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731Y1 - 생수통 이중 마개 - Google Patents

생수통 이중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731Y1
KR200295731Y1 KR2020020025924U KR20020025924U KR200295731Y1 KR 200295731 Y1 KR200295731 Y1 KR 200295731Y1 KR 2020020025924 U KR2020020025924 U KR 2020020025924U KR 20020025924 U KR20020025924 U KR 20020025924U KR 200295731 Y1 KR200295731 Y1 KR 200295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ttled water
outer cap
stopper
in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샘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샘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샘물
Priority to KR2020020025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7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731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수통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존의 생수통 마개에 다른 보호용 마개를 씌워 생수음용시 냉온수기에 오염원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생수통 이중마개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생수통 마개와 같이 내부캡(17)을 생수통(1)의 입구에 고정하고, 상기 내부캡(17)의 외부에 외부캡(10)을 고정하며, 상기 외부캡(10)의 내부 상측 둘레에 분리턱(14)을 형성하여 내부캡(17)과 외부캡(10) 사이에 티슈보관 공간(18)을 형성하며, 내부캡(17)에 형성된 생수통 고정홈에 위치하도록 외부캡(10)의 내부에 마개 고정턱(15)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캡(17)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외부캡(10)의 내부 둘래에 내부캡 걸림턱(1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수통 이중 마개{A duplicate cap for a pure water bucket}
본 고안은 생수통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존의 생수통 마개에 다른 보호용 마개를 씌워 생수 음용시 냉온수기에 오염원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생수통 이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라는 것은 기존에 공급되는 수돗물보다 더 깨끗한 물을 공급받고자하는 사람들의 욕망이 표출되어 깨끗한 지하 수원에서 물을 끌어 올려 가공을 거쳐 가정에서 음용수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생수라고 불리우는 먹는 샘물이 운반이나 처리 과정에서 비위생적으로 변하는 데 문제가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생수통의 주입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우선 기존 생수 마개에 덮어 씌운 수축 필름(2)은 재활용이 쉽지 않고 외부에서 흡착되는 오염원을 완전 차단할 수 없고, 환경 오염을 더욱 가중시킨다. 뿐만 아니라 공병 상태의 생산공정으로 투입 시 수축필름(2)의 제거 과정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생수 배달시 생수통(1)을 운반할 때 생수 주입부를 잡고 운반하므로 생수통의 주입부에 땀등 지저분한 오염물질이 상기 수출 필름(2)의 필름 절개선(3)의 틈 사이로 들어가 오염이 되어 비위생적이다. 그리고 가정에서 생수통 마개의 상면을 절개하여 바로 냉온수기에 거꾸로 넣어 생수를 음용하기 때문에 생수통 주입부에 묻은 오염 물질이 바로 냉온수기로 들어가 실제로는 깨끗한 물을 마시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왔다.
또한 유효기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생수통 마개의 주입부에 인쇄하는 유효기간 표시부(4)는 인쇄를 위하여 통상 사용하는 인쇄 잉크가 대부분 유해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상기 유효기간 표시부(4)가 직접적으로 냉온수기의 물과 접촉하여 인체에 좋지 않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기존의 생수통 마개에 이중 캡을 두어 안쪽의 생수통 마개를 보호하여 여러 가지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하고, 인쇄를 해야하는 유효기간 표시부를 외부캡에 형성하여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물에 녹아들지 않게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수통 마개에 있어서, 종래의 생수통 마개와 같이 내부캡을 생수통의 입구에 고정하고, 상기 내부캡의 외부에 외부캡을 고정하며, 상기 외부캡의 내부 상측 둘레에 분리턱을 형성하여 내부캡과 외부캡 사이에 티슈보관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캡에 형성된 생수통 고정홈에 위치하도록 외부캡의 내부에 마개 고정턱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캡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외부캡의 내부 둘래에 내부캡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외부캡의 일측 벽면에 세로로 2개의 절개선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선 사이 부분을 연장하여 절취 손잡이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캡의 상면에 인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이중마개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생수통 마개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외부캡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외부캡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외부캡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외부캡과 내부캡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내부캡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생수통 2 : 수축 필름
3 : 필름 절개선 4 : 유효기간 인쇄부
10 : 외부캡 11 : 절취 손잡이
12 : 절개선 13 : 티슈
14 : 분리턱 15 : 마개 고정턱
16 : 내부캡 걸림턱 17 : 내부캡
18 : 티슈보관 공간 19 : 절개선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생수통 마개를 내부캡(17)으로 지칭하고, 상기 내부캡(17)의 외부에 외부캡(10)을 고정시키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외부캡(10)은 내부면 둘레에 분리턱(14)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캡(17)의 주입부에 닿아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부캡(10)의 내면에 형성된 분리턱(14)의 아래에 마개 고정턱(15)을 형성하여 생수통 주입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맞추어 내부캡(17)에 형성된 옴폭한 부분을 눌러준다.
상기 외부캡(10)의 내부 하단 둘레에 상기 내부캡(17)의 하단부에 걸려 더 이상 외부캡(17)이 빠지지 않도록 내부캡 걸림턱(16)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캡(10)에는 수직으로 2개의 절개선(12)을 두고 상기 절개선(12) 사이 부분을 외부캡(10)의 하부에서 연장하여 절취 손잡이(11)를 형성한다. 상기 절취 손잡이(11)는 외부캡(10)을 생수통에서 제거할 때 잡고 절개선(12)을 따라 절개를 쉽도록 한다.
상기 내부캡(17)의 상면과 외부캡(10)의 내측 상부에는 분리턱(14)에 의하여 티슈보관 공간(18)이 형성되는데 상기 티슈보관 공간(18)에 티슈(13)를 넣어 보관한다. 상기 티슈(13)는 외부캡(10)을 제거했을 때 편리하게 내부캡의 외면과 생수통의 주입부에 묻은 오물들을 제거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생수통 마개 위에 오염을 방지 시키기 위한 다른 마개를 추가하여 마개를 절개하여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삽입하여 생수를 공급하는 생수통의 위생을 철저히 관리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생수의 유효기간을 적는 생수통 마개가 직접 생수와 접하지 않게 하여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물에 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생수통 마개에 있어서, 종래의 생수통 마개와 같이 내부캡(17)을 생수통(1)의 입구에 고정하고, 상기 내부캡(17)의 외부에 외부캡(10)을 고정하며, 상기 외부캡(10)의 내부 상측 둘레에 분리턱(14)을 형성하여 내부캡(17)과 외부캡(10) 사이에 티슈보관 공간(18)을 형성하며, 내부캡(17)에 형성된 생수통 고정홈에 위치하도록 외부캡(10)의 내부에 마개 고정턱(15)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캡(17)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외부캡(10)의 내부 둘래에 내부캡 걸림턱(1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이중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10)의 일측 벽면에 세로로 2개의 절개선(12)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선(12) 사이 부분을 연장하여 절취 손잡이(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이중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10)의 상면에 인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이중마개.
KR2020020025924U 2002-08-30 2002-08-30 생수통 이중 마개 KR200295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924U KR200295731Y1 (ko) 2002-08-30 2002-08-30 생수통 이중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924U KR200295731Y1 (ko) 2002-08-30 2002-08-30 생수통 이중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731Y1 true KR200295731Y1 (ko) 2002-11-18

