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393Y1 - 턴디쉬건조및가열용버너 - Google Patents

턴디쉬건조및가열용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393Y1
KR200296393Y1 KR2019980025786U KR19980025786U KR200296393Y1 KR 200296393 Y1 KR200296393 Y1 KR 200296393Y1 KR 2019980025786 U KR2019980025786 U KR 2019980025786U KR 19980025786 U KR19980025786 U KR 19980025786U KR 200296393 Y1 KR200296393 Y1 KR 200296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dish
temperature
heating
burn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729U (ko
Inventor
김영우
배원수
한동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25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39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7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7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3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5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22D41/01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턴디쉬내부를 건조시키고 가열하는 버너의 종단부에 와이(Y)자형 보조노즐을 장착함으로서 턴디쉬 내부의 온도차를 감소시켜 균일하게 건조하고, 가열할 수 있으며, 짧은 가열시간내에 목적하는 온도로 턴디쉬를 승온시킬 수 있는 턴디쉬의 건조 및 가열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턴디쉬(120)의 턴디쉬본체(121) 내부를 건조하고, 기준온도이상으로 가열하도록 코크스 오븐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관(111)과,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관(112)과, 상기 코크스오븐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분사되는 노즐(113) 및 보호덮개(114)등으로 이루어진 버너에 있어서, 상기 노즐(113)의 단부에 수직축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15 내지 30°의 분사각도(θ)로 벌어진 화염구(2)를 갖는 보조노즐(3)을 교체가능하도록 장착하는 턴디쉬 건조 및 가열용 버너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턴디쉬의 건조 및 가열용 버너에 노즐을 설치하여 턴디쉬를 턴디쉬를 가열시키므로써 가열공정중에 턴디쉬 내부의 온도차를 감소시켜 내부온도의 균일화를 달성하고, 버너의 화염을 조절하여 기준온도로 가열되지 못했던 일부위치의 온도를 소정시간내에 기준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므로써 연료절감을 이룰 수 있고, 국부적인 가열에 의한 내화물의 손상을 억제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턴디쉬 건조 및 가열용 버너{BURNER FOR DRYING AND HEATING THE TUNDISH}
본 고안은 턴디쉬내부를 건조시키고 가열하는 버너의 종단부에 와이(Y)자형 보조노즐을 장착함으로서 턴디쉬 내부의 온도차를 감소시켜 균일하게 건조하고, 가열할 수 있으며, 짧은 가열시간내에 목적하는 온도로 턴디쉬를 승온시킬 수 있는 턴디쉬의 건조 및 가열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턴디쉬는 고온의 용탕을 담는 래들(ladle)과 용탕의 연속주조를 위한 설비인 몰드(mold)의 중간에 위치하여 다수의 스트랜드(strand)를 가진 연주기에서 각 몰드로의 용강의 분배 및 조절기능 그리고 턴디쉬에 용강을 체류시켜 개재물의 부상분리를 촉진시키는 설비로서, 이러한 턴디쉬는 일정기간 사용후 수리장에서 각종 내화물로 재시공하여 건조하고 주조위치까지 이동시켜 래들의 용탕을 받기 위하여 1100℃ 정도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턴디쉬의 내부는 정형 내화물로 주로 시공하였으나 최근에는 축조로 인한 시공상의 문제와 경제적인 이유로 턴디쉬 내부를 캐스타블과 같은 부정형 내화물로의 시공이 확대되고 있음에 따라, 부정형 내화물로 시공된 턴디쉬는 건조과정을 통하여 부정형 내화물에 포함된 다량의 결정수 및 흡착수 등을 제거해야 한다. 또한, 용탕을 받기 위하여 주상으로 이동된 턴디쉬는 그 상부에 설치되어 코크스오븐가스와 공기가 공급되는 가열장치인 버너(burner)에 의해서 그 내부가 소정 온도이상으로 승온시켜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버너는 턴디쉬상에 4 내지 6개가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턴디쉬를 가열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버너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종래의 버너(110)는 연료인 코크스 오븐 가스( coke oven gas )가 공급되는 가스관(111)과,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관(112)과, 상기 코크스오븐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착화되어 직선형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노즐(113) 및 보호덮개(114)등으로 구성됨에 따라, 용탕이 채워지기 전에 턴디쉬를 가열하기 위하여 복수개 설치되는 버너(110)는 상기 가스관(111)을 통하여 공급되는 코크스 오븐 가스와 공기관(112)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되고, 형성된 화염은 직선형 상기 노즐(113)에 의하여 턴디쉬 내부를 건조시키고, 가열시키게 된다.
