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229A - 한자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한자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0229A
KR20030000229A KR1020010035906A KR20010035906A KR20030000229A KR 20030000229 A KR20030000229 A KR 20030000229A KR 1020010035906 A KR1020010035906 A KR 1020010035906A KR 20010035906 A KR20010035906 A KR 20010035906A KR 20030000229 A KR20030000229 A KR 20030000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inese character
key
subkey
cop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동
Original Assignee
이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동 filed Critical 이관동
Priority to KR1020010035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0229A/ko
Publication of KR2003000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2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나타내는 부수키 및 상기 한자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를 입력하여 상기 부수키 및 상기 결합키의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한자를 발생시켜 한자를 입력하는 한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쉽고 간편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고 일정한 시간에 보다 많은 양의 한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모든 한자를 4타 이내로 입력이 가능하여 보다 적은 타수로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부수로 구성된 한자를 입력하는 한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할 한자의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제1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키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키에 따라 상기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나머지 부수키의 입력개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한자의 나머지 부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제1 부수키, 상기 결합키 및 상기 인식된 개수의 나머지 부수키에 의해 특정되는 한자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한자입력방법{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본 발명은 한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나타내는 부수키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된 부수키 및 결합키에 의해 특정되는 한자를 발생시켜 입력하는 한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언어는 무수히 많다. 하지만 이들 모두를 컴퓨터 등에 입력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한자는 그 글자의 특성상 자음 및 모음으로 이루어져 글자를 이루는 한글이나 영자처럼 키보드에 직접 표시하여 입력하는 것은 어렵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글자를 이루는 한자의 양이 많을 뿐만 아니라 한글의 자음/모음에 해당하는 문자가 무수히 많으며 이들의 결합방법도 많기 때문이다. 또한 독립적으로 한자 자체를 이루는 글자도 있고 자체로는 한자가 되지 않지만 다른 부수와 결합함으로써 한자를 이루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한자 입력방법은 여러가지가 소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가 입력할 한자의 음을 한글로 입력한후, 한자변환키를 치면 그 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빈도 순으로 연속해서 나열하여 나타나게 한 다음 그 중에서 해당되는 한자를 선택함으로써 입력되는 한글,한자 변환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한 입력은 한자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한글을 입력하여 한자로 변환시키는 간접적인 입력방법이며, 키의 입력횟수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한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할 경우에는 한자를 선택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한자로 변환시킬 수 있는 단어를 그 단어단위로 변환시켜 주게 되는 한자 모드(mode)방법, 즉 한자로 변환시켜 주어야할 필요가 있는 한글단어의전후에다 한자변환범위 지정을 위한 디리미터(delimiter)를 두어서 한자로 변환시킬 단어를 한글로 입력함으로써 해당되는 음의 한자단어들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전부 나열되어 나타나게 한 다음 그 중에서 필요한 단어를 선택하여 한글/한자 변환을 실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도 한글을 한자로 변환시키는 간접 입력방법이며, 사용자가 한자로 변환해야할 단어 전,후에 특정부호나 기능키를 사용하는 디리미터 지정에 의해 변환범위지정을 하여 한자부분과 한글부분을 일일이 구분해 주어야하므로 많은 불편이 뒤따랐고, 또한 모든 단어와 그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지는 복합어까지도 데이터베이스에 갖추어야 하므로 기억용량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메모리의 효율적 이용이 어려웠다. 또한, 단어들이 수록된 사전의 단순한 이용에 불과하므로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단어는 처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키보드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한자를 입력시키는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크게 오필자형과 한어병음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한자의 필획을 숫자로 변환하여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영문자를 입력함으로써 한자로 변환하는 간접적으로 입력방법으로서 이는 한자의 획에 해당하는 숫자를 암기해야 하고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영자를 알고 있어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쉽지 않았다. 후자는 한자를 읽는 영어 발음 그대로를 입력하면 이에 해당하는 한자가 입력되는 것으로서 한자를 영어 발음으로 읽을 수 있어야만 가능하므로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은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키보드 사용시 영자 키보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시키며 알파벳을 쳐서 한자가 만들어지도록 입력해야 하였다. 그 밖에 주음자모를 이용한 방법과 창힐 수입법에 의한 한자 입력방법이 종래에 알려져 있다. 주음자모를 이용한 방법은 한자의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주음자모를 키에 표시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발음에 해당하는 주음자모를 입력시키면 상기 발음에 해당하는 미리 입력된 여러개의 한자가 다른 창에 뜨게 되어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한글이나 영자를 쓰는 방법과 동일하며 한자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발음에 따른 일종의 기호를 입력하여 상기 발음에 해당하는 다수의 한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이고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읽을 수 없는 경우에는 입력할 수 없었다. 또한, 다른 방법인 창힐 수입법은 기존의 영자 키보드상에 각각의 영자에 해당하는 한자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각각의 한자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부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둔다. 이에 따라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에 해당하는 알파벳을 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부수를 인식하고 다음에 입력되는 부수에 해당하는 알파벳을 동일한 방법으로 모두 입력하여 인식하게 된다. 이때 먼저 인식된 부수와 뒤에 인식된 모든 부수가 결합하여 이룰 수 있는 하나의 한자를 미리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었다가 알파벳이 다 입력되면 이에 해당하는 하나의 한자를 출력한다. 즉, 각 한자에 해당하는 알파벳을 지정하여 좌에서 우로 알파벳을 다 입력하면 이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하나의 완성된 한자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양이 방대하여야 가능하므로 모두를 다 입력할 수 없고 미리 한자를 저장해 두어야만 입력이 가능하며 입력할 부수에 해당하는 키보드에 표시된 한자를 암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주음부호를 이용하여 입력하거나 창힐 수입법을 이용한 방법 역시 상술한 한어병음과 오필자형의 입력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그외 종래의 한자 입력방법은 모두 한자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한글 또는 영자를 입력하여 다시 한자로 변환시키는 간접 입력방법이다.