Family

ID=7307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924U KR200295731Y1 (ko) 2002-08-30 2002-08-30 생수통 이중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7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6902A (zh) * 2018-02-24 2018-06-29 普洱森泉饮品开发有限公司 桶盖及桶装水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6902A (zh) * 2018-02-24 2018-06-29 普洱森泉饮品开发有限公司 桶盖及桶装水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01444T3 (es) Dispositivo de filtracion y vertido para botellas.
KR200295731Y1 (ko) 생수통 이중 마개
KR20190002783U (ko) 오픈 텀블러
JPH07315379A (ja) 飲料入り缶容器
JP2001294259A (ja) キャップホルダー付きボトル
JP4668076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閉止装置、飲料入り閉止装置、および合成樹脂製キャップの製造方法
AU773303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in a sterile manner
JP4043712B2 (ja) 合成樹脂製中栓付きの容器
KR200295542Y1 (ko) 생수통용 위생마개
US20160376068A1 (en) Silicone bottle cap with removable glass insert
KR200415661Y1 (ko) 생수통
KR970003812Y1 (ko) 1회용 팩이 내장된 용기
KR200169035Y1 (ko) 캔용기의위생커버
KR200191086Y1 (ko) 생수통 마개
KR200339815Y1 (ko) 절단형 플라스틱 병
JP2005186991A (ja) シュリンクラベル付きガラス瓶
KR200169032Y1 (ko) 음료 캔 용 위생덮개
JP3128511U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キャップ
KR20100008203U (ko)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JP2009137647A (ja) ペットボトル・アルミ缶ボトル用飲み口器及び漏水防止キャップ
KR200244515Y1 (ko) 위생막이 구비된 캔
GB2363788A (en) Shield for bottle and method
KR200251498Y1 (ko) 이물질 방지망이 장착된 병
KR200224890Y1 (ko) 바닥 분리형 음료용기
KR200209046Y1 (ko) 캔의 마개 부위에 부착된 은박지 위생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