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866Y1 -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866Y1
KR200296866Y1 KR2020020026483U KR20020026483U KR200296866Y1 KR 200296866 Y1 KR200296866 Y1 KR 200296866Y1 KR 2020020026483 U KR2020020026483 U KR 2020020026483U KR 20020026483 U KR20020026483 U KR 20020026483U KR 200296866 Y1 KR200296866 Y1 KR 200296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operating member
light leakage
switch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근무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6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8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866Y1/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부로 삽입설치되며 수용부를 갖는 작동부재와, 이 작동부재의 하측으로 삽입되며 단수 또는 복수개 램프가 설치되는 램프설치부재와, 작동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스위치에,
작동부재의 수용부를 양분하는 구조로서 형성되며, 한조의 안내돌기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하여 각 안내돌기의 사이로 안내홈을 형성하게 되는 가이드구와, 가이드구의 안내홈상으로 형성되는 한조의 걸림공과, 가이드구의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차단부의 양측벽으로 걸림공을 통해 고정되는 돌출턱이 형성되며, 차단부의 상부로는 손잡이부가 연장형성되는 누광차단막을 더 구비하여, 단수 또는 복수개 램프가 설치된 램프설치부재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부재에서 누광차단막을 장,탈착하므로서 작동부재를 단,복수 램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A PUSH SWICH FOR VEHICLES}
본 고안은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에 내장되는 램프의 상호 광간섭을 방지하는 누광차단막을 작동부재에서 장,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단수 또는 복수개 엘이디 설치시 선택적으로 장,탈착하므로서 작동부재를 단,복수 엘이디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로는 운전 편의를 위하여 차내의 조작패널에 다수의 스위치(누름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어, 이러한 스위치를 통해 에어컨의 작동하거나 비상등 또는 안개등을 작동하게 되며, 이러한 차량용 스위치는 별도의 작동표시등이 단수개 또는 복수개로 내장되어 있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종래 차량용 스위치의 대표적인 일례가 도 1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케이스(100)의 상부 개구부분으로 삽입 설치되는 작동부재(200)와, 작동부재(200)의 하측으로 삽입설치되는 램프설치부재(300)와, 작동부재(3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버튼(400)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램프설치부재(300)는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표시 램프(310)가 단수개로 설치되거나, 또한 버튼으로 야간에 스위치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위치식별부가 형성될 경우에는 위치식별램프(320)가 추가로 설치된다.
또한, 이와같이 램프설치부재(300)에 복수개의 램프(310,320)를 설치할 경우에는 각 램프(310,320)의 상호 광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램프설치부재(300)의 램프(310,320)가 수용되는 작동부재(200)의 수용부(210)로 누광차단막(220)을 추가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램프설치부재(300)에 설치되는 램프의 갯수에 따라 누광차단막(220)이 형성되거나, 또는 형성되지 않은 작동부재(200)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작동부재 금형 또는 작동부재성형기를 더 구비해야하므로 생산자의 입장에서 보면 제반설비를 확충해야함에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은 제작원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차량용 스위치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위치에 내장되는 램프의 상호 광간섭을 방지하는 누광차단막을 작동부재에서 장,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단수 또는 복수개 램프설치시 선택적으로 장,탈착하므로서 작동부재를 단,복수 램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에 있어, 누광차단막이 작동부재에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에 있어, 누광차단막의 장,탈착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스위치 2 : 작동부재 3 : 탄성접속편
11 : 케이스 12 : 램프설치부재 13 : 버튼
21 : 수용부 22 : 가이드구 23,23' : 걸림공
24 : 누광차단막 121,121' : 램프 221,221' : 안내돌기
222 : 안내홈 241 : 차단부 242 : 손잡이부
243 : 슬라이드 돌기 244,244' : 돌출턱 245,245' : 텐션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부로 삽입설치되며 수용부를 갖는 작동부재와, 이 작동부재의 하측으로 삽입되며 단수 또는 복수개 램프가 설치되는 램프설치부재와,작동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스위치에 있어서,
작동부재의 수용부를 양분하는 구조로서 형성되며, 한조의 안내돌기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하여 각 안내돌기의 사이로 안내홈을 형성하게 되는 가이드구와;
가이드구의 안내홈상으로 형성되는 한조의 걸림공과;
가이드구의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차단부의 양측벽으로 걸림공을 통해 고정되는 돌출턱이 형성되며, 차단부의 상부로는 손잡이부가 연장형성되는 누광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에 있어, 누광차단막의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에 있어, 누광차단막의 장,탈착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스위치(1)는 작동부재(2)의 엘이디수용부(21)에 걸림공(23,23')을 포함하는 가이드구(22)를 형성하여, 이 가이드구(22)를 통해 차단부(241)와 손잡이부(242)로 이루어진 누광차단막(24)을 장,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적인 구성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차량용 스위치(1)는 도 2에서와 같이케이스(11)와 작동부재(2)와 램프설치부재(12)와 버튼(13)의 조립체로서, 작동부재(2)와 램프설치부재(12)는 탄성접속편(3)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통상의 누름스위치 구조를 갖게 되며, 버튼(13)에 위치식별부의 형성유,무에 따라 램프설치부재(12)로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의 램프(121,121')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게 된다.