따라서, 종래의 한자 입력은 부수 또는 결합된 한자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입력하고자 하는 부수를 직타로써 입력이 가능하고 또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결합구조를 입력하여 상기 결합구조에 따라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결합시켜 완성된 한자를 발생함으로써 적은 타수로 쉽고 편리하게 한자를 입력시키고 일정시간에 보다 많은 양의 한자를 입력시키기 위한 한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자 입력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의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특정한자를 나타내는 테이블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한자 입력키 수단의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한자 입력방법에 따른 한자를 입력하는 흐름을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한자 입력키 수단 11 : 부수키
12 : 결합키 13 : 신호변환수단
14 : 제어수단 15 : 한자발생수단
16 : 메모리수단 17 : 출력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부수들의 결합으로 구성된 한자를 입력하는 한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 중 상기 한자의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제1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합키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결합키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한자를 특정하는데 필요한 나머지 부수키의입력개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나머지 부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1 부수키, 상기 결합키 및 상기 인식된 입력개수의 나머지 부수키에 의해 특정되는 한자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개수는 상기 한자를 특정하는데 입력되는 부수키의 개수보다 많거나 같으며, 상기 하나의 한자를 특정하는데 입력되는 상기 부수키의 개수는 최대 4개이다. 또한, 하나의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입력되는 부수키는 상기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낸다.
나아가, 상기 결합키의 종류에는 2타 결합키, 3타 결합키 및 4타 결합키가 있으며, 상기 2타 결합키는 입력할 한자가 두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에 입력되고 상기 3타 결합키는 입력할 한자가 세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에 입력되고 상기 4타 결합키는 입력할 한자가 네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에 입력된다.
상기 한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자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부수키, 상기 결합키 및 상기 나머지 부수키에 의해 발생된 키값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여 인덱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한자를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덱스가 할당된 복수개의 한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한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할 한자가 4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 상기 나머지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한자의 필순상 두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제2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한자의 필순상 세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제3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마지막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부수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한자를 입력하는 한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부수 중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마지막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상기 부수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b)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합키(b)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마지막 부수키 및 상기 결합키(b)에 의해 특정되는 한자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하며,
다른 구성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부수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한자를 입력하는 한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부수 중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마지막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상기 부수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b)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합키(b)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결합키(b)에 따라 이후에 입력될 부수키의 개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제1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마지막 부수키와 상기 결합키(b) 및 상기 제1 부수키에 의해 특정되는 한자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자 입력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는 구성블럭도이다. 상기 장치는, 컴퓨터 등과 같은 정보기기에 한자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각각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나타내는 복수의 부수키(11) 및 각각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복수의 결합키(12)를 구비하는 한자 입력키 수단(10)과, 상기 한자 입력키 수단(10)에서 발생된 키값을 후단에서 처리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13)과, 상기 입력된 결합키의 종류 및 그에 따라 한자를 특정하는데 필요한 부수키의 입력개수를 인식하는 제어수단(14)와, 복수의 특정한자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16)과, 상기 부수키(11) 및 상기 결합키(12)의 입력에 의한 신호에 대응하는 한자를 상기 메모리 수단(16)으로부터 발생시키는 한자발생수단(15)을 구비하며, 도 1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완성된 한자를 출력하는 출력수단(17)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인식은 코드이든 신호이든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설명 전반에 걸쳐 나오는 용어인 '부수'는 하나의 한자를 구성하는 문자의 최소단위를 말한다.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서 상기 한자 입력키 수단(10)의 부수키(11)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부수키(11)를 직타함으로써 상기 부수키(11)에 대응하는 부수가 직접 입력된다. 또한, 상기 한자가 둘 이상의 부수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결합키(12)를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부수키(11)에 의한 부수들을 결합되어 특정한자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 수단(16)은 복수개의 특정한자를 미리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복수개의 특정한자에는 각각 인덱스값이 할당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메모리 수단(16)에 저장되는 특정한자를 나타내는 테이블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모든 한자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한자에는 각각 인덱스값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한자발생수단(15)은 신호변환수단(13)으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부수키 및 결합키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여 하나의 인덱스값을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16)을 스캔하여 상기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를 찾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부수키(11) 및 결합키(12)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인덱스값이 0xf014이면 상기 한자발생수단(15)은 상기 메모리 수단(16)에 저장된 특정한자를 스캔하여 상기 인덱스값 0xf014에 해당하는 한자, '彰'을 발생시킨다.
도 2는 메모리 수단(16)에 저장되는 특정한자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라면 테이블 포맷, 인덱스값 및 특정한자 등이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제어수단(14)은 입력된 결합키(12)의 종류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입력된 결합키(12)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이후에 입력될 나머지 부수키(11)의 입력개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결합키(12)가 3타 결합키(12)인 경우에는 상기 3타 결합키(12)의 입력이후에는 2개의 나머지 부수키(11)가 추가로 입력될 것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도 1의 장치에서, 상기 한자가 하나의 부수로 이루어진 한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부수를 나타내는 부수키(11)를 입력한다. 상기 부수키(11)의 키값은 신호변환수단(13)에 의해 상기 키값에 대한 소정의 신호로 변환되어 한자발생수단(15)으로 입력된다. 상기 한자발생수단(15)은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하고, 복수개의 특정한자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16)을 스캔하여 저장되어 있는 한자중에서 상기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하나의 한자를 발생시킨다. 이로써 상기 한자는 입력된다.
그러나,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가 두개의 부수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한자의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제1 부수키(11)를 입력한다. 상기 입력된 제1 부수키(11)의 키값은 신호변환수단(13)를 통해 상기 키값에 대한 신호로 변환되어 한자발생수단(15)으로 입력되고 상기 한자발생수단(15)은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하고 특정한자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메모리 수단(16)을 스캔하여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특정한자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발생된 특정한자는 상기 발생된 필순상 첫번째 부수가 된다. 계속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상기 한자의 결합구조에 해당하는 결합키(12)를 입력한다. 이때 결합키(12)가 입력되면 제어수단(14)에서 상기 입력된 결합키(12)의 종류 및 상기 결합키(12)의 종류에 따라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 이후에 입력될 부수키의 입력개수를 인식한다. 상기 예에서, 상기 입력할 한자가 두개의 부수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어수단(14)은 2타 결합키(12)의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2타 결합키(12)의 입력이후, 상기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 입력될 부수키의 개수는 한개 임을 인식한다.
