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242Y1 -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 Google Patents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242Y1
KR200297242Y1 KR2020020026220U KR20020026220U KR200297242Y1 KR 200297242 Y1 KR200297242 Y1 KR 200297242Y1 KR 2020020026220 U KR2020020026220 U KR 2020020026220U KR 20020026220 U KR20020026220 U KR 20020026220U KR 200297242 Y1 KR200297242 Y1 KR 200297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water
nozzle
peel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기
Original Assignee
백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기 filed Critical 백성기
Priority to KR2020020026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242Y1/ko

Links

Landscapes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마늘과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면서도 그 파괴력은 전체적으로 낮게 하여 마늘의 박피효율은 높이고 마늘의 파괴율은 낮출 수 있도록 한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마늘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마늘이 이송되는 이송로와, 이송로의 중간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되는 마늘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노즐과, 이송로로부터 상방향으로 연통되며 그 상단부가 투입구의 중간부 높이까지 연장되어 투입구의 중간부까지 물이 잠기게 하는 배출통로와, 배출통로의 단부측에서 하방향으로 통하게 구성되어 마늘을 배출하는 배출구로 구성된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에 있어서, 물분사노즐의 각 단위노즐은 장변대 단변의 길이 비율이 4∼5 : 1로 납작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노즐 형상에 따라 납작하게 되어 면적은 넓으면서도 그에 해당하는 만큼 파괴력은 감소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분사된 물이 마늘과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면서도 약해진 파괴력으로 인해 마늘의 껍질부분만을 파고들뿐 내부까지는 파고들 수 없어 마늘의 박피효율은 높아지고 마늘의 상처는 최소화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Apparatus to treat garlic of garlic stripper by wet process}
본 고안은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마늘과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면서도 그 파괴력은 전체적으로 낮게 하여 마늘의 박피효율은 높이고 마늘의 파괴율은 낮출 수 있는 최적의 마늘 가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마늘은 모든 음식물에 양념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약리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됨에 따라 우리나라 이외에도 일본, 미국 등에서 마늘을 이용한 식품의 개발에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마늘은 몸체의 주위를 보호층인 껍질이 감싸고 있으므로 이를 마늘의 몸체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해야 하며, 이와 같이 마늘로부터 껍질을 분리해내는 것을 통상 마늘을 박피(剝皮)한다고 한다.
마늘을 박피할 때에는 마늘의 표면 왁스층이 손상되지 않게 해야 하며, 만일 마늘의 왁스층이 손상되어 몸체 내부까지 패이게 되면 마늘로부터 끈끈한 액이 나와 작업성이 떨어지고 그 독성으로 손이 부르트며, 주위가 지저분해지고 마늘에 세균이 침투할 수 있어 쉽게 썩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마늘 박피방법은 물을 이용하는 습식방법과, 마른 상태 그대로 박피하는 건식방법이 있으며, 이중 습식방법은 마늘 박피시 먼지가 나지 않고 마늘에 상처가 적어 주로 적용하고 있는데,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 254524 호, 특허출원 제 2002-16752 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18464 호에서 통마늘을 그대로 투입하여 수압에 의해 마늘을 박피함으로써 마늘의 박피효율을 높이면서 상처는 최소화하는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가공기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들은 마늘가공기의 노즐의 위치, 노즐의 방향, 가공기 본체의 배치 등을 변화시켜 마늘의 박피효율을 높이고자 한 것이나, 노즐의 형상이 모두 원형이어서 물이 확산되지 않고 강하게 분사되며, 따라서 이러한 확산되지 않고 분사되는 강한 수압의 물이 마늘과 접촉할 때 그 접촉면적은 작은 대신 파괴력은 마늘의 내부까지 침투할 정도로 강하여 마늘에 상처를 유발하는 반면에 마늘의 박피효율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노즐을 장변대 단변이 4∼5대 1정도 되도록 납작하게 구성하여 파괴력은 원형의 노즐에 비해 마늘의 껍질만 파고들 수 있는 정도로 약화시키면서 마늘과의 접촉면적은 넓게 함으로써 마늘의 박피 효율은 높이면서 마늘의 상처는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깐마늘을 얻을 수 있게 한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가공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분사노즐의 단위노즐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투입구 20 : 이송로
