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091Y1 - 미끄럼 방지물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091Y1
KR200297091Y1 KR2019990005388U KR19990005388U KR200297091Y1 KR 200297091 Y1 KR200297091 Y1 KR 200297091Y1 KR 2019990005388 U KR2019990005388 U KR 2019990005388U KR 19990005388 U KR19990005388 U KR 19990005388U KR 200297091 Y1 KR200297091 Y1 KR 200297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synthetic resin
floor
edge
tip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099U (ko
Inventor
박윤서
Original Assignee
박윤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서 filed Critical 박윤서
Priority to KR2019990005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09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0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091Y1/ko

Links

Landscapes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단의 상면 선단부 또는 실내의 바닥면 보다 높게 구축된 마루 등의 가장자리 모서리부분에 설치되어 보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물에 관한 것으로, 계단의 선단 모서리 또는 실내의 마루 등 가장자리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물에 있어서, 계단의 선단 모서리나 마루의 가장자리 모서리의 수직면을 커버하는 전면가림판과, 상기 전면가림판의 이면에서 수평상으로 돌출되어 모서리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평접착편 및 상기 전면가림판의 상단에서 이면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부결착편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금속제 선단보호구와,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의 상부결착편과 수평접착편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부 및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의 삽입공간부에 삽입되는 삽입단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결착편 끝단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홈이, 하면에는 상기 수평접착편의 두께를 수용하면서 수평접착편에 접착되는 단층턱이 일체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물{NON-SLIP}
본 고안은 계단의 상면 선단부 또는 실내의 바닥면 보다 높게 구축된 마루 등의 가장자리 모서리부분에 설치되어 보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물(NON-SLIP)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의 상면 선단부 각각에는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물을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아파트 등에서 현관 바닥보다 높게 구축되는 실내의 거실이나 마루 등의 가장자리 모서리부분에도 미끄럼 방지물을 설치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계단 등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물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들이 실시되고 있다.
종래 기술 중 상기 도 4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물(200)은 표면이 거칠거칠하고 이면에는 양면 테이프(201)가 접착된 것으로, 이러한 상기 미끄럼 방지물(200)은 그 재질이 합성수지이고 두께가 얇아 일반 테이프와 같이 두루마리 타입으로 제조되고 있으므로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또 양면 테이프(201)부분을 접착시키는 수단으로 부착시킬 수 있어 설치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재질이 연마석과 합성수지제로서 접착강도가 약하여 내구성이 취약하고 설치수명이 짧은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즉, 계단을 왕래하는 모든 보행자는 계단을 보행할 때 대부분이 계단의 상면 선단부에 설치된 미끄럼 방지물(200)을 밟고 보행하게 될 뿐 아니라 미끄럼 방지물(200)을 밟는 발에 힘을 실고 보행하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물(200)이 쉽게 마모 또는 탈락되는 현상이 나타나 미끄럼 방지물(200)의 기능이 상실될 뿐 아니라 계단(100)의 외관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었다.
종래 기술 중 도 5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물(300)은 황동제로 제조되어 인조석 몰탈로 구축되는 계단에 많이 적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강도가 우수하여 설치수명이 긴 장점을 제공하는 반면에 전기한 도 4의 미끄럼 방지물(200)보다 가격이 비싸고 습식공법(인조석몰탈을 미장할 때 설치하는 공법)으로 앵커(301)가 매설되도록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물(300)의 설치작업이 까다로워 계단의 시공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과, 시공 후 미끄럼 방지물(300)의 요철상면에 반드시 묻게되는 인조석 몰탈을 제거해야하는 공정을 시행해야 하는 관계로 시공비가 추가로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 중 도 6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물(400)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된 금속틀체(401)와 상기 금속틀체(401)의 상면에 합성수지로 제조된 미끄럼 방지판(402)을 결합시킨 것으로, 상기 미끄럼 방지물(400)을 계단(100)에 시공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금속틀체(401)와 미끄럼 방지판(402)를 분리시킨 다음 상기 금속틀체(401)에 일정간격으로 미리 뚫어 놓은 부착공(405)을 통해 시공이 완료된 계단(100)의 상면 선단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킨 앵커공(403)에 칼블럭(404)을 박아주는 수단으로 상기한 금속틀체(401)를 고정 설치한 다음 이어서 상기 금속틀체(401)에 미끄럼 방지판(402)을 결착시키는 작업공정으로 미끄럼 방지물(400)을 설치하고 있는 바, 이러한 미끄럼 방지물(400)는 고가의 재료와 고가의 가공비로 제조되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금속틀체(401)로 제조되기 때문에 전기한 황동제의 미끄럼 방지물(300) 보다 가격이 비싼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제 미끄럼 방지물(400)의 경우는 금속틀체(401)에 일정간격으로 부착공(403)을 뚫어주는 가공작업과, 계단(100)에 일정간격으로 앵커공(403)을 뚫어주는 작업공정을 시행한 다음 칼블럭(404 :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합성수지제 앵커에 나사못을 박아주므로서 상기 합성수지제 앵커가 확장되면서 앵커공에 견고하게 박히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의 