도 2는 연주공장에서 용탕을 받기 위하여 사용되는 턴디쉬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이러한 턴디쉬(120)는 용탕이 채워지는 턴디쉬본체(121)와, 턴디쉬커버(122)와, 상기 버너(110)의 노즐(113)을 설치할수 있도록 상기 턴디쉬커버(122)에 천공형성되는 복수개의 버너홀(123)(124)(126)(127)과, 용탕이 공급되도록 천공형성되는 투입구(125) 및, 용탕의 연속주조를 위하여 용탕이 빠져나가는 콘(128)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턴디쉬커버(122)의 각 버너홀(123)(124)(126)(127)에 복수개 버너(110)의 각 노즐(113)을 장착하여 1100℃ 이상의 화염온도로 상기 턴디쉬(120)의 내부를 가열시킨 후 래들로 옮겨진 용탕을 받게 된다.
도 1과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버너(110)의 하부에 설치된 직선형 노즐(113)에 의하여 상기 턴디쉬(120)내부를 가열하도록 형성된 화염은 상기 노즐(113)구조상 주로 턴디쉬본체(21)바닥의 국부적인 면적만을 가열하게 되어 상기 턴디쉬본체(21)의 폭과 높이에 비하여 턴디쉬 길이방향으로는 균일한 가열이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 버너(110)의 노즐(113)에서 형성된 화염이 직접적으로 도달되는 위치에서는 기준 가열온도인 1100℃ 이상의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내화물의 국부가열에 의한 손상을 일으키는 반면에, 상기 노즐(113)의 화염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위, 특히 턴디쉬본체(121)의 각 모서리부분에서는 장시간의 가열에도 기준 온도보다 훨씬 낮게 가열되어 용탕의 연속주조작업에 장애를 일으켜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턴디쉬본체(121) 내부에 채워진 용탕을 연속주조하기 위하여 상기 턴디쉬본체(121)의 내부 바닥 2곳에 용탕이 빠져나갈수 있도록 콘(128)을 설치하게 되는데, 일반강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콘(128)이 상기 노즐(113)의 직접적인 화염을 받으면, 화염에 의해서 용융될 우려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상기 콘(128)의 직상부에 위치된 버너홀(123)(127)에 장착되는 버너(110)는 상기 콘(128)의 용융현상을 방지하도록 또다른 버너홀(124)(126)에 장착되는 버너(110)에 비하여 적은 연료를 공급하여 상기 턴디쉬본체(121)를 가열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턴디쉬본체(121)가 국부적으로 가열되고, 국부적인 가열에 의하여 불균일한 온도분포가 이루어지며, 화염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내화물이 손상되는 한편,턴디쉬(120)를 건조하고, 기준온도이상으로 가열하는 작업시간이 길어져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턴디쉬의 건조 및 가열용 버너에 노즐을 설치하여 턴디쉬를 가열시키므로써 가열공정중에 턴디쉬 내부의 온도차를 감소시켜 내부온도의 균일화를 달성하고, 버너의 화염을 조절하여 기준온도로 가열되지 못했던 일부 위치의 온도를 소정시간내에 기준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므로써 연료절감을 이룰 수 있고, 국부적인 가열에 의한 내화물의 손상을 억제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턴디쉬의 건조 및 가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턴디쉬 건조 및 가열용 버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일반적으로 연주공장에서 사용되는 턴디쉬와 턴디쉬 커버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턴디쉬 건조 및 가열용 버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턴디쉬 건조 및 가열용 버너에 채용되는 보조노즐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모사실험용 턴디쉬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화염구3 ....... 보조노즐
111 ..... 가스관112 ..... 공기관
113 ..... 노즐114 ...... 보호덮개
120 ..... 턴디쉬121 ...... 턴디쉬본체
