정보의 기록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클러스터 50(16진 표기로 32 h) 이후의 프로그램 영역에는,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32개의 각 메인 섹터(SCO0∼SC1F)에 있어서, 악곡 등의 음성 데이터가 ATRAC이라고 불리는 압축 형식으로 기록된다. 기록된 각 트랙(컨텐츠 데이터) 및 기록 가능한 영역은, U-TOC에 의해서 관리된다. 또, 프로그램 영역에서의 각 클러스터에 있어서, 섹터 SCFF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데이터로서의 정보의 기록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여 U-TOC 섹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P-TOC는 도 9의 (a) 및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90)의 최내주측의 피트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독 전용의 정보이다. 그리고, P-TOC에 의해서 디스크의 기록 가능 영역(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 판독 영역, 및 U-TOC 영역의 위치의 관리 등이 행해진다. 또, 모든 데이터가 피트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재생 전용의 광 디스크에서는, P-TOC에 의해서 R0M화되어 기록되어 있는 악곡의 관리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U-TOC는 형성되지 않는다. P-TOC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U-TOC 섹터 0의 포맷을 나타내는 것이다. U-TOC 섹터로서는 섹터 0∼ 섹터 32까지 설치할 수 있다. 이들 기록가능한 섹터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1 클러스터 내의 메인 섹터 SC00∼SClF에 대응한다. 그 속에서, 섹터 1, 섹터 4는 문자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구성하며, 섹터 2는 녹음 일시를 기록하는 영역으로 작용한다. 이들 섹터 1, 섹터 2, 섹터 4에 대해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U-TOC 섹터 0은, 기록된 악곡 등의 컨텐츠 데이터(트랙) 및 추가 컨텐츠 데이터가 녹음 가능한 프리 영역에 대한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100)에 어떤 악곡의 녹음을 행하고자 하는 때는, MD 제어부(21)는, U-TOC 섹터 0을 참조하여 디스크 상의 프리 영역을 찾아 내어, 여기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데이터 재생시, MD 제어부(21)는 재생하여야 할 악곡이 기록되어 있는 영역을 U-TOC 섹터 0로부터 판별하여, 그 영역에 액세스하여재생 동작을 행한다.
도 10의 U-TOC 섹터 0의 데이터 영역(4 바이트 ×588 = 2352 바이트)는, 섹터의 선두 위치에서 0 또는 1로 각각 이루어지는 1 바이트 데이터 블럭에 의해 형성되는 동기 패턴을 가진다. 계속해서 시작 데이터 블럭은 클러스터 어드레스(C1uster H, L) 및 섹터 어드레스가 되는 어드레스가 3 바이트에 걸쳐 기록되고, 또한 모드 정보가 1 바이트 부가되어 헤더를 이룬다. 여기서의 3 바이트의 어드레스는, 그 섹터 자체의 어드레스이다.
동기 패턴이나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헤더 부분에 대해서는, 이 U-TOC 섹터 0에 한하지 않고, P-TOC 섹터, 프로그램 영역에서의 섹터라도 마찬가지고, 섹터 단위에 그 섹터 자체의 어드레스 및 동기 패턴이 기록되어 있다.
계속해서 소정 바이트 위치에, 메이커 코드, 모델 코드, 최초의 트랙의 트랙번호(First TNO), 최후의 트랙의 트랙번호(Last TNO), 섹터 사용 상황(Used sectors), 디스크 직렬번호, 디스크 ID 등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사용자가 녹음을 행하여 기록되어 있는 트랙(악곡 등)의 영역 및 프리 영역 등을 후술하는 테이블부에 대응시킴으로써 식별하기 위해서, 포인터부로서 각종의 포인터(P-DFA, P-EMPTY , P-FRA , P-TNO1∼P-TN0255)가 기록되는 영역이 준비 되어 있다.
그리고 포인터(P-DFA∼P-TNO255)에 대응시키는 것으로 되는 테이블부로서 0 lh ∼FFh까지의 255개의 파트 테이블이 설치되고, 각각의 파트 테이블에는, 어떤 파트에 대하여 기점이 되는 시작 어드레스, 종단이 종료 어드레스, 그 파트의 모드정보(트랙 모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각 파트 테이블에서 나타내여지는 파트가 다른 파트에 계속해서 연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연결되는 파트의 시작 어드레스 및 종료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 파트 테이블을 나타내는 링크 정보가 기록될 수 있도록 되고 있다.
시작 및 종료 어드레스는 악곡(트렉)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트를 지정한다. 이들 어드레스들은 하나의 클러스터, 하나의 섹터 및 사운드 그룹을 지정하는 단축 형태로 각각 주어진다.
이 종류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하나의 악곡(트랙)의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불연속에, 즉 복수의 파트에 걸쳐 기록되어 있더라도 파트 사이에서 액세스하면서 재생해 감에 따라 재생 동작에 지장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녹음하는 악곡 등에 대해서는, 녹음 가능 영역의 효율 사용 등의 목적으로부터, 복수 파트에 나누어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링크 정보가 설치되고, 예를 들면 각파트 테이블에 주어진 번호(0lh ∼ FFh)에 의해서, 연결하여야 할 파트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파트 테이블이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U-TOC 섹터 0에 있어서의 테이블부에서는, 하나의 파트 테이블은 하나의 파트를 표현하고 있어, 예를 들면 3개의 파트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악곡에 대해서는 링크 정보에 의해서 연결되는 3개의 파트 테이블에 의해서, 그 파트 위치의 관리가 행하여진다.
또, 실제로는 링크 정보는 소정의 연산 처리에 의해 U-TOC 섹터 0 내의 바이트 위치가 되는 수치로 나타내여진다. 즉, "304 +(링크 정보) ×8(바이트 로케이션)"으로서 파트 테이블을 지정한다.
U-TOC 섹터 0의 테이블부에서의 0lh ∼ FFh까지의 각 파트 테이블은, 포인터부에서의 포인터(P-DFA, P-EMPTY , P-FRA , P-TNO1∼P-TNO255)에 의해서, 이하와 같이 그 파트의 내용이 나타내여진다.
포인터 P-DFA는 광 자기 디스크(90)상의 결함 영역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고, 상처 등에 의하는 결함 영역이 되는 트랙 부분(= 파트)이 나타내여진 하나의 파트 테이블 또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 내의 선두의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결함 파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P-DFA는 파트 테이블 (O1h)∼(FFh)중 하나를 지정하고, 이 지정된 파트 테이블은 그 시작 및 종료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결함 파트를 나타낸다. 또한, 그 외에도 결함 파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파트 테이블에서의 링크 정보로서 다른 파트 테이블이 지정되어, 그 파트 테이블에도 결함파트가 나타내여지고 있다. 그리고, 또 다른 결함 파트가 없는 경우에는 링크 정보는 예를 들면『OOh』이라고 되어, 이후 링크없음을 나타낸다.
포인터 P-EMPTY는 테이블부에서의 1 또는 복수의 미 사용의 파트 테이블의 선두의 파트 테이블을 나타낸다. 미 사용의 파트 테이블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P-EMPTY는 파트 테이블로서 파트 테이블(01h ∼ FFh) 중의 하나를 나타낸다. 미 사용의 파트 테이블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P-EMPTY에 의해서 지정된 파트 테이블로부터 시작하는 링크 정보의 사용에 의해서 순차로 파트 테이블이 지정되고, 모든 미 사용의 파트 테이블이 테이블부 상에서 연결된다.
포인터 P-FRA는 광 자기 디스크(90) 상의 데이터가 기입 가능한 프리 영역(소거 영역을 포함한다)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고, 프리 영역이 되는 트랙 부분(= 파트)이 나타내여진 1 또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 내의 선두의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프리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P-FRA가 파트 테이블 01h ∼ FFh중 하나를 지정하고 이 지정된 파트 테이블은 시작 및 종료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프리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복수의 프리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제1 파트 테이블은 순차로 다른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며 링크 정보『0Oh』를 갖는다.
도 11은 파트 테이블에 의해 어떻게 프리 영역 파트가 관리되는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것은 파트 03h, 18h, lFh, 2Bh, E3h가 프리 영역이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대응하는 파트 테이블에 첨부된 링크 정보에 의해서 표현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결함 영역 및 미 사용 파트 테이블의 관리 형태도 이것과 마찬가지이다.
포인터 P-TNO1∼P-TN0255는, 디스크(9O)에 사용자가 기록을 행한 악곡 등의 트랙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포인터 P-TNO1은 제1 트랙의 데이터가 기록된 1 또는 복수의 파트 중의 시간적으로 선두가 되는 파트가 나타내여진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 트랙을 이루는 악곡이 디스크 상에서 트랙이 분단되지않고서, 즉 하나의 파트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제1 트랙의 기록 영역은 포인터 P-TNO1로 나타내여지는 파트 테이블에서의 시작 및 종료 어드레스로서 기록되어 있다.
제2 트랙으로서 기록된 곡목이 디스크 상에서 복수의 파트에 이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파트는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지정된다. 상술하자면, 포인터 P-TN02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은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적으로 계속되는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차례로 이 파트 테이블도 링크 정보를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시간적으로 계속되는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되, 이는 파트 테이블이 링크 정보 0Oh를 가질 때까지 계속된다 (도 11에서 도시된 방식과 동일).
상술된 바와 같이, 제2 곡목을 구성하는 데이터가 기록된 파트 모두 순차 지정되어 있는 경우, U-TOC 섹터 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곡목에 기록하거나 제2 곡목으로부터 재생의 동작을 위해 이산된 파트 중 임의의 파트를 액세스할 수 있다. 즉, 이산 파트에 대해 연속적으로 음악 정보를 추출하거나 기록할 때, 기록 영역을 최적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각 파트 테이블에는 1 바이트의 트랙 모드가 기록되며, 이 바이트가 트랙 속성 정보를 구성한다. 이 바이트를 구성하는 8 비트를 dl(MSB)∼d8(LSB)로 하면, 이 트랙 모드는 다음과 같은 1 바이트 정보로 정의된다.
d1···0; 기록 허용 1; 기록 금지(재기록 금지, 편집 금지)
d2···0: 저작권 있슴; 1; 저작권 없슴
d3···0; 오리지널, 1; 적어도 제1 세대 복사
d4···0; 오디오 데이터, 1: 미정의
d5, d6···01; 노멀 오디오, 기타: 미정의
d7···0; 단청, 1; 스테레오
d8···0; 엠퍼시스 오프, 1:엠퍼시스 온
이상과 같이, 재기입 가능한 광 자기 디스크(90)에 대해서는, 디스크 상의영역 관리는 P-TOC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한편, 기록가능 사용자 영역에 기록된 악곡이나 프리 영역은 U-TOC에 의해 행해진다. 이러한 U-TOC 구조는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된 트랙이 U-TOC를 재기입하는 것만으로도 분할, 조합, 또는 편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기록/재생 장치(20A)의 MD 제어부(21)는, 이 장치(20A)의 기록/재생부(25)에 미니 디스크(100)가 장전된 때는, 우선 이 TOC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한 U-TOC 정보를 버퍼 메모리(30)의 특정한 영역에 기억시킨다. 이와 같이 기억된 데이터는 이후의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재생, 및 편집 동작 동안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컨텐츠 데이터가 (트랙)에 기록되거나 기록되어 있는 트랙의 편집 등이 행해지는 경우, 우선 버퍼 메모리(30)에 기억된 U-TOC 데이터에 대하여 변경이 행해지도록 갱신된 후, 갱신된 U-TOC 데이터가 소정의 시점에서 갱신되도록 버퍼 메모리(30)로부터 미니 디스크(100)로 기록된다.
7. 인증 처리
SDMI 데이터 경로의 설명에 있어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록/재생 장치(20A)는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될 해독된 컨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 전송을 승인하기 위한 사전 조건으로서,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에 의해 인증되어야 한다. 인증이란, 기록/재생 장치(20A)가 비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허가된 장치로서 정당한 것인 가를 확인하는 처리이다.
이 인증 처리는, 퍼스널 컴퓨터(1)의 접속부(11)에 SDMI 대응 기록/재생 장치(20B) 이외의 기록/재생 장치가 접속될 때마다 행해진다. 또, SDMI 대응 기록 재생/장치(20B)가 접속된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1)는 접속된 장치가 실제로 SDMI 대응의 기록/재생 장치인가를 확인한다. 즉 접속된 장치가 SDMI 대응 기록/재생 장치(20B)인 것으로 판정되지 않으면, 접속된 장치가 기록/재생 장치(20A)인지를 확인한다. 인증 처리의 전형적인 절차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예에서의 인증 처리는, 비대칭 암호 기반 인증 방식(즉,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을 이용한다. 비대칭 암호에서는,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다르다. 암호화 전의 데이터를 Db, 암호화 키를 Ke, 복호화 키를 Kd로 하면, 데이터 Db는 C=E(Ke, Db)의 암호화 처리를 통해 암호화되어 데이터 C가 되고, 암호화된 데이터는 D(Kd, C)= Db의 복호화 처리를 통해 복호화되어 암호화되지 않은 데이터 Db로 복원된다.
여기서 암호화 키 Ke, 및 복호화 키 Kd는 키 쌍을 구성하며, 쌍을 이룬 키 중 한쪽은 공개 키로서 공개하고, 다른 쪽은 비밀 키로서 소정 위치에 기억된다. 쌍을 이룬 키들 중, 이하의 인증 처리에 대한 설명에서는 공개 키를 P, 비밀 키를 S로서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 기록/재생 장치(20A)는 복호부(28)(또는 시스템 제어부(32))에 암호화 키 Ke 및 복호화 키 Kd로서 기능하게 될 공개 키 P 및 비밀 키 S를 기억하고 있다.
인증 처리에 있어서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퍼스널 컴퓨터; 1)의 CPU(2)가 우선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에 대하여 인증 요구의 명령을 송신한 후, 퍼스널 컴퓨터(1)(즉, 1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CPU(2)와, 기록/재생 장치(20A)(즉,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의 시스템 제어부(32) 사이에서 도12에서 도시된 단계들이 행해지게 된다.