계속하여,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구성하는 나머지 부수에 해당하는 나머지 부수키(11)를 입력한다. 상기 나머지 부수키(11)의 키값도 소정의 신호로 변환된다. 한자발생수단(15)은 상기 각각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1 부수키(11), 상기 결합키(12) 및 상기 인식된 개수의 나머지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이용하여 하나의 인덱스값을 생성하고 이어, 특정한자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메모리 수단(16)을 스캔하여 상기 인덱스값에 해당하는 특정한자를 찾아 발생시킨다. 이어, 출력수단(17)에서 이를 출력함으로서 상기 특정한자가 입력되는 것이다.
만약, 입력할 한자가 세개의 부수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1 부수키(11), 결합키(12), 제2 부수키(11) 및 마지막 부수키(11)을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상기 네 개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하고 이어, 상기 한자를 발생한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입력할 한자가 네개 이상의 부수로 이루어진 경우에는차례대로 제1 부수키(11), 결합키(12), 제2 부수키(11), 제3 부수키(11)를 입력하고 그 다음에는 상기 입력할 한자의 필순상 맨 마지막 부수에 해당하는 마지막 부수키(11)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다섯개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이 생성되고 이어, 특정한자가 발생된다.
상술한 제1 부수키(11)는 한자의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부수키(11)이고 상기 제2 부수키(11)는 한자의 필순상 두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부수키(11)이며 상기 제3 부수키(11)는 한자의 필순상 세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부수키(11)이다. 또한, 상기 마지막 부수키(11)는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부수키(11)이다.
여기서, 상기 나머지 부수키(11)는 1~3개이다. 즉, 상기 첫번재 부수키(11)를 포함하여 하나의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 입력되는 부수키(11)의 총 개수는 최대 4개이다. 이는 5개 이상의 부수로 이루어진 한자를 입력할 때도 부수키(11)는 네 번만 입력한다는 것이다. 이때 부수키의 입력은 순차적으로 첫번째 부수키, 두번째 부수키, 세번째 부수키 및 마지막 부수키이다. 상기 마지막 부수키(11)는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수 중 필순상 제일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마지막 부수키(11)이다. 상기 한자 입력키 수단(10)에 포함되는 부수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146~214개이고 결합키(12)의 종류는 바람직하게는 20~35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장치는 완성된 한자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한자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자키는 부수들의 결합에 의해 완성된 한자를 나타내며 인칭대명사, 전·후치사, 조사, 명령어, 부정어 및 간자체 등 문장에 많이 쓰이거나 다른 부수와 결합력이 뛰어난 완성된 한자를 입력한다. 상기 완성된 한자는 후기에서 설명한다.
상기 한자발생수단(15)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로도 구현될 수 있고 마이컴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한자 입력키 수단의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컴퓨터 키보드에 구현한 것이다.
나아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수 및 결합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키 수단(10)은,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부수키(11), 하나의 한자를 구성하기 위한 상기 부수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결합키(12)을 포함하며 상기 키들(11,12)은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은 위치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루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종래의 키보드와의 호환을 위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들이 다수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키(12)의 종류는 바람직하게는 20~35개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키(12)의 종류를 모두 30개로 제한하였으며 상기 결합키(12)만으로도 모든 한자들을 입력가능하다. 상기 결합키(12)는 그 이용방법에 따라 크게 두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하나는 상기 한자의 필순상 제일 마지막 부수키(11)를 먼저 입력하여 상기 한자를 입력할때 이용되는 5개의 결합키(이하,결합키(b)로 표시함-도 3에 'b'로 도시됨)과, 또 하나는 한자의 필순상 제일 처음 부수키(11)를 입력하여 상기 한자를 입력할때 이용되는 결합키수단(b를 제외한 나머지)로서 25개이다.
도 3에서는 상기 이용방법이 다른 5개의 결합키를 설명의 편의상 결합키(b)로 표시하고 상기 결합키(12)의 맨 좌측에 2개, 맨 우측에 3개를 지시한다. 상기 5개의 결합키(b)의 이용방법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많은 부수로 이루어진 한자를 상기 결합키(b)를 이용하여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결합키(b)는 모든 한자의 결합구조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보다 적은 타수로 결합된 한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구성하는 필순상의 마지막 부수키(11)를 입력하고 상기 결합키(b)를 입력하면 상기 마지막 부수키(11) 및 결합키(12)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한자를 메모리 수단(16)으로부터 발생시킨다. 만약, 상기 입력된 부수키(11) 및 결합키(12)에 의해 상기 한자가 특정되지 않으면 필순상 최초 부수를 나타내는 최초 부수키(11)를 추가로 입력한다. 여기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마지막 부수키, 결합키 및 최초 부수키에 의해 특정되는 한자가 메모리 수단(16)으로부터 발생된다. 상기 특정된 한자가 입력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키(b)도 상기 다른 결합키(b를 제외한)와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결합키(b)는 다른 결합키를 이용할 때 보다 간편하고 쉽게 한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이용되며 다른 결합키(b를 제외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결합키(b)의 입력은 상기 다른 결합키(b를 제외한)의 입력과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결합구조를 입력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그 이용에 있어서는 서로 다르다. 즉, 상기 결합키(b를 제외한)가 입력될 때는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필순상 제일 처음 부수키(11)가 먼저 입력되며 하나 이상의 부수키(11) 및 결합키(b를 제외한)에 의해 상기 한자가 특정된다. 그러나, 상기 결합키(b)가 입력될 때는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키(11)가 입력되며 상기 부수키(11) 및 결합키(b)에 의해 상기 한자가 특정된다. 상기 특정되는 한자는 메모리 수단(16)에 미리 저장된 한자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키(b)는 많은 타수에 의해 입력이 가능한 한자를 보다 적은 타수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한자 입력키 수단(10)의 개수, 위치 및 종류를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에서는 상기 부수키(11), 결합키(12)에만 부호를 기재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자 입력키 수단(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부수키(11)는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나타내며 상기 부수키(11)를 입력하면 상기 부수키(11)에 나타난 부수가 입력(출력)된다. 