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732Y1 - 파이프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파이프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732Y1
KR200299732Y1 KR20-2002-0029455U KR20020029455U KR200299732Y1 KR 200299732 Y1 KR200299732 Y1 KR 200299732Y1 KR 20020029455 U KR20020029455 U KR 20020029455U KR 200299732 Y1 KR200299732 Y1 KR 200299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
conveying belt
support frame
conveying
rol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동
Original Assignee
(주)영풍티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풍티피이 filed Critical (주)영풍티피이
Priority to KR20-2002-0029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7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25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selectively adjusting troughing of the conveying be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롤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롤의 교체후 재설치나 사용중의 위치조정에 소요되는 운전정지시간과 인력을 경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파이프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 길이의 이송경로를 이루는 이송벨트(20)와, 이 이송벨트(2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02, 203)과, 상기 이송벨트(20)의 투입부 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이송벨트(20)를 파이프형으로 말려지도록 안내하는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210)와, 상기 이송벨트(20)의 이송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210)에 의해 말려진 이송벨트(20)를 파이프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230)와, 파이프형으로 말려진 이송벨트(20)를 판형으로 다시 펼쳐지도록 안내하는 배출부 가이드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파이프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210)는 상기 이송벨트(20)의 주변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211)과, 이 지지프레임(211)에 호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이 말려지는 이송벨트(20)의 외면에 구름접촉되어 회전되는 측방가이드롤(212)과, 상기 지지프레임(21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측방가이드롤(212)을 이송벨트(20)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리드스크류(215)를 포함하여, 이 리드스크류(215)를 회전시켜 상기 측방가이드롤(212)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파이프 컨베이어 {A pipe conveyer}
본 고안은 파이프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롤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롤의 교체후 재설치나 사용중의 위치조정에 소요되는 운전정지시간과 인력을 경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파이프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컨베이어는 이송벨트를 파이프 형태로 말아서 이송시키도록 된 것으로, 말려진 이송벨트 내부에 운반물을 수용하여 이송하게 되므로, 이송되는 물질의 비산 및 외부의 이물질 혼입이 방지되고 경사지거나 좌우로 구부러진 경로를 통해 운반물을 이송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어 시멘트, 곡물, 사료, 합성수지 칩 등과 같은 작은 입도의 물질을 이송하는 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이프 컨베이어에는 이송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이송벨트가 파이프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롤 어셈블리(이하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라 칭함)(110)가 구비되며, 도 1에 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110)는 말려진 이송벨트(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육각형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롤(113) 및 이 가이드롤(113)을 지지프레임(111)에 고정시키는 브래킷(11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114)은 볼트(115)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매개로 지지프레임(111)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114)과 지지프레임(111) 사이에는 와셔 형태의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를 삽입설치하여 이송벨트(20)의 전진방향에 따라 가이드롤(113)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110)는 장시간 사용하면 가이드롤(113)이 마모되어 가이드롤(113)을 교체하거나 설치위치를 보정해야 하는데, 종래의 파이프 컨베이어는 상기 가이드롤(113)을 교체한 후에 재설치할 때는 물론이고, 사용중에 가이드롤(113)의 설치 각도를 세팅할 때에도 상기 브래킷(114)을 지지프레임(111)으로부터 분리한 후, 가이드롤(113)의 설치 각도에 따라 스페이서를 교체한 후 다시 세팅해야 하기 때문에, 가이드롤(113)의 설치 각도의 조정에 소요되는 운전정지시간이 과다하고,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면 정확한 세팅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에는 종래의 파이프 컨베이어에서, 운반물의 투입부 측에 설치되어 펼쳐진 이송벨트(20)를 다시 말려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롤 어셈블리(이하,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라 칭함)(12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120)에는 이송벨트(20)의 중앙 하부를 만곡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하부가이드롤(122) 및 이송벨트(20)의 폭방향 측단을 파이프형으로 말려지도록 지지하는 측방가이드롤(123)이 구비되며, 상기 측방가이드롤(123)은 브래킷(125)을 매개로 지지프레임(121)에 장착되고, 상기 브래킷(125)의 플랜지부(125a)에는 볼트(127) 체결을 위한 장공형의 결합공(126)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120)의 경우에도 상기 측방가이드롤(123)의 설치각도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볼트(127)를 반복적으로 풀거나 조여 상기 브래킷(125)을 조금씩 움직이면서 조정해야했기 때문에, 컨베이어의 운전을 멈추어야만 하여 운전정지 시간의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가 발생하게 되고,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면 정확한 세팅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중에도 가이드롤의 설치 위치 및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롤의 교체후 재설치나 사용중의 위치조정에 소요되는 운전정지시간과 인력을 경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파이프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컨베이어의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파이프 컨베이어의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컨베이어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파이프 컨베이어의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파이프 컨베이어의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이송벨트 210.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
