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669Y1 -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669Y1
KR200299669Y1 KR20-2002-0022249U KR20020022249U KR200299669Y1 KR 200299669 Y1 KR200299669 Y1 KR 200299669Y1 KR 20020022249 U KR20020022249 U KR 20020022249U KR 200299669 Y1 KR200299669 Y1 KR 200299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witch
emergency light
inertia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영진
이원규
주석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Priority to KR20-2002-0022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6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controlled by inertial devices
    • B60Q1/44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controlled by inertial devices with indication of the braking strength or speed changes, e.g. by changing the shape or intensity of th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의 비상등을 수동조작 및 차량의 관성에 의한 자동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비상등 점멸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점멸장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스위치하우징(10)과, 이 스위치하우징(10)에 마련되며 소정곡률의 주면(柱面)을 형성하는 제1시이트(21)와, 스위치하우징(10)에 마련되고 소정곡률의 주면을 형성하며 제1시이트(21)와 인접하는 제2시이트(22)와, 제1시이트(21)에 마련되는 자화체(31)와, 제2시이트(22)에 마련되며 비상등을 점멸하도록 개폐하는 스위치(32)와, 제1,2시이트(21)(22) 사이를 이동하며 자화체(31)에 부착되어 위치유지되고 관성력의 발생시 제2시이트(22)로 이동하여 스위치(32)를 작동시키는 이동체(40)와, 제2시이트(22)로 이동된 이동체(40)를 제1시이트(21)로 원위치시키는 복원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점멸장치는 차량의 급감속시 운전자에 의한 수조작에 의하지 아니하고 관성에 의한 이동체의 이동으로 비상등의 점멸이 자동제어되게 함으로써, 긴급상황에서 운전자의 기기제어를 경감하여 2차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An emergency light blinker using inertia of car}
본 고안은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안개속 주행시 또는 차량의 급제동시 비상등을 운전자에 의한 수동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관성에 의해 자동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자기차량의 긴급상황 또는 전방의 긴급상황을 후방의 차량등 타차량에 긴급신호를 알리기 위한 비상등 점멸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비상등점멸스위치는 운전자가 상황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조작에 의한 비상등 점멸방법은 안개속을 주행할 때 또는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전방의 상황을 후방에 알리고자 할때에는 여유있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는 전방상황을 주시하면서 긴급 운전조작하게 되는데, 이때 긴급상황을 후방에 알리기 위해서는 운전조작과 동시에 비상등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2차 사고의 염려가 있게 된다.
더욱이, 고속주행중 추돌사고가 발생하게 되어 운전자가 부상한 상태에서는비상등스위치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데, 이 경우 후방의 차량들이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2차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야간에 고속도로 주행중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되면 더욱 위험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최근에는 차량의 급제동시에 비상등이 자동으로 점멸할 수 있도록 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 예의 장치가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97-2667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장치는 차량의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휠의 돌기부에 코일이 권회되고, 구동축에는 상기 코일과 대향되는 영구자석이 베어링 지지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장치는 급제동시 관성에 의해서 계속 회전되는 영구자석과 감속되는 휠과의 상대운동에 의해서 코일에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급제동시 발생된 기전력으로 비상등이 점멸되도록 하여 후속차량에 긴급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는 급제동시 자동으로 비상등이 점멸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된 운전을 할 수 있게 하고 또한 후속차량에 즉시 긴급신호를 알릴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지만, 안개속 주행등과 같이 정속의 주행에 있어서 비상등의 점멸이 요구될 경우에는 차량을 급제동시켜야 하는 위험이 있고 또한 수조작을 위해서는 별도의 비상등스위치가 요구된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00-69513호에는 다른 예의 비상등 점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장치는 차량의 급제동시 관성에 의해 이동하는 오뚜기형상의 이동체와, 이 이동체내에 스프링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진동체를 구비하며, 이들이동체와 진동체가 관성이동하는 동안 스위치를 개폐토록 함으로써 비상등이 점멸되도록 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부재의 스프링력과 진동체 및 이동체의 관성력을 고려한 정밀조립이 요구되므로 조립이 번거롭고, 부품수가 과다하여 부품관리 및 비용증가에 따른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차량의 급제동시 운전자에 의한 수조작에 의하지 아니하고 관성에 의한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조립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한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세째, 도로 상황 또는 고속주행 및 저속주행등의 개인적 운전성향에 따라 운전자가 관성에 의한 자동점멸시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네째, 비상등의 점멸제어를 수동조작 및 자동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점멸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조작패널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점멸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a는 보통의 주행시 비상등이 꺼진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 장치의 단면도,