스트롱앵커와 갖은 기능을 나타내는 것임)으로 상기 금속틀체(401)를 계단(100) 상면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작업 및 상기와 같이 계단(100)에 고정시킨 금속틀체(401)에 합성수지로 된 미끄럼 방지판(402)를 끼워맞추어 조립하는 조립작업을 시행하여야 하므로 시공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워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시공공기가 길어지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한 미끄럼 방지물(402)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금속틀체(401)와 합성수지로 된 미끄럼 방지판(402)이 합해진 두께이므로 시공 후 계단(100)의 상면에서 높게 돌출되는 단점이 있어 상기 미끄럼 방지물(400)의 후단부에 보행자의 신발 앞꿈치 또는 뒷꿈치가 걸리는 현상이 나타나 보행에 불편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과 상기 미끄럼 방지판의 선단부가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금속제 선단커버체를 일체화상태로 결합시키는 구조로서 시공을 신속,간편하게 하는 시공성 향상과 함께 설치수명이 연장되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킨 미끄럼 방지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계단의 선단 모서리 또는 실내의 마루 등 가장자리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물에 있어서,
계단의 선단 모서리나 마루의 가장자리 모서리의 수직면을 커버하는 전면가림판과, 상기 전면가림판의 이면에서 수평상으로 돌출되어 모서리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평접착편 및 상기 전면가림판의 상단에서 이면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부결착편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금속제 선단보호구와;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의 상부결착편과 수평접착편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부와; 및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의 삽입공간부에 삽입되는 삽입단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결착편 끝단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홈이, 하면에는 상기 수평접착편의 두께를 수용하면서 수평접착편에 접착되는 단층턱이 일체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종래 기술의 미끄럼 방지물들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속제 선단보호구 2 :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물
11 : 전면가림판 12 : 수평접착편
13 : 상부결착편 14 : 삽입공간부
15 : 걸림돌기 21 : 삽입단
22 : 걸림홈 24 : 단층턱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알루미늄 또는 황동 등의 금속제로 압출성형되는 금속제 선단보호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1)는 계단 선단의 모서리(3) 또는 마루의 가장자리 모서리부분만을 커버하는 전면가림판(11)과 상기 전면가림판(11)의 이면에서 수평상으로 돌출되는 수평접착편(12) 및 상기 전면가림판(11)의 상단에서 수평접착편(12)과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결착편(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결착편(13)과 수평접착편(12)의 사이에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삽입단(21)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공간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결착편(13)의 끝단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5)는 삽입공간부(14)로 삽입되는 상기 삽입단(21)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홈(22)에 결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은 합성수지로 압출성형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기존의 논슬립과 같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요철면(23)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삽입단(21)의 저면에는 상기 수평접착편(12)의 두께만큼 절결된 단층부(24)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삽입단(21)을 삽입공간부(14)속으로 삽입하여 결합시켰을 때 상기 수평접착편(12) 저면과 상기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저면이 수평면을 이룰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1)의 수평접착편(12) 저면과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저면 각각에는 접착작용을 높여주는 미세한 돌기 또는 줄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면(16)(25)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금속제 선단보호구(1)의 삽입공간부(14)으로 삽입되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삽입단(21)과 상기 수평접착편(12)은 접착제로 접착하는 수단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1)와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한 다음 필요한 치수로 절단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1)의 수평접착편(12) 상면 또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삽입단(21) 저면에 형성된 단층턱(24)에 접착제(도시 생략)를 선택적으로 도포한 다음 상기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삽입단(21)을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1)의 삽입공간부(14)로 억지끼움식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상부결착편(13)의 걸림돌기(15)가 삽입단(21)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상기 삽입단(21) 상면에 형성된 걸림홈(22)에 상기 걸림돌기(15)가 걸림됨과 동시 앞서 도포한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삽입단(21)은 수평접착편(12)에 접착,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1)의 삽입공간부(14)에 삽입되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삽입단(21) 저면에는 수평접착편(12)의 두께를 수용하는 단층턱(2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삽입단(21)을 금속제 선단보호구(1)에 접착, 결합시켰을 때 상기 수평접착편(12)의 저면과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저면은 수평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금속제 선단보호구(1)와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이 결합된 미끄럼 방지물을 