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400Y1 - 제빙용기 - Google Patents

제빙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400Y1
KR200297400Y1 KR2020020028276U KR20020028276U KR200297400Y1 KR 200297400 Y1 KR200297400 Y1 KR 200297400Y1 KR 2020020028276 U KR2020020028276 U KR 2020020028276U KR 20020028276 U KR20020028276 U KR 20020028276U KR 200297400 Y1 KR200297400 Y1 KR 200297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grooves
making water
pass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8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400Y1/ko

Links

Landscapes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용 제빙용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홈(11)이 형성되고 그 홈들 사이의 분리벽(12) 상방으로 홈들을 분리하는 돌출턱(13)들이 형성되고, 그 돌출턱들 사이를 개방하여 제빙수가 홈(11)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통로(14)가 형성된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통로(14)들중 적어도 한곳의 바닥에 배수구(15)가 형성되고, 상기 홈들에 제빙수가 채워진 다음에 상기 배수구를 막도록 마개부재(16)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제빙기의 얼음용 홈들 사이의 분리벽 위에 돌출된 돌출턱들 사이의 제빙수 유동을 위한 통로 바닥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홈들에 채워진 다음 남은 제빙수가 배수되어 홈들에서 얼려진 얼음 조각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사용시에 얼음 조각들을 자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빙용기{AN ICING DISH}
본 고안은 냉장고의 제빙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빙용기로부터 얼음 조각들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구조의 제빙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그 냉동실의 뛰어난 냉각작용을 이용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얼음을 얻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은 홈들이 다수 형성된 제빙용기(1)를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제빙용기(1)에는 각각의 홈(2)들이 형성됨과 함께 얼음들을 작은 조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홈들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돌출턱(3)들이 형성되고, 제빙용 물이 제빙용기(1)의 각 홈(2)들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돌출턱(3)들 사이가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제빙수를 제빙용기에 담을 때 통상 제빙용기의 돌출턱(3)들 사이에서 제빙용 물이 각 홈(2)들로 유입될 수 있게 통로로서 형성한 개방부(4)에서 물을 제거하지 못하여 어쩔수 없이 일부 높이로 채워지게 됨에 따라, 제빙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방부(4) 바닥의 물 또한 얼어 각 홈(2)들속에서 얼려진 얼음 조각(5)들이 모두 연결된 상태로 된다(도 2 참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로 연결된 상태의 얼음조각들을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을 겪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이 제빙용기의 각 홈들에 제빙용 물을 간편하게 담기 위해서는 각 홈들이 연결되는 제빙수용 통로가 있어야 하며, 각 홈들에 물이 채워진 상태로 그러한 통로 부위의 바닥에 잔류된 물을 제거할 수 있는 제빙용기가 요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냉장고용 제빙용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빙용기의 각 홈들에 제빙용 물이 용이하게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통로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통로 부위의 바닥에 제빙수가 잔류되지 않고 배수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제빙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용 제빙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빙용기에 의해 결빙된 얼음 조각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빙용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빙기 11 : 홈
12 : 분리벽 13 : 돌출턱
14 : 통로 15 : 배수구
16 : 마개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제빙용기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고 그 홈들 사이에 상방으로 홈들을 분리하는 돌출턱들이 형성되고, 그 돌출턱들 사이를 개방하여 제빙수가 홈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들중 적어도 한곳의 바닥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홈들에 제빙수가 채워진 다음에 상기 배수구를 막도록 마개부재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용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제빙용기(10)에는 소정 크기의 얼음을 얼리도록 복수개의 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들을 분리하는 분리벽(12) 상면에 얼음들이 서로 붙지 않도록 상방으로 돌출턱(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빙수가 제빙기의 홈(11)들로 쉽게 유입되어채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돌출턱(13)들은 홈들의 모서리부위 주변에서 개방되어 제빙수 유입 통로(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 통로(14)들중, 바람직하게는 제빙기의 중앙부측의 통로(14)들중 적어도 한 곳에 배수구(15)가 형성되고, 통로(14)들을 통해 제빙기(10)의 홈(11)들에 제빙수를 채운 다음 통로(14)에 남아 있는 제빙수는 배수구(15)를 통해 배수된다.
상기 배수구(15)는 그 형상이 원형으로도 될 수 있으나 십자형으로 형성하여 잔류 제빙수가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빙기(10)의 얼음용 홈(11)들 사이의 통로 바닥에는 제빙수가 남아 있지 않게 되므로 얼음 조각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구(15)를 통해 통로부위의 바닥에 잔류된 제빙수가 배수된 다음에 냉장고의 냉동실에 제빙기를 넣을 때 제빙기가 경사지는 경우, 홈들의 제빙수가 통로로 넘쳐 배수구를 통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수구를 막기 위하여 마개부재(16)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부재(16)는 배수구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삽입부와 배수구에 마개부재가 유지되도록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걸림턱(17)이 형성되고 손잡이부(18)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라, 제빙기의 얼음용 홈들 사이의 분리벽 위에 돌출된 돌출턱들 사이의 제빙수 유동을 위한 통로 바닥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홈들에 채워진 다음 남은 제빙수가 배수되어 홈들에서 얼려진 얼음 조각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사용시에 얼음 조각들을 자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수개의 홈(11)이 형성되고 그 홈들 사이의 분리벽(12) 상방으로 홈들을 분리하는 돌출턱(13)들이 형성되고, 그 돌출턱들 사이를 개방하여 제빙수가 홈(11)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통로(14)가 형성된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통로(14)들중 적어도 한곳의 바닥에 배수구(15)가 형성되고, 상기 홈들에 제빙수가 채워진 다음에 상기 배수구를 막도록 마개부재(16)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기.
KR2020020028276U 2002-09-19 2002-09-19 제빙용기 KR200297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276U KR200297400Y1 (ko) 2002-09-19 2002-09-19 제빙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276U KR200297400Y1 (ko) 2002-09-19 2002-09-19 제빙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400Y1 true KR200297400Y1 (ko) 2002-12-11