30 : 물분사노즐 31 : 단위노즐
32 : 장변 33 : 단변
40 : 배출통로 50 : 배출구
60 : 물공급관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늘이 투입되는 투입구(10)와, 투입구(1)를 통해 투입된 마늘이 이송되는 이송로(20)와, 이송로(20)의 중간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되는 마늘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노즐(30)과, 이송로(2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통되며 그 상단부가 투입구(10)의 중간부 높이까지 연장되어 투입구(10)의 중간부까지 물이 잠기게 하는 배출통로(40)와, 배출통로(40)의 단부측에서 하방향으로 통하게 구성되어 마늘을 배출하는 배출구(50)로 구성된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에 있어서, 물분사노즐(30)의 각 단위노즐(31)은 장변(32)대 단변(33)의 길이 비율이 4∼5 : 1로 납작하게 구성된 것으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등록실용신안 제 254524 호, 특허출원 제 2002-16752 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18464 호에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18464 호에 적용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이때, 물분사노즐(30)의 단위노즐(31)은 그 장변측이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이를 통해 분사된 물이 마늘과 접촉할 때 수평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마늘 박피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물분사노즐(30)은 마늘가공기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되므로 분사된 물이 직선형일 수도 있고, 분사후 틀어질 수도 있어 물분사노즐(30)의 단위노즐(31)을 통해 분사된 물이 최종적으로 마늘과 접촉할 때 마늘박피에 가장 적합한 수평형태가 될 수 있다면 마늘가공기의 형태에 따라 물분사노즐(30)을 형성하는 각 단위노즐(31)의 장변(32)측을 수평방향이외에도 수직방향이나 경사진 방향 등 어떠한 위치로도 제작할 수 있으며, 물분사노즐(30)의 각 단위노즐(31)을 마늘의 진행방향측으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마늘박피와 함께 박피된 부산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는 투입구(10)의 중간부까지 물이 채워지는 구조이어서 일부 마늘이 불가분 물에 부유하게 되므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투입구(30)의 상부에 상하작동되는 실린더를 설치하고, 그 피스톤로드의 하단부에는 마늘을 강제로 눌러줄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압지부를 형성하여 마늘을 강제 투입할 수도 있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60은 물공급관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투입구(10)에 통마늘을 투입하면 이송로(20)를 통해 이송되며, 이송로(20)의 중간부위에는 물분사노즐(30)이 위치되어 있어 상기 투입된 통마늘이 물분사노즐(30)을 통해 분사된 고압의 물에 의해 타격되면서 쪽분리 및 박피될 수 있다.
또한, 배출통로(40)의 단부측 높이가 투입구(10)의 중간부위와 동일하게 되므로 물은 상시 투입구(10) 중간부위까지 채워져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분사되는 물이 직접 통마늘을 타격하는 것이 아니고 물속에서 강한 수류를 일으키면서 이러한 강한 수류를 통해 통마늘을 비벼주는 것이므로 마늘이 원활히 쪽분리 및 박피되면서도 상처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특히 물이 투입구(10)의 중간부위까지 채워져 있으면 마늘의 가공부위에 공기가 유입될 수 없어 공기를 통한 버블링 현상에 의해 마늘에 상처가 발생되는 확률이 그만큼 적어지게 된다.
그런데, 물분사노즐의 각 단위노즐이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이를 통해 분사되는 물이 확산되지 않고 직선형태로 분사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강한 수압의 직선형 물이 마늘을 타격하게 되면 마늘의 상처발생이 심하고 박피효율은 떨어지게 됨은 전술한 바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분사노즐(30)의 각 단위노즐(31)을 장변(32)과 단변(33)의 길이 비율이 4∼5 : 1 정도가 되도록 납작하게 구성한 것으로, 이러한 단위노즐(31)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납작한 형태를 취하게 되어 일반적인 원형의 단위노즐을 통해 동일 수압으로 분사된 물과 비교할 때 면적은 넓어지고 그에 해당하는 만큼 파괴력은 약해지는데, 납작하게 분사된 물이 마늘과 접촉하게되면 약화된 파괴력과 넓어진 면적에 따라 마늘의 껍질을 파고드는 면적이 넓어지고, 마늘의 껍질부분만을 파고들뿐 내부까지는 파고들 수 없어 마늘의 박피효율은 높아지고 마늘의 상처는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때, 각 단위노즐(31)의 장변(32)과 단변(33)의 길이 비율이 4 : 1 미만일 경우에는 종래 원형 노즐과 큰 차이없이 파괴력이 강하여 마늘의 상처가 많아지고, 5 : 1을 초과할 경우에는 파괴력이 너무 약화되어 마늘 가공기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므로 단위노즐(31)의 장변(32)과 단변(33)의 길이 비율을 4∼5 : 1로 설정한 것이며, 실제 마늘 가공기에 적용될 때에는 장변이 8∼10㎜, 단변이 2㎜ 정도로 구성하게 된다.