여기서, 부수는 부수키(11)를 직타함으로써 입력(출력)된다. 입력할 한자가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에는 결합키(12)의 입력없이 부수키(11)의 입력만으로도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름이 '金石木' 이라는 사용자가 자기 이름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수키(11)에 의해 각각 '金', '石', '木' 을 1타씩 입력하면 된다. 상기 입력된 '金', '石','木' 각각의 키값은 신호변환수단(13)을 통해 상기 키값에 대한 신호로 변환되어 한자발생수단(15)으로 전송되고 상기 한자발생수단(15)은 상기 키값에 대한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인덱스값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특정한자, '金', '石', '木'을 각각 상기 메모리 수단(16)으로부터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특정한자 '金', '石', '木'는 각각 상기 메모리 수단(16)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각각 상기 인덱스값에 대응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부수키(11)에 의해 입력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크게 부수와 한자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한자가 부수로 사용되는 경우와 그 역의 경우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수키(11)에 의해 입력되는 한자(상기한 부수는 제외)는 다음의 원리에 의해 상기 부수키(11)에 표시된다(이하, 한자키이라 함). 먼저, 간자체가 있는 한자는 그 중요성과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표시한다. 현재 중국에서 정책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활용성이 높다. 그 다음으로는 문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동사, 형용사, 전치사, 조사등과 같은 품사를 기재하였으며 명령어, 부정문 등에 해당하는 한자를 기재하여 문장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상기 두 가지외에 문장에 자주 사용되거나 다른 부수와 많이 결합하는 한자를 선택하여 상기 한자키에 표시하였다. 상기 한자는 상기 부수의 결합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한자키에는 완성된 한자, 즉 자체로서 독립된 하나의 한자를 표시하였는데 이는 많은 문장 또는 일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결합한자의구성요소가 되는 한자를 분석하여 한자 입력에 중요한 요소인 한자를 표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부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여주고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부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강희자전에서 분류된 214자의 부수를 일정한 체계로 분류한 후 214중에서 다른 부수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부수를 제외한 146개의 부수를 나타낸다. 상기 부수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146~214개이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상기한 부수의 변경 또는 치환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키(12)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많은 한자들은 부수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부수를 결합시킬 경우 상기 결합키(12)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日'의 부수키(11)를 입력하고 다음에 '文'의 부수키(11)를 입력하면 '日文'이 차례로 입력되지만 입력되는 결합키(12)에 따라 '旼' 또는 '旻'으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좌우 결합구조의 결합키(12)가 입력되면 '旼' 이 입력되고 상하 결합구조의 결합키(12)가 입력되면 '旻'이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하였는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과정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복수의 부수들이 결합된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2타째 결합키(12)를 입력하여 하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가 두 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는 '부수키(11) + 결합키(12) + 부수키(11)'의 순서로 입력한다. 상기 한자가 세 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는 '부수키(11) + 결합키(12) + 부수키(11) + 부수키(11)'의 순서이고, 네 개의 부수인 경우에는 '부수키(11) + 결합키(12) + 부수키(11) + 부수키(11) + 부수키(11)'의 순서가 된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결합 키(12)는 반드시 2타째에 입력한다. 또한, 상기 각각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키(11)는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키(11)이다.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가 네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글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모두 4타이내로 입력이 가능하다. 5개 이상의 부수들로 이루어진 한자를 4타 이내로 입력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자입력이 보다 쉽게 실행된다. 4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하나의 한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필순상 최초의 부수를 나타내는 제1 부수키(11)를 먼저 입력한다. 상기 제1 부수키(11)에 대응하는 부수가 발생된다. 다음으로 상기 한자의 결합키(12)를 입력한다. 계속하여 상기 한자의 필순상 다음 부수에 해당하는 제2 부수키(11)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1 부수키(11), 상기 결합키(12) 및 제2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이용하여 하나의 인덱스값을 생성하고 이에 대항하는 특정한자를 출력한다. 계속하여 상기 한자의 필순상 그 다음 부수에 해당하는 제3 부수키(11)를 입력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1 부수키(11), 상기 결합키(12), 제2 부수키(11) 및 제 3 부수키(11)에 의해 새로운 인덱스값이 생성되고 상기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가 발생된다. 계속하여, 상기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마지막 부수키(11)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하나 이상의 부수키(11) 및 결합키(12)에 의해 새로운 인덱스값이 생성되고 상기 인덱스값에 해당하는 한자가 메모리 수단(16)으로부터 발생된다. 예를 들면, 네개의 부수로 이루어진 '彰'의 경우, 입력되는 부수키(11) 및 결합키(12)의 순서는 '立'의 제1 부수키(11) -> '' 의 결합키(12) -> '日'의 제2 부수키(11) -> '十' 의 제3 부수키(11) -> ''의 마지막 부수키(11)이다. 다른 예를 들면, 다섯개의 부수로 이루어진 '從'의 경우, 입력되는 부수키(11) 및 결합키(12)의 순서는 ''의 제1 부수키(11) -> ''의 결합키(12) -> '人'의 제2 부수키(11) -> '人'의 제3 부수키(11) -> '人'의 마지막 부수키(11)이다. 여기서, ''의 제4 부수키(11)의 입력은 생략하고 네번째 입력되는 부수키(11)는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 '人'을 나타내는 마지막 부수키(11)가 된다. 이로써 모든 한자를 4타 이내로(결합키의 타수는 제외하고 부수키의 타수만으로 계산함) 입력이 가능하다.