인증 처리가 개시되면,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는 단계 S1로 진행하여, 통신부(26)로 하여금 복호부(28)로부터의 공개 키 P를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에 송신하도록 하게 한다. 또, 공개 키 P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에도 알려져 있다. 두 장치가 공개 키 P 에 대하여 일치한 인식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단계 S1을 실행할 필요는 없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의 CPU(2)가 공개 키 P를 수신하면, 계속해서 단계 S2로 진행하여 난수 r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단계 S3에서, CPU(2)는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20A)에 난수 r을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4에서,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는 난수 r을 수신하여 수신된 난수를 복호부(28)에 기억된 비밀 키 S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그리고, 단계 S5에서, 암호화 데이터 E(S, r)를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에 송신한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의 CPU(2)가 암호화 데이터 E(S, r)를 수신하면, 단계 S1로 진행하여 암호화 데이터 E(S, r)를 공개 키 P를 이용하여, 즉 D{P, E (S, r)}의 처리를 행해 암호화한다. 그리고, 단계 S7에서, CPU(2)는 단계 S2에서 발생된 난수 r과, 단계 S6에서의 복호 결과 D{P, E(S, r)}를 비교한다. 여기서, 공개 키 P와 비밀 키 S가 적법한 키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r= D{P, E(S, r)}의 결과가 얻어질 것이다.
그래서, 비교 결과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2차 기록 매체 처리장치(20A)가 공개 키 P에 대응하는 비밀 키 S를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이 경우, 단계 S8에서 단계 S9로 진행하여,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20A)를 정당한 접속 상대로서 인증한다.
한편,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 S8에서 단계 S1로 진행하여, 접속된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20A)는 (SDMI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불법 장치로서 거절한다.
이상과 같은 인증 처리에 의해, 접속된 장치가 합법적인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20A)인 것으로 인증되면,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접속된 장치를 SDMI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합법적인 장치로서 인증하는 조건들 중 하나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인식한다.
8. 컨텐츠 암호화 방식
본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기록/재생 장치(20A 또는 20B)는 도 1에 나타낸 구조의 최하단 계층 노드 중 하나에 상당한다. 도 1에 도시된 암호화 구조는 후술될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다.
우선, 도 13은 컨텐츠 데이터 및 키의 흐름을 보이고 있다. 외부 서버(91)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에 어떤 컨텐츠 데이터 CT1가 분배되는 경우, 이 컨텐츠 데이터 항목 CT1은 E(CK, A3D), E(KR, CK), 및 EKB의 형태로 HDD(5)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E(CK, A3D)는 컨텐츠 키 CK의 에 의해 암호화된 ATRAC3 압축 컨텐츠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 컨텐츠 데이터가 음악 또는 다른 종류의 데이터와 같은 주 데이터를 구성한다. E(KR, CK)는 컨텐츠 데이터의 암호 해독을 위해 도 1에서 설명한 루트 키 KR을 사용하여 암호화한된 컨텐츠 키 CK를 나타낸다. EKB는 도 1∼도 3에서 설명한 유효화 키 블록의 정보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EKB는 루트 키 KR을 갱신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구성한다.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 항목이 분배될 때마다, 상술된 종류의 데이터가 세트 형태로 분배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HDD5에는 컨텐츠 데이터 CT1, CT2 등이 데이터 세트로서 저장된다.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재생 장치(20A 또는 20B)에 대하여 컨텐츠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E(CK, A3D), E(KR, CK), 및 EKB를 적절한 단계를 이용하여 세트로서 송신한다. 도 1에서 설명한 장치(단말) 중 하나에 상당하는 기록/재생 장치(20A 또는 20B)에는, 각각 고유의 리프 ID가 할당되어 있으며, DNK(Device Node Key)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상기 세트의 컨텐츠 데이터가 송신되면, 그 세트에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는 기록/재생 장치(20A 또는 20B)에 의해 2차 기록 매체에 대해 기록 또는 판독이 행해질 때 복호화되거나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둔다. 보다 상세히 기술하자면, 컨텐츠 데이터는 SDMI 대응 기록/재생 장치(20B)의 매체로부터 재생되거나, SDMI 대응 기록/재생 장치(20A)의 매체에 기록될 때 복호화된다.
이 암호 해독의 처리는, 우선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DNK와 송신되어진 EKB 모두를 이용하여 루트 키 KR를 해독한다. 현재 복호화된 루트 키 KR를 이용하여컨텐츠 키 CK를 복호화한다. 그리고, 복호화된 컨텐츠 키 CK를 이용함으로써, 비암호화 컨텐츠 데이터 A3D를 얻을 수 있다.
기록/재생 장치(20A)에서의 DNK 및 암호 해독 수순을 도 14a, 도 14b,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금, 키들은 도 14a과 같은 키의 트리 구조를 구성하며, 기록/재생 장치(20A)에 리프 ID= SET0, 리프 키= K000가 할당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이 경우, 기록/재생 장치(20A)에 기억되는 DNK는 도 14b에 목록되어 있는 정보를 갖는다. 즉, 리프 ID는 SET0로서 기억되고, 리프 키는 K000가 기억된다. 여기에 기억된 것은 루트 키 K000로 나타낸 리프로부터 도 14a의 트리 구조의 루트 키 KR까지의 경로를 정의하는 정보이다. 즉, 노드 키 K00, K0, 루트 키 KR가 기억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이 노드 키 K00, K0, 루트 키 KR 는 리프 키 K000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상태로 기억된다는 것이다. 즉, 도 1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키들은 사실상 E(K000, K00), E(K000, K0), E(K000, KR)로서 기억된다.
이러한 DNK가 기억됨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20A)는 전송되어 온 컨텐츠 데이터 E(CK, A3D)를 동일하게 전송되어 온 E(KR, CK)를 이용하여 암호 해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기술하자면, 기록 재생 장치(20A)는 리프 키 K000를 이용하여 D{K000, E(K000, KR)}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루트 키 KR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복호된 루트 키 KR를 이용하여 D{KR, E(KR, CK)}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컨텐츠 키 CK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항상 루트 키 KR나 노드 키는 불변 상태로 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요소들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예와 같이 컨텐츠 키 CK를 루트 키 KR을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이한 컨텐츠 데이터 항목이 처리될 때마다 루트 키 KR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악 분배 업자에 의해서는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 항목마다 루트 키 KR를 변경하여, 이것에 의해서 저작권 보호를 강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EKB를 동시에 송신하여, 정규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변경한 루트 키 KR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지금, 컨텐츠 데이터 E(CK, A3D)가 갱싱된 루트 키 KR'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컨텐츠 키 E(KR', CK), 및 EKB와 함께 송신되고, EKB에는 노드 키 K0로 암호화한 갱신 루트 키 KR'로서 E(K0, KR')가 포함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갱신 루트 키 KR'를 노드 키 K0로 암호화하는 것은, 예를 들어, 도 14a의 디바이스 SET0∼SET3에만 대하여, 새로운 루트 키 KR '를 통지할 때이다. 물론 디바이스 SET0 및 SETl에게만 새로운 루트 키를 통지하는 것으로 하면, 이들에게는 갱신 루트 키 KR'를 노드 키 K00로 암호화한 E(K00, KR')를 포함하는 EKB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기록/재생 장치(20A)의 DNK에는, 도 1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프 키 K000와, 리프 키 K000로 암호화된 노드 키 및 루트 키로서 E(K000, K00), E(K000, K0), E(K000, KR)가 기억되어 있다. 이들 키가 주어진 상태에서, 컨텐츠 데이터 A3D를 복호하기까지의 수순이 도 15의 단계 1∼4에서 도시되어 있다.
(1) EKB로서 데이터 E(K0, KR')가 전송되면, 우선 DNK를 이용하여 노드 키 K0를 얻는다. 보다 상세히 기술하자면, 리프 키 K000를 이용하여 K0=D{K000,E(K000, K0)}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노드 키 K0를 얻는다.
(2) 다음에, 노드 키 K0를 이용하여, EKB에서 E(K0, KR')를 해독한다. 즉, KR'= D{K0, E(K0, KR')}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갱신 루트 키 KR'를 얻는다.
(3) 해독한 갱신 루트 키 KR'를 이용하여, 송신되어 온 컨텐츠 키 E(KR', CK)를 해독한다. 보다 상세히 기술하자면, CK=D{KR', E(KR, CK)}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컨텐츠 키 CK를 얻는다.
(4) 복호된 컨텐츠 키 CK를 이용하여 A3D=D{CK, E(CK, A3D)}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암호 해독된 컨텐츠 데이터 A3D를 얻는다.
이상의 단계에 의해, 기록/재생 장치(20A)는 전송되어 온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된 데이터를 장전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재생 장치(20B)가 2차 기록 매체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려고 할 경우, 장치(20B)는 상기 단계를 행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시킴으로써 음악 또는 다른 데이터 등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9. 각종 명령
퍼스널 컴퓨터(1)(1차 기록 매체측 기기)와, 기록/재생 장치(20A 또는 20B)(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이들 간에서의 체크 아웃/체크 인 전송 또는 다른 각종의 동작을 위한 통신 세션 동안 각종의 제어 명령 및 이들 명령에 대한 응답 명령의 교환이 행하여진다. 이들 명령 중, 후술하는 본예의 특징적인 동작에 직접적으로 관련하는 명령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에 체크 아웃 제어 명령, 도 17에 체크 아웃 응답 명령의 전형적인 포맷을 나타낸다. 체크 아웃 제어 명령은 25 바이트로 구성되며, 체크 아웃 응답 명령은 17 바이트로 구성된다.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재생 장치(20A 또는 20B)에 대해 적절한 체크 아웃 제어 명령을 발행함으로써, 이 장치는 체크 아웃 통신 세션을 통해 PC로부터 전달되어진 컨텐츠 데이터를 사실상 재생할 재생 권한을 갖게 될 것이다. 기록/재생 장치(20A 또는 20B)가 체크 아웃 제어 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이 장치는 이에 상응하는 처리를 행하고, 관련된 체크 아웃 응답 코맨드를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아웃 제어 명령은, (통신) "결과",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 "List ID",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번호) "object position number", (암호화 세션 키를 나타내는) "DES CBC(Ks, O)"를 나타내는 데이터 비트와 함께 「체크아웃」을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코드를 가진다.
체크아웃 응답 명령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결과",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 "List ID",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번호) "object position number"를 나타내는 데이터 비트와 함께 "체크아웃"을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코드를 갖는다.
도 18은 30 바이트까지로 이루어지는 기록 오브젝트 제어 명령의 통상의 포맷을 도시하며, 도 19는 62 바이트의 기록 오브젝트 응답 명령의 통상의 포맷을 도시한다. 기록 오브젝트 제어 명령은 체크아웃 전송을 위한 통신 세션에서,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기록/재생 장치(20A)(20B)에 발행된다. 명령은 전송하려고 하는실제의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록/재생 장치(20A)(20B)에 제공한다.
기록 오브젝트 제어 명령이 제공되면, 기록/재생 장치(20A)(20B)는, 통지된 정보를 반영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대해, 기록/재생 장치(20A)(20B)는 체크아웃 응답 명령을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기록/재생 장치(20A) 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컨텐츠 ID를 생성한다. 생성된 컨텐츠 ID를 기록 오브젝트 응답 명령을 사용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될 수도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오브젝트 제어 명령은, (통신) "결과",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 "Destination List ID",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번호 "new object position number",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타입", (1차 기록 매체측의 컨텐츠 데이터 포맷) "Download Format Track Attribute", (2차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컨텐츠 속성) "Track Mode", (컨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 "Content Size" 및 (컨텐츠 데이터의) "벌크 데이터 사이즈(Bulk Data Size)"를 나타내는 데이터 비트와 함께 "기록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코드를 갖는다.
1차 기록 매체측의 컨텐츠 데이터 포맷(즉, 다운로드 포맷 트랙 속성)은, HDD(5)에 보유되어 있고, 송신하려고 하는 타겟 컨텐츠 데이터의 압축 규격 및 비트 레이트에 대한 정보 및,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선에 위치될 때의 컨텐츠 데이터의 압축 규격 및 비트 레이트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다.
2차 기록 매체의 컨텐츠 속성(Track Mode)은, 미니 디스크(1O0)에 기록할 때의 압축 규격의 지정 등의 정보 및, 스테레오 또는 단청 그 밖의 속성 정보로 구성된다. 압축 규격은, 예를 들면 ATRAC, ATRAC3의 132 kbps, ATRAC3의 66 kbps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오브젝트 응답 명령은, (통신) "결과",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 "Destination List ID",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번호) "new object position number",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타입" 및 (1차 기록 매체측의 컨텐츠 데이터 포맷) "Download Format Track Attribute", (2차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컨텐츠 속성) "Track Mode", (컨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 "Content Size" 및 (컨텐츠 데이터의) "벌크 데이터 사이즈"를 나타내는 데이터 비트와 함께, "기록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코드를 갖는다. 응답 명령의 경우에는, 32 바이트의 세션 데이터로서, 기록/재생 장치(20A)에서 산출된 컨텐츠 ID를 수용하며, 퍼스널 컴퓨터(1)에 컨텐츠 ID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이 포함된다. 컨텐츠 ID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술하기로 한다.
도 20은 체크인 제어 명령의 통상의 포맷, 도 22는 체크인 응답 명령의 통상의 포맷을 도시한다. 체크인 제어 명령은 17 바이트로 구성되며, 체크인 응답 명령은 25 바이트로 구성된다. 퍼스널 컴퓨터(1)는 통신 세션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권한을 반환시키도록 기록/재생 장치(20A)(20B)에 적절한 체크인 제어 명령을 발행함으로써 2차 기록 매체측으로부터 관련 데이터가 체크인된다. 체크인 제어 명령은 또한 2차 기록 매체로부터 특정 정보를 얻기 위해서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발행된다.
체크인 제어 명령 수신시에, 기록/재생 장치(20A)(20B)는 그에 대응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며, 관련 체크인 응답 명령을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인 제어 명령은, (통신) "결과", (후술되는) "서브 기능",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 "List ID", (체크인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번호) "object position number"를 나타내는 데이터 비트와 함께 "체크인"을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코드를 갖는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된, 서브 기능은 체크인 명령에 의해 요청된 것을 지정한다. 서브 기능이 "00h" 값을 가지면, 체크인 제어 명령은 컨텐츠 ID를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측이 재생 권한을 반환시킬 수 있게 하는 실제적인 체크인 요청이다.
서브 기능의 값 "01h"는 리저브된다. 이 값은, 사실상 실제적인 체크인 처리에 대한 지시에 이용될 수도 있다.
서브 기능이 상술된 값 이외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체크인 제어 명령은 선불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불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이것은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 고유 정보이다. 이 경우에는, 체크인 제어 명령은 선불 정보의 검색을 지시하며, 체크인(즉,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로부터 재생 권한의 반환)은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로부터 선불 정보 이외에, 사용자 정보 및 사용 상황 등의 고유 정보 등을 요구하기 위한 서브 기능의 값을 정의할 수 있다.