212. 측방가이드롤 214. 고정브래킷
215, 234. 리드스크류 216. 자동조심베어링
217. 가동브래킷 230.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
232. 가이드롤 233. 브래킷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 길이의 이송경로를 이루는 이송벨트(20)와, 이 이송벨트(2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02, 203)과, 상기 이송벨트(20)의 투입부 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이송벨트(20)를 파이프형으로 말려지도록 안내하는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210)와, 상기 이송벨트(20)의 이송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210)에 의해 말려진 이송벨트(20)를 파이프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230)와, 파이프형으로 말려진 이송벨트(20)를 판형으로 다시 펼쳐지도록 안내하는 배출부 가이드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파이프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 가이드롤어셈블리(210)는 상기 이송벨트(20)의 주변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211)과, 이 지지프레임(211)에 호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이 말려지는 이송벨트(20)의 외면에 구름접촉되어 회전되는 측방가이드롤(212)과, 상기 지지프레임(21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측방가이드롤(212)을 이송벨트(20)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리드스크류(215)를 포함하여, 이 리드스크류(215)를 회전시켜 상기 측방가이드롤(212)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230)는 파이프형으로 말려진 이송벨트(20)가 통과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지지프레임(231)과, 이 지지프레임(231)의 개구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브래킷(233)과, 이 브래킷(23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송벨트(20)의 외주면에 구름접촉되는 가이드롤(232)을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233)의 적어도 일측은 리드스크류(234)를 매개로 상기 지지프레임(231)에 결합되어 이 리드스크류(234)를 회전시켜 전후진시킴에 따라 상기 브래킷(233)의 일측이 지지프레임(231)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면서 이송벨트(20)에 대한 가이드롤(232)의 상대적인 각도가 조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컨베이어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파이프 컨베이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멀리 떨어진 두 지점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의 운반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운반물이 투입되는 위치에 설치된 투입부 풀리(202)와, 운반물이 배출되는 위치에 설치된 배출부 풀리(203)와, 운반물 투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소정 길이의 이송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투입부 풀리(202) 및 배출구 풀리(203)에 연결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왕복 이송되는 이송벨트(20)와, 이 이송벨트(20)의 투입부 측에 설치되어 판형으로 펼쳐진 이송벨트(20)를 파이프형으로 말려지도록 안내하는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210)와, 상기 이송벨트(20)의 이송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210)에 의해 말려진 이송벨트(20)가 파이프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230)와, 파이프형으로 말려진 이송벨트(20)를 판형으로 다시 펼쳐지도록 안내하는 배출부 가이드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은 종래의 파이프 컨베이어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벨트(20)의 측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지지프레임(211)과, 이 지지프레임(211)의 중앙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이송벨트(20)의 중앙 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하부가이드롤(223)과, 상기 지지프레임(211)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벨트(20)의 폭방향 측단을 지지하는 측방가이드롤(212)과, 이 측방가이드롤(212)의 회전축(213)을 회전 및 회동가능하게 지지프레임(211)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이 결합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방가이드롤(212)의 회전축(213)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가이드롤(223)에 의해 이송벨트(20)의 중앙부가 만곡을 이루도록 안내되고, 상기 측방가이드롤(212)에 의해 이송벨트(20)이 폭방향 측단이 다른 측단쪽으로 말려지도록 안내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지지프레임(211)에 고정 설치되는 '??'자 형의 고정브래킷(214)과, 이 고정브래킷(214)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지지프레임(21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브래킷(217)과, 이 고정브래킷(214) 및 가동브래킷(217)에 각각 장착된 자동조심베어링(216, 21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방롤러(212)의 회전축(213)은 각각 자동조심베어링(216, 218)을 매개로 고정브래킷(214) 및 가동브래킷(217)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11)의 타측에 측방가이드롤(212)의 회전축(2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며 그 종단부가 상기 가동브래킷(217)에 연결된 리드스크류(215)로 이루어지며, 이 리드스크류(215)의 일측단에는 소정 반경의 머리부(215a)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215)의 머리부(215a)를 회전시키면 리드스크류(215)가 전진되어 가동브래킷(217)을 이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측방가이드롤(212)의 회전축(213)이 고정브래킷(21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측방가이드롤(212)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파이프 컨베이어는 이송벨트(20)의 이송상태를 눈으로 관찰하면서 상기 리드스크류(215)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측방가이드롤(212)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측방가이드롤(212)의 설치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측방가이드롤(212)을 지지프레임(211)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고, 컨베이어의 운전을 멈출 필요도 없게 되며, 고도로 숙련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측방가이드롤(212)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수단이 회전에 의해 상기 가동브래킷(217)을 밀어낼 수 있도록 된 하나의 리드스크류(215)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소정의 링크부재를 매개로 상기 리드스크류(215)의 종단부와 가동브래킷(217)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리드스크류(215)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가동브래킷(217)의 양측에 한 쌍의 리드스크류를 대향되게 설치하여 이 리드스크류에 의해 상기 가동브래킷(217)의 고정 및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파이프 컨베이어에서 이송벨트(20)의 이송경로가 휘어지는 부분에 설치된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230)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230)는 이송벨트(20)가 