좀더 복잡한 한자의 경우, 보다 간편하게 입력하기 위해 중간에 있는 부수에 대한 입력은 생략한다. 즉, 필순상 최초 부수키(11)를 입력하고 결합키(12)를 입력한 후, 필순상 마지막 부수키(11)를 입력하면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최초 부수키(11), 결합키(12) 및 마지막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에 의해 인덱스값이 결정되고 이어, 상기 인덱스값에 대한 한자가 발생된다. 상기 발생된 한자는 메모리 수단(16)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壽'는 6개의 부수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한자는 필순상 처음 부수인 '士'자의 부수키(11)를 입력하고 상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12)를 입력한다. 상기 결합키(12)에 따라 이후에 입력할 부수키의 개수는 한개이다. 또한, 하나의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입력되는 부수키(11)는 상기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마지막 부수키(11)이다. 즉, 상기 예에서는 '寸'을 나타내는 부수키(11)이다.
따라서, '寸'를 나타내는 부수키(11)를 입력하면 상기 두개의 부수키(11)와 상기 결합키(12)에 의해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완성된 한자 '壽'가 메모리 수단(16)으로부터 발생되고 상기 특정된 한자가 출력(입력)된다. 이때 상기 결합키(12)가 입력되면 상기 결합키의 종류 및 그에 따라 이후에 입력될 부수키의 개수를 인식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되는 특정된 한자는 미리 메모리 수단(16)에 저장되어 있어야 가능하다. 즉, 필순상 처음 부수키, 결합키 및 마지막 부수키가 입력되면 이에 해당하는 저장된 한자가 특정되어 입력되는 것이다. 상기 예에서는 '士' + 상하 결합구조+ '寸'의 키(11,12)를 차례로 입력하면 '壽'가 특정되어 입력된다. 따라서, 5개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복잡한 한자는 적어도 4타째 필순상 마지막 부수키(11)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복잡한 한자가 특정되어 입력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키(12)의 맨 좌측에 2개, 맨 우측에 3의 결합키(b)를 이용하면 더 적은 타수로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결합키(b)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한자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부수중에서 필순에 따라 맨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를 나타내는 부수키(11)를 제일 먼저 입력하고 이후, 상기 한자에 해당하는 결합키(b)를 입력한다. 이어, 상기 입력된 부수키(11) 및 결합키(b)에 의해 한자가 특정되고 메모리 수단(16)으로부터 상기 특정한자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만약 상기 한자가 특정되지 않으면 상기 한자의 필순상 제일 처음 부수키(11)를 추가로 입력하게 되면 상기 입력된 하나 이상의 부수키(11) 및 결합키(b)에 의해 상기 한자가 특정된다. 상기 특정된 한자는 상기 메모리 수단(16)에 저장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부수키(11) 및 결합키(b)가 입력되면 상기 한자발생수단(15)는 상기 메모리 수단(16)에 미리 저장된 특정한자 중에서 이에 해당하는 한자를 발생시킨다. 도 3의 결합키(b)는 한자를 잘 이해하는 사용자가 적은 타수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결합키(b)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한자는 다른 결합키(b를 제외한)에 의해서도 입력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두개의 부수로 구성된 한자를 입력할 경우는 2타 결합키(12)를 이용한다. 상기 2타 결합키(12)는 일반적으로 10 여 가지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6가지로 제한하였다. '口','門',의 모양은 '口' 모양의 공용 결합키로 사용하고의 모양은모양의 공용결합키로 사용하여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줄여서 6가지로 제한하였다. 세개의 부수로 구성된 한자의 경우는 3타 결합키(12)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3타 결합키(12)도 6가지로 제한하였다. 이는 한자의 모양과 필순에서 3타 인 경우와 타수와 순서만 3타 인 경우의 결합한자는 그 특징별로 6가지의 결합키로 한정한 것이다. 4타 결합키(12)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13가지로 한정하였으며, 5타 이상의 한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두 4타 이내로 입력된다.
상기 2타 결합키는 키 전체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결합키를 말하며 상기 3타 결합키는 세 부분으로, 상기 4타 결합키는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 결합키를 말한다. 예를 들어,와 같은 결합키는 2타 결합키이고,는 3타 결합키,,등은 4타 결합키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수히 많은 한자의 결합구조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표 결합구조를 30개로 제한한다. 다시 말하면, 무수히 많은 한자의 결합구조를 형태별로 분류하여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결합구조를 통합함으로써 30개의 결합구조로 제한한 것이다. 예를 들어, '兩'의 원래의 결합구조인 ''를 ''로 사용하고 또한, '從'의 원래 결합구조인 ''를 ''로 한 것이다. 나아가, ''를 ''로 한 것과 ''를 ''로 한 것도 같은 원리이다.
따라서, 모든 한자가 가지는 결합구조의 공통적이고 변경가능한 부분을 획일화하고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한자에 대해 결합구조를 통폐합하였으며 소정의 결합구조를 가진 30개 결합키(12)로 제한하였다.
상기 결합키(12)에 나타난 결합구조는 전체 한자들을 결합구조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한자가 가지는 몇가지의 일정한 결합구조를 추출한후, 도 3과 같은 30개의 결합구조로 만들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부수의 결합으로 형성된 전체 한자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실용 한자는 물론이고 현재 알려진 대다수의 한자의 결합까지 상기 결합키(12)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구조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상기 결합구조를 변환 또는 치환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결합키(12)의 개수가 늘리면 그 만큼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반대로 개수가 줄이면 한자를 입력할때 입력횟수가 더 늘어나 입력하는데 더 불편할 것이다. 결합키(12)의 종류는 20~35개가 바람직하다.
