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752Y1 - 차량의리프스프링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리프스프링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752Y1
KR200295752Y1 KR2019980002256U KR19980002256U KR200295752Y1 KR 200295752 Y1 KR200295752 Y1 KR 200295752Y1 KR 2019980002256 U KR2019980002256 U KR 2019980002256U KR 19980002256 U KR19980002256 U KR 19980002256U KR 200295752 Y1 KR200295752 Y1 KR 200295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vehicle
body frame
mounting structure
spr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389U (ko
Inventor
송길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02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75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3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3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선회 운전시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발생하는 횡방향의 반력에 대한 횡방향 비틀림 조향각을 조절하여 타이어의 슬립을 억제하므로서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는;
양단이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고, 차체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된 중앙에서 리어 액슬과 체결되어 바퀴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차체 프레임의 리어측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에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프런트측 선단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의 선회 주행시 선회 방향의 바깥쪽 차체 프레임에 작용되는 리프 스프링의 압축력에 따라 비틀림이 발생하여 리프 스프링의 프런트측 선단이 차체 프레임의 내측으로 선회각을 갖도록 장착되는 비틀림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
본 고안은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에 장착되는 리프 스프링의 장착 구조를 변형하여 타이어의 지면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는 몇장의 스프링 중심에 구멍을 뚫어 센터 볼트로 조여, 개개의 리프 스프링을 길이방향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메인 스프링의 양단의 스프링 아이를 핀으로 차체에 장착하고, 스프링의 중간부분은 U 볼트를 이용하여 차축에 고정한다.
또한 뒤쪽 스프링 아이는 스팬(SPAN)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섀클을 사이에 두고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리프 스프링은 노면 조건과 부하 중량에 의해서 축소되어 완충기능을 수행하고, 도로에 의해 생기는 길이 변화는 샥클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상기 리프 스프링은 차량의 선회시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횡방향의 반력에 대해서 상기 스프링 아이와 샥클에 개재되는 부쉬의 변형과 함께 자체의 비틀림에 의해 횡방향의 비틀림 조향각이 발생하여 차량의 방향성에 영향을 주게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는 리프 스프링이 강판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선회 운전시 비틀림에 한계가 있고, 스프링 아이부와 샥클부에 개재된 부쉬는 각 방향에 대한 변형률이 낮으므로 횡방향 비틀림 조향각의 형성이 불리하여 타이어의 슬립을 유발하므로서 차량의 선회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선회 운전시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발생하는 횡방향의 반력에 대한 횡방향 비틀림 조향각을 조절하여 타이어의 슬립을 억제하므로서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는;
양단이 차체에 장착되고, 차체 하부로 돌출된 중앙에서 리어 액슬과 체결되어 바퀴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차체의 리어측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프런트측 선단과 차체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의 선회 주행시 선회 방향의 바깥쪽 차체에 작용되는 리프 스프링의 압축력에 따라 비틀림이 발생하도록 장착되는 비틀림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차량이 선회 주행을 하게되면 선회 반대 방향의 리프 스프링에 무게중심이 쏠려 상기 리프 스프링에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압축력에 따라 비틀림 응력을 내재한 비틀림 수단이 원래의 비틀린 형상으로 복귀하면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프런트측 선단이 차체 내측으로 선회각을 갖도록 작용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차량용 리어 서스펜션의 측면도,
도2는 차량이 선회 주행 진행시 도1의 A부분의 평면도,
도3은 차량이 선회 주행 진행시 도1의 A부분의 정면도이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차량용 리어 서스펜션의 측면도로서, 리프 스프링(1)은 바퀴로부터 차체 프레임(2)을 지지하도록 차체 프레임(2)의 리어측에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서로 다른 스프링 판을 겹쳐서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 스프링(1)의 양단은 차체 프레임(2)과 각각의 장착부를 가지고 장착되고, 차체 프레임(2)의 하부로 돌출된 중앙부는 리어액슬(3)과 일체로 형성된 차축(4)의 양측으로 U볼트(5)에 의해서 장착된다.
상기 장착부중 리프 스프링(1)의 리어측 장착부는 샥클(6)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리프 스프링(1)의 프런트측 장착부는, 도2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1)의 선단에 형성된 스프링 아이(7)에 핀부재(8)가 끼워지고, 상기 핀부재(8)의 양끝에서 강제로 비틀어서 비틀어진 형상의 좌,우측 비틀림 부재(9)(9')의 하단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비틀림 부재(9)(9')는 그 상단에 형성된 링크구멍(10)을 통하여 차체 프레임(2)과 차체 프레임(2)에 형성된 아웃리거(13)에 체결 브라켓(12)로 연결된 링크부재(11)가 결합된다.
