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033Y1 - 자수기의 절사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자수기의 절사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033Y1
KR200297033Y1 KR2020020026452U KR20020026452U KR200297033Y1 KR 200297033 Y1 KR200297033 Y1 KR 200297033Y1 KR 2020020026452 U KR2020020026452 U KR 2020020026452U KR 20020026452 U KR20020026452 U KR 20020026452U KR 200297033 Y1 KR200297033 Y1 KR 200297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oidery
cutting
led
auxiliary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명규
Original Assignee
남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명규 filed Critical 남명규
Priority to KR2020020026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0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033Y1/ko

Link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수기의 절사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자수기에서 자수작업시 절사가 발생되면 LED표시창에서 1차 절사감지구역이 표시되고 작업자가 1차 감지구역을 찾아가면 2차 절사감지구역에서 LED점멸구가 점멸되도록 하여 절사지점을 신속히 찾아 보수할수 있는 절사감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에 통상 절사감지장치를 구성하는 절연체에 보조도전봉과 LED 점멸구를 구비하고 감지구에는 보조도전봉과 함께 접지될 수 있는 접지요홈을 형성하고 보조접지봉에는 근접스위치를 연결하여 회전감지구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자수사를 80~100개 단위로 하여 절사를 감지하는 통상의 자수사의 절사감지장치의 1차 절사감지구역을 자수사 5~10개의 단위로 2차 절사감지구역을 설정하여 절사가 발생되면 LED 점멸구가 점멸되므로 절사지점을 신속히 찾아서 보수할 수 있게 되므로 절사로 인한 미자수 부위를 해소할 수 있게 되므로 자수직물의 품질이 높아지고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수기의 절사 감지장치 { The cutting thread sensor of embroidery machine }
본 고안은 자수기의 절사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자수과정에서 절사가 되면 LED표시창에서 LED가 점멸되고 스피크음이 울리게 하여 1차 절사감지 구역을 감지하고, 1차 단위구역을 분할시킨 2차 단위구역의 절사지점에서 LED점멸구가 점멸되도록 하여 절사지점을 신속히 찾아 보수하므로서 미자수 부위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수기는 1000~1500개의 자수바늘에 자수사가 개별적으로 공급되어 무지에 설정된 문양으로 동시에 동작하여 직물에 자수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자수기에는 자수바늘에 공급되는 1500개의 자수사 중 어느 하나라도 끊어지게 되면 끊어진 부위에는 자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불량부위가 형성되므로 이를 수정하는 작업이 요구되고 수정작업 공정에 시간이 많이 요구되면서도 품질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어 왔다.
이를 해소하는 절사감지장치는 PCB 회로에 LED 표시창과 스피커를 구비하고 펄스발생부와 감지부를 자수기에 설치하고 감지부에서 자수사가 끊어지면 감지부가 펄스발생부의 도전봉을 접지시켜 스피커에서 음이 울리고 LED 표시창에서 점멸되게 하여 절사를 알리게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절사감지장치는 자수사를 감지하는 감지부(감지구)에서 자수사가 끊어지면 도전봉에 연결될때 접지가 원할하지 못하게 되면 오작동이 발생되므로 이를 해소하고자 본원에 의해 접점면적을 크게 하는 원호형의 결합홈을 형성하여 오작동을 개선하는 절사감지장치(국내실용신안등록제235233, 2001.06.11 등록)가 고안된 바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자수사 절사감지장치는 LED의 표시창에는 80~100개의 자수사를 한 단위 구역으로 설정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단은 자수기에서 자수사의 절사가 발생되면 LED 표시창에서 점멸되고 스피크음이 울리게 되어 작업자는 절사구역을 찾아가 그 지점에서 절사된 자수사를 찾아 연결하게 된다.