도 3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자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결합구조에 따라 선택,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자 입력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한자 입력방법에 따른 한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서 b로 표시된 결합키(b)를 제외한 나머지 결합키(12)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며 도 5는 상기 b로 표시된 결합키(b)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를 설명한 것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한자입력과정을 설명한다.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부수 중에서 필순상 제일 처음의 부수를 나타내는 제1 부수키(11)를 입력한다(S401). 이후, 한자발생수단(15)에서 상기 입력된 제1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이용하여 하나의 인덱스값을 생성하고(S402), 특정한자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16)을 스캔하여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특정한자를 발생시킨다(S403). 이때 상기 특정한자는 상기 단계(S401)에서 입력한 제1 부수키(11)에 표시된 부수이다. 이어, 다음키를 입력한다(S404). 상기 입력된 다음키가 결합키(12)인지 판단한다(S405). 판단결과 다음키 입력이 결합키(12)가 아니면 종료한다. 이로써 상기 입력할 한자는 상기 제1 부수키(11)를 입력함으로써 발생되어 과정은 종료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S405)의 판단결과 결합키(12)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결합키(12)가 2타 결합키(12)인지 판단한다(S406). 상기 2타 결합키(12)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인식)되면 하나의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이후에 입력될 나머지 부수키(11)의 개수를 인식한다(S407). 여기서, 2타 결합키(12)가 입력되면 그에 따라 하나의 한자가 특정되기 위해 필요한 부수키(11)의 개수가 한개임을 인식한다. 즉, 상기 2타 결합키(12)가 입력되면 이후에 부수키(11)는 한개가 입력되면 입력할 상기 한자가 특정된다.
이어, 상기 입력할 한자의 필순상 두번째 부수(여기서는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제2 부수키(11)를 입력한다(S408). 여기서, 상기 한자발생수단(15)은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1 부수키(11), 상기 2타 결합키(12) 및 상기 제2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하고(S409), 특정한자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메모리 수단(16)을 스캔하여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특정한자를 발생한다(S410).
그러나, 상기 단계(S406)의 판단결과 2타 결합키(12)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S411)으로 진행하고 상기 단계(S411)에서는 입력된 결합키(12)가 3타 결합키(13)인지를 판단한다(S411). 상기 단계(S411)에서의 판단결과 3타 결합키(12)이면, 이후에 입력될 나머지 부수키(11)의 개수를 인식한다(S412). 여기서, 3타 결합키(12)가 입력되므로 그 이후에는 하나의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2개의 부수키(11)가 추가로 입력될 것임을 인식한다. 계속하여, 상기 입력할 한자의 필순상 두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제2 부수키(11)를 입력한다(S413).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1 부수키(11), 3타 결합키(12) 및 제2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하고(S414),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를 발생한다(S415). 계속하여, 상기 입력할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제3 부수키(11)를 입력한다(S416).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1 부수키(11), 3타 결합키(12), 제2 부수키(11) 및 제3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하고(S417),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를 발생한다(S418).
그러나, 상기 단계(S411)의 판단결과 3타 결합키(12)가 입력되지 않으면 단계(S419)로 진행하여 4타 결합키(12)를 인식한다(S419). 이어, 상기 4타 결합키(12)의 입력이후에 추가로 입력되는 부수키(11)의 개수를 인식한다(S420). 여기서는 상기 4타 결합키(12)가 입력되었으므로 상기 입력할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3개의 부수키(11)가 추가로 입력되어야 하며, 상기 3개의 개수를인식한다(S419). 이어, 상기 입력할 한자의 필순상 두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제2 부수키(11)를 입력한다(S421). 상기 한자발생수단(15)은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1 부수키(11), 상기 4타 결합키(12) 및 제2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하고(S422),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를 상기 메모리 수단(16)으로부터 발생시킨다(S423). 계속하여 상기 입력할 한자의 필순상 그 다음 부수를 나타내는 제3 부수키(11)를 입력한다(S424).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1 부수키(11), 상기 4타 결합키(12), 상기 제2 부수키(11) 및 상기 제3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하고(S425) 상기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를 발생한다(S426). 계속하여, 상기 입력할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에 해당하는 마지막 부수키(11)를 입력한다(S427).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제1 부수키(11), 4타 결합키(12), 제2 부수키(11), 제3 부수키(11) 및 마지막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하고(S428)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를 상기 메모리 수단(16)을 스캔하여 발생한다(S429).
도 5는 상기한 결합키(12)중에서 b로 표시된 결합키(b)를 이용하여 한자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입력하는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입력할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키(11)를 입력한 후, 결합키(b)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한자가 입력되는 과정을 보이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에서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마지막부수키(11)를 입력한다(S501). 상기 한자발생수단(15)은 상기 입력된 마지막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이용하여 하나의 인덱스값을 생성하고(S502), 특정한자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수단(16)을 스캔하여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특정한자를 발생한다(S503). 이어, 다음키를 입력한다(S504). 상기 입력된 다음키가 결합키(b)인지를 판단한다(S505). 상기 판단결과 결합키(b)가 입력되지 않은 것은 판단되면 종료되고 상기 단계(S505)에서 결합키(b)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 이후에 입력될 부수키의 개수를 인식한다(S506).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결합키(b)는 도 4에 기재된 상기 결합키(12)와는 달리 하나의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 이후에 입력되는 부수키(11)의 개수는 0 또는 1개이다. 따라서, 상기 인식된 개수가 0인지를 판단하고(S507)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개수가 0 이면, 상기 한자발생수단(15)는 상기 입력된 나머지 부수키(11) 및 상기 결합키(b)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하여(S508),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메모리 수단(16)을 스캔한다. 그 결과 특정한자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S509). 그러나 상기 단계(S507)의 판단결과, 상기 인식된 부수키의 개수가 0이 아니면 다음 단계(S510)으로 진행한다. 상기 결합키(b)의 경우 인식된 부수키의 개수는 0 또는 1이므로 상기 단계(S510)에서 한개의 부수키를 입력한다. 이때 입력되는 한개의 부수키는 상기 입력할 한자의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첫번째 부수키(11)이다(S510). 상기 한자발생수단(15)은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마지막 부수키(11), 상기 결합키(b) 및 상기 첫번째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이용하여 인덱스값을생성한다(S511). 계속하여 상기 메모리 수단(16)을 스캔하여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특정한자를 발생시킨다(S512).
