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595Y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595Y1
KR200296595Y1 KR2020020027489U KR20020027489U KR200296595Y1 KR 200296595 Y1 KR200296595 Y1 KR 200296595Y1 KR 2020020027489 U KR2020020027489 U KR 2020020027489U KR 20020027489 U KR20020027489 U KR 20020027489U KR 200296595 Y1 KR200296595 Y1 KR 200296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glasses
spring
connecting le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웅기
Original Assignee
박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웅기 filed Critical 박웅기
Priority to KR2020020027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595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경테(12) 둘레 일측에 이와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외측 단부에 힌지부(15)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15)에 관통구멍(16)이 형성되는 연결다리(14)와; 상기 연결다리(14)의 힌지부(15)가 삽입되도록 단부에 결합홈(18)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8) 내측에 스프링홈(19)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다리(14)의 관통구멍(16)의 동일선상에 나사구멍(20)이 형성되는 안경다리(17)와; 상기 연결다리(14)의 관통구멍(16) 및 안경다리(17)의 나사구멍(20)에 결합되는 체결나사(21)와; 상기 안경다리(17)의 스프링홈(19)에 결합구비되는 스프링(22)과; 상기 연결다리(14)의 힌지부(15) 단부와 스프링(22) 사이에 구비되는 작동편(23)이 더 구비되는 안경을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안경테(12)와 연결다리(14)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이들을 용접할 필요가 없어 안경 제작 공수가 감소될 뿐 아니라 안경테(12)와 연결다리(14) 사이에 돌출부위가 없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며, 두 안경다리(17)의 회동범위가 90°를 벗어날시 안경다리(17)가 휘거나 부품의 일부가 파손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다리(14)의 힌지부(15)가 작동편(23)을 눌러 스프링(22)을 압축시키면서 안경다리(17)가 탄성적으로 더 제쳐지도록 하므로 안경다리(17) 및 연결다리(14)를 보호하고, 스프링(22)의 탄력에 의해 안경다리(17)가 얼굴 양측에 탄성밀착되므로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안경 {glasses}
본 고안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이 간단하고 디자인이 미려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 두 렌즈(1)와, 렌즈(1)를 감싸는 안경테(2)와, 안경테(2)의 대응 외측에 연결되는 연결다리(4)와, 두렌즈(1)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코다리(3)와, 체결나사(6)에 의해 연결다리(4)에 힌지결합되는 안경다리(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다리(4)와 안경테(2)의 결합은, 연결다리(4) 단부가 안경테(2)의 외측 둘레에 위치된 후 용접되어 고정되므로 이들 용접부위가 외부로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못하였고, 용접 작업으로 인해 안경 제작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안경다리(5)는 체결나사(6)를 중심으로 90°범위 내에서만 회동되므로 한쌍의 안경다리(5) 폭보다 얼굴이 더 클 경우 안경다리(5)는 강제로 벌어지게 되면서 안경다리(5)와 연결다리(4)의 결합부위에 무리한 힘이 작용되어 부품 손상의 원인이 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작이 간단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착용감이 좋을 뿐 아니라 안경다리 및 연결다리를 보호하도록 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안경은, 안경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 둘레 일측에 이와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외측 단부에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연결다리와; 상기 연결다리의 힌지부가 삽입되도록 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내측에 스프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다리의 관통구멍의 동일선상에 나사구멍이 형성되는 안경다리와; 상기 연결다리의 관통구멍 및 안경다리의 나사구멍에 결합되는 체결나사와; 상기 안경다리의 스프링홈에결합구비되는 스프링과; 상기 연결다리의 힌지부 단부와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작동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안경테와 연결다리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이들을 용접할 필요가 없어 안경 제작 공수가 감소될 뿐 아니라 안경테와 연결다리 사이에 돌출부위가 없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며, 두 안경다리의 회동범위가 90°를 벗어날시 안경다리가 휘거나 부품의 일부가 파손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다리의 힌지부가 작동편을 눌러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안경다리가 탄성적으로 더 제쳐지도록 하므로 안경다리 및 연결다리를 보호하고,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안경다리가 얼굴 양측에 탄성밀착되므로 착용감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안경을 보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안경을 보이는 사시도
도3은 도2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4 및 도5는 본 고안 안경의 장점을 보이는 평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안경테 14 ; 연결다리
15 ; 힌지부 17 ; 안경다리
19 ; 스프링홈 21 ; 체결나사
22 ; 스프링 23 ; 작동편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2은, 본 고안 안경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부를 확대한 분해 사시도로써, 이는, 두 렌즈(11)와, 렌즈(11) 둘레에 구비되어 이를 지지하는 안경테(12)와, 렌즈(11) 사이에 구비되어 이를 지지하는 코다리(13)와, 안경테(12) 양측에 이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다리(14)와, 연결다리(14) 단부에 결합되는 안경다리(1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다리(14)는, 안경테(12) 둘레 일측에 이와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그 외측 단부에는 힌지부(15)가 형성되며, 힌지부(15)에는 관통구멍(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경다리(17)는, 연결다리(14)의 힌지부(15)가 삽입되도록 단부에 3방향으로 개방된 결합홈(18)이 형성되고, 결합홈(18) 내측에는 스프링홈(19)이 형성되며, 연결다리(14)의 관통구멍(16)의 동일선상에, 즉 관통구멍(16) 상하측에 나사구멍(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다리(14)의 관통구멍(16)과 안경다리(17)의 나사구멍(20)에는 체결나사(21)가 결합되어 있어 안경다리(17)가 연결다리(14)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또한 안경다리(17)의 스프링홈(19)에는 스프링(22)이 결합구비되고, 연결다리(14)의 힌지부(15) 단부와 스프링(22) 사이에는 작동편(23)이 구비되는바, 이 작동편(23)은, 힌지부(15) 단부에 밀착지지되는 누름부(24)와, 누름부(24) 일측에 돌출형성된 안내부(25)가 구비된다.