이 때 80~100개의 절사지점에서 절사된 지점을 찾는데는 시간이 소모되고 신속히 찾을 수 없게 되어 이로 인한 절사지점의 미자수 시간이 길어져 불량자수 부위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개선하고 LED 표시창에서 절사지점의 구역이 표시되면 작업자가 절사구역을 확인하고 LED 표시창에서 표시하는 절사단위구역에 찾아가면 절사구역을 다시 세분하여 설정한 2차 절사구역에서 절사지점의 LED 점멸구가 점멸되도록 하여 절사된 자수사를 신속히 찾아서 미자수를 해소할 수 있는 절사감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평면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절사감지장치의 블럭도
도5는 종래 절사감지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보조도전봉 11 : LED 고정홈
12 : LED 점멸구 13,13a : 접지요홈
14 : 근접스위치 15 : 회전감지구
프레임(1) 상에 절연체로 구성되는 밑판(2)과 위판(2a) 사이에는 도전봉(3)(4)을, 윗판(2a)에는 역전방지용 지지봉(5)을 위치시켜 나사(6)로 결합하고, 일측의 도전봉(4)에는 간격유지용 스프링(7)과 일측에는 결합구(8a)를, 타측에는 자수사 가이드(8b)가 구비된 감지구(8)의 결합구(8a)를 끼워 구성되는 통상의 전자감지장치에 있어서 밑판(2)과 윗판(2a)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봉(3)의 전방측에는 보조도전봉(10)을, 밑판(2)의 선단측에는 LED고정홈(11)을 형성하여 LED점멸구(12)를 수납하고, 감지구(8)의 만곡되는 연결부에는 도전봉(3) 및 보조도전봉(10)에 동시 집지되도록 한쌍의 접지요홈(13)(13a)을 형성하고 보조도전봉(10)에 감지구(8)의 접지시에 LED점멸구(12)가 점멸될 수 있도록 근접스위치(14)를 접속하여 회전감지구(15)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0은 자수사, a와 b는 2차 절사감지구역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에서와 같은 절사감지장치의 블럭도에 보조펄스발생부와 보조감지부를 부가 설치하여 도4와 같은 절사감지장치의 블럭도를 구성하고 도3에서와 같이 보조펄스발생부는 회전감지부(15)에 연결하고 보조감지부는 보조도전봉(10)에 접속되도록 구성하며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감지구(8)의 자수사가이드(8b)에 자수사(20)를 끼워 통상과 같은 수단으로 자수를 수행하게 된다.
즉, 자수기에 연결된 1000~1500개의 자수바늘에 1000~1500 가닥의 자수사(20)가 텐션을 유지하여 자수를 수행하고 이중 한 가닥의 자수사가 끊어지게 되면 끊어진 자수사는 텐션이 해제됨과 동시에 감지구(8)는 도전봉(4)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낙하되면서 감지구(8)에 위치하는 한쌍의 접지요홈(13)(13a)은 도전봉(3) 및 보조도전봉(10)에 접지되고 감지구(8)와 도전봉(3)의 접지로 인하여 메인펄스발생부와 메인감지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LED표시창의 접지된 1차 절사감지구역의 LED가 점멸되고, 스피커에서는 절사를 알리게 되고, 한편 감지구(8)와 보조도전봉(10)의 접지로 인하여 보조도전봉(10)에 연결된 근접스위치(14)는회전감지구(15)에서 감지되어 절사된 지점에 위치하는 2차 절사감지구역의 LED점멸구(12)가 점멸하게 되어 절사지점을 알리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1차 구역에서 절사지점의 구역을 확인하고 절사구역을 찾아가게 되면 1차 감지구역을 다시 분할하여 설정한 2차 절사감지구역의 절연체 밑판(2)의 LED 고정홈(11)에 위치하는 수개의 LED점멸구(12) 중에서 점멸되는 LED 점멸구의 도전봉(3)과 보조도전봉(10)에 낙하된 감지구(8)를 찾아 끊어진 자수사를 감지구(8)의 자수사 가이드(8b)에 끼워 자수바늘에 연결하고 텐션에 걸리게 하면 감지구(8)는 도전봉(3), 보조도전봉(10)에서 접지상태가 해제되어 복원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통상의 절사감지장치에 보조도전봉(10)과 LED점멸구(12)를 구비하면서, 감지구(8)에는 보조도전봉(10)과 집지될수 있는 접지요홈(13a)을 구비하고 보조접지봉(10)의 근접스위치(14)가 회전감지구(15)에서 감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1차절사감지구역에서 80~100개 단위로 하여 1차 절사감지구역을 표시하고, 1차절사구역을 다시 5~10개 단위로 하여 2차 절사감지구역의 LED 점멸구(12)가 점멸되게 하여 절사지점을 신속히 찾아서 절사된 감지구(8)의 자수사 가이드(8b)에 자수사를 끼워 자수가 이루어지게 연결하는 보수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게 하므로서 미자수 부위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절사감지장치를 개선하므로서 절사의 감지를 간단히 할 수 있고 신속히 보수할 수 있어 자수기에서 자수할때 절사로 인한 미자수부위를 해소할 수 있게 되므로 자수직물의 품질이 높아지고 생산효율을 높일 수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프레임(1) 상에 절연체로 구성되는 밑판(2)과 위판(2a) 사이에는 도전봉(3)(4)을, 윗판(2a)에는 역전방지용 지지봉(5)을 위치시켜 나사(6)로 결합하고, 일측의 도전봉(4)에는 간격유지용 스프링(7)과 일측에는 결합구(8a)를, 타측에는 자수사 가이드(8b)가 구비된 감지구(8)의 결합구(8a)를 끼워 구성되는 통상의 전자감지장치에 있어서 밑판(2)과 윗판(2a)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봉(3)의 전방측에는 보조도전봉(10)을, 밑판(2)의 선단측에는 LED고정홈(11)을 형성하여 LED 점멸구(12)를 수납하고, 감지구(8)의 만곡되는 연결부에는 도전봉(3) 및 보조도전봉(10)에 동시 집지되도록 한쌍의 접지요홈(13)(13a)을 형성하고 보조도전봉(10)에 감지구(8)의 접지시에 LED점멸구(12)가 점멸될 수 있도록 근접스위치(14)를 접속하여 회전감지구(15)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수기의 절사감지장치