122 ..... 턴디쉬덮개123,124,126,127 ...... 버너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턴디쉬의 턴디쉬본체 내부를 건조하고, 기준온도이상으로 가열하도록 코크스 오븐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관과,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관과, 상기 코크스오븐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분사되는 노즐 및 보호덮개등으로 이루어진 버너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하단부에 수직축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15 내지 30°의 분사각도로 벌어진 화염구를 갖는 보조노즐의 상단부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건조 및 가열용 버너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턴디쉬 건조 및 가열장치용 버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턴디쉬 건조 및 가열아치용 버너에 채용되는 노즐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버너(1)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턴디쉬(120)의 턴디쉬본체(121) 내부를 건조하도록 가스관(111), 공기관(112), 노즐(113) 및 보호덮개(114)등으로 이루어지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3과 4(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턴디쉬본체(121)의 상부면을 덮는 턴디쉬커버(122)의 각 버너홀(123)(124)(126)(127)로 삽입되어 상기 턴디쉬본체(121)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노즐(113)의 하단부에는 Y자형으로 화염구(2)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113)로부터 분사되는 화염을 좌우양측으로 양분하는 보조노즐(3)의 상단부를 장착하며, 상기 노즐(113)의 하단부와 상기 보조노즐(3)의 상단부를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플랜지로 연결구성되는바, 이러한 보조노즐(3)의 화염구(2)는 수직축에 대하여 좌우대칭의 일정 분사각도(θ)로 벌어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염구(2)가 좌우양측으로 벌어지는 분사각도(θ)를 15 °이하로 하면, 직선형으로 설치된 상기 노즐(113)과 거의 유사하게 화염이 분사되어 콘(128)을 용융시키고, 턴디쉬본체(121)를 국부적으로 가열시킬 우려가 있고, 분사각도(θ)를 30 °이상으로 하면, 상기 콘(128)의 직상부에 설치된 상기 보조노즐(3)에 의해서 상기 턴디쉬본체(121)의 바닥면이 가열되지 않고, 양쪽벽이 직접 화염에 접하여 가열되기 때문에, 상기 화염구(2)의 분삭각도(θ)는 15 내지 30°로 갖추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노즐(3)은 상기 턴디쉬(120)의 사용온도인 1200℃ 정도까지의 내산화성 및 변형율이 적도록 니켈(48중량% 이상), 크롬(32∼36중량%)/텅스텐(14∼17중량%)이 주성분인 내열합금강 또는 고온에서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질화규소, 사이알론 및 탄화규소계의 세라믹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턴디쉬 가열용 버너와 본 고안에 따른 버너를 사용한 실시예를 비교하여 본 고안의 턴디쉬 건조 및 가열용 버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턴디쉬 건조 및 가열용 버너(1)의 실험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폭과 높이는 일반적인 턴디쉬(120)와 동일하고, 길이만 1/2 로 축소된 모사실험용 턴디쉬(220)에서 수행하였다. 이러한 턴디쉬(220)는 턴디쉬본체(221)와, 복수개의 버너홀(41)(42)을 복수개 천공한 턴디쉬커버(122)로 이루어지고, 화염에 의해서 가열되는 턴디쉬본체(121)의 내부온도는 턴디쉬 폭의 중앙에 4개의 열전대(1번, 2번, 3번 및 4번), 중앙의 바닥에 4개의 열전대(5번, 6번, 7번 및 8번), 벽면의 중앙에 3개의 열전대(9번, 10번 및 11번), 그리고 벽면의 바닥에 4개의 열전대(12번, 13번, 14번 및 15번)등 총 15개의 열전대를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비교 실시예)