따라서 안경다리(17)가 도4와 같은 상태에서 도5과 같이 외측으로 더 벌어질시, 작동편(23)의 누름부(24)가 힌지부(15) 단부에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편(23)의 안내부(25)가 스프링홈(19) 내부로 인입되면서 스프링(22)을 압축시키면서 일정각도 이상 더 회동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안경은,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는바, 안경테(12)와 연결다리(14)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안경테와 연결다리의 이음부위가 매끄러운 면을 갖는다. 따라서 안경의 전체 이미지가 깔끔하며 깨끗한 이미지를 갖게 되어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안경테(12)와 연결다리(14)가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이들을 용접하여 고정시켰던 종래에 비해 제작 공수가 절감되며, 이에 따라 안경 제작 단가가 감소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장점은, 안경다리(17)가 90°이상 회동된다는 점인데, 한쌍의 안경다리(17)의 폭보다 얼굴 양측의 폭이 더 큰 사람이 도2와 같은 상태의 안경을 착용할 경우, 본 고안 안경다리(17)는 도3과 같이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즉, 안경다리(17)가 외측으로 더 벌어지면서 작동편(23)의 누름부(24)가 연결다리(14)의 힌지부(15) 단부에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편(23)의 안내부(25)가 스프링홈(19) 내부로 인입되면서 스프링(22)을 압축시키면서 일정각도 이상 더 회동된다.
그러므로 안경다리(17)가 90°이상 회동되어도 안경다리(17)가 휘어지거나 안경다리(17)와 연결다리(14)의 결합부분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부품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도5와 같은 상태의 안경다리(17)에는 스프링(22)의 복원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안경다리(17)가 얼굴의 양측에 탄성밀착되며, 이에 따라 안경의 착용감이 향상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에 의하면, 안경테(12)와 연결다리(14)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이들을 용접할 필요가 없어 안경 제작 공수가 감소될 뿐 아니라 안경테(12)와 연결다리(14) 사이에 돌출부위가 없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며, 두 안경다리(17)의 회동범위가 90°를 벗어날시 안경다리(17)가 휘거나 부품의 일부가 파손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다리(14)의 힌지부(15)가 작동편(23)을 눌러 스프링(22)을 압축시키면서 안경다리(17)가 탄성적으로 더 제쳐지도록 하므로 안경다리(17) 및 연결다리(14)를 보호하고, 스프링(22)의 탄력에 의해 안경다리(17)가 얼굴 양측에 탄성밀착되므로 착용감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안경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2) 둘레 일측에 이와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외측 단부에 힌지부(15)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15)에 관통구멍(16)이 형성되는 연결다리(14)와;
    상기 연결다리(14)의 힌지부(15)가 삽입되도록 단부에 결합홈(18)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8) 내측에 스프링홈(19)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다리(14)의 관통구멍(16)의 동일선상에 나사구멍(20)이 형성되는 안경다리(17)와;
    상기 연결다리(14)의 관통구멍(16) 및 안경다리(17)의 나사구멍(20)에 결합되는 체결나사(21)와;
    상기 안경다리(17)의 스프링홈(19)에 결합구비되는 스프링(22)과;
    상기 연결다리(14)의 힌지부(15) 단부와 스프링(22) 사이에 구비되는 작동편(2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2020020027489U 2002-09-13 2002-09-13 안경 KR200296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489U KR200296595Y1 (ko) 2002-09-13 2002-09-13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489U KR200296595Y1 (ko) 2002-09-13 2002-09-13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595Y1 true KR200296595Y1 (ko) 2002-11-29

Family

ID=7312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489U KR200296595Y1 (ko) 2002-09-13 2002-09-13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5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6070A (en) Nose pad particularly for spectacle frames
US5889575A (en) Eyeglass temple device
US7517082B2 (en) Eyeglass assembly
EP3350647B1 (en) Frame joint and hinge for eyewear
US5640218A (en) Foldable spectacles with temple members having deformable earpieces for fitting into compact case
US5473395A (en) Foldable elastic temple for spectacles
KR200296595Y1 (ko) 안경
JP2007206360A (ja) 眼鏡フレーム
EP3004969A1 (en) Eyeglasses frame and a method for mounting lenses in an eyeglasses frame
KR200455234Y1 (ko) 플라스틱 안경테용 탄성힌지
KR101870528B1 (ko) 조립형 안경
KR10119497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200215644Y1 (ko) 무테 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의 결합구조
TW202036097A (zh) 眼鏡側蓋之組裝結構
JP4444711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可変リムロック及びメガネフレーム
KR200364408Y1 (ko) 안경다리 조립구조
JP2004093741A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276602Y1 (ko) 안경의 힌지 구조
KR101194956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JP3097571U (ja) 眼鏡保護カバー
JP3015376U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WO1998029778A1 (en) An elastic outward expansion mechanism of spectacles temples
KR100721039B1 (ko) 다기능 안경테
KR101941402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