이때, 작동부재(2)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단부가 개방되고 상부 일측벽또한 소정의 폭으로 개방하여 내부로 램프설치부재(12)의 램프(12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1)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은 수용부(21)로는 중앙을 양분하는 형태로 가이드구(22)를 형성하되, 이러한 가이드구(22)는 한조의 안내돌기(221,221')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하여 각 안내돌기(221,221')의 사이로 안내홈(222)이 형성되도록 한 구조를 갖게 된다.
여기서, 수용부(21)의 최상측, 즉 작동부재(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구(22)는 후술하는 누광차단막(24)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타측 안내돌기(221')의 일부분 구성을 베제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구(22)의 안내홈(222)으로는 한조의 걸림공(23,23')을 형성하되, 이러한 걸림공(23,23')은 도 2에서와 같이 수용부(21)의 바닥면과 도 3에서와 같이 일측벽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게 된다.
한편, 누광차단막(24)은 도 2에서와 같이 판상체를 취하며 양측벽에 상기의 안내홈(222)과 대응되는 슬라이드돌기(243) 및 돌출턱(244)이 형성되는차단부(241)와, 이 차단부(241)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적어도 차단부(241)보다 넓은 폭을 갖는 손잡이부(242)로 분할구성된다.
이때, 차단부(241)의 폭은 전술한 가이드구(22)의 안내홈(222)으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는 폭을 갖게 되며, 차단부(241)의 양측벽으로 형성되는 돌출턱(244)은 전술한 걸림공(23,23')과 대응되는 위치(이해를 돕기위해 이하에서는 바닥면으로 형성된 걸림공(23)에 고정되는 돌출턱은 제 1 돌출턱(244)이라 칭하고, 일측벽에 형성되는 걸림공(23')에 고정되는 돌출턱은 제 2 돌출턱(244')이라 칭한다.)로 형성하되, 각 돌출턱(244,244')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텐션돌기(245,245')의 끝단에 동일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1)는 도 3에서와 같이 작동부재(2)의 수용부(21)로 형성한 가이드구(22)를 통해 누광차단막(24)을 장,탈착하되,
누광차단막(24)의 장착은 손잡이부(242)를 파지한 상태에서 가이드구(22) 안내홈(222)을 따라 누광차단막(24)의 차단부(241)를 슬라이드 결합하되, 안내홈(222)상에 형성된 걸림공(23')으로 차단부(241)의 제 2 돌출턱(244')을 걸림고정한 상태에서 손잡이부(242)의 일측벽(제 1 돌출턱(244)이 형성된 일측)에 힘을 가해 제 1 돌출턱(244)이 제 2 돌출턱(244')을 축으로 하여 걸림공(23)에 걸림고정되게 하므로서 견고한 장착작업이 이루어지며,
누광차단막(24)의 탈착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부(242)의 일측벽(제 1 돌출턱(244)이 형성된 일측)에 힘을 가해 제 1 돌출턱(244)이 제 2 돌출턱(244')을 축으로 들어올려지게 하여 걸림공(23)에서 탈착시킨 후, 안내홈(222)을 따라 차단부(241)를 탈착시키므로서 누광차단막(24)을 탈착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돌출턱(244)과 제 2 돌출턱(244')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텐션돌기(245,245')의 끝단으로 형성되므로, 이러한 텐션돌기(245,245')의 형태변형에 의해 걸림공(23')에 걸림되어진 제 2 돌출턱(244')을 축으로 하여 제 1 돌출턱(244)이 걸림공(23)에 걸림고정되거나 탈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누광차단막(24)이 작동부재(2)에서 장,탈착되는 본 고안의 차량용 스위치는 도 4에서와 같이 단수개 램프(121)를 갖는 스위치부재(12)가 작동부재(2)의 수용부(21)에 설치될 경우 누광차단막(24)을 분리하게 되며, 복수개의 램프(121,121')를 갖는 스위치부재(2)에 설치할 경우에는 누광차단막(24)을 설치하여 각 램프(121,121')의 누광을 차단하므로서 상호 광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따라, 본 고안에서는 누광차단막(24)을 필요에 따라 작동부재(2)에 장,탈착할 수 있도록하여, 단수개 또는 복수개의 램프가 설치된 스위치부재에 관계없이 동일한 작동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는 