도 5에 도시된 모사실험용 턴디쉬(220)의 버너홀(41)(42)에 직선형 노즐(113)이 부착된 종래의 버너(110)를 각각 장착하여 턴디쉬본체(220)를 가열시켰다. 이때, 승온시 사용한 연소조건은 코크스 오븐 가스와 공기의 최적 연소비인 1:5 로 코크스 오븐 가스의 유량 55Nm3/h 및 공기유량 270Nm3/h 의 공급조건으로 화염을 형성하여 240분 동안 각 열전대 위치에서의 온도를 측정한 다음, 가열 190분 및 240분 후 얻어진 각 열전대위치에서의 최저, 최고온도 및 그 온도차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가열 190분후 종래 버너(110)의 노즐(113)에서 분사되는 화염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상기 턴디쉬본체(220)의 중앙의 중간인 열전대 14번에서의 온도는 1213.2℃ 로 매우 높게 가열되나, 상기 노즐(113)의 화염분사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일부 영역의 온도는 988.5 내지 992.3℃ 로 낮은 온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벽면 중간위치에서의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는 95.6℃ 정도이나, 중앙의 중간에서의 온도차는 224.7℃ 로 매우 높아 균일한 가열이 턴디쉬본체(221)내에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수 있다. 그리고, 240분의 가열시간 경과후에도 일부 영역은 매우 높은 온도로 국부적인 가열현상이 일어났으며, 복사열에 의한 가열면적의 증가로 그 온도차는 80.8 내지 153.1℃로 다소 감소하였다.
상기와 같이, 직선형의 노즐(113)을 갖는 종래의 버너(110)로서 턴디쉬(110)의 턴디쉬본체(121)를 가열하면, 일부영역의 국부적인 가열 및 이로 인한 내화물의 손상 그리고 각 위치에서의 온도차에 의한 불균일한 가열현상을 일으키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열기준시간
190분 240분
중앙의 중간온도 (열전대 1번, 2번, 3번 및 4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88.5℃(4번) 1107.0℃(1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213.2℃(2번) 1260.1℃(2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224.7℃ 153.1℃
중앙의 바닥온도 (열전대 5번, 6번, 7번 및 8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90.6℃(8번) 1059.1℃(8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122.2℃(6번) 1175.2℃(6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131.6℃ 116.1℃
벽면의 중간온도 (열전대 9번, 10번 및 11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92.3℃(11번) 1063.2℃(11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087.9℃(10번) 1144.0℃(10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95.6℃ 80.8℃
벽면의 바닥온도 (열전대 12번, 13번, 14 번및 15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89.5℃(15번) 1056.0℃(15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111.4℃(13번) 1165.3℃(13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121.9℃ 109.3℃
(고안의 제 1실시예)
도 4의 모사실험용 턴디쉬(220)의 버너홀(42)에는 85mm 의 내경, 120mm 의 길이로 내열합금강으로 이루어지고, 15°의 분사각도(θ)로 좌우대칭의 화염구(2)를 갖는 보조노즐(3)을 갖는 버너(1)를 장착하고, 상기 턴디쉬(220)의 또다른 버너홀(41)에는 종래의 직선형 노즐(113)을 갖는 버너(110)를 부착하여 모사실험용 턴디쉬(220)를 가열시켰다. 승온시 사용한 연소조건은 비교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였고, 동일한 위치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종래 버너(110)의 직선형 노즐(113)에 의한 직접적인 화염에 의하여 일부 위치가 높은 온도로 상승되었던 비교예의 종래 버너(110)에 의한 가열과 비교하면 15°의 분사각도(θ)를 갖는 보조노즐(3)과 종래 버너의 직선형 노즐(113)에 의한 190분 후의 가열에서는 최고온도가 1130.6℃로 낮았으며, 가열시간이 240분으로 경과하여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국부적인 가열에 의한 불균일한 온도분포와 내화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앙의 중간위치에서의 온도차는 131.9℃, 벽면의 중간 및 바닥에서의 온도차는 41.5 내지 56.3℃ 로 현저하게 감소되어 턴디쉬내부의 균일가열에 의한 안정적인 조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가열기준시간