물분사노즐(30)을 통해 가공된 쪽마늘, 알마늘, 종대, 껍질 성분들은 물의 수압에 의해 밀려 이송로(20)를 통해 이송되다가 배출통로(40)를 거쳐 배출구(50)를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마늘가공기는 그 자체로 마늘박피장치로서 활용할 수도 있고, 이러한 마늘 가공기를 여러대 복합설치하여 마늘의 쪽분리, 박피, 최종박피를 순차적으로 행하여 박피효율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늘을 강한 수압에 의해 박피하기 위한 물분사노즐의 단위노즐의 형상을 장변대 단변의 길이 비가 4∼5 : 1 정도가 되게 납작하게 구성한 것이므로 이러한 노즐을 통해 분사된 물이 마늘과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면서도 그 파괴력은 약하게 되어 마늘의 껍질부분만을 파고들뿐 내부까지는 파고들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마늘의 박피효율은 높아지고 마늘의 상처는 최소화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마늘이 투입되는 투입구(10)와, 상기 투입구(10)를 통해 투입된 마늘이 이송되는 이송로(20)와, 상기 이송로(20)의 중간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되는 마늘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노즐(30)과, 상기 이송로(2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통되며 그 상단부가 상기 투입구(10)의 중간부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투입구(10)의 중간부까지 물이 잠기게 하는 배출통로(40)와, 상기 배출통로(40)의 단부측에서 하방향으로 통하게 구성되어 마늘을 배출하는 배출구(50)로 구성된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노즐(30)의 각 단위노즐(31)은 장변(32)대 단변(33)의 길이 비율이 4∼5 : 1로 납작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KR2020020026220U 2002-09-02 2002-09-02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KR200297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220U KR200297242Y1 (ko) 2002-09-02 2002-09-02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220U KR200297242Y1 (ko) 2002-09-02 2002-09-02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242Y1 true KR200297242Y1 (ko) 2002-12-11

Family

ID=7312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220U KR200297242Y1 (ko) 2002-09-02 2002-09-02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2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58039B (zh) 一种中草药清洗机
CN107624349A (zh) 一种新型挖藕机
CN107497742A (zh) 一种适合小果实类中药材柔性清洗装置及其应用
MY126970A (en) Method and device for washing drain pipe.
KR200297242Y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KR20020069300A (ko) 마늘 탈피기
KR200288698Y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KR200232801Y1 (ko) 마늘 탈피기
KR200325336Y1 (ko) 습식마늘박피장치의 통마늘 전처리장치
KR200254525Y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KR100459257B1 (ko) 마늘 껍질 제거기
CN213246676U (zh) 水产原料解冻装置
CN208742177U (zh) 一种生产车间气体用的喷淋装置
KR200387480Y1 (ko) 공기 주입식 폴리 피그
JP2002263590A (ja) 自動葱洗浄装置の洗浄機構
KR200306227Y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
KR100741666B1 (ko) 수압을 이용한 마늘 박피기
KR200302975Y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KR200420069Y1 (ko) 수중 그물망 세척장치
KR200197661Y1 (ko) 곡물 세척기
KR100413442B1 (ko) 의료기기 세척기
JPH08218420A (ja) 水底の汚泥取出方法及び取出装置
KR20090099819A (ko) 잔토 강제 배출 세척기
KR200302974Y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CN216821649U (zh) 一种甘薯高压射流除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