작동부재로 형성한 가이드구를 통해 누광차단막을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단수 또는 복수개 램프가 설치된 램프설치부재에 따라 누광차단막을 선택적으로 장,탈착하므로서 작동부재를 단,복수 램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동일한 작동부재를 단,복수 램프겸용으로 사용하므로서 작동부재의 사용효율을 확충한 효과와 함께, 단수종류의 작동부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제작비용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부로 삽입설치되며 엘이디수용부를 갖는 작동부재와, 이 작동부재의 하측으로 삽입되며 단수 또는 복수개 엘이디램프가 설치되는 램프설치부재와, 작동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스위치에 있어서,
    작동부재의 엘이디수용부를 양분하는 구조로서 형성되며, 한조의 안내돌기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하여 각 안내돌기의 사이로 안내홈을 형성하게 되는 가이드구와;
    가이드구의 안내홈상으로 형성되는 한조의 걸림공과;
    가이드구의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차단부의 양측벽으로 걸림공을 통해 고정되는 돌출턱이 형성되며, 차단부의 상부로는 손잡이부가 연장형성되는 누광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한조의 걸림공은 텬션돌기의 끝단으로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
KR2020020026483U 2002-09-04 2002-09-04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 KR200296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483U KR200296866Y1 (ko) 2002-09-04 2002-09-04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483U KR200296866Y1 (ko) 2002-09-04 2002-09-04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866Y1 true KR200296866Y1 (ko) 2002-12-02

Family

ID=7312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483U KR200296866Y1 (ko) 2002-09-04 2002-09-04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8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27113A (ja) モジュール式操作スイッチアッセンブリ
US8801243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EP2624674B1 (en) Operation switch
US7775694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nit
US200400184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electrical power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296866Y1 (ko) 장,탈착식 누광차단막을 갖는 차량용 스위치
EP1909158B1 (en) Actuating element
JP2015166234A (ja) 車載装置
US8057079B2 (en) Interior illumination apparatus
JP2008044431A (ja) 車内用照明装置
CN210882013U (zh) 安全带锁扣
KR100854286B1 (ko) 연동 스위치
JP5130982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電子機器の防水構造
KR200222772Y1 (ko) 자동차용 복합 누름 스위치
JP2009274675A (ja) 車載用室内照明装置
RU2772784C2 (ru) Компонент управления и/или сигнализации
AU755328B2 (en) Power switch
CN218846045U (zh) 驱动盒智能模块快装结构
JP2006196270A (ja) プッシュ式スイッチ外筐構造
US10821876B2 (en) Vehicular lamp
JP4413204B2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KR200296865Y1 (ko) 차량용 시이소스위치의 램프장착구조
JP4851917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TW201541776A (zh) 配線器具用安裝框
JP2571518Y2 (ja) 直管形蛍光ランプ用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