도 4에서 보이는 한자입력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입력할 한자가 '今'인 경우는, 처음 단계(S401)에서 상기 '今'를 나타내는 제1 부수키(11)를 입력한다. 상기 입력된 제1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이용하여 인덱스값이 생성되고(S402) 상기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 '今'이 발생된다(S403). 상기와 같이 입력할 한자, '今'의 입력은 완료 되었고 더 이상 결합할 부수가 없으므로 다음키로 입력되는 것은(S404) 결합키(12)가 아니고 다른 키의 입력이다. 따라서 다음키의 입력이 결합키(12)의 입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S405) 입력은 종료된다.
그러나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가 '明' 인 경우,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첫번째 부수 '日'을 나타내는 제1 부수키(11)를 입력한다(S401). 이후,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日'이 발생한다(S402,S403).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 '明'은 좌,우 결합형태를 가지므로 다음키의 입력은 2타 결합키(12)의 입력이다(S404). 즉, 좌우 결합구조인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12)를 입력한다(S404). 이어, 다음키가 결합키(12)인 것으로 판단하고(S405), 2타 결합키(12)로 판단하며(S406) 상기 2타 결합키(12)의 입력 이후, 1개의 나머지 부수키(11)가 추가로 입력될 것임을 인식한다(S407). 상기 예에서는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1개의 나머지 부수키(11)는 '月'을 나타내는 부수키(11)이다. 계속하여, 상기 한자, '明'의 마지막 부수인 '月'에 해당하는 제2 부수키(11)를 입력한다(S408). 상기 한자발생수단(15)은 상기 인식된 개수만큼 부수키(11)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日'의 제1 부수키(11), ''의 2타 결합키(12) 및 '月'의 제2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이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한다(S409),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 '明'을 상기 메모리 수단(16)으로부터 발생한다(S410).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 수단(16)에 저장된 한자, '明'은 상기 인덱스값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한 예와는 달리 입력할 한자가 '彰'과 같이 보다 많은 부수들로 구성된 경우는, 먼저, '立'을 나타내는 제1 부수키(11)를 입력한다(S401). 이로써 상기 부수, '立'이 발생된다(상기와 동일하므로 과정생략). 이어, 상기 입력할 한자 '彰'의 결합구조에 해당하는 ''를 나타내는 결합키(12)를 입력하면(S404), 다음 단계(S405)에서 결합키(12)의 입력을 판단하고(S405), 2타 결합키(12)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며(S406), 또한, 3타 결합키(12)도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S411). 상기 결합키(12)는 4타 결합키(12)이므로 단계(S419)에서 4타 결합키(12)를 인식한다. 이어, 상기 4타 결합키(12)의 입력 이후에 입력되는 나머지 부수키(11)의 개수는 3개임을 인식한다(S420). 이어, '日'을 나타내는 제2 부수키(11)를 추가로 입력한다(S421). 이로써 상기 입력된 키값에 대한 신호에 의해 인덱스값이 생성되고(S422) 이어, 특정한자, '音'이 발생된다(S423). 계속하여 '十'를 나타내는 제3 부수키(11)을 추가로 입력한다(S424). 상기 한자발생수단(15)은 상기 입력된 제1 부수키(11), 상기 4타 결합키(12), 상기 제2 부수키(11) 및 상기 제3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이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하고(S425), 상기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 '章'을 발생한다(S426). 계속하여 상기 한자의 필순상 제일 마지막 부수, ''를 나타내는 마지막 부수키(11)를 입력한다(S427). 상기 입력된 제1 부수키(11), 상기 4타 결합키(12), 제2,3 부수키(11) 및 상기 마지막 부수키(11)에 의해 새로운 인덱스값이 생성되고(S428), 이어, 상기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할 한자, '彰'이 발생된다(S429).
상기와 같이 입력된 4개의 부수(立,日,十,) 및를 나타내는 각각의 부수키(11) 및 결합키(12 :두번째 입력됨)의 입력에 의해 하나의 한자 '彰'이 발생된다. 출력수단(17)에서 상기 발생된 '彰'을 출력(입력)시킨다. 상기 한자는 메모리 수단(15)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과정에서 발생(출력)되는 순서는 '立' -> '音' -> '章', 그리고 결국에는 '彰'가 발생된다.
도 5에서 보이는 결합키(b)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키(12) 중에서 5개의 결합키(b)를 이용하여 한자를 보다 간편하게 입력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榮'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榮'을 구성하는 부수중 필순상 마지막 부수인 '木'에 해당하는 마지막 부수키(11)를 입력한다(S501). 이어, 상기 한자발생수단(14)은 상기 입력된 마지막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이용하여 인덱스값을 생성하고(S502)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특정한자, '木'이 발생된다(S503). 계속하여 다음키를 결합키(b)로 입력한다(S504). 여기서, 상기 한자, '榮'의 결합구조 '' 를 나타내는 결합키(b)를 입력한다(S504). 입력된 키가 결합키(b)임을 판단한다(S505). 이어, 상기 입력된 결합키(b)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 이후에 입력할 부수키의 개수를 인식한다(S506). 상기 예에서는 이후에 입력할 부수키(11)의 개수는 0이다. 상기 인식된 개수는 상기 입력되는 결합키(b)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인식된 개수가 0임을 판단하고(S507),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마지막 부수키(11) 및 상기 결합키(b)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한다(S508). 한자발생수단(15)는 상기 메모리 수단(16)을 스캔하여 상기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특정한자 '榮'을 발생시킨다(S509).