계단 선단의 모서리(3) 또는 마루 등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한 모서리(3) 상면에 접착제(4)를 도포한 다음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1)의 전면가림판(11)이 상기 모서리(3)의 선단 수직면에 밀착시키면서 수평접착편(12)과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을 눌러주게 되면 접착제에 의하여 수평면을 이루고 있는 상기 수평접착편(12)과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이 모서리(3)의 상면에 접착되는데, 이때 상기한 수평접착편(12) 및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 각각의 저면에는 미세한 돌기 또는 줄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요철면(16)(2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착작용이 커져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1)와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으로 구성된 미끄럼 방지물은 상기의 모서리(3) 상면에 강력하게 접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계단 각층의 모서리(3) 또는 마루 등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설치된 미끄럼 방지물은 그 선단은 금속제 선단보호구(1)가 노출된 상태에서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삽입단(21) 선단을 보호하게 되므로서 상기한 미끄럼 방지물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이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2)의 후단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모서리(3)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보행자의 발이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특징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미끄럼 방지물을 금속제와 합성수지로 혼용하여 구성함에 있어 금속제 선단보호구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의 선단부만을 보호할 수 있도록 작은 규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알루미늄 또는 황동 등으로의 성형이 용이하고 미끄럼 방지물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금속제 선단보호구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은 그 선단부가 금속제 선단보호구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으므로 설치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금속제 선단보호구와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의 결합으로 금속제와 합성수지제로 구성된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고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계단의 선단 모서리 또는 실내의 마루 가장자리 모서리의 수직면을 커버하는 전면가림판과 상기 전면가림판의 이면에서 수평상으로 돌출되어 모서리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평접착편 및 상기 전면가림판의 상단에서 이면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부결착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금속제 선단보호구와,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의 수평접착편과 상부결착편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단과 상기 삽입단의 하부에 단층턱이 형성된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이 겹합되는 구조로 구성된 미끄럼 방지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선단보호구의 상부결착편 저부에는 삽입공간공간부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의 삽입단 상면에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상기 합성수지제 미끄럼 방지판의 삽입단을 금속제 선단보호구의 삽입공간부에 삽입하였을 때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서로 결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물.
KR2019990005388U 1999-04-02 1999-04-02 미끄럼 방지물 KR200297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388U KR200297091Y1 (ko) 1999-04-02 1999-04-02 미끄럼 방지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388U KR200297091Y1 (ko) 1999-04-02 1999-04-02 미끄럼 방지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099U KR20000019099U (ko) 2000-11-06
KR200297091Y1 true KR200297091Y1 (ko) 2002-12-11

Family

ID=5476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388U KR200297091Y1 (ko) 1999-04-02 1999-04-02 미끄럼 방지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0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099U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253A (en) Stair nosing for laminate flooring
US4455797A (en) Stair nosing
HUT74416A (en) Improvements in matt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door mats.
EP0011469B1 (en) Stair mat
CA291019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raction on stair treads
US20120204502A1 (en) Stair nosing assembly
US20080209834A1 (en) Apparatus for Aiding in the Installation and Sealing of Siding
US4318951A (en) Stair mat
JP2006241844A (ja) 階段用床材
KR200297091Y1 (ko) 미끄럼 방지물
NL1018401C1 (nl) Nieuw plankenvloersysteem en nieuwe vloer- of bodempanelen die in dit systeem gebruikt kunnen worden.
EP0011468B1 (en) Stair mat
JP2728377B2 (ja) 金属製階段のステップ構造
US20120000151A1 (en) Non-skid strip
CA2408523A1 (en) Stair steps gripper
JP4460947B2 (ja) 階段構造体及び階段
KR200303010Y1 (ko) 계단용 논슬립
JPS589932Y2 (ja) 鉄鋼製階段の踏板スリツプ防止具
JP2004183285A (ja) 建物用滑り止め
KR20210115829A (ko) 계단의 미끄럼방지구
JPS628276Y2 (ko)
JP2004169380A (ja) 幅木及びその幅木の廻り階段への取付構造
JPS6213461B2 (ko)
KR200388750Y1 (ko) 미끄럼 방지용 건축용 판재
JP2003213869A (ja) 階段の滑り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