체크인 응답 명령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결과", "서브 기능",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 "List ID" 및 (체크인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번호) "object position number"를 나타내는 데이터 비트와 함께 "체크인"을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코드를 갖는다. 또한, 해시 함수 처리를 통해 생성된 컨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하는 8 바이트 영역 "hash MAC"이 포함된다. 체크인 제어 명령에서 서브 기능의 값이 "OOh"일 때, 즉 실제로 체크인 전송이 수행될 때, 통신 만을 위한 이러한 8 바이트 영역에 컨텐츠 ID가 위치된다는 것을 유의할만하다.
체크인 제어 명령의 서브 기능의 값이 선불 정보를 요구하는 것인 경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의 8 바이트에 선불 정보가 삽입되어, 퍼스널 컴퓨터(1)에 된다.
도 24는 통상의 배타적 로그인 제어 명령을 도시하며, 도 25는 통상의 배타적 로그아웃 제어 명령의 포맷을 도시한다. 이들 명령은,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재생 장치(20A)를 통해 배타적 제어를 행하는 데 사용된다.
배타적 로그인 제어 명령은 "서브 유닛 타입(subunit type)" 및 "서브 유닛 ID" 비트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장치를 나타낸다. 배타적 로그아웃 제어 명령은 기록/재생 장치(20A)를 통해 배타적 제어를 해제하기 위한 명령이다. 이러한 명령에서는, "우선순위" 바이트는, 제어 레벨이 프리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OOh"」로 설정된다.
배타적 로그인 제어 명령은, 기록/재생 장치(20A)의, 2차 기록 매체 상의 컨텐츠 데이터의 소거, 편집, 디스크 매체의 배출, 및 전력 인가 등의 동작을 금지 또는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즉, 이러한 명령은,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지시되면 제어될 수도 있는 상태가 되도록 지정된다.
배타적 로그인 제어 명령에서 "우선순위" 바이트는 기록/재생 장치(20A)의, 다양한 동작을 금지 또는 제한하기 위한 값으로 변할 수도 있다. 실례로, 제어 레벨 4로 설정되는 "우선순위" 바이트는, 기록/재생 장치(20A)가, 퍼스널 컴퓨터(1) 이외로부터의 일체의 지시에 대응하는 것을 금지하며; 제어 레벨(3)의 "우선선위" 세트는, 기록/재생 장치(20A)가, 퍼스널 컴퓨터(1) 이외의 제어에 의한 전력의 온 오프, 디스크 매체의 이젝트, 또는 트랙의 분할, 연결 또는 소거하는 것을 금지하며; 제어 레벨 2의 "우선순위" 세트는 퍼스널 컴퓨터(1) 이외의 제어에 의한 트랙의 분할, 연결 또는 소거를 금지하며; 제어 레벨 1의 "우선순위" 세트는, 기록/재생 장치(20A)가,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지 않는 트랙을 편집 또는 소거할 수 있게 하며; 제어 레벨 0의 우선순위 세트는 제약이 없다. 이러한 제어 레벨의 설정은 단지 일례로 주어진 것이며, 필요에 따라 제어 레벨의 수 및 그 내용은 변화될 수도 있다.
10. 컨텐츠의 체크아웃 및 체크인 전송
컨텐츠 데이터가 PC(1)의 HDD(5)로부터 기록/재생 장치(20A)에 체크아웃되는 경우, 및 체크되는 경우, 퍼스널 컴퓨터(1) 및 기록/재생 장치(20A)에 의해 수행되는 통상의 처리 단계들이 후술될 것이다. 또, 하나의 통신 세션에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이 주로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되지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이 체크아웃 또는 체크인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6 및 도 27는 체크아웃 전송을 위해 수행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26 및 도 27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1)의 CPU(2)가 실행하는 제어 단계를 참조부호 F101 내지 Fl11로 나타내며, 기록/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 유닛(32), 복호 유닛(28) 등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를 참조부호 F201 내지 F215로 나타내었다. 통신 세션은 각종 제어 명령과 제어 명령에 응답하는 응답 명령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이 HDD(5)로부터 기록/재생 장치(20A)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단계 Fl01에서 CPU(2)는 먼저 기록/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인증 처리의 개시를 요구한다. 특히, CPU(2)는 기록/재생 장치(20A)에 인증 개시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단계 F201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인증 개시 허가를 제공한다. 특히, 기록/재생 장치(20A)는 퍼스널 컴퓨터(1)에 인증 개시 응답 명령을 송신한다.
단계 Fl02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재생 장치(20A)로부터 리프 ID를 요청한다. 단계 F202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저장되어 있는 리프 ID를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재생 장치(20A)로부터 리프 ID를 확인하여, 기록/재생 장치(20A)가 현재 공인된 리프 ID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Fl03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전송하려고 하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EKB를 기록/재생 장치(20A)에 송신한다. EKB를 수신하면, 기록/재생 장치(20A)는단계 F203으로 진행되어 EKB의 버전 번호를 저장한다(도 3 참조). 단계 F204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수신된 EKB와 저장되어 있는 DNK를 비교하여, 도 15와 결부하여 상술된 단계 1 및 2에서와 같이 관련 컨텐츠 데이터의 루트 키 KR를 탐색하여, 얻어진 루트 키 KR를 상술된 방식으로 저장한다. 단계 F205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루트 키 KR가 탐색되었다는 것을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한다.
루트 키 KR의 탐색이 확인되었으므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l04에서, 실제의 체크아웃 세션의 개시를 요청한다. 이에 대하여, 단계 F206로 진행되어 기록/재생 장치(20A)는 체크아웃 세션의 개시를 확인응답(acknowledge)한다. 세션 개시의 제어 명령이 발행되고 응답 명령이 복귀되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인증 처리가 또한 수행된다. 이러한 처리는 기록/재생 장치(20A)가 공인된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데이터를 장착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증 처리의 실패 결과는 체크아웃 세션은 중지시킴은 물론이다.
단계 F105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전송하려고 하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컨텐츠 키 E(KR, CK)를 송신한다. 컨텐츠 키 E(KR, CK)를 수신시, 기록/재생 장치(20A)는 단계 F207로 진행되어, 도 15의 단계 3에서와 같이, 기억된 루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컨텐츠 키를 해독하여, 최초 컨텐츠 키 CK를 얻는다. 단계 F208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컨텐츠 키 CK의 해독 완료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한다.
단계 F106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도 18과 결부하여 상술된 기록 오브젝트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기록/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러한 명령은, 체크아웃하려고 하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록/재생 장치(20A)에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점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응답 명령을 리턴한다(이러한 응답 명령은 도 19에 도시된 포맷이 아니며, 25 바이트 포맷으로서, 도시 및 설명되지 않았다).
컨텐츠 키 CK의 해독 완료 통지 및 기록 오브젝트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이 제공되면,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재생 장치(20A) 측에서 전송하려고 하는 컨텐츠 데이터 수신/복호화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인식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도 26의 출구 "P1"을 통과하여 도 27의 단계 Fl07로 진행한다. 단계 Fl07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관련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한다. 특히, 컨텐츠 키 CK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 E(CK, A3D)를 기록/재생 장치(20A)에 송신한다.
그 부분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도 26의 출구 "R1"을 통과하여 도 27의 단계 F209로 진행한다. 단계 F209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송신된 컨텐츠 데이터 E(CK, A3D)를 수신하고, 도 15의 단계 4에서와 같이 수신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컨텐츠 데이터 A3D를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하고, 복호화된 컨텐츠 데이터에 기초한 컨텐츠 ID를 후술되는 방식으로 생성한다.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 (예를 들면 하나의 악곡)가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전송되어 그대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면, 그 시점에서 미니 디스크(1 00) 상의 U-TOC의 갱신이 필요하게 된다. 미니 디스크(100)에서, 디스크 내주부에 방사상으로 기록된 U-TOC가 악보를 표시하는 저장된 트랙 각각의 스타트 어드레스/엔드 어드레스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랙의 재생시에는 해당 트랙의 어드레스가 제어할 목적으로 U-TOC로부터 복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을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 종료한 시점에서는, 버퍼 메모리(30) 내의 U-TOC 만이 단계 F210에서 갱신된다. 이 시점에서 미니 디스크(100) 상의 U-TOC는 갱신되지 않는다. 버퍼 메모리(30) 상에서 U-TOC 갱신을 완료하면, 기록/재생 장치(20A)가 단계 F211에 도달하고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기록 오브젝트 응답 명령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의 디스크로의 기입에 관한 처리를 완료한다. 그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단계 F209에서 생성한 컨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한다.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는, 컨텐츠 ID의 통지에 따라서, 단계 Fl08에서 컨텐츠 ID 테이블의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이것은 HDD5에 축적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여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붙인 컨텐츠 ID와, 단계 F 209에서 기록 재생 장치(20A)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ID를 대응시키는 처리를 포함한다.
단계 F109에서, 도 17에 나타낸 체크-아웃 제어 명령을 기록/재생 장치(20A)로 송신한다. 단계 Fll0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이와 같이 체크-아웃을 행하는 것에 따라서, 해당 컨텐츠 데이터에 관하여 취급 룰(Usage Rule)를 갱신한다. 즉,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권리를 나타내는 최대 전송 허가 횟수가 하나씩 감산된다.
기록 재생 장치(20A)는 체크-아웃 제어 명령에 의해 지정된 처리를 행한다.즉, 장치(20A)가 단계 F212로 진행하여 미니 디스크(100) 상의 U-TOC를 갱신하여,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것은 2차 기록 매체 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권리가 주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 시점에서,해당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U-TOC 섹터 0의 "트랙 모드" 에서, 비트 d1= 1로 설정하는 것은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 방지(write-protected)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체크-아웃 전송을 반영하는 U-TOC 갱신 후, 기록/재생 장치(20A)는 단계 F 213에 도달하여 체크-아웃 응답 명령을 송신하고, 처리 완료를 통지한다. 이상으로 체크-아웃 전송 즉, 컨텐츠 권리의 양도를 완료한다.
체크-아웃의 완료에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l11에서 세션 종료를 요구하는 제어 명령을 기록/재생 장치(20A)에 송신한다. 단계 F214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세션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명령을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단계 Fl12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인증 처리를 종료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단계 F215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인증 상태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명령을 송신한다. 이상으로, 체크아웃을 위한 일련의 통신이 종료된다.
상술한 통신 세션에 의해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을 체크아웃하는 경우에는, 모든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에 대하여 루트 키가 공통이면, 단계 Fl05∼Fl08 및 F207∼F211의 처리가 반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EKB 버전이 다른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연속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EKB에 따라 각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을 전송해도 좋다.
계속해서 체크-인 전송이 어떻게 행해지는 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한다. 도 28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CPU(2)가 실행하는 제어 처리를 단계 Fl01∼F156으로 하여, 또한 기록/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 복호부(28) 등에 의해서 실행되는 제어 처리를 단계 F201∼F257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통신 세션은 각종의 제어 명령과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명령에 의해 행해진다.
체크-인 세션 동안, 인증 처리 개시로부터 EKB 전송, 루트 키 탐색 등의 처리는 상기 체크아웃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즉 상기 도 26와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붙인 단계 Fl01∼Fl03, F201∼F205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여, 중복 설명을 피한다.
단계 F150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체크-인 세션의 개시를 요구하는 제어 명령을 기록/재생 장치(20A)로 송신한다. 이것에 따라서 단계 F250에서, 기록 재생 장치(20A)는 응답 명령을 퍼스널 컴퓨터(1)로 돌려 준다. 또, 이 경우에도, 도 12로 설명한 인증 처리가 행하여진다.
체크-인 세션이 개시되어, 또한 기록/재생 장치(20A)가 인증 OK 되면,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1에 도달하여 기록/재생 장치(20A)로부터 체크-인 시키고자 하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컨텐츠 ID를 요구한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미니 디스크(100) 상의 트랙 번호를 지정하여 체크-인시키는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ID를 돌려줄 것을 요구한다. 이에 응답하여, 기록/재생 장치(20A)는 우선 단계 F251에서, 지정된 트랙이 체크-인 가능한 컨텐츠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트랙에 대응하는 U-TOC에 기록되어 있는 기입-방지 플래그의 상태("트랙 모드"에서 비트 dl)로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판별 과정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판정하는 체크-인 가능한 컨텐츠 데이터는 체크아웃된 컨텐츠 데이터이고 더구나 미니 디스크(100)측에서 편집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컨텐츠 데이터이다.
해당 컨텐츠 데이터가 체크-아웃 준비되도록 판정되면, 단계 F252에 도달한다. 단계 F252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해당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컨텐츠 ID를 준비한다. 이 경우, 이 시점에서 컨텐츠 ID를 산출하거나, 혹은 이미 산출되어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 ID를 판독하는 처리가(로) 된다. 이 처리에 대해서도 뒤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F253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준비된 컨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또, 체크-인 가능한 컨텐츠 데이터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하여, 이후는 에러 처리 루틴으로 된다.
단계 F152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전송된 컨텐츠 ID를 검증한다. 구체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재생 장치(20A)로부터 생성되어 송신되어 온 컨텐츠 ID와, PC에 의해 생성되고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고려한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된 컨텐츠 ID를 매치시킨다. 이것은 전송된 컨텐츠 ID가 체크-인 대상의 컨텐츠 데이터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가를 대조한다. 전송된 컨텐츠 ID가 정확한 것으로 판정된다면,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3에서 체크-인 전송을 지시한다. 컨텐츠 ID 가 에러인 것으로 판정되면, 에러 핸들링 루틴이 실행된다.
단계 F153의 체크-인 지시는, 도 20을 참조하여 상술한 체크-인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이다. 이 체크-인 제어 명령에서, 값 「00 h」을 구성하는"subfunction" 데이터 (도 21 참조)는 실행될 체크-인 전송을 명시한다. "list ID" 값은 기록/재생 장치(20A)를 지정하는 값이고, "오브젝트 포지션 번호" 값은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체크-인될 컨텐츠 데이터의 트랙 번호를 명시한다.
또한, 체크-인 지시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 154에 도달하여 해당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취급 룰(Usage Rule)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최대 전송 허가 횟수로서의 컨텐츠 데이터의 권리를 하나 증가(즉, 부활)시킨다.
기록/재생 장치(20A)는, 이것에 따라서 단계 F254에서 U-TOC 데이터를 갱신한다. 즉, 기록/재생 장치(20A)는 체크-인 대상이 된 트랙을 미니 디스크(100) 상에서 소거시키도록 U-TOC 섹터0의 내용을 갱신한다. 그리하여, 상기 트랙은 재생 불능으로 되어 재생권을 소실한 상태로 한다. 단계 F255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도 22에 도시된 체크-인 응답 명령을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이상으로 체크-인 세션, 즉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한 컨텐츠 권리의 반환이 완료된다.