도 3b는 급감속시 관성 이동된 이동체에 의해 비상등이 점멸되는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 장치의 단면도,
도 3c는 점멸되는 비상등을 끄기 위해 이동체를 복원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조절리브 및 하우징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우징 11...노브구멍
20...회전원통 21...제1시이트
22...제2시이트 23...회전축
24...제1,2시이트의 능선 25...조절리브
31...자화체 32...(비상등)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는,
스위치하우징과,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지지되며 소정곡률의 주면을 형성하는 제1시이트와,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지지되고 소정곡률의 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시이트와 인접하는 제2시이트와, 상기 제1시이트에 마련되며 자성을 가지는 자화체와, 상기 제2시이트에 마련되며 비상등을 점멸하도록 개폐하는 스위치와, 상기 제1,2시이트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자화체에 부착되어 위치유지되고 관성력의 발생시 상기 제2시이트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이동체와, 상기 제2시이트로 이동된 이동체를 제1시이트로 원위치시키는 복원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제1,2시이트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제1,2시이트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시키며 외주면에 원호형 조절리브가 형성된 회전원통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전면에 상기 조절리브의 일부가 돌출되는 노브구멍이 형성되어서, 상기 조절리브의 회전조작으로 상기 회전원통을 회전시켜서 제2시이트의 이동체가 제1사이트로 이동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노브구멍의 가장자리에는 판스프링이 돌출결합되고, 상기 조절리브의 측면에는 상기 판스프링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서, 조절노브의 조절된 위치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점멸장치는 차량이 급감속시 이동체가 관성에 의해서 제1시이트로부터 제2시이트로 이동되어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비상등이 긴급상황과 동시에 자동으로 점멸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비상등 점멸장치는 차량이 급제동될때에 제1시이트에 위치된 이동체가 관성(慣性)에 의해서 비상등 점멸스위치가 마련된 제2시이트로 이동되어서 스위치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제1시이트 및 제2시이트는 이동체가 위치유지될 수 있도록 소정곡률의 주면(柱面)을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차동차의 실내 조작패널부에 본 고안 점멸장치가 함께 채용된 스위치부를 나타낸 것으로써, 본 고안 장치의 스위치하우징(10)에 인접하는 스위치들은 안개등 및 에어컨등을 제어하기 위한 푸쉬스위치들이다.
본 고안 점멸장치 하우징(10)의 노브구멍(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조절노브(25)는 후술할 이동체(40)의 원위치로의 복원과 급감속시 관성력에 따른 이동체(40)의 이동시기를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다.
본 고안 비상등 점멸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스위치하우징(10)과, 이 스위치하우징(10)에 마련되며 소정곡률의 주면(柱面)을 형성하는 제1시이트(21)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마련되고 소정곡률의 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시이트(21)와 인접하는 제2시이트(22)와, 상기 제1시이트(21)에 마련되며 자성(磁性)을 가지는 자화체(31)와, 상기 제2시이트(22)에 마련되며 비상등(미도시)을 점멸하도록 개폐하는 스위치(32)와, 상기 제1,2시이트(21)(22)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자화체(31)에 부착되어 위치유지되고 관성력의 발생시 상기 제2시이트(22)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32)를 작동시키는 이동체(40)와, 상기 제2시이트(22)로 이동된 이동체(40)를 제1시이트(21)로 원위치시키는 복원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2시이트(22)에 마련되는 스위치(32)는 차량의 비상등 및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비상등이 점멸될 수 있도록 전원을 개폐시키며 통상의 회로요소를 구비한다.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제1,2시이트(21)(2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3)과, 상기 제1,2시이트(21)(22)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시키며 외주면에 원호형 조절리브(25)가 형성된 회전원통(20)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전면에 상기 조절리브(25)의 일부가 돌출되는 노브구멍(11)이 형성되어서, 상기 조절리브(25)의 회전조작으로 상기 회전원통(20)을 회전시켜서 제2시이트(22)의 이동체(40)가 제1사이트(21)로 이동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시이트(21)와 제2시이트(22)는 상호 연결되어서 능선(稜線; 24)을 형성하며, 관성작용시 이동체(40)는 능선(24)을 넘어서 제2시이트(22)로 이동된다. 또한 능선(24)을 형성하는 제1시이트(21)와 제2시이트(22)의 경사도는 이동체(40)의 질량 및 발생될 수 있는 차량의 주행속도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진다.
