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525Y1 -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 Google Patents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525Y1
KR200254525Y1 KR2020010026603U KR20010026603U KR200254525Y1 KR 200254525 Y1 KR200254525 Y1 KR 200254525Y1 KR 2020010026603 U KR2020010026603 U KR 2020010026603U KR 20010026603 U KR20010026603 U KR 20010026603U KR 200254525 Y1 KR200254525 Y1 KR 200254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nozzles
water
pressure water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기
Original Assignee
백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기 filed Critical 백성기
Priority to KR2020010026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525Y1/ko

Link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마늘을 박피함에 있어 상기 분사되는 물과 마늘이 한번만 접촉되게 하여 마늘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도 박피율을 높이기 위한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호퍼형의 투입구를 통해 마늘을 투입하고, 마늘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가공한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 마늘의 가공부위를 수평관으로 구성하고, 수평관의 입구측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노즐을 줄이 되게 배치하되, 상기 배치된 줄이 2줄 이하가 되게 하며, 노즐은 마늘을 타격하면서 전진시킬 수 있도록 그 토출구가 전면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되게 하면서 수평상 겹치지 않도록 노즐을 좌우측으로 나누어 각각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배출구는 적어도 수평관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게 하며, 수평관 위쪽까지 물을 채워 그 수위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마늘의 유동속도가 기본적으로 느리게 되어 수평관에 수직방향으로 노즐을 1줄 또는 2줄로만 배치하여도 마늘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각각의 마늘이 한번씩만 접촉하면서 원활히 박피될 수 있고, 마늘이 고압의 물과 한번 이상은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처가 최소화될 수 있어 마늘의 박피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상처없는 고품질의 깐마늘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Apparatus to treat garlic of garlic striper by wet process}
본 고안은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마늘을 박피함에 있어 상기 분사되는 물과 마늘이 한번만 접촉되게 하여 마늘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도 박피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마늘은 모든 음식물에 양념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그 약리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됨에 따라 우리나라 이외에도 일본, 미국 등에서 마늘을 이용한 식품의 개발에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마늘은 몸체의 주위를 보호층인 껍질이 감싸고 있으므로 이를 마늘의 몸체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해야 하며, 이와 같이 마늘로부터 껍질을 분리해내는 것을 통상 마늘을 박피(剝皮)한다고 한다.
마늘을 박피할 때에는 마늘의 표면 왁스층이 손상되지 않게 해야 하며, 만일 마늘의 왁스층이 손상되어 몸체 내부까지 패이게 되면 마늘로부터 끈끈한 액이 나와 작업성이 떨어지고 그 독성으로 손이 부르트며, 주위가 지저분해지고 마늘에 세균이 침투할 수 있어 쉽게 썩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마늘 박피방법은 물을 이용하는 습식방법과, 마른 상태 그대로 박피하는 건식방법이 있으며, 이중 습식방법은 마늘 박피시 먼지가 나지 않고 마늘에 상처가 적어 주로 적용하고 있는데, 특허 제 280616 호에서는 마늘을 투입구를 통해 투입하고, 수직으로 된 관상에 수평방향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다수개 형성하여 낙하하는 마늘을 고압의 물을 통해 가공하여 배출하는 고압의 물을 이용한 마늘까는 기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 제 280616 호에 따른 고압의 물을 이용한 마늘까는 기계는 그 가공부위를 이루는 관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어 마늘이 중력의 영향으로 빠르게 낙하할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빠르게 낙하하는 마늘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처리하기 위해 다수의 노즐을 형성한 것이므로 그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와 같이 수직관상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노즐을 배치하게되면 낙하하는 마늘 중 어떤 것은 여러번 고압의 물에 맞아 상처가 생기고, 어떤 것은 물과 접촉되지 않아 그대로 배출되므로 박피효율이 떨어지고, 박피된다하더라도 상처가 많아 제품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마늘의 가공부위를 수평관으로 구성하고, 이 수평관에 수직의 노즐을 전면방향으로 비스듬히 2줄 이하로 좌우에 지그재그로 형성하며, 배출구는 수평관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게 하고, 수평관 위쪽까지 물이 채워져 있게 구성하여 마늘이 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개개가 한번씩 접촉되게 하면서 마늘의 흐름을 완만하게 함으로써 마늘의 박피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상처를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깐마늘을 얻을 수 있게 한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가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가공기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가공기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투입구 2 : 배출구
3 : 수평관 4 : 노즐
5 : 투입관 6 : 물공급관
7 : 물탱크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형의 투입구(1)를 통해 마늘을 투입하고, 마늘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가공한 후 배출구(2)를 통해 배출하는 일반적인 마늘 가공기에 있어, 마늘의 가공부위를 수평관(3)으로 구성하고, 수평관(3)의 입구측에 수직방향으로 7개의 노즐(4)을 배치하되, 노즐(4)은 마늘을 타격하면서 전진시킬 수 있도록 그 토출구가 전면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되게 하면서 수평상 겹치지 않도록 노즐(4)을 좌우에 각각 3개, 4개로 나누어 지그재그로 배치하며, 배출구(2)는 적어도 수평관(3)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게 하고, 수평관(3) 위쪽까지 물을 채워 구성한 것이다.
이때, 노즐(4)은 좌우 합해 7개의 노즐(4)을 수직상으로 1줄로 하여 배치할 수도 있고, 이와 동일한 개수의 노즐(4)을 더 구비하여 수직상으로 2줄로 나란히 배치할 수도 있으며, 도면상에는 1줄로 구성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투입구(1)의 하부 투입관(5)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투입관(5)과 수평관(3)은 경사지게 연결되어 있어 마늘이 수평관(3)으로 이동되기 쉽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관(3)과 배출구(2)의 사이는 유선형으로 되어 있어 노즐(4)에 의한 밀어주는 힘에 의해 박피된 마늘이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6은 펌프(미도시)를 통해 고압의 물을 투입해주는 물공급관을 나타내고, 7은 상기 투입된 물을 모아주는 물탱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퍼형의 투입구(1)를 통해 통마늘이 투입되면 투입관(5)을 통해 낙하하다가 투입관(5)과 수평관(3)의 경사진 연결부위를 통해 가공부위를 이루는 수평관(3)으로 원활히 유입되며, 수평관(3)의 입구측에는 수직을 이루면서 좌우 지그재그로 각각 3개, 4개의 노즐(4)이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줄이 2줄 이하로 구성되므로 상기 이동되는 통마늘이 노즐(4)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한번씩만 접촉하면서 쪽마늘로 분리됨과 동시에 박피될 수 있는 것으로, 노즐(4)을 통해 분사되는 수압은 한번의 접촉으로도 통마늘을 쪽마늘로 분리하면서 분리된 쪽마늘로부터 껍질을 원활히 까낼 수 있을 정도로 초고압을 제공해야 함은 자명하다.
또한, 노즐(4)의 토출구는 전면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되므로 마늘을 박피함과 동시에 그 수압에 의해 전면방향으로 밀어주어 배출구(2)를 통해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마늘 가공기의 배출구(2)는 적어도 수평관(3)보다는 높이 위치하고, 수평관(3) 위쪽까지 물이 채워져 수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마늘의 유동속도가 완만하여 노즐(4)을 1줄 또는 2줄로만 배치하여도 각각의 마늘에 충분히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접촉되게 할 수 있으며, 고압의 물과 한번 접촉된 마늘은 더 이상 고압의 물과 접촉되지 않음은 물론 계속 완만하게 움직이게 되어 마늘의 상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마늘 가공기는 그 자체로 마늘박피기로서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특허출원 제 2001-44155 호에 따른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가공장치에 적용하게 되면 더욱 그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늘의 가공부위가 수평관으로 형성되고, 배출구의 높이가 적어도 수평관보다는 높게 형성되며, 수평관의 위까지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마늘의 유동속도가 기본적으로 느리게 되어 수평관에 수직방향으로 노즐을 1줄 또는 2줄로만 배치하여도 마늘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각각의 마늘이 한번씩만 접촉하면서 원활히 박피될 수 있고, 마늘이 고압의 물과 한번 이상은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처가 최소화될 수 있어 마늘의 박피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상처없는 고품질의 깐마늘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호퍼형의 투입구(1)를 통해 마늘을 투입하고, 마늘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가공한 후 배출구(2)를 통해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늘의 가공부위를 수평관(3)으로 구성하고, 상기 수평관(3)의 입구측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노즐(4)을 줄이 되게 배치하되, 상기 배치된 줄이 2줄 이하가 되게 하며, 상기 노즐(4)은 마늘을 타격하면서 전진시킬 수 있도록 그 토출구가 전면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되게 하면서 수평상 겹치지 않도록 상기 노즐(4)을 좌우측으로 나누어 각각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상기 배출구(2)는 적어도 상기 수평관(3)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게 하며, 상기 수평관(3) 위쪽까지 물을 채워 그 수위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KR2020010026603U 2001-08-31 2001-08-31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KR200254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03U KR200254525Y1 (ko) 2001-08-31 2001-08-31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03U KR200254525Y1 (ko) 2001-08-31 2001-08-31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525Y1 true KR200254525Y1 (ko) 2001-11-24