체크인 세션의 완료에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5에서 세션 종료를 요구하는 제어 명령을 기록 재생 장치(20A)에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56에서 세션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명령을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단계 F156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인증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제어 명령을 기록 재생 장치(20A)로 송신한다. 단계 F257에서, 장치(20A)는 인증 프로세스의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명령을 복귀시킨다. 이상으로, 체크인을 위한 일련의 통신단계들이 종료된다.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연속적으로 체크인하는 경우에는, 관련 컨텐츠 데이터 항목들 각각의 컨텐츠 ID의 확인 및 각 컨텐츠 데이터 항목에 관한 체크인 지시를 제공하기 위한, 단계 F151∼F154 및 F251∼F255의 처리가 반복될 필요가 있다.
11. 컨텐츠 ID의 생성 및 관리 방식
체크아웃 및 체크인 세션에서의 이용 규칙(Usage Rule)은, 컨텐츠 데이터 항목들에 관련하여 그의 컨텐츠 ID를 이용하여 관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서는, 컨텐츠 ID가 저장될 수 있는 기록 포맷이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체크아웃 및 체크인 세션 동안, 퍼스널 컴퓨터(1)와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는 항목에 대한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발생된 컨텐츠 ID를 이용하여 대상이 되는 임의의 컨텐츠 데이터 항목을 각각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미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는 미니 디스크(100) 또는 그와 유사한 2차 기록 매체를 대상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20A)의 경우에는 행할 수 없다. 미니 디스크(100)는, 그 위에 기록된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컨텐츠 ID를 저장해 두기 위한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만일 U-TOC에 있어서 그와 같은 새로운 영역을 규정하여 컨텐츠 ID를 그 영역에 기록한다고 하더라도, 종래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에 의해서 U-TOC 갱신이 행해진 경우, 컨텐츠 ID는 소거된다. 이 때문에 미니 디스크(100) 상에서의 컨텐츠 ID를 관리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없다. 2차 기록 매체측에서 컨텐츠 ID가 관리할 수 없으면, 컨텐츠 데이터는매체에 체크아웃은 가능하더라도 체크인의 때는 컨텐츠 데이터가 그들의 식별자들을 검증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체크인은 불능이 된다.
기록 재생 장치(20A)가 해당 컨텐츠 데이터 항목 각각에 기초하여 컨텐츠 ID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한다면, 상기의 어려움은 무시된다.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서 발생된 제1 컨텐츠 ID와, 기록 재생 장치(20A)에 의해서 생성된 제2 컨텐츠 ID를 대조할 수 있도록 데이터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제, 기록 재생 장치(20A)에 의해 컨텐츠 ID를 생성하는 방식을 설명할 것이다. 컨텐츠 ID는, 비 암호화 상태로 복호된 컨텐츠 데이터 항목의 길이(즉, 컨텐츠 사이즈)나 그의 트랙 정보를 체크하고, 컨텐츠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특정한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CBC_MAC 연산함으로써 발생된다.
도 29는 컨텐츠 데이터 항목 (예를 들면, 한 곡의 음악)을 전체적으로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컨텐츠 데이터 항목는,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서 체크아웃 세션 동안 송신되어, 복호되고, ATRAC 또는 ATRAC3 압축 상태의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로서 나타내진다. 이 컨텐츠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포인트 P1, P2를 샘플링 포인트로서 설정한다. (도 29에 어둡게 표시된) 사운드 유닛의 데이터가 상기 샘플링 포인트들로부터 추출된다. 각각의 사운드 유닛은, 소위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하나의 사운드 그룹에 등가인 424 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사운드 유닛은 바람직한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해 설정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컨텐츠 ID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샘플링된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산출된다. 샘플링 포인트들은, 이들의 일부분이 무음 데이터를 구성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컨텐츠 데이터 항목의 선두 또는 종단에서는 회피하게 된다. 또한, 하나가 아닌 2개의 샘플링 포인트 P1, P2가 바람직하게 설치되어 단일 데이터가 타깃 데이터 항목으로부터 샘플링되어 얻어지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을 행하는 것은 각 항목별 식별자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구비한 컨텐츠 ID를 산출가능하게 한다. 물론, 3개 이상의 샘플링 포인트가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샘플링 포인트를 설정할 때 각각의 한 곡의 음악의 선두 또는 종단을 회피할 수 있다면, 단지 하나의 샘플링 포인트로도 그 목적에 적합하게 부합할 수 있다.
이 샘플링 포인트 P1, P2는 랜덤하지 않게 위치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각의 위치가 해당 컨텐츠 데이터 항목의 길이(데이터 사이즈)의 고정된 비율로서 결정된다. 임의의 특정 컨텐츠 데이터 항목은 그의 고정된 샘플링 포인트들에서 샘플링될 때, 컨텐츠 ID가 계산되는 회수와 무관하게 동일한 컨텐츠 ID가 얻어진다. 즉, 2차 기록 매체 상에서 컨텐츠 ID를 기억해 두지 않더라도, 그 위에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면,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일정하게 설정된 샘플링 포인트들로부터 동일한 컨텐츠 ID가 산출될 수 있다. 이것은, 컨텐츠 식별을 목적으로 2차 기록 매체로서의 미니 디스크(100) 상에 컨텐츠 ID를 기록해 두는 필요를 없앤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링 포인트 P1, P2는, 예를 들면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길이)에 대해 1/3의 위치, 및 2/3의 위치 등에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본 발명에서 이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다른 상대적으로 위치된 포인트들이, 주어진 데이터 길이, 예를 들면, 1/2의 위치, 1/4의 위치, 3/4의 위치, 1/5의 위치, 2/5의 위치, 3/5의 위치, 4/5의 위치, 1/6의 위치, 5/6의 위치 등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컨텐츠 ID를 얻는 전형적인 방법을 후술한다. 수학식 1은 다음 방식으로 요약된다.
여기서,"Key hash"는 8 바이트의 고유 키 데이터이고, "Stream(P1)"는 샘플링 포인트 P1에서 샘플링된 사운드 그룹의 데이터, "Stream(P2)"는 샘플링 포인트 P2에서 샘플링된 사운드 그룹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투 슬래시, "//"는 연결을 나타내고 있다. 즉, "Stream(P1)//Stream(P2)"은, 샘플링 포인트 P1, P2에서 두개의 사운드 유닛들을 연결한 424×2 바이트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값 "IV"는 CBC 모드의 8 바이트의 초기값을 나타낸다. 그 값은 4 바이트의 컨텐츠 사이즈 "length" 및 1 바이트의 트랙 정보 "TrackModeByte"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제공된다.
여기서, 4 바이트의 컨텐츠 길이 "Length" 및 1 바이트의 트랙 정보 "TrackMode Byte"는 도 18에 도시된 기록 오브젝트 제어 명령에 의해서 통지되는 4 바이트의 컨텐츠 사이즈 "Content Size"와 1 바이트의 트랙 모드 "Track Mode"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ID 생성은, 기록 재생 장치(20A)의 복호 유닛(28)에 예시적으로 탑재되는 해시H 엔진에 의해서 행해진다. 상기 수학식 1, 2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20A)는, 체크아웃 세션 동안, 기록 오브젝트 제어 명령을 수신(도 26의 단계 F106)함으로써, 상기 "IV"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 이전에 기록 오브젝트 제어 명령에 있어서의 "컨텐츠 사이즈(Content Size)" 데이터로부터 컨텐츠 데이터 길이가 알려질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컨텐츠 데이터 길이에 대하여 1/3의 위치, 2/3의 위치에서 예시적으로 설정된 샘플링 포인트 P1, P2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되어, 샘플링 포인트 P1, P2로부터 데이터가 샘플링된 시점 이후는, 상기 수학식 1에만 기초하여 컨텐츠 ID를 산출할 수 있다.
미니 디스크(100) 상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는 U-TOC 섹터 0의 데이터로부터 산출할 수 있음이 명백하므로,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위치는 확인할 수 있다. 체크아웃 세션 동안, 기록 오브젝트 제어 명령로 통지되는 "트랙 모드(Track Mode)" 데이터가, U-T0C 섹터 O에서의 트랙 모드 영역에 기록된다. 따라서, U-TOC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학식 2의 산출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미니 디스크(100) 상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 항목의 컨텐츠 ID는, 어떠한 시점에서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방식으로, 기록 재생 장치(20A)는 체크아웃된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ID를 독자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실용화를 위해서는, 이들 컨텐츠 ID들은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서 생성되어 HDD(5)에 저장된 다른 컨텐츠 ID와 적절하게 연관시켜야만 한다.
HDD(5)에 저장되는 컨텐츠 ID는 퍼스널 컴퓨터(1)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생성된 것이다. 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얻어진 컨텐츠 ID는, HDD(5)와 같은 1차 기록 매체를 장착한 장치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에 고유인 정보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러한 고유 정보는 HDD(5)에 저장된 시간 정보나 난수 등뿐 아니라, 장치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유일한 ID를 포함한다.
이러한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서 생성된 컨텐츠 ID (예를 들면, 제1 컨텐츠 ID)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측의 데이터 테이블에 기록 재생 장치(20A)에 의해서 생성된 컨텐츠 ID(예를 들면, 제2 컨텐츠 ID)와 대응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그 테이블 내의 데이터는, HDD(5)와 같은 1차 기록 매체를 장착한 장치에 유일한 데이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체크아웃 세션 시에는, 기록/재생 장치(20A)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ID가, 도 27의 단계 F211에서 기록 오브젝트 응답 명령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된다. 도 27의 단계 F108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테이블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 단계들은 체크아웃될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ID가 해당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재생 장치(20A)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도 30에 도시된 테이블 데이터의 엘리먼트를 생성하도록 수행한다. 도 30은 그 각각이 제1, 제2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3개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을 도시한다.
이러한 테이블 데이터가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관리되는 (예를 들면, HDD(5) 상에 기록 및 갱신되는) 경우, 미니 디스크(100)에 대하여 체크아웃된 컨텐츠 데이터는 콘턴츠 ID를 사용하여 관리될 수 있다. 즉, 체크아웃/체크인 전송이 적절히 관리될 수 있다. 미니 디스크(100)가 컨텐츠 ID를 저장할 공간을 갖지 않더라도, 기록/재생 장치(20A)는 미니 디스크(100) 상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컨텐츠 ID를 산출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1)가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을 체크인할 경우, PC는 해당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제2 컨텐츠 ID를 송신할 것을 기록/재생 장치(20A)에 요구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송신된 제2 컨텐츠 ID를 수신하면, 이전의 체크아웃 시에 기록/재생 장치(20)로부터 송신되어 와서 도 30의 테이블 데이터에 보유되어 있는 제2 컨텐츠 ID와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에서 일치하는 경우, 퍼스널 컴퓨터(1)는 제1 컨텐츠 ID를 사용하여 PC측에서 관리되는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을 체크인 처리한다. 이러한 처리들은 도 28의 단계 F151, F151, F252, 및 F253에 특히 대응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컨텐츠 ID 관리 방식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이 (미니 디스크(100) 등의) SDMI 비대응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 즉, 컨텐츠 권리의 관리를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
12. 체크아웃 시 및 체크인 이전에 컨텐츠 ID를 생성하는 처리
기록/재생 장치(20A)가 컨텐츠 ID를 생성할 필요가 있는 두 가지 경우는: 체크아웃 시 컨텐츠 ID가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되는 경우 (즉, 퍼스널 컴퓨터(1)가 도 30에 도시된 테이블 데이터 관리를 실행하도록 기록 오브젝트 응답 명령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경우)와; 체크인을 위해 컨텐츠 ID가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요구된 경우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컨텐츠 ID는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로부터 추출된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체크아웃 전송의 경우, 통상적인 수순은 먼저,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가 미니 디스크(100)에 기입된 후에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로부터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그 다음, 샘플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 ID를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체크인 전송의 경우, 통상적인 수순은 먼저,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컨텐츠 ID를 공급하라는 요구에 대응하여 미니 디스크(100) 상의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로부터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그 다음, 샘플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 ID를 산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수순들에서는, 체크아웃 세션 시에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데이터의 액세스/판독의 수고가 요구된다. 이는 컨텐츠 ID를 산출하기 위한 시간을 요하고, 전체 체크아웃 통신 시간을 연장시킨다. 또한, 체크인 세션 시에도, PC의 컨텐츠 ID 요구에 대응하여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데이터의 액세스/판독이 요구된다. 또한, 이것도 컨텐츠 ID를 산출하기 위한 시간을 요하고, 전체 체크인 통신 시간을 연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 논의되는 단계들은 보다 효율적이고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식으로 컨텐츠 ID를 산출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도 31은 체크아웃 세션 시에 기록/재생 장치(20A)가 컨텐츠 ID(content ID : CID)를 생성하는 단계들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 단계들은 시스템 제어부(32) 및 복호부(28)에 의해서 도 27의 단계 F209에서 수행되는 상세한 처리를 구성한다.
도 26의 단계 F106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가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 직전에 기록 오브젝트 제어 명령을 기록/재생 장치(20A)로 송신한다. 단계 F106 다음에는, 컨텐츠 ID를 생성하기 위한 도 27의 단계 F209가 후속하며, 단계 F109는 도 31의 단계들에서 분류된 것이다. 도 31의 단계 F301에서는 전송될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의 길이가 수신된 기록 오브젝트 제어 명령 중의 데이터로부터 확인된다. 단계 F302에서는 컨텐츠 데이터 스트림의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가 컨텐츠 데이터 길이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단계 F303에서는, 대상이 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수신에 관한 처리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 7의 블록도에 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이 수신되기 시작하여, 복호되고, ATRAC3 데이터로서 버퍼 메모리(30)에 축적되며, 인코더/디코더(24)에 의해 인코딩되어, 기록/재생부(25)에 의해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된다.
컨텐츠 데이터의 수신, 복호, 버퍼링, 인코딩, 및 기록 동안에, 샘플링 포인트 P1으로부터의 데이터가 모니터링된다. 단계 F304에서는, 샘플링 포인트 P1으로부터의 사운드 유닛의 데이터가 예를 들면 버퍼 메모리(30)에서 확인된다. 확인처리가 성공적이면, 사운드 유닛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30)에 의해 버퍼링되는 데이터 스트림과는 별도로 버퍼 메모리(30)의 또 다른 영역에 저장된다.
계속해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면서, 단계 F305에서는 샘플링 포인트 P2로부터의 사운드 유닛 데이터가 예를 들면 버퍼 메모리(30)에서 확인된다. 확인 처리가 성공적이면, 이 사운드 유닛 데이터도 또한 버퍼 메모리(30)에 의해 버퍼링되는 데이터 스트림과는 별도로 버퍼 메모리(30)의 또 다른 영역에 저장된다.