또한 설계된 제1,2시이트(21)(22)가 장착된 상태에서 조절리브(25)의 수동 조절로 제1,2시이트(21)(22)의 경사도를 조절함으로써, 수행속도에 따른 급제동시 이동체(40)의 이동시기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화체(31)는 이동체(40)를 자력으로 부착하여 보통의 주행시에 제1시이트(21)에 위치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급감속시 관성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체(40)가 이동되려 할때에 자화체(31)에 의한 부착력을 극복하고 자화체(31)로부터 이탈하여 제2시이트(22)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동체(40)의 질량과 제1,2시이트(21)(22)의 경사도 및 관성력을 고려하여 자화체(31)의 자력의 세기가 적절하게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노브구멍(11)의 가장자리에는 판스프링(50)이 돌출결합되고, 상기 조절리브(25)의 측면에는 상기 판스프링(50)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25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있다. 이 경우 조절리브(25)를 운전자가 수동조작으로 회전시킬때 판스프링(50)이 결합홈(25a)에 탄력적으로 결합됨으로써조절리브(25)의 조절된 위치가 유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시이트(21)(22)의 주면 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우 그 조절된 위치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비상등 점멸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보통의 주행시에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시이트(21)(22)가 수평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이때 이동체(40)는 제1시이트(21)에 위치되고 자화체(40)에 의해서 위치고정된다. 정속주행시에는 물론이고 약간의 감속 주행시에도 감속에 따른 관성력이 발생되더라도 자화체(40)에 의한 부착력으로 이동체(40)는 제2시이트(22)로 이동되지 아니한다.
주행중 긴급상황이 발생되어 급감속을 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력으로 이동체(40)가 능선(24)을 넘어서 제2시이트(22)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비상등스위치(32)가 이동체(40)에 의해서 자동으로 작동되게 된다.
한편, 긴급상황의 해제로 비상등을 끄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리브(2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2시이트(22)에 위치된 이동체(40)를 제1시이트(21)로 구름이동시키고, 이어서 조절리브(25)를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시이트(21)(22)를 원위치시킨다.
도 3b와 같은 상태에서 비상등을 끄고자 하는 경우, 조절리브(25)를 수동조절하는 위의 방법과 다른 방법으로는 급출발하여 관성력에 의해 이동체(40)를 제1시이트(21)로 이동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한편, 경사도로를 보통으로 주행할때 비상등을 작동시키지 아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리브(2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이동체(40)가 제2시이트(22)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한다.
비상등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이동체(40)의 관성이동 정도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시이트(21)(22)의 주면 경사도를 조절함으로써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즉, 고속주행하거나 중저속주행하는 등 개인적인 운전성향에 따라서 조절리브(25)의 조절로 제1,2시이트(21)(22)의 경사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동체(40)의 이동시기를 조절하여 비상등의 점멸시기가 결정되게 되는 바, 중저속주행하는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시이트(21)를 제2시이트(22)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시키게 되면 감속도가 작은 경우에도 관성력에 의해서 이동체(40)의 이동이 수월해지게 되어 비상등의 점멸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정속주행이거나 보통으로 정지하기 위하여 감속시키는 경우에, 이동체(40)는 제1시이트(21)내에서 자화체(31)에 의해서 위치유지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자화체(31)와 이동체(40)는 상호 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동체(40)는 자화된 영구자석일 수 있고 반대로 자화체(31)는 영구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화체(31)는 코일이 권회된 전자석일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0)의 외측면에 상기 코일과 연결되어 전압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스위치를 마련하여서 상황에 따라서 전자석의 세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시이트(21)(22)의 상대적 위치조절 및 전자석의 세기조절로 인하여 이동체(40)에 의한 비상등점멸시기를 다양하게 조절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 말 할 것도 없다.