KR2020020026452U 2002-09-04 2002-09-04 자수기의 절사 감지장치 KR200297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452U KR200297033Y1 (ko) 2002-09-04 2002-09-04 자수기의 절사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452U KR200297033Y1 (ko) 2002-09-04 2002-09-04 자수기의 절사 감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143A Division KR20020074133A (ko) 2002-09-04 2002-09-04 자수기의 절사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033Y1 true KR200297033Y1 (ko) 2002-12-02

Family

ID=7312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452U KR200297033Y1 (ko) 2002-09-04 2002-09-04 자수기의 절사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03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062B1 (ko) 2007-05-04 2013-11-19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실 끊김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365243B1 (ko) 2007-05-10 2014-02-26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기의 단사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412981B1 (ko) 2007-04-19 2014-06-27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기의 자수실 끊김 레이저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60066155A (ko) 2014-12-02 2016-06-10 남명규 기계 자수기의 자수사 단사 감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981B1 (ko) 2007-04-19 2014-06-27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기의 자수실 끊김 레이저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331062B1 (ko) 2007-05-04 2013-11-19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실 끊김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365243B1 (ko) 2007-05-10 2014-02-26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기의 단사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60066155A (ko) 2014-12-02 2016-06-10 남명규 기계 자수기의 자수사 단사 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7033Y1 (ko) 자수기의 절사 감지장치
KR20020074133A (ko) 자수기의 절사 감지장치
CN108893886B (zh) 一种缝纫机过线结构
CN212611305U (zh) 一种具有自动穿线功能的工业缝纫机
US60190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mbroidering tubular material
DE112005001060T5 (de) Nähmaschine
CN105926199A (zh) 一种无线报警装置及缝纫机
KR200235233Y1 (ko) 자수기의 절사감지장치
US4372235A (en) Thread monitoring device
CN212834408U (zh) 一种电脑绗缝机
CN105887346A (zh) 一种具有断线和布料检测功能的缝纫机
CN115233387B (zh) 刺绣机绣线监测装置
JPH0681263A (ja) 刺繍ミシン
CN103469460A (zh) 电脑针织横编机的纱线张力调整装置
KR200348561Y1 (ko) 자수기에서 스팡글필름의 절단감지장치
CN205803774U (zh) 一种具有断线和布料检测功能的缝纫机
CN115233386A (zh) 一种用于刺绣机的免穿线夹线器
JPH08277069A (ja) ボビンの糸検知装置
CN214529541U (zh) 一种纺织机械加工用断针检测设备
KR200199760Y1 (ko) 환편기용 급사안전기의 실 끊김 경고장치
JPH0543113Y2 (ko)
CN219568170U (zh) 一种纺织机械断线监测装置
CN212714046U (zh) 一种锁眼机的底线检测装置
CN214736582U (zh) 一种缝纫机断线感应机构
CN211848422U (zh) 一种缝纫机及其断线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