단계 F306에서는, 대상이 되는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의 수신, 복호, 버퍼링, 인코딩, 및 기록이 완료된다. 컨텐츠 데이터가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면, 단계 F307에서는 복호부(28)의 해쉬(hash) 엔진이 버퍼 메모리(30)로부터,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판독된 데이터는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사용하여 컨텐츠 ID를 산출하는 데 기초로서 제공된다. 단계 F308에서는, 산출된 컨텐츠 ID가 기록 오브젝트 응답 명령에 세트(set)된다. 기록 오브젝트 응답 명령은 도 27의 단계 F211에서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된다.
상술된 단계들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가 미니 디스크(100)에 기입되기 이전에,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로부터의 데이터가 추출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는 컨텐츠 ID 산출 시에 미니 디스크(100)가 재생 상태로 하면서 그 샘플링 포인트 데이터를 디스크로부터 판독하기 위한 시크(seek)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컨텐츠 ID 산출 처리를 매우 효율적이게 하고, 그에 상응하여 체크아웃 세션 시간을 단축시킨다.
도 32a 및 도 32b는 체크인에 관하여 컨텐츠 ID가 요구된 경우에 컨텐츠 ID를 신속하게 송신하기 위한 단계들에 대한 흐름도이다. 컨텐츠 ID는,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 자체가 기록되어 있는 것과, 해당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의 길이 및 트랙이 확인되어 있는 것의 2가지 조건 상에서 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U-TOC 섹터 0에서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과 그 관련 데이터가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판독되면, 그 컨텐츠의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로부터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고, 따라서 컨텐츠 ID가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도 32a의 흐름도는, 미니 디스크(100)가 장정되자마자 또는 미니 디스크(100)가 장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된 경우 즉, TOC 데이터가 판독될 때마다,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에서의 데이터가 샘플링되는 단계들을 나타낸다.
도 32a의 단계 F401에서는 TOC 데이터가 판독된다. 단계 F402에서는 변수 n이 1로 설정된다. 단계 F403에서는 트랙 #n (#n은 트랙 번호를 나타냄. 즉, 최초는 제1 트랙을 표시함)에 대하여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가 산출된다. U-TOC 섹터 0의 데이터가 이미 판독되었으므로, 이 트랙에 대하여 두 포인트 P1 및 P2가 용이하게 산출된다. 단계 F404에서는, 트랙 #n에 대한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에서의 데이터가 실제로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판독되고, 버퍼 메모리(30)의 소정의 영역에 저장된다.
단계 F405에서는, 변수 n이 최후의 트랙 번호를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가 수행된다. 최후의 트랙 번호가 아니면, 단계 F406에서는 변수 n이 1 증분된다. 단계 F406 다음으로 단계 F403이 후속된다. 그리고, 트랙 #n (즉,이번에는 제2 트랙)에 대한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가 산출된다. 다음으로,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에서의 데이터가 샘플링되고, 버퍼 메모리(30)에 저장된다. 즉, 단계 F403 내지 단계 F406의 루프 처리가 미니 디스크(100) 상에 수록된 전 트랙에 대하여 수행된다. 데이터가 샘플링되고 버퍼 메모리(30)에 저장된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를 산출하는 데 트랙들 각각의 길이가 이용된다. 모든 트랙이 처리되면, 단계 F405 다음에는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도 28의 단계 F151에서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재생 장치(20A)로부터 컨텐츠 ID를 요구한다면, 도 28의 단계 F252는 도 32b에 도시된 상세한 단계들로 나뉘어져 장치(20A)에 의해 실행된다. 도 32b의 단계 F451에서, 요구된 트랙 번호를 가지는 트랙의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에서의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30)로부터 판독된다. 단계 F452에서, 복호부(28)의 해시 엔진은 판독된 데이터를 기초로 컨텐츠 ID를 산출한다. 컨텐츠 ID의 산출을 위해서 상기식(1) 및 (2)에서 필요한 컨텐츠 데이터의 트랙 모드 및 길이는, 그 시점에서 이미 버퍼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U-TOC 데이터로부터 판별될 수 있다. 단계 F453에서, 생성된 컨텐츠 ID는 응답 명령에 설정된다. 이 응답 명령은 도 28의 단계 F253에서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된다.
상기 단계는, 퍼스널 컴퓨터(1)가 컨텐츠 ID를 요구할 때, 장치(20A)가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에서의 데이터를 판독할 필요가 없게 한다. 이는 컨텐츠 ID에 대한 PC의 요구에 대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수 있게 한다. 체크인 세션에 요구되는 전체 통신 시간은 상당히 단축된다.
도 32a 및 32b에 도시된 단계들은 도 33a 및 33b에 도시된 단계들로 선택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32a, 32b, 33a 및 33b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단계를 지정하며, 이후에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3a의 단계 F403에서, 트랙 #n의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가 산출된다. 단계 F410에서,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에서의 데이터는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판독된다. 판독된 데이터는 복호부(28)의 해시 엔진에 공급된다. 단계 F411에서, 컨텐츠 ID는 공급된 데이터에 기초해서 산출된다. 이에 따라 산출된 컨텐츠 ID는 버퍼 메모리(30)에 저장된다.
상기 단계는 미니 디스크(100)상에 수록되어 있는 전 트랙에 대하여 실행된다. 즉, 컨텐츠 ID는 사전에 생성되어, 버퍼 메모리(30)에 저장된다.
컨텐츠 ID가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요구될 때, 도 28의 단계 F252는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된다. 도 33b의 단계 F461에서, 요구된 트랙 번호를 가지는 트랙의 컨텐츠 ID는 버퍼 메모리(30)로부터 판독된다. 단계 F462에서, 판독된 컨텐츠 ID는 응답 명령에 설정된다. 응답 명령은 도 28의 단계 F253에서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된다.
상기 단계는, 퍼스널 컴퓨터(1)가 상기 ID를 요구할 때, 기록/재생 장치(20A)가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에서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컨텐츠 ID를 산출할 필요가 없게 한다. 이는 컨텐츠 ID에 대한 PC의 요구에 대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더욱 단축시킨다.
도 32a 또는 33a의 단계는, 기록/재생 장치(20A)에 의해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TOC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는 경우에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단계들은 판독 또는 홀드 처리 동안, 또는 소정의 적절한 유휴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는 미니 디스크로부터 고속 전송 레이트로 간헐적으로 판독되기 때문에,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에서의 데이터는 간헐적으로 수행되는 판독 동작 사이의 유휴 시간에 샘플링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든, 도 32a 또는 33a의 단계가 컨텐츠 ID에 대해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만들어진 요구에 앞서서 수행되면, 체크인 세션은 전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될 수 있다.
13. 컨텐츠 기입 제어 플래그
도 26 및 도 27의 단계에서 주어진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이 체크아웃되면, 미니 디스크(100)측에서, 트랙 모드 데이터의 비트 d1은 상술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에 대해 U-TOC 섹터 0에서 1로 설정된다. 비트 d1은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된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기입 제어 플래그로서 기능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비트 d1은 기입-보호 플래그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을 제공한다. 비트 d1이 설정된 소정의 트랙은 소거, 분할, 연결등의 편집이 금지된다. 이는,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기타 종래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 뿐만 아니라, 미니 디스크 레코더를 동작시키는 기록/재생 장치(20A)에도 적용된다.
그러나, 실제로 비트 d1은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 의해 기록된 어떤 트랙에 대해서도 미니 디스크(100)에 자동적으로 설정되지 않는다. 비트 d1은 주어진 트랙에 대한 기입-보호 플래그로서 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체크아웃되는 트랙상에 기입된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을 명시하는 정보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비트 d1을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의 편집을 금지하는 기입 제어 플래그로서 이용한다. 체크인 세션에 대한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은 또한, 비트에 의해 지시된 트랙이 이전에 확실히 체크아웃된 것인지의 여부의 판별하기 위해 비트 d1을 체크한다.
체크아웃된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이 체크인되려면, 복귀된 데이터 아이템이 데이터 관리상 PC측상에 보존되어 있는 것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재생 장치(20A)는 컨텐츠 데이터의 길이에 기초해서 샘플링 포인트 P1 및 P2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ID를 산출한다. 컨텐츠 데이터의 길이가 분할 또는 연결로 인해 변화되었다면, 체크아웃시의 영향으로 동일한 컨텐츠 ID를 생성할 수 없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은, 컨텐츠 ID가 불일치하기 때문에 적절한 사용 규칙 관리를 불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일이 발생한다면, 시스템은 체크인 컨텐츠 데이터를 허용할 수 없고, 편집된 컨텐츠 데이터의 체크인을 인정하는 것은 적절한 사용 규칙 관리의 원리에도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모든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가 미니 디스크(100) 상에서는 편집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4는 기입 제어 플래그가 기록/재생 장치(20A)에 의해 전형적으로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34에서, 참조 문자 WPF는 기입 보호 플래그, 즉, U-TOC 섹터 0의 트랙 모드 데이터내의 비트 d1을 나타낸다. 체크아웃되어 미니디스크(100)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에 대해서, 기입 보호 플래그 WPF는 도 27의 단계 F212에서 U-TOC 데이터의 갱신 동안에 온된다(S100). 플래그 WPF는 본 시스템에 의해 체크아웃되지 않으면서, 기록 재생 장치(20A)에 의해서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의 기타 미니 디스크 레코더에 의해서 미니 디스크(100)상에 기록된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이하에서, 이렇게 기입된 데이터는 자기 녹음 컨텐츠 데이터로 불린다)에 대해서는 남아 있지 않는다(S105).
하나의 관리 수단으로서, 기입 제어 플래그 WPF가 온이 되기 위한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트랙)은 이후의 체크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일체의 편집을 금지하는 것이 있다. 또 다른 관리 수단은, 사용자에게 편집이 행해지면 이후의 어떤 체크인도 불가능하다는 경고를 준 후에, 사용자가 관심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일체의 편집을 금지하는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32)는 주어진 컨텐츠 데이터 아이템에 관해 발행된 소정의 편집 명령을 거부하도록 진행한다(S101). 이 경우에, 체크아웃된 컨텐츠 데이터는 어떤 방식으로든 편집을 할 수 없다. 기입 보호 플래그 WPF는 온 상태로 남아 있다(S101 내지 S104).
자기 녹음 컨텐츠 데이터는 자유롭게 편집 가능하다(S106). 사용자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 편집 명령이 주어지면, 시스템 제어부(32)는, 관심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고 이에 따라 U-TOC를 갱신하도록, MD 제어부(21)를 지시한다. 편집이 수행되든 안되든, 기입 보호 플래그 WPF는 모든 자기 녹음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남아 있지 않다(S105 내지 S104, 또는 S105 내지 S106 내지 S104).
체크아웃된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고한 후에 편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32)는, 사용자로부터 또는 다른 소스들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소정의 편집 명령에 응답해서 경고 메시지(S102)를 발행시키기 위해서,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은 표시 기능을 발생시킨다. 메시지는 편집 이후에 발생가능한 체크인의 사용불가능성을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말이다.
이 경고에 따라서 사용자가 편집 명령을 취소하면, 편집은 당연히 실행되지 않는다(S102 내지 S104). 만약 사용자가 경고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편집을 행하면,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납득하였다고 간주되어, 데이터가 더이상 체크인될 수 없는 조건의 관심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이 허가된다. 즉, 시스템 제어부(32)는, MD 제어부(21)가 사용자 또는 다른 소스들에 의해 지정된 관심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고, 이에 따라 U-TOC를 갱신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에, 편집될 트랙에 대한 기입 보호 플래그 WPF, 특히, U-TOC 섹터 0의 트랙 모드 데이터내의 비트 dl은 오프된다(S103).
<131-159>
이상의 단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편집이 행하여지지 않는 한, 기입 제어 플래그 WPF는 턴온된다. 편집된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리고 편집의 유무에 상관없이 자기 녹음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기입 제어 플래그 WPF는 턴오프된다. 도 28의 체크인 세션에 있어서의 단계 F1511에서,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재생 장치(20A)로부터 체크인될 컨텐츠 데이터 항목의 컨텐츠 ID를 요구한 때, 단계 F251의 장치(20A)는 U-TOC 섹터0의 트랙 모드 데이터의 기입 제어 플래그 WPF(비트 d1)가 온인지의 여부를 단지 체크할 필요가 있다.
만약 컨텐츠 ID가 요구된 컨텐츠 데이터 항목에 대하여 플래그 WPF가 오프이면, 기록/재생 장치(20A)는 퍼스널 컴퓨터(1)에게 체크인이 성취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단순히 통지한다. 이것은 매우 낭비적인 방식으로서, 즉, 컨텐츠 ID를 통지 및 대조하여 결국 체크인 거절로 되는 도 28의 단계 F253 및 F152는 수행할 필요를 없앤다. 즉, 이 도 28의 단계 F253 및 F152의 처리는, 편집되어 있지 않은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만 컨텐츠 ID 대조를 위하여 수행된다. 낭비적인 우회가 회피되고, 체크인 통신 세션 및 ID 확인 처리가 이전보다 매우 효율화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자기 녹음 컨텐츠 데이터는 편집이 자유롭다. 그러나, 미니 디스크(100)에 있어서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와 자기 녹음 컨텐츠 데이터가 혼재하고 있는 경우와 자기 녹음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도 자유로운 편집을 제한하고싶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100) 상에 유지된 컨텐츠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1)상에 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것이 소망될 수 있다. 자기 녹음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이러한 제한적인 편집은 도 24 의 배타적 로그인 제어 명령과 도 25 의 배타적 로그아웃 제어 명령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실현된다. 이러한 커멘드는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재생 장치(20A)에 대해 배타 제어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퍼스널 컴퓨터(1)가 도 24의 배타적 로그인 제어 명령을 기록/재생 장치(20A)에 송신하면, 시스템 제어부32는 그 커멘드의 "우선순위" 데이터로 구성된 값에 의존하여 편집 금지/제한 모드에 들어 간다. 이 모드가 유효로 되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지적되는 대로 자기 녹음 컨텐츠의 편집은 금지 또는 제한으로 된다(S107). 사용자 개시된 동작(파워온 및 디스크 이젝트를 포함함)에 대하여 어떤 레벨까지 거절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배타적 로그인 제어 명령에 있어서의 "우선순위" 데이터의 값에 의존하며, 그 우선순위 값은 상술한 제어 레벨 중의 하나를 이룬다.
배타적 로그아웃 제어가 송신된 경우에는, 그때까지의 편집에 대한 금지 또는 제한은 해제된다. 이것은, 자기 녹음 컨텐츠 데이터가 다시 편집가능해지도록 한다(S107 내지 S106).