첫째, 차량의 급감속시 운전자에 의한 수조작에 의하지 아니하고 관성에 의한 이동체의 이동으로 비상등의 점멸이 자동제어되게 함으로써, 긴급상황에서 운전자의 기기제어를 경감하여 2차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이동체, 자화체 및 회전원통등 조립부품수가 종래보다 절감되어 조립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의 절감에 유리하다.
세째, 도로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관성에 의한 자동점멸시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개인적인 운전성향에 따라 임의로 조절사용이 가능하므로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네째, 비상등의 점멸제어를 조절리브에 의한 수동조작 및 관성에 의한 자동조작이 가능하므로 이용이 편리하다.

Claims (4)

  1. 스위치하우징과,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지지되며 소정곡률의 주면을 형성하는 제1시이트와,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지지되고 소정곡률의 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시이트와 인접하는 제2시이트와,
    상기 제1시이트에 마련되며 자성을 가지는 자화체와,
    상기 제2시이트에 마련되며 비상등을 점멸하도록 개폐하는 스위치와,
    상기 제1,2시이트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자화체에 부착되어 위치유지되고 관성력의 발생시 상기 제2시이트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이동체와,
    상기 제2시이트로 이동된 이동체를 제1시이트로 원위치시키는 복원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제1,2시이트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제1,2시이트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시키며 외주면에 원호형 조절리브가 형성된 회전원통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전면에 상기 조절리브의 일부가 돌출되는 노브구멍이 형성되어서,
    상기 조절리브의 회전조작으로 상기 회전원통을 회전시켜서 제2시이트의 이동체가 제1사이트로 이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구멍의 가장자리에 판스프링이 돌출결합되고, 상기 조절리브의 측면에 상기 판스프링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체는 코일이 권회된 전자석이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상기 코일과 연결되어 전압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스위치를 마련하여서,
    상기 가변스위치의 조절로 전자석의 세기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KR20-2002-0022249U 2002-07-25 2002-07-25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KR200299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249U KR200299669Y1 (ko) 2002-07-25 2002-07-25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249U KR200299669Y1 (ko) 2002-07-25 2002-07-25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831A Division KR100456283B1 (ko) 2002-07-25 2002-07-25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669Y1 true KR200299669Y1 (ko) 2003-01-06

Family

ID=4932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249U KR200299669Y1 (ko) 2002-07-25 2002-07-25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6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731B2 (en) Vehicular rearview mirror with blind spot viewing system
US4667177A (en) Brake light signal system for a motor vehicle
EP0481122A1 (en) Rearview mirror targeting and repositioning system
JPH09175274A (ja) 少死角ドアミラー
US7559678B2 (en) Automatic warning light control device for automobiles
JPH0133371B2 (ko)
US5159497A (en) Solenoid controlled rearview mirror
KR200299669Y1 (ko)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US5725075A (en) Braking precautionary system for vehicles
KR100456283B1 (ko)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KR20180098835A (ko) 차량 트렁크 설치형 삼각대
US4684216A (en) Automotive outside rearview mirror
US4920304A (en) Vent actuator
US5168196A (en) Combination windshield wiper/headlight switch
US6286967B1 (en) Outside mirror system
KR200154366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KR20190070270A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
JPS63291747A (ja) 自動車
KR200246617Y1 (ko) 자동차 룸미러
JP7396522B1 (ja) 車両
KR19980014532U (ko) 자동차급제동시관성력에 의한 비상점멸장치
JPS64346Y2 (ko)
KR0158713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차광장치
JPH01164638A (ja) 自動車のバック・ミラー自動調整器
JPH10151988A (ja) 車両用ドアの後方警告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