통과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지지프레임(231)과, 상기 이송벨트(20)의 외주면에 인접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31)에 6각형을 이루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e'자 형 브래킷(233)과, 그 외주면이 상기 이송벨트(20)의 외주면에 구름접촉되도록 각각 상기 브래킷(23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가이드롤(232)과, 상기 브래킷(233)을 지지프레임(2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브래킷(233)을 회동키는 회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브래킷(233)의 일측을 관통하여 너트(237) 및 와셔(238)를 매개로 지지프레임(231)에 체결되는 볼트(236)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수단은 지지프레임(231)에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234)로 이루어지며, 이 리드스크류(234)의 일측에는 소정 반경의 머리부(234a)가 구비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브래킷(233)을 관통하여 고정핀(235)이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234)의 머리부(234a)를 회전시키면 리드스크류(234)가 전진되어 브래킷(233)의 일측을 밀어내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롤(232)이 브래킷(233)의 볼트(236)가 체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각 가이드롤(232)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파이프 컨베이어는 상기 리드스크류(234)를 회전시켜 간편하게 가이드롤(232)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브래킷(233)을 지지프레임(231)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컨베이어의 운전을 멈추지 않고도 가이드롤(232)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수단이 회전에 의해 상기 브래킷(233)의 일측을 밀어낼 수 있도록 된 하나의 리드스크류(234)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리드스크류(234)를 브래킷(233)의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각 리드스크류(234)의 회전에 따라 브래킷(233)이 양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리드스크류(215, 234)를 회전시켜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210)의 측방가이드롤(212) 및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230)의 가이드롤(232)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중에도 가이드롤(212, 232)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가이드롤(212, 232)의 교체후 재설치나 사용중의 위치조정에 소요되는 운전정지시간과 인력을 경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파이프 컨베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소정 길이의 이송경로를 이루는 이송벨트(20)와, 이 이송벨트(2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02, 203)과, 상기 이송벨트(20)의 투입부 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이송벨트(20)를 파이프형으로 말려지도록 안내하는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210)와, 상기 이송벨트(20)의 이송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210)에 의해 말려진 이송벨트(20)를 파이프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230)와, 파이프형으로 말려진 이송벨트(20)를 판형으로 다시 펼쳐지도록 안내하는 배출부 가이드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파이프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 가이드롤 어셈블리(210)는 상기 이송벨트(20)의 주변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211)과, 이 지지프레임(211)에 호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이 말려지는 이송벨트(20)의 외면에 구름접촉되어 회전되는 측방가이드롤(212)과, 상기 지지프레임(21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측방가이드롤(212)을 이송벨트(20)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리드스크류(215)를 포함하여, 이 리드스크류(215)를 회전시켜 상기 측방가이드롤(212)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가이드롤 어셈블리(230)는 파이프형으로 말려진이송벨트(20)가 통과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지지프레임(231)과, 이 지지프레임(231)의 개구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브래킷(233)과, 이 브래킷(23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송벨트(20)의 외주면에 구름접촉되는 가이드롤(232)을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233)의 적어도 일측은 리드스크류(234)를 매개로 상기 지지프레임(231)에 결합되어 이 리드스크류(234)를 회전시켜 전후진시킴에 따라 상기 브래킷(233)의 일측이 지지프레임(231)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면서 이송벨트(20)에 대한 가이드롤(232)의 상대적인 각도가 조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컨베이어.
KR20-2002-0029455U 2002-10-02 2002-10-02 파이프 컨베이어 KR200299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455U KR200299732Y1 (ko) 2002-10-02 2002-10-02 파이프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455U KR200299732Y1 (ko) 2002-10-02 2002-10-02 파이프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732Y1 true KR200299732Y1 (ko) 2003-01-14

Family

ID=4932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455U KR200299732Y1 (ko) 2002-10-02 2002-10-02 파이프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7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3663A (en) Correction roller support device of pipe conveyor
KR200299732Y1 (ko) 파이프 컨베이어
CN101171191A (zh) 用于运行带式输送机的传送带的装置
KR200183930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504970B1 (ko) 운송장치
US10053296B2 (en) Return idler trainer
KR1015166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US7503452B2 (en) Return roller assembly
CN210102653U (zh) 带式输送机
KR10213311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20010097746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007557B1 (ko) 운전중 정비가 가능한 컨베이어
CN208932237U (zh) 管状皮带输送机
TW200920480A (en) Strand granulation apparatus
CN216376149U (zh) 输送皮带跑偏微调装置
KR20120031709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N215207466U (zh) 一种皮带输送机匀料装置
CN216188499U (zh) 一种可张紧的定量给料机
KR200216201Y1 (ko) 곡물이송장치
KR200241714Y1 (ko) 롤러교체가 용이한 캐리어롤러 스탠드
KR20090110148A (ko) 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는 캐리어 롤러 스탠드
CZ33040U1 (cs) Pásový dopravník
CN219885018U (zh) 一种烟丝转弯输送装置
KR10214421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67270Y1 (ko) 리턴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