배타적 로그인 제어 명령은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재생 장치(20A)에 대한 배타 제어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시스템 동작의 형편에 따라 제어된 편집은 시스템이 이전보다 더 편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14. 과금 정보 처리
본 발명의 시스템의 과금 정보 처리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분배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과금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전형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이 시스템 구성은, 컨텐츠 데이터 서버(91)의 구성이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악곡 데이터와 같은 컨텐츠 데이터를컨텐츠 서버(91)로부터 1차 기록 매체(HDD5)로 다운로드하고, 그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미니 디스크(100))로 체크아웃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 서버(91)가, 컨텐츠 데이터를 유료로 제공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컨텐츠 서버(91)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조직이나 개인에 의해서 운영된다. 기본적으로는, 컨텐츠 서버(91)는 3가지 기능을 포함하는데,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컨텐츠 데이터보유 기능, 네트워크(110)를 통한 통신 링크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 및 컨텐츠 데이터 제공을 받는 사용자에 대한 과금 정보를 관리하는 과금 기능이 그것이다. 이들 기능은, 하나의 조직, 하나의 회사 등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는, 이 기능들은 다른 조직, 회사, 개인 등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연계적으로 관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들 기능은 각각이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로서 운영될 수도 있고, 링크에 의해 연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사이드에 제공된 미니 디스크(100) 및 메모리 카드는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2차 기록 매체로서 전술되어 왔다. 이 2차 기록 매체는 후술하는 선불 정보가 기입불능에 기록되어 있다. 개개의 사용자에 대한 과금 처리를 행하는 때에, 컨텐츠 데이터 서버(91)는 2차 기록 매체로부터 선불 정보를 수신한다.
컨텐츠 데이터 서버(91)는,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 고객 정보 장치(150),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160), 및 고객 데이터 베이스(170)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1)등에 에 대해 분배되는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0)는 컨텐츠 보유 기능을 수행하여, 각종 컨텐츠 데이터가 축적되게 한다. 고객 정보 장치(150) 및 고객 데이터베이스(170)는 분배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을 받는 사용자에 대한 과금 관리를 행하는 과금 기능을 실현한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0)는 하드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의해 구성되며, 사용자에 대한 분배를 위해 준비된 음악 라이브러리 형식으로서의 음악 컨텐츠 데이터 등의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0)가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탐색,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어하게 하게 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판독,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에 제공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170)는,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개개의 2차 기록 매체(100)에 기록되어 있는 선불 정보에 대응하여, 과금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고객 정보 장치(150)는, 고객 데이터베이스(170)가 과금 정보를 등록하거나 탐색하도록 하게 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로부터의 요구가 주어지면, 고객 정보 장치(150)는 고객 데이터베이스(170)가 과금 정보를 신규로 등록하게 하거나, 혹은 그로부터의 특정의 과금 정보를 탐색하여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에 그 탐색된 정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컨텐츠 데이터 서버(91)는 하나의 조직, 하나의 회사 또는 개인 등에 의해 운영될 수도 있고, 각각 다른 조직 등에 의해서 운영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는 분배 서비스 회사에 의해서 운영되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0)는 기록 회사 또는 기록 라벨 회사 등에 의해서 운영되고, 고객 정보 장치(150) 및 고객 데이터베이스(170)는 과금 서비스 회사에 의해서 운영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0)가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가 이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0)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유래된 컨텐츠 데이터를 분배하는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컨텐츠 데이터 서버(91)와 통신을 행하거나, 제공가능한 컨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메뉴)를 서버(91)로부터 수신한다. 주어진 리스트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필요한 조작을 행한다. 이에 대해, 컨텐츠 데이터 서버(91)는 그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 항목을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사용자는 상술한 체크아웃 세션을 통하여 2차 기록 매체(100)에 기록된 그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얻는다. 이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악곡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컨텐츠 데이터 항목에 대한 요금은, 2차 기록 매체(100)로부터 탐색된 선불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된다. 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각각의 서로 다른 2차 기록 매체(100)는 선불 정보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유의 매체 ID 및 선불 금액을 포함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재생 장치(20A(20B))로부터 선불 정보를 수신하여, 그 선불 정보를 컨텐츠 데이터 서버(91)에게 송신한다.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는 그 수신된 선불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데이터베이스(170)가 과금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한다. 대략적으로 말하면, 고객 데이터베이스(170)는 개별적인 2차 기록 매체(100)상에 기록된 선불 정보에 대응하여 과금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주어진 컨텐츠 데이터가 특정의 2차 기록 매체에 분배되면, 그 기록 매체상의 선불 정보내의 선불 금액은 그 분배된 항목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값만큼 감산해 간다. 즉, 분배된 컨텐츠 데이터 항목은 고객 데이터베이스(170) 내의 부가가능한 과금 정보의 갱신에 의해 과금된다. 2차 기록 매체(100)에 기록되어 있는 선불 정보에 대해서는, 갱신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고객 데이터베이스(170)에는, 도 37과 같은 과금 정보가 등록된다. 여기서 말하는 과금 정보란, 하나의 선불 정보(하나의 2차 기록 매체(100))에 대응하여 등록되는 데이터군을(을)말하며, 예를 들면 매체 ID, 잔액, 구입 이력 등의 데이터로부터 하나의 과금 정보가 구성된다. 도 37에는 매체 ID로서의 ID1 내지 ID5 의 각각에 대응하여 과금 정보 K1 내지 K5 가 등록되어 있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과금 정보에 있어서의 매체 ID란, 후술하는 선불 정보에 포함되고 있는 매체 ID 이다. 잔액이란, 선불원금으로부터 컨텐츠 데이터 구입마다 그 대금이 빠져나가도록 갱신되는 것으로, 현재에서의 선불 잔금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구입 이력은 구입일시, 컨텐츠 데이터명, 컨텐츠 데이터 금액, 사용 단말 등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구입 이력은 구입이 이루어지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구성한다.
과금 정보는 또한, 선불원금이나, 매체종별, 매체 판매자, 구입 컨텐츠 데이터의 저작권자 등의 다양한 정보가 과금 정보에 포함되더라도 좋다. 대안으로서, 구입 이력은 모두 생략되더라고 좋다. 본 발명의 분배 동작에 관하고 말하면, 적어도 매체 ID와 잔액의 정보가 과금 정보로서 포함되고 있으면 잘, 다른 정보는 분배 시스템의 운영 상의 형편이나 서비스 내용 등에 따라서 설정하면 좋다.
선불 정보는, 2차 기록 매체(100)에 있어서 재기입 불능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이고, 기본적으로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불 금액, 선불 서비스 ID, 매체 ID 로 구성된다.
선불 금액이란, 사용자가 선불로서 지불한 금액을 의미한다. 2차 기록 매체(100)는, 예를 들면 컨텐츠 데이터로서는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의 미니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로서 판매되지만, 그 판매 가격은 선불 금액을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예를 들면, 미사용의 경우의 통상의 판매 가격이 500엔의 매체라고 했을 때에, 선불 정보에 있어서 선불 금액이 5000엔과 기록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100)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는 5500엔으로 사용자가 구입하는 것이 된다. 물론 판매 가격은 임의이고, 상기2차 기록 매체(100)가, 매체 자체는 무료라고 되어 선불 금액만의 5000엔으로 판매되거나, 혹은 4800엔에 discount되어 판매되더라도 괜찮지만, 선불 금액이 5000엔과 기록된 2차 기록 매체(100)를 구입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분배 시스템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 분배 서비스에 관하여, 5000엔을 선불한 것이 된다.
선불 서비스 ID는, 컨텐츠 데이터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데이터 서버(91)의 어드레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 어드레스는 인터넷에 있어서의 IP 어드레스와 같은 네트워크(110)에 있어서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에 통신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기록/재생 장치(20A)에 로드된 2차 기록 매체(100)로부터 선불 정보를 수신하면, 퍼스널 컴퓨터(1)는, 그 정보내의 선불 서비스 ID에 기초하여, 컨텐츠 데이터 서버(91)에 액세스를 행하여, 통신 접속을 구할 수 있다.
또 컨텐츠 데이터 서버(91)의 구성에 따라, 선불 서비스 ID는,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의 어드레스 대신에,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의 어드레스, 혹은 고객 정보 장치(150)의 어드레스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 , 고객 정보 장치(150)가 각각 인터넷 상에 형성되고 링크된 Web 페이지를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선불 서비스 ID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의 어드레스로서, 퍼스널 컴퓨터(1)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에 대하여 통신 액세스를 행하도록 한다. 데이터 분배 처리가 얼마나 진행하였나에 따라 고객 정보 장치(150)는 현재의 셋업에 링크되어,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가 모든 연결된 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선불 서비스 ID가 고객 정보 장치(150)의 어드레스가 되어, 퍼스널 컴퓨터(1)가 고객 정보 장치(150)에 대하여 통신 액세스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분배 처리의 진행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는 현재의 셋업에 링크되어, 네트워크 분배 장치(130)가 모든 연결된 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매체 ID는, 개개의 2차 기록 매체(100)에 대하여 각각 고유하게 첨부된 식별번호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불 매체로서의 2개의 2차 기록 매체(100)를 구입한 경우, 그 2개의 기록 매체(100)는, 각각 다른 매체 ID를 갖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선불 정보는, 예를 들면 선불 금액에 8 비트를, 선불 서비스 ID에 22 비트 내지 32 비트 정도를, 매체 ID에 32 내지 40 비트 정도를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비트 수는 선불 시스템의 설계의 관점에 따라 결정하면 좋다. 또한 선불 서비스 ID에는, 서버의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충분한 비트 수가 할당될 수 있다. 매체 ID에는, 판매하는 선불 매체의 총수에 고유의 ID 번호를 할당할 수 있기 위해 충분한 비트 수가 할당되면 좋다. 예를 들면, 선불 금액에 적어도 1 바이트(8 비트), 선불 서비스 ID에 3 바이트 또는 4 바이트, 매체 ID에 3 바이트 또는 4 바이트가, 8 바이트 정도의 데이터 포맷으로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2차 기록 매체(100)에 기록되는 선불 정보와, 도 37에 나타낸 과금 정보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매체 ID가 ID1이고 선불 금액이 5000엔인 2차 기록 매체(100)를 사용자가 구입하였다고 가정한다. 컨텐츠 데이터 서버(91)측에서는, 이 2차 기록 매체(100)가 최초로 사용된 시점에 고객 데이터베이스(170)에 도 37에 도시된 과금 정보 K1을 등록된다. 이 시점에 등록된 매체 ID 와 잔액은 선불 정보에 초기에 유지된 것과 동일하다. 더욱 자세히 말하면, 이 과금 정보 K1은 매체 ID가 ID1이고, 잔액이 5000엔인 것으로 현재 구성되어 있다.
컨텐츠 데이터 항목이 그 2차 기록 매체(100)에 계속하여 다운로드(즉, 체크아웃)되는 경우 그 컨텐츠 데이터의 요금은 과금 정보 K1의 잔액으로부터 감액된다. 즉, 컨텐츠 데이터 항목이 다운로드(체크아웃)되는 때마다, 현재 로드된 2차 기록 매체(100)상의 선불 정보에 있어서의 매체 ID는, 고객 데이터베이스(170) 상에서 대응하는 과금 정보를 액세스하는 근거로서 이용되며, 잔액은 과금 정보의 다운로드된 항목에 대한 요금만큼 감액된다.
예를 들면, 도 37의 과금 정보 K1내의 잔액이 3700엔이라는 것은 매체 ID가 ID1인 2차 기록 매체(100)에 그 값이 1300엔인 컨텐츠 데이터 항복이 구입되고 다운로드되고 그 구입된 금액이 초기의 선불금액으로부터 감액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금 처리 방식 하에서 사용자가 소유하는 2차 기록 매체(100)상의 선불 정보는 전혀 갱신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선불 정보는 2차 기록 매체(100)상에서 변경불가로서 기록되어 있으면 좋다. 선불 정보가 2차 기록 매체(100)에 있어서 갱신 가능한 종래의 셋업과는 달리, 시장에 제공된 매체상의 변경불가한 선불정보를 갖는 본 발명의 방식은 선불 금액이나 매체 ID의 위조에 의한 악용이나, 선불 서비스 ID의 변조에 의한 서비스 동작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잇다.
2차 기록 매체(100)로서 이용되는 미니 디스크상의 8 바이트의 선불 정보를 변경불가로 기록해두는 데는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주요 방식이 있다.
(1) P-TOC 내에 선불 정보를 기록함.
(2) U-TOC 내에 선불 정보를 갱신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기록함.
(3) 관리 영역 내에서 U-TOC 영역밖에 선불 정보로 변경 불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기록함.
P-TOC 내에 선불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9의 (a)의 리드인 영역에서의 P-TOC 섹터에 있어서 적정한 8 바이트의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이 할당된 영역은 선불 정보를 수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U-TOC 내에 선불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미 포맷된 섹터 0, 1, 2, 3, 및 4 에 미사용된 영역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대안으로서, 선불 정보가 방해될 가능성을 적절하게 배제하기 위해서는 포맷되지 않은 섹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TOC 섹터(5)내의 8 바이트 영역이 선불 정보의 기록 영역으로서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섹터의 사용 상황을 나타내는 비트(즉, "사용된 섹터"비트)가 0으로 설정되며, 이것은 그 섹터가 사용하고 않고 있는 선불 정보가 갱신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트 지정은 통상의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가 U-TOC 섹터(5)가 사용되어 있지 않은 섹터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하게 한다. 이것은 U-TOC 섹터(5)에 대하여 어떠한 갱신 처리 등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선불 정보가 변경불가되도록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의 기록/재생 장치(20A)는, 선불 정보 탐색을 위한 특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선불 정보를 탐색한다. 섹터 5 가 선불 정보를 수용하기 위한 섹터 6, 7, 또는 다른 섹터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만약 선불 정보가 도 9의 (b)에 도시된 관리 영역에 기록되어 있지만 U-TOC이외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다면, 이 도의 다른 미사용된 클러스터내의 사선 영역 PD로서 도시된 것과 같은 섹터들은 정보를 수용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관리 영역은 파워캘리브레이션 영역 PCA 및 U-TOC 영역을 포함한다. 이들 영역의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P-TOC에 의해서 지시된다. P-TOC를 참조함으로써 통상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가 파워캘리브레이션 영역 PCA 및 U-TOC 영역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P-TOC에 의해서 지시되지 않은 사선 영역 PD는, 통상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로서는 액세스할 수 없다(즉, 이 영역은 액세스되더라도 무의미하게 된다). 이것은 사선 영역 PD에 기록된 선불 정보는 사용자 사이드에서 갱신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이 분배 시스템의 기록/재생 장치(20A) 는 그 위치가 미리 적절하게 식별되어 있는 사선 영역 PD으로부터 선불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예로서, 사선 영역 PD의 개시 위치는, 소정량의 오프셋가 제공된 U-TOC의 스타트 어드레스(P-TOC내에 지시됨)에 의해 정의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TOC은 3개의 클러스터에 걸쳐 기록되기 때문에, U-TOC 스타트 어드레스 USTA에 5개의 5 클러스터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진 위치는 선불 정보 기록 영역을 수용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방식으로, 미니 디스크는 선불 매체(4)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선불 기록 매체로서, 미니 디스크는 메모리 카드 및 CD-R, CD-RW, 및 DVD 등과 같은 광 디스크를 포함하는 어떤 다른 적절한 매체로도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체의 매체에 있어서, 8 바이트 혹은 그 이상의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선불 정보의 기록 위치는 이용된 매체 각각에 특정된 데이터 관리 포맷으로써 유지되도록 결정될 수도 있다.