190분 240분
중앙의 중간온도 (열전대 1번, 2번, 3번 및 4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86.4℃(4번) 1041.5℃(1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118.3℃(2번) 1160.2℃(2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131.9℃ 118.7℃
중앙의 바닥온도 (열전대 5번, 6번, 7번 및 8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85.5℃(8번) 1043.0℃(8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130.6℃(6번) 1172.9℃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145.1℃ 129.9℃
벽면의 중간온도 (열전대 9번, 10번및 11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1019.5℃(11번) 1070.3℃(11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061.0℃(10번) 1109.4℃(10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41.5℃ 39.1℃
벽면의 바닥온도 (열전대 12번, 13번, 14번 및 15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98.9℃(15번) 1055.0℃(15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055.2℃(13번) 1102.0℃(13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56.3℃ 47.0℃
(고안의 제 2실시예)
도 4의 모사실험용 턴디쉬(220)의 턴디쉬덮개(222)에 형성된 버너홀(41)(42)모두에 15°의 분사각도(θ)를 갖는 보조노즐(3)을 각각 상기 턴디쉬(220)를 가열시켜 각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승온시 사용한 연소조건은 비교 실시예와 동일하고, 비교실시예와 같은 위치에서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표 3에 나타내었다.
15°의 분사각도(θ)를 갖는 보조노즐(3)에 의한 턴디쉬(220)의 가열에 의하면 190분 후 최고온도가 1110.2℃로 종래의 버너(110)에 비하여 매우 낮았으며, 중앙의 중간위치에서의 온도외에는 최저온도로 다시 상승하였다. 또한 각 위치의 온도차도 40.1 내지 125.2℃ 로 종래 버너(110)의 가열에 의한 온도차 95.6 내지 224.7℃ 보다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가열기준시간
190분 240분
중앙의 중간온도 (열전대 1번, 2번, 3번 및 4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59.4℃(4번) 1065.3℃(4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08.62℃(2번) 1140.8℃(2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125.2℃ 75.5℃
중앙의 바닥온도 (열전대 5번, 6번, 7번 및 8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1004.3℃(8번) 1054.3℃(8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110.2℃(5번) 1139.7℃(6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105.9℃ 85.4℃
벽면의 중간온도 (열전대 9번, 10번 및 11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1012.3℃(11번) 1063.1℃(11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052.4℃(9번) 1107.0℃(9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40.1℃ 43.9℃
벽면의 바닥온도 (열전대 12번, 13번, 14번 및 15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95.1℃(14번) 1043.8℃(15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062.1℃(13번) 1117.0℃(13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67.0℃ 73.2℃
(고안의 제 3실시예)