Family

ID=7310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603U KR200254525Y1 (ko) 2001-08-31 2001-08-31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5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38470A (zh) 一种生产薯块的设备
CN104012692A (zh) 一种茶叶高效清洗杀青设备
CN105495473A (zh) 土豆条生产设备
CN106617159A (zh) 多工位开果机
CN104438149A (zh) 中药材的干洗清洁装置
CN104106831B (zh) 一种竹笋剥皮机
CN105414099A (zh) 用于根茎类草药初加工的清洗系统
CN109380680B (zh) 一种萝卜深加工装置
CN205217486U (zh) 用于根茎类草药初加工的清洗系统
KR200254525Y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CN1322828C (zh) 采用湿处理剥落大蒜外皮的装置
KR200487611Y1 (ko) 탈피기
JPS6057826B2 (ja) 栗の剥皮方法
WO2005113865A1 (ja) 植物外皮と外皮以外の部位の分離装置
US20100151094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the removal of peels from agricultural produce
KR20020069300A (ko) 마늘 탈피기
KR200491341Y1 (ko) 양파 탈피 유닛 및 상기 양파 탈피 유닛을 포함하는 농산물 종합 탈피기
KR20030009623A (ko) 습식 마늘박피장치
EP00399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rot from potatoes
CN209077267U (zh) 一种彝药自动清洗装置
KR200288698Y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KR200302974Y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KR200302975Y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CN205624369U (zh) 高压水法大蒜去皮设备
KR200297242Y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마늘 가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