그러나, 결합 키(b)을 이용하여 '憊'를 입력하는 경우, 마지막 부수 '心'을 나타내는 마지막 부수키(11)를 입력한다(S501). 이로써 상기 부수, '心'이 발생된다(과정이 동일하여 생략함). 이어, 다음키를 상기 한자의 결합구조 ''를 나타내는 결합키(b)를 입력하면(S504) 상기 결합키(b)의 입력을 판단하여(S505) 다음 단계(S506)로 진행한다. 상기 예에서는 상기 한자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키(b)의 입력 이후에 입력되는 부수키의 개수는 1개이다. 따라서 상기 인식된 개수는 0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S507) 다음 단계(S510)로 진행한다. 상기 한자의 필순상 첫번째 부수 '人'을 나타내는 첫번째 부수키(11)을 추가로 입력한다(S510).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마지막 부수키(11), 결합키(b) 및 상기 첫번째 부수키(11)의 키값에 대한 신호를 이용하여 새로운 인덱스값을 생성한다(S511). 상기 생성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를 발생시킨다(S512). 즉, 상기 입력된 '心'의 마지막 부수키(11), 상기 결합구조 ''의 결합키(b) 및 상기 '人'의 첫번째 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하나의 한자 '憊'가 특정되어 발생된다(S512).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분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구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나타내는 부수키을 직접 입력하고 상기 한자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를 입력함으로써 한자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일정한 시간내에 많은 양의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5개 이상의 부수들로 구성되어 입력하는데 5타 이상의 키 입력이 요구되는 한자를 모두 4타 이내로 입력이 가능함으로써 보다 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Claims (10)

  1. 복수의 부수들의 결합으로 구성된 한자를 입력하는 한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 중 상기 한자의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제1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합키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결합키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한자를 특정하는데 필요한 이후에 입력될 부수키의 입력개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나머지 부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1 부수키, 상기 결합키 및 상기 인식된 입력개수의 나머지 부수키에 의해 특정되는 한자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개수는 상기 한자를 특정하는데 입력되는 부수키의 개수보다 많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한자를 특정하는데 입력되는 상기 부수키의 개수는 최대 4개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한자를 특정하는데 마지막으로 입력되는 부수키는 상기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키의 종류에는 2타 결합키, 3타 결합키 및 4타 결합키가 있으며,
    상기 2타 결합키는 입력할 한자가 두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에 입력되고 상기 3타 결합키는 입력할 한자가 세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에 입력되고 상기 4타 결합키는 입력할 한자가 네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제1 부수키, 상기 결합키 및 상기 나머지 부수키에 의해 발생된 키값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여 인덱스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한자를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한자 입력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가 할당된 복수개의 한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할 한자가 4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 상기 나머지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한자의 필순상 두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제2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한자의 필순상 세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제3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한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마지막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방법.
  9. 부수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한자를 입력하는 한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부수 중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마지막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상기 부수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b)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합키(b)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마지막 부수키 및 상기 결합키(b)에 의해 특정되는 한자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방법.
  10. 부수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한자를 입력하는 한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부수 중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나타내는 마지막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상기 부수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b)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합키(b)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결합키(b)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한자를 특정하는데 필요한 이후에 입력될 부수키의 입력개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나타내는 나머지 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마지막 부수키와 상기 결합키(b) 및 상기 나머지 부수키에 의해 특정되는 한자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방법.
KR1020010035906A 2001-06-22 2001-06-22 한자입력방법 KR20030000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906A KR20030000229A (ko) 2001-06-22 2001-06-22 한자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906A KR20030000229A (ko) 2001-06-22 2001-06-22 한자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229A true KR20030000229A (ko) 2003-01-06

Family

ID=2771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906A KR20030000229A (ko) 2001-06-22 2001-06-22 한자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022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341B1 (ko) * 2007-08-27 2009-05-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결구 정보를 이용한 한자 검색 방법 및 결구 정보를 이용한한자 검색 시스템
KR100899449B1 (ko) * 2007-09-04 2009-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검색 방법 및 한자 검색 시스템
WO2015122596A1 (ko) * 2014-02-17 2015-08-20 이웅희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WO2015122597A1 (ko) * 2014-02-17 2015-08-20 이웅희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857A (ja) * 1993-05-28 1994-12-06 Fujitsu Ltd 漢字入力方式
JPH0844334A (ja) * 1994-07-29 1996-02-16 Sanyo Electric Co Ltd 文字生成装置
KR19990046749A (ko) * 1999-04-21 1999-07-05 금하연 컴퓨터사용을위한한자조합방법및그구조
KR20000006943A (ko) * 1999-11-13 2000-02-07 이규갑 한자 고속입력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857A (ja) * 1993-05-28 1994-12-06 Fujitsu Ltd 漢字入力方式
JPH0844334A (ja) * 1994-07-29 1996-02-16 Sanyo Electric Co Ltd 文字生成装置
KR19990046749A (ko) * 1999-04-21 1999-07-05 금하연 컴퓨터사용을위한한자조합방법및그구조
KR20000006943A (ko) * 1999-11-13 2000-02-07 이규갑 한자 고속입력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341B1 (ko) * 2007-08-27 2009-05-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결구 정보를 이용한 한자 검색 방법 및 결구 정보를 이용한한자 검색 시스템
KR100899449B1 (ko) * 2007-09-04 2009-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검색 방법 및 한자 검색 시스템
WO2015122596A1 (ko) * 2014-02-17 2015-08-20 이웅희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WO2015122597A1 (ko) * 2014-02-17 2015-08-20 이웅희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947B1 (ko) 한자입력장치 및 방법
KR100776275B1 (ko) 모호부호에 기초한 터치 방식 타자 장치
US20030074185A1 (en) Korean romanization system
JP2002290510A (ja) 特殊文字を用いて情報を携帯装置に入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60239099A1 (en) Chinese Input Method Using Pinyin Plus Tones
US5378068A (en) Word processor for generating Chinese characters
TWI222596B (en) Character generation system
US200301901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on keypad
US200601393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on keypad
KR20030049443A (ko)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30000229A (ko) 한자입력방법
JPH04502223A (ja) 記号形成装置
US20080042885A1 (en)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804316B1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351585B1 (ko) 파자방식에 의한 한자 입력방법
KR100450587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960016883B1 (ko) 한글문자 입력장치
KR20010108653A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JP3042284B2 (ja) 日本語入力装置
JP3088476B2 (ja) ミャンマー語入力装置
JP3466313B2 (ja) キー入力装置
KR101106398B1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3710157B2 (ja) 漢字語句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10130842A (ko) 속기 겸용 영문 키보드
JP2761622B2 (ja) 文字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