상기 비틀림 부재(9)(9')는 차량이 선회시 후륜의 선회각(θ;본원 고안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하여 다소 과장되게 포현됨.)을 고려하여 비틀림 부재(9)(9')의 축방향에 대하여 소정각 비틀어서 장착되어 지는 것으로, 하부로부터 압축력(F)이 가해질 경우, 비틀어지기 전의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는 성질을 갖는 비틀림 응력의 항복점이 큰 부재를 사용한다.
또, 상기 링크부재(11)의 양끝은 체결구멍(1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14) 사이에 고무부쉬(15)가 장착되어 차체 프레임(2) 차체 프레임(2)에 형성된 아웃리거(13)에 접합된 각각의 결합부재(12)에 볼트(16)로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는 차량의 선회 주행시, 선회방향(T)에 대하여 그 반대측 리프 스프링(1)에 무게중심이 쏠리고, 따라서 상기 리프 스프링(1)에 압축력(F)이 작용한다.
이때, 상기 리프 스프링(1)의 프런트측 끝에 가해지는 압축력(F)에 따라 비틀림 응력을 내재한 비틀림 부재(9)(9')가 상기 압축력(F)의 작용에 의해 각각이 서로 비틀림이 복원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발생하며, 이 힘은 상기 핀부재(8)를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M)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핀부재(8) 상에 스프링 아이(7) 부분을 통하여 장착된 리프 스프링(1)은 그 반대쪽 선단(리어측 선단)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링 아이(7)부분, 즉 프런트측 선단의 중심점이 차체 내측(P ---> P')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 스프링(1)의 프런트측 선단의 선회각에 따라 후차륜이 작동하고, 차체 프레임(2)의 선회방향에 대한 후차륜의 슬립을 줄일 수 있어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는 리프 스프링의 프런트측 선단을 차체에 장착하기 위하여 개재된 비틀림 부재가 차량의 선회 주행시 선회 반대 방향의 리프 스프링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따라 비틀어지기 전의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는 복귀력이 생겨 상기 리프 스프링의 프런트측 선단의 중심점이 내측으로 움직이므로 후차륜의 슬립을 억제하고, 타이어의 로드 홀딩성을 개선하므로서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양단이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고, 차체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된 중앙에서 리어 액슬과 체결되어 바퀴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차체 프레임의 리어측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프런트측 선단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의 선회 주행시 선회 방향의 바깥쪽 차체 프레임에 작용되는 리프 스프링의 압축력에 따라 비틀림이 발생하여 리프 스프링의 프런트측 선단이 차체 프레임의 내측으로 선회각을 갖도록, 소정의 각도만큼 축방향으로 비틀리고, 일측에 스프링 아이부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로 구성되는 비틀림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비틀림 부재는 스프링 아이부와 결합하기 위한 핀구멍과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하기 위한 링크구멍내에 러버부쉬를 장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링크부재는 양단이 차체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에 형성된 아웃리거에 장착되도록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내에 러버부쉬를 장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체결부재는 차체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에 형성된 아웃리거에 용접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체결구멍을 통하여 볼팅되도록 볼트 구멍이 형성된 브래킷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
KR2019980002256U 1998-02-20 1998-02-20 차량의리프스프링장착구조 KR200295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56U KR200295752Y1 (ko) 1998-02-20 1998-02-20 차량의리프스프링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56U KR200295752Y1 (ko) 1998-02-20 1998-02-20 차량의리프스프링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89U KR19990036389U (ko) 1999-09-27
KR200295752Y1 true KR200295752Y1 (ko) 2003-12-03

Family

ID=4932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256U KR200295752Y1 (ko) 1998-02-20 1998-02-20 차량의리프스프링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7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89U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580B1 (ko) 전방서스펜션
US20070013160A1 (en) Steer axle suspension
KR100316893B1 (ko) 차량용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토션 빔 마운팅 구조
KR200295752Y1 (ko) 차량의리프스프링장착구조
JPH07257131A (ja) リーフスプリング取付け構造
KR100829300B1 (ko) 자동차용 커플드토션빔액슬 서스펜션
KR100369041B1 (ko) 버스의 리어현가장치
JPS63240407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0176315B1 (ko) 리프 스프링식 현가 장치의 스프링 지지구조
KR100527720B1 (ko) 버스용 후륜 현가장치
KR100535112B1 (ko) 상용차의 전륜현가장치
JPH01182105A (ja) 車両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60118120A (ko)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
KR100281822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SU1710362A1 (ru) Независима подвес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391607B1 (ko) 버스의 현가장치
KR100515665B1 (ko) 차량의 토션 빔 액슬형 리어 서스펜션
KR100422485B1 (ko) 리어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링크부재의 부시구조
JPH0669779B2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2000255234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H0238115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40044294A (ko)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리어 서스펜션
KR20040072941A (ko) 차량의 세미 트레일링 암형 리어 서스펜션
JPH06262923A (ja) サスペンションのラテラルリンク構造
JPH0399914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