선불 정보를 이용한 분배 시스템의 상술한 타입이 설정되는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재생 장치(20A)에 로드된 2차 기록 매체(미니 디스크(100))로부터의 선불 정보의 탐색을 필요로 한다. 장치(20A)로부터의 선불 정보에 대한 요구하는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1)는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체크인 제어 명령에 있어서 "서브 기능" 데이터 내에 이 요구를 지정한다. 미니 디스크(100)상에 로드된 선불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하는 경우에, 장치(20A)는 체크인 응답 명령을 이용한다.
도 35는, 선불 정보 처리를 위한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5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1)의 CPU(2)에 의해 실행된 제어 단계는 참조부호 Fl01 내지 F173으로 나타내며, 기록/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 및 MD 제어부(21) 등에 의해서 실행되는 이들 단계는 참조부터 F201 내지 F274로 나타낸다. 통신 세션은 각종의 제어 명령과 그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발송되는 응답 명령을 이용하여 하여진다.
이 세션동안에, 인증 처리의 개시, EKB 전송, 루트 키 탐색이 앞에서 설명된 체크아웃 동안에서와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즉, 도 35의 단계 Fl01 내지 F103 및 F20l 내지 F205는 도 26 및 도 28과 동일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며 중복설명은 하지 않는다.
단계 F170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재생 장치(20A)에 세션의 개시를요구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단계 F270에서, 장치(20A)는 퍼스널 컴퓨터(1)에게 응답 명령을 돌려준다. 이 시점에서, 도 12를 참조하며 설명한 인증 처리가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세션이 개시되고 기록/재생 장치(20A)가 적절하게 인증되면,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71에 도달하며 선불 정보를 요구한다. 즉, 도 20을 참조하며 설명한 체크인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이 명령에 있어서는, "서브 기능" 데이터는 "00h" 도 "01h" 도 아님을 나타내며, 이 데이터는 선불정보를 요구하는 어떤 다른 값을 나타내다(도 21 참조).
체크인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기록/재생 장치(20A)는 미니 디스크(100)상의 특별하게 할당된 영역으로부터 단계 F271에서 선불 정보를 판독한다. 단계 F272에서, 장치(20A)는 8 바이트의 그 검색된 선불 정보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인 응답 명령로 설정하고, 그 명령을 퍼스널 컴퓨터(1)로 보낸다.
체크인 응답 명령내의 선불 정보를 수신하면,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72에서 세션 종료를 요구하는 제어 명령을 기록/재생 장치(20A)에 전송한다. 단계 F273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세션의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명령을 퍼스널 컴퓨터(1)에 보낸다. 단계 F173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인증 처리를 종료시키는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단계 F274에서, 기록/재생 장치(20A)는 인증 처리의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명령을 돌려보낸다. 이것은 선불 정보 전송을 위한 일련의 통신을 종료시킨다.
그 후, 퍼스널 컴퓨터(1)는 통신부(8)가 네트워크(110)를 통해 컨텐츠 데이터 서버(91)에 접속하게 하고, 수신된 선불 정보를 컨텐츠 데이터 서버(91)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한다. 선불 정보가 2차 기록 매체(100)에 대하여 체크아웃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송신되는 때에, 그 서버(91)는 이용가능한 사용자에 대한 과금 처리를 수행하며, 즉 그 서버(91)는 도 37의 데이터베이스내의 대응하는 갱신 처리를 행한다.
선불 정보에 기초한 본 발명의 과금 처리는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2차 기록 매체(100)에 있어서의 고유하며 그에 로드되는 선불 정보의 전송을 요구함으로써 실현된다.
비록 퍼스널 컴퓨터(1)가 2차 기록 매체(100)로부터 고유의 정보로서 선불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아니한다. 대안으로서는, 제어 명령 및 응답 명령의 설정이 각종의 특정의 정보를 얻기 위해 적절하게 준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고유의 이용 상황, 사용자 ID 등과 같은 2차 기록 매체(100)에 기록된 다른 고유의 정보가 퍼스널 컴퓨터(1)가 그 기록 매체(100)의 관리를 하기 위해 얻어 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고유 정보는, 서버(91)에 송신되는 경우에, 그 서버(91)에 의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또는 다양한 제어 수단을 실현하는 데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태양과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해 하여진 것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고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스템 동작으로서의 암호화, 데이터 경로, 체크아웃/체크인 방식, 인증 방식, 컨텐츠 ID 생성 방식, 컨텐츠 ID 관리 방식, 기입 제어 플래그의 실제의 예, 편집 관리, 선불 정보 등은, 각각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1차 기록 매체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의 전송될 수도 있는 것은 SDMI 컨텐츠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종류의 컨텐츠 데이터도 또한 본 시스템에 의해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1차 기록 매체는 HDD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적절한 장치나 부재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2차 기록 매체는 미니 디스크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록 매체 처리 장치(20A)도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차 기록 매체(100)는 CD-R, CD-RW, DVD-RAM, DVD-R, DVD-RW, 및 메모리 카드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20A)는, 이들의 매체에 호환될 수 있는 어떠한 기록 장치라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SDMI 대응의 기록/재생 장치(20B)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0B)에 전송하는 처리는 본 발명의 방식을 이용하여 적절히 처리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즉, 1차 기록 매체측)는, 저장되어 있는 각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리를 관리함과 함께, 그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식별자와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 컨텐츠 식별자를 연계시킨 테이블 데이터의 생성을 통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즉,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전송된 주어진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리를 더욱 관리한다.
즉, 컨텐츠 식별자(컨텐츠 ID)가 2차 기록 매체상에 기록될 수 없을 지라도, 2차 기록 매체 처리 장치에서 생성된 컨텐츠 ID(제2 컨텐츠 식별자)는, 1차 기록 매체 장착된 장치에 의해 보유된 컨텐츠 ID(제1 컨텐츠 식별자)와 연계하여, 2차 기록 매체 상의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컨텐츠 ID에 기초된 체크아웃 및 체크인 세션 중에 적절할 저작권을 미치게 하는 셋업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SDMI-비호환 2차 기록 매체로부터 비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가 복사되거나 재생되는 경우에, 저작권 관리는 적절하여 수행됨과 동시에 사용자측에도 편리성을 보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 판독을 위한 데이터 기록 장치는 비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여 그 축출된 데이터에 기초한 연산을 통하여 제2 컨텐츠 식별자를 생성한다. 이로써, 각각의 컨텐츠 데이터에 고유한 컨텐츠 ID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각각의 컨텐츠 데이터 항목에는 데이터 길이에 기초하는 소정의 방식으로 샘플링 포인트가 설정된다. 이 컨텐츠 데이터의 부분이 각각의 데이터 항목의 잘 정의된 샘플링 포인트로부터 유래된 고유의 컨텐츠 ID는 항상 동일하게 유지된다. 즉, 특정의 2 컨텐츠 식별자는 그 매체에 저장된 그 식별자를 얻을 필요없이 2차 기록 매체상의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지속적으로 가용된다. 이 컨텐츠 식별자는 저작권 관리에 이용하면 특히 이점이 있다.
적어도 하나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샘플링 포인트는, 고려된 데이터 항목의 선두부분 및 종단부분을 제외하고 각각의 컨텐츠 데이터의 어느 곳에도 설정된다.각각의 컨텐츠 데이터 항목의 선두부분 및 종단부분은, 이들 부분들(특히, 오디오 컨텐츠 데이터의 경우)이 무음 데이터를 포함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회피된다. 컨텐츠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은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와 다른 것과의 관계에서 거의 항상 서로 다르며, 그래서 데이터 항목 식별을 위한 기초로서 적절하다.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오는 컨텐츠 데이터가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경우에, 데이터 기록 장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온 그 고려된 컨텐츠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제어 플래그 정보를,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제어 플래그 정보의 유무에 따라서 편집 금지 또는 편집 제한의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2차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를 어떠한 편집의 시도로부터라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체크아웃된 컨텐츠 데이터가 편집되지 않도록 유지하면, 컨텐츠 데이터 자체로부터 유래된 제2 컨텐츠 식별자도 변화하지 않게 유지함으로써, 체크인(즉, 재생 권리의 반환)의 때의 데이터의 일치가 확보된다. 체크아웃 및 체크인 세션이 미리 예견되지 않고 수행되고, 시스템의 정합성이 확보된다.
데이터 전송 장치가 커멘드(체크인 커멘드)를 발송하여 2차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주어진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권리를 소멸시키는 경우에, 데이터 기록 장치는, 그 소멸 커멘드에 대응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그 고려된 컨텐츠 데이터에 관한 제어 플래그 정보의 유무를 확인한다. 적용가능한 컨텐츠 데이터가 편집되었다면, 제어 플래그 정보는 소거된다. 제어 플래그 정보의 유무는 편집이 관심있는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행해졌는지 여부를 의미하기 때문에, 컨텐츠 데이터 항복이 체크인될 수 있는지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게되며, 체크인 세션에 대해 요구된 시간이 상당히 단축화된다. 예를 들면, 디스크로부터 검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 식별자를 계산할 필요가 없고, 데이터 전송 장치가 체크인 세션의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필요를 없게 한다.
제어 플래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는 편집되는 것을 완전히 금지를 할 필요는 없고 적절하게 제한된 방식으로 편집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절한 경고를 발생하게 한 후에 체크아웃 컨텐츠 데이터의 편집이 허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어떤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을 특별히 원하는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경고한 후에 하게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현재는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 항목을 체크인을 원하지 않으면, 그 컨텐츠 데이터 항목은 경고된 데이터의 체크인에 대한 불가의 승인 후에 사용자가 편집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측에서 편리성을 증대시킨다.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편집 금지 또는 제한을 위한 명령이 데이터 기록 장치에 전송되는 경우에, 2차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기록 장치에 의한 편집이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해 제어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체크아웃된 컨텐츠 데이터뿐만아니라 2차 기록 매체 상에 독자적으로 기록된 다른 컨텐츠 데이터도 편집의 금지 또는 제한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및 그의 2차 기록 매체와 함께)가 시스템 기기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이러한 특징은 시스템 상의 정합성이 매체상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비제한된 편집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2차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관하여 편집 금지 또는 제한을 해제하는 명령이 데이터 기록 장치마다에 전송되는 경우에,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기록 장치에 의한 편집의 금지 또는 제한을 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편집을 완전히 제한하는 것을 해제하는 것은, 원한다면 데이터 기록 장치( 및 그의 2차 기록 매체와 함께)를 독립 기기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많은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특정의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3)

  1.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수신된 상기 데이터는 프로그램 영역 및 관리 영역으로 구성된 기록 매체에 기록됨-,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수단;
    상기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
    상기 제1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
    상기 복호화 수단에 의해 복호화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선택적으로 기록하고, 또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라는 명령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식별자에 따라 기록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편집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은 상기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분할 동작, 조합 동작, 및 삭제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3. 통신 라인을 통해,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1차 기록 매체를 구비한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교환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전송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수단;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
    상기 제1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
    상기 복호화 수단에 의해 복호화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 영역에 선택적으로 기록하고, 또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복호화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제1 식별자를 상기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에 기초하여 제2 식별자를 생성하는 식별자 생성 수단; 및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식별자를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라인은 범용 직렬 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라는 명령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편집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라는 명령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편집될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인지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및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편집될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의 반환이 상기 편집 후에는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알리는 알림(announcing)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단에 의해 알린 후에도 사용자가 상기 편집 명령을 실행할 것을 주장하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의 편집을 허용하고, 상기 편집되는 제1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식별자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8. 통신 라인을 통해서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1차 기록 매체를 구비한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교환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전송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수단;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
    상기 제1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
    상기 복호화 수단에 의해 복호화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 영역에 선택적으로 기록하고, 또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상기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제1 식별자를 상기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에 기초하여 제2 식별자를 생성하는 식별자 생성 수단;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식별자를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편집된 경우,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제1 식별자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반환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해 얻어진 상기 제2 식별자 및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제2 식별자 사이의 정합 결과에 따라서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며; 반환될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편집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정합 결과에 따르지 않고,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은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분할 동작, 조합 동작 및 삭제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라인은 범용 직렬 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1. 통신 라인을 통해서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와 교환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수단;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식별자 또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반환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수단;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반환되는경우,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가 상기 수신 수단에 수신되게 하는 정합 수단; 및
    상기 정합의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의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2.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수단 및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의 상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암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 및 상기 복호화 수단에 의해 복호화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되지 않은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 영역에 선택적으로 기록하고, 또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상기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데이터의 일부에 기초하여 컨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는 컨텐츠 식별자 생성 수단; 및
    상기 컨텐츠 식별자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의 상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된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수단;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의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반환되는 경우, 반환될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정합시키는 정합 수단; 및
    상기 정합 수단에 의한 정합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의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라는 명령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기록되고,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편집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라는 명령이 제공되는 경우, 편집될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기록되고,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상기 식별자에 기초한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및
    편집될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의 반환이 상기 편집 후에는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리는 알림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단에 의한 알림 후에도 사용자가 상기 편집 명령을 실행할 것을 주장하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의 편집을 허용하고 이에 따라 상기 편집된 제1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식별자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은 상기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분할 동작, 조합 동작 및 삭제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은 상기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분할 동작, 조합 동작 및 삭제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반환되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정합 수단에 의한 정합 결과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며, 반환될 상기 복호화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편집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정합의 결과에 따르지 않고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9.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 영역에 암호화되지 않은 수신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반면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고, 이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편집되는 식별자를 기록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암호화 상태로 입력된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입력된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편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상기 관리 영역으로부터 재생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라는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 상기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재생된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인 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서 편집될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판정 단계에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편집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명령은 상기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분할 동작, 조합 동작 및 삭제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특징으로 하는 편집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편집될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판정 단계에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의 반환이 상기 편집후에는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알림 단계에서 알림 후에 편집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편집된 제1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자를 교환하도록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동안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의 편집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제어 방법.