도 4의 모사실험용 턴디쉬(220)의 턴디쉬커버(222)에 형성된 일측 버너홀(41)에는 본 고안에서 15°의 분사각도(θ)로 이루어진 화염구(2)를 갖는 분사노즐(3)을, 타측 버너홀(42)에는 130mm의 내경으로 이루어진 노즐(113)과, 그 하단에 80mm 내경과, 140mm 의 길이 및 30°의 분사각도(θ)를 갖는 화염구(2)를 갖는 노즐(3)을 이용하여 상기 턴디쉬(220)의 내부를 승온시켰다. 승온시 사용한 연소조건은 비교실시예와 동일하고, 같은 위치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에서 가열 190분 및 240분후의 턴디쉬(220)내부의 온도가 각각 1115.3 및 1163.7℃로 종래의 버너(110)에 의한 가열보다 현저히 낮은 온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190분 및 240분 후의 모든 위치에서의 온도차도 각각 92.9 내지 143.8℃ 및 84.8 내지 130.2℃ 로 특히, 화염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중앙의 중간과 바닥위치에서의 온도차가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가열기준시간
190분 240분
중앙의 중간온도 (열전대 1번, 2번, 3번 및 4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71.4℃(4번) 1033.5℃(4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114.9℃(2번) 1163.7℃(2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143.8℃ 130.2℃
중앙의 바닥온도 (열전대 5번, 6번, 7번 및 8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87.5℃(8번) 1048.0℃(8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115.3℃(5번) 1163.2℃(5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128.7℃ 115.2℃
벽면의 중간온도 (열전대 9번, 10번 및 11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74.7℃(11번) 1038.6℃(11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067.6℃(10번) 1123.4℃(9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92.9℃ 43.9℃
벽면의 바닥온도 (열전대 12번, 13번, 14번 및 15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974.0℃(15번) 1036.6℃(15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083.0℃(13번) 1134.4℃(13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109.0℃ 97.8℃
(고안의 제 4실시예)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도 2의 턴디쉬(120)의 턴디쉬본체(121)내부에 도시한 바와같이, 19개의 열전대를 설치하고, 그 내부를 턴디쉬커버(122)의 각 버너홀(123)(124)(126)(127)에 직선형 노즐(113)을 갖는 종래의 버너(110)를 갖추어 이에 의하여 상기 턴디쉬본체(121)내부를 가열하여 측정된 온도를 하기 표 5에 나타내고, 상기 버너홀(123)(127)에는 고안의 제 1실시예와 동일한 15°의 분사각도를 갖는 보조노즐(3)을, 상기 버너홀(124)(126)에는 종래의 버너(110)를 부착시켜 상기 턴디쉬(120)를 가열하고, 그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표 5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종래의 버너(110)에 의한 턴디쉬(110)의 가열에서는 모든 위치의 최저온도가 1026.9 내지 1053.4℃를 나타내었으나, 최고온도는 1215.9 내지 1285.0℃로 매우 높게 승온되었다. 종래의 버너(110)에 의한 이러한 높은 온도차는 턴디쉬(120)의 균일가열 및 소정온도로의 상승은 곤란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15°의 분사각도를 갖는 보조노즐(3)을 부착하여 턴디쉬(120)를 가열하면 최저 온도분포가 1043.7 내지 1097.2℃로 종래 버너(110)에 의한 가열보다 가열온도가 상승되었으며, 특히, 종래의 버너(110)에 의한 가열에서 낮은 온도를 나타내었던 15번, 17번, 18번 및 20번 열전대위치에서의 온도가 15°의 분사각도를 갖는 보조노즐(3)에 의한 승온에서는 높은 온도로 가열됨을 알수 있다. 그리고 종래 버너(110)에 의한 가열에서 모든 위치의 온도차가 187.9 내지 254.0℃ 인데 비하여 15°의 분사각도를 갖는 보조노즐(3)의 적용시에는 그 온도차가 93.0 내지 173.0℃로 현저히 감소되어 턴디쉬(120)내부를 균일하게 가열함은 물론, 낮게 가열되었던 위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었다.