Family

ID=7312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276U KR200297400Y1 (ko) 2002-09-19 2002-09-19 제빙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4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643A (ko) * 2015-05-14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US9335087B2 (en) 2009-04-01 2016-05-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5087B2 (en) 2009-04-01 2016-05-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US10041715B2 (en) 2009-04-01 2018-08-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ing device in which an ice tray is detachably coupled
US10047995B2 (en) 2009-04-01 2018-08-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ing device in which an ice tray rotates upside down in a tray accommodating portion
KR20150060643A (ko) * 2015-05-14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595399B1 (ko) 2015-05-14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7716A (en) Novelty ice tray
KR100714559B1 (ko) 냉장고용 아이스 트레이 어셈블리
US2083081A (en) Freezing mold
US20230015458A1 (en) Ice cube tray assembly
US2537915A (en) Cube forming tray for refrigerators
US5364063A (en) Ice cube tray
US2415451A (en) Ice tray
RU2365832C2 (ru) Ледоформа
WO2021212604A1 (zh) 具有冰格功能的水壶
CN102494476B (zh) 冰箱
KR200297400Y1 (ko) 제빙용기
ITMI20020574U1 (it) Cassetto multifunzionale per congelatori frontali
US2386979A (en) Plastic ice tray grid
US20040211879A1 (en) Dripless ice cube making and bagging tray
CN215724375U (zh) 一种冰箱
US2434803A (en) Freezing mold for ice sticks
JP6503185B2 (ja) 冷蔵庫用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KR101977155B1 (ko) 아이스 제조용 트레이
WO2022118615A1 (ja) 透明な氷を製造するための製氷器構造
JP2524811B2 (ja) 製氷用冷凍室
JPH0484086A (ja) 冷蔵庫用製氷皿
KR100347039B1 (ko) 냉장고의 제빙용기
KR100201854B1 (ko) 제빙 용기
KR19990037610U (ko) 냉장고용 제빙용기
KR910001401Y1 (ko) 냉장고용 얼음 얼리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