  23.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기록 장치를 접속하는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 사이에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식별자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가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반환하는 경우, 반환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가 편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판정 단계에서 편집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금지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판정 단계에서 편집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 식별자에 대해 반환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정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정합 단계에서 정합된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의 반환을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020033054A 2001-06-13 2002-06-12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편집 제어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36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78511A JP3861625B2 (ja) 2001-06-13 2001-06-13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JPJP-P-2001-00178511 2001-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259A true KR20030001259A (ko) 2003-01-06
KR100936847B1 KR100936847B1 (ko) 2010-01-14

Family

ID=1901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054A KR100936847B1 (ko) 2001-06-13 2002-06-12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편집 제어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91346B2 (ko)
EP (1) EP1267344B1 (ko)
JP (1) JP3861625B2 (ko)
KR (1) KR100936847B1 (ko)
CN (1) CN100355234C (ko)
AU (1) AU784284B2 (ko)
MY (1) MY141541A (ko)
TW (1) TW5715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436B1 (ko) * 2003-11-06 2012-01-18 소니 주식회사 정보 기록 매체,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8009B2 (ja) * 2001-06-13 2006-05-2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管理方法
JP3809779B2 (ja) * 2001-06-18 2006-08-1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WO2004001761A1 (ja) 2002-06-25 2003-12-31 Fujitsu Limited 半導体メモリ
JP4007177B2 (ja) * 2002-12-09 2007-11-1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編集方法、データ編集装置
JP2004199769A (ja) * 2002-12-18 2004-07-1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情報処理装置
JP4543608B2 (ja) * 2003-02-26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2005025729A (ja) * 2003-06-09 2005-01-27 Sony Corp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およびファイル転送方法
GB2404487A (en) * 2003-07-31 2005-02-02 Sony Uk Ltd Access control for digital storage medium content
CN1839609A (zh) * 2003-08-20 2006-09-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内容再现系统
US7266653B2 (en) * 2003-09-29 2007-09-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 data mirroring with acknowledgment upon writing copied data to volatile cache memory
JP2005141688A (ja) * 2003-11-10 2005-06-02 Nec Corp 移動体通信端末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KR100982513B1 (ko) * 2003-11-12 201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키를 이용한 저장 매체 디스크 사용 제한 방법 및장치
JP4250510B2 (ja) * 2003-11-26 2009-04-08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とそのコンテンツ配信装置及びユーザ端末装置
JP4567966B2 (ja) * 2003-12-22 2010-10-27 株式会社東芝 エ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エ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4691892B2 (ja) * 2004-03-22 2011-06-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28371A (ko) 2004-06-08 2007-03-1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기록 재생 장치
US20050286535A1 (en) * 2004-06-29 2005-12-29 Shrum Edgar V Jr Verification of consumer equipment connected to packet networks based on hashing values
US7577611B2 (en) 2005-11-07 2009-08-18 Rd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hin client based image and transaction management
US8155975B1 (en) * 2004-11-05 2012-04-10 Rd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figuration and settlement processing of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a hierarchy node model
US9208480B2 (en) * 2004-11-05 2015-12-08 Rdm Corporation Mobile deposit system for digital image and transaction management
JP4131964B2 (ja) * 2004-12-10 2008-08-13 株式会社東芝 情報端末装置
US7386128B2 (en) * 2004-12-29 2008-06-1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Conditional access system providing access to multiple programs or services
US7685166B2 (en) * 2005-01-19 2010-03-23 Panas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9275052B2 (en) 2005-01-19 2016-03-01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annotations of a digital work
US8843414B2 (en) * 2005-02-04 2014-09-23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accessing controlled media objects
US7562301B1 (en) * 2005-02-04 2009-07-14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generating and using playlist identifiers for media objects
JP4569348B2 (ja) * 2005-03-29 2010-10-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60101B2 (ja) * 2005-04-07 2011-08-31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US20060282332A1 (en) * 2005-04-28 2006-12-14 Pfleging Gerald W Method for transmitting a wireless receipt to a personal digital device
US20070143459A1 (en) * 2005-12-19 2007-06-21 Lucent Technologies Inc. Protection of privacy-sensitive information through redundancy, encryption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EP1968061A4 (en) * 2005-12-28 2010-03-31 Panasonic Corp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OF CONTENT DATA
US20070260551A1 (en) * 2006-01-13 2007-11-08 Andreas Eckleder Media Burning Terminal and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
US20070266443A1 (en) * 2006-05-12 2007-11-15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Certified HDD with network validation
JP2007323699A (ja) * 2006-05-30 2007-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
US20080066192A1 (en) * 2006-09-07 2008-03-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Keyless copy of encrypted data
US8725565B1 (en) 2006-09-29 2014-05-13 Amazon Technologies, Inc. Expedited acquisition of a digital item following a sample presentation of the item
US9672533B1 (en) 2006-09-29 2017-06-06 Amazon Technologies, Inc. Acquisition of an item based on a catalog presentation of items
US7865817B2 (en) * 2006-12-29 2011-01-04 Amazon Technologies, Inc. Invariant referencing in digital works
CN101227458B (zh) * 2007-01-16 2011-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ip系统及更新家乡代理根密钥的方法
US9665529B1 (en) 2007-03-29 2017-05-30 Amazon Technologies, Inc. Relative progress and event indicators
US7853900B2 (en) 2007-05-21 2010-12-14 Amazon Technologies, Inc. Animations
WO2009030023A1 (en) 2007-09-04 2009-03-12 Hirsh Murray H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8135760B1 (en) * 2007-11-01 2012-03-13 Emc Corporation Determining the lineage of a content unit on an object addressable storage system
US20090126027A1 (en) * 2007-11-08 2009-05-14 Rambus, Inc. File accessing and retrieval using soft digital rights management technology
US8566431B2 (en) * 2008-01-16 2013-10-22 Razer (Asia-Pacific) Pte. Ltd.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vice identification
JP5201583B2 (ja) * 2008-09-01 2013-06-0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起動プログラム
US9087032B1 (en) 2009-01-26 2015-07-21 Amazon Technologies, Inc. Aggregation of highlights
US8692763B1 (en) 2009-09-28 2014-04-08 John T. Kim Last screen rendering for electronic book reader
US8234431B2 (en) * 2009-10-13 2012-07-31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Interrupt masking for multi-core processors
US9495322B1 (en) 2010-09-21 2016-11-15 Amazon Technologies, Inc. Cover display
CN102479343B (zh) * 2010-11-30 2013-10-30 金蝶软件(中国)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JP5017462B2 (ja) * 2010-12-27 2012-09-0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リムーバブルメディア管理方法
JP5198610B2 (ja) * 2011-03-17 2013-05-15 株式会社東芝 ビデオサーバ装置及びビデオ編集システム
KR101715080B1 (ko) 2011-06-09 201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임 기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펜딩 테이블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는 노드 장치 및 방법
US9043480B2 (en) 2011-10-11 2015-05-26 Citrix Systems, Inc. Policy-based application management
US9183380B2 (en) 2011-10-11 2015-11-10 Citrix Systems, Inc. Secure execution of enterprise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s
US9280377B2 (en) 2013-03-29 2016-03-08 Citrix Systems, Inc. Application with multiple operation modes
US8806570B2 (en) 2011-10-11 2014-08-12 Citrix Systems, Inc. Policy-based application management
US9215225B2 (en) 2013-03-29 2015-12-15 Citrix Systems, Inc. Mobile device locking with context
US20140032733A1 (en) 2011-10-11 2014-01-30 Citrix Systems, Inc. Policy-Based Application Management
US9374620B2 (en) * 2011-10-21 2016-06-21 Sony Corporation Terminal apparatus,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terlocked application feed system
US9158741B1 (en) 2011-10-28 2015-10-13 Amazon Technologies, Inc. Indicators for navigating digital works
US8768518B2 (en) * 2012-06-04 2014-07-01 Grand Mate Co., Ltd. Method of setting exclusive controller for water heater
US9774658B2 (en) 2012-10-12 2017-09-26 Citrix Systems, Inc. Orchestration framework for connected devices
US9189645B2 (en) 2012-10-12 2015-11-17 Citrix Systems, Inc. Sharing content across applications and devices having multiple operation modes in an orchestration framework for connected devices
US9516022B2 (en) 2012-10-14 2016-12-06 Getgo, Inc. Automated meeting room
US20140109171A1 (en) 2012-10-15 2014-04-17 Citrix Systems, Inc. Providing Virtualized Private Network tunnels
US8910239B2 (en) 2012-10-15 2014-12-09 Citrix Systems, Inc. Providing virtualized private network tunnels
US20140109176A1 (en) 2012-10-15 2014-04-17 Citrix Systems, Inc. Configuring and providing profiles that manage execution of mobile applications
US9606774B2 (en) 2012-10-16 2017-03-28 Citrix Systems, Inc. Wrapping an application with field-programmable business logic
US20140108793A1 (en) 2012-10-16 2014-04-17 Citrix Systems, Inc. Controlling mobile device access to secure data
WO2014062804A1 (en) 2012-10-16 2014-04-24 Citrix Systems, Inc. Application wrapping for application management framework
US9971585B2 (en) 2012-10-16 2018-05-15 Citrix Systems, Inc. Wrapping unmanaged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JP6206866B2 (ja) * 2013-02-19 2017-10-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難読化データをサーバに保持させる装置及び方法
US8910264B2 (en) 2013-03-29 2014-12-09 Citrix Systems, Inc. Providing mobile device management functionalities
US9369449B2 (en) 2013-03-29 2016-06-14 Citrix Systems, Inc. Providing an enterprise application store
US8850049B1 (en) 2013-03-29 2014-09-30 Citrix Systems, Inc. Providing mobile device management functionalities for a managed browser
US9985850B2 (en) 2013-03-29 2018-05-29 Citrix Systems, Inc. Providing mobile device management functionalities
US9355223B2 (en) 2013-03-29 2016-05-31 Citrix Systems, Inc. Providing a managed browser
US10284627B2 (en) 2013-03-29 2019-05-07 Citrix Systems, Inc. Data management for an application with multiple operation modes
US8813179B1 (en) 2013-03-29 2014-08-19 Citrix Systems, Inc. Providing mobile device management functionalities
US9501796B2 (en) * 2013-09-18 2016-11-22 Chicago Mercantile Exchange Inc. Dataset intersection determination
US20150269365A1 (en) * 2014-03-20 2015-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media content based on digital rights management
US10873462B1 (en) * 2018-06-21 2020-12-22 Onu Technology, Inc. Verification of computation by untrusted source
CN114116731B (zh) * 2022-01-24 2022-04-22 北京智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indexedDB存储的数据分离存储展示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65122A3 (en) * 1994-03-15 2006-01-18 Kabushiki Kaisha Toshiba Shared file editing system with file content secrecy, version management and asynchronous editing
US5710813A (en) * 1995-03-28 1998-01-20 Olympus Optical Co., Ltd. Digital voic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917119A (ja) * 1995-06-30 1997-01-17 Sony Corp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再生方法
US6144745A (en) * 1997-04-07 2000-11-07 Fujitsu Limite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taining and verifying of data on recording medium
US6987854B2 (en) * 1997-09-25 2006-01-17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f encrypted digital data
US6209097B1 (en) * 1997-12-05 2001-03-27 Tokyo Electron Device Limited Content protection method and content protection system
US6141753A (en) * 1998-02-10 2000-10-31 Fraunhofer Gesellschaft Secure distribution of digital representations
US6118873A (en) * 1998-04-24 2000-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encrypting broadcast programs in the presence of compromised receiver devices
JP3823634B2 (ja) * 1998-12-04 2006-09-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エンコード装置、デコード装置及び通信方法
EP1006526B1 (en) * 1998-12-02 2005-04-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copying system, data copying apparatus, data copy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3327389B2 (ja) * 1998-12-28 2002-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複製システム、複製方法、書き込み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00324745B1 (ko) * 1999-02-09 2002-02-20 구자홍 디지탈데이터 플레이어의 암호화 장치
KR20010052853A (ko) * 1999-04-14 2001-06-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관리장치, 데이터 관리방법, 및 데이터 관리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매체
EP1045388A1 (en) * 1999-04-16 2000-10-1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llegal usage of multimedia content
JP4177514B2 (ja) * 1999-04-28 2008-11-05 株式会社東芝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保護方法
JP3815950B2 (ja) * 1999-06-15 2006-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データ書込装置、デジタルデータ記録装置、デジタルデータ利用装置
EP1204111B1 (en) * 1999-06-23 2007-05-02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Encryption method and equipment, decryption equipment
KR100769437B1 (ko) 1999-09-01 2007-10-2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분배 시스템, 반도체 메모리 카드, 수신장치, 컴퓨터가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및 수신방법
CN1249547C (zh) 1999-09-01 2006-04-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版权所有的数据处理方法和设备
JP2001077806A (ja) * 1999-09-02 2001-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管理カード
JP2001117821A (ja) 1999-10-22 2001-04-27 Sony Corp 記録媒体、編集装置、記録システム
US6748539B1 (en) * 2000-01-19 2004-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checking in and checking out digitized content
EP1179240B1 (en) * 2000-03-09 2014-01-08 Panasonic Corporation Audio data playback manageme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436B1 (ko) * 2003-11-06 2012-01-18 소니 주식회사 정보 기록 매체,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5234C (zh) 2007-12-12
TW571548B (en) 2004-01-11
AU784284B2 (en) 2006-03-02
AU4750902A (en) 2002-12-19
KR100936847B1 (ko) 2010-01-14
EP1267344B1 (en) 2014-04-02
JP2002373470A (ja) 2002-12-26
CN1392699A (zh) 2003-01-22
US20030031319A1 (en) 2003-02-13
MY141541A (en) 2010-05-14
EP1267344A2 (en) 2002-12-18
JP3861625B2 (ja) 2006-12-20
EP1267344A3 (en) 2010-10-27
US7191346B2 (en)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847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편집 제어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010102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식별자 생성 방법
KR100906859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JP3770101B2 (ja) データ転送方法、転送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
KR100633588B1 (ko) 반도체 ic, 정보처리방법, 정보처리장치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JP2002372976A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課金処理方法
JP4277869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2003178201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4337811B2 (ja) データ記録装置
JP4333131B2 (ja) データ転送方法、データ転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