가열기준시간
190분 240분
중앙의 중간온도 (열전대 1번, 2번, 3번 및 4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1047.8℃(18번) 1097.2℃(6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236.6℃(6번) 1190.2℃(14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187.9℃ 93.0℃
중앙의 바닥온도 (열전대 5번, 6번, 7번 및 8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1030.9℃(20번) 1056.1℃(4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285.0℃(12번) 1229.1℃(12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254.1℃ 173.0℃
벽면의 중간온도 (열전대 9번, 10번 및 11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1053.4℃(17번) 1069.2℃(17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223.6℃(5번) 1200.4℃(9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170.2℃ 131.2℃
벽면의 바닥온도 (열전대 12번, 13번, 14번 및 15번) 최저온도(열전대위치) 1026.9℃(15번) 1043.7℃(3번)
최고온도(열전대위치) 1215.9℃(7번) 1213.0℃(11번)
최저와 최고의 온도차 189.0℃ 169.3℃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턴디쉬커버(122)에 15 내지 30°의 분사각도(θ)로 이루어진 화염구(2)를 갖는 보조노즐(3)을 설치하여 턴디쉬본체(121)내부를 가열함으로서, 길이방향 및 내부의 온도편차를 현저히 감소시킬수 있기 때문에 턴디쉬(120)의 균일가열에 의하여 연소상태를 향상시키고, 가열시간의 단축에 의하여 연료를 절감할수 있는 한편, 종래와 같은 국부적인 가열에 의한 내화물의손상을 억제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턴디쉬(120)의 턴디쉬본체(121) 내부를 건조하고, 기준온도이상으로 가열하도록 코크스 오븐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관(111)과,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관(112)과, 상기 코크스오븐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분사되는 노즐(113) 및 보호덮개(114)등으로 이루어진 버너에 있어서, 상기 노즐(113)의 하단부에 수직축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15 내지 30°의 분사각도(θ)로 벌어진 화염구(2)를 갖는 보조노즐(3)의 상단부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건조 및 가열용 버너.
KR2019980025786U 1998-12-21 1998-12-21 턴디쉬건조및가열용버너 KR200296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786U KR200296393Y1 (ko) 1998-12-21 1998-12-21 턴디쉬건조및가열용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786U KR200296393Y1 (ko) 1998-12-21 1998-12-21 턴디쉬건조및가열용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29U KR20000012729U (ko) 2000-07-15
KR200296393Y1 true KR200296393Y1 (ko) 2003-01-24

Family

ID=4939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786U KR200296393Y1 (ko) 1998-12-21 1998-12-21 턴디쉬건조및가열용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3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84B1 (ko) * 2005-04-15 2007-04-09 주식회사 포스코 턴디쉬 노즐 개공용 산소파이프 안내장치
KR100667267B1 (ko) * 2005-04-26 2007-01-10 주식회사 포스코 턴디쉬 예열용 버너
KR101282935B1 (ko) * 2011-11-22 2013-07-05 주식회사 포스코 턴디쉬 예열용 화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29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1653B1 (en) Improvement relating to fluidized bed apparatus
KR200296393Y1 (ko) 턴디쉬건조및가열용버너
KR100561064B1 (ko) 스테인레스 주조용 래들의 균일 가열 장치
US3495801A (en) Aluminothermic welding casting mold
JP2969731B2 (ja) タンディッシュ内溶鋼の加熱方法
KR100823301B1 (ko) 턴디쉬 커버의 용강 주입구 개폐장치
JP3860861B2 (ja) 溶融ガラス流量調節装置のパイプ先端部加熱装置
JPH0128934Y2 (ko)
US4103877A (en) Device for the flame treatment of a work-piece
KR100829908B1 (ko) 몰드 플럭스 용해유닛
JP4464789B2 (ja) 使用前に予熱される製鋼用耐火れんがとその保温方法
US5354039A (en) Gas dispersion nozzle apparatus for fluidized bed furnace
JPH05180571A (ja) 焼結機の点火装置
JPH0245619Y2 (ko)
JPS6310480Y2 (ko)
JPH03153824A (ja) 鋼片加熱炉
US3134828A (en) Method for heating glass melting pot
JPH0442565B2 (ko)
JPS63109113A (ja) 加熱炉における加熱装置
KR200169947Y1 (ko) 침지노즐 예열장치
JPH0224890B2 (ko)
TWI528010B (zh) 燒結機的點火裝置以及燒結機
JPH07216443A (ja) ウオーキングビーム式加熱炉
SU672216A1 (ru) Фурма дл продувки металла газокислородной смесью
KR100478085B1 (ko) 산소부화 가스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