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300Y1 - 냉동육 해동고 - Google Patents

냉동육 해동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300Y1
KR200295300Y1 KR2020020019578U KR20020019578U KR200295300Y1 KR 200295300 Y1 KR200295300 Y1 KR 200295300Y1 KR 2020020019578 U KR2020020019578 U KR 2020020019578U KR 20020019578 U KR20020019578 U KR 20020019578U KR 200295300 Y1 KR200295300 Y1 KR 200295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ld air
microwaves
microwave
froz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2020020019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300Y1/ko

Links

Landscapes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주파를 이용하여 냉동육을 해동하면서 동시에 냉동풍을 공급하여, 냉동육이 급속히 가열되지 않고 서서히 해동되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의 해동방법 및 해동고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웨이브 및 냉기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대상물에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및 냉기를 전달하는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격벽을 통해 챔버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전달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과 격벽 사이에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챔버에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흐트리는 반사판과; 상기 챔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내로 냉기를 투입하는 냉기 투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본 고안은 냉동식품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간헐적으로 발산하고, 또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가 발산되는 도중에 냉기를 적당히 공급토록 함으로서 냉동식품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막아 최적의 해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동육 해동고{Thawing Unit of Refreezing Meat}
본 고안은 냉동육의 해동방법 및 해동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주파를 이용하여 냉동육을 해동하면서 동시에 냉동풍을 공급하여, 냉동육이 급속히 가열되지 않고 서서히 해동되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의 해동방법 및 해동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고기의 해동방법에는 자연 해동법과, 열풍 해동법과, 침지 해동법이 있다.
자연 해동법의 경우는 해동물을 상온 또는 10 - 20℃의 온도에서 외기의 온도를 이용하여 해동시키는 것으로서, 해동시간이 길기 때문에 선도의 변화가 심해 변색, 건조, 중량감소 등의 품질변화등의 폐단이 있어 잘 사용하지 않는다.
열풍 해동법의 경우는 해동물에 40 - 60℃의 열풍을 가하여 해동시키는 것으로서, 해동시간은 약 12시간 내지 24시간으로 자연해동시 약 72시간 소요되는 것 보다는 빠르나 표면이 건조해지고, 변색, 중량감소 등의 품질 변화 현상은 없애지 못한다.
침지 해동법은 해동하고자하는 해동물을 물 속에 담구어 해동하므로 절단된육고기의 경우는 맛이 달아나 품질의 변화가 심하여 근본적으로 이용이 불가능하고 수산물 해동에만 이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은 주로 용량이 큰 범위일때 사용하는 방법이고, 용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는 가정용 전자레인지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는 대상물의 상태에 따라 흡수되는 정도가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얼음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많은 양이 투과되어 버리는 반면, 물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많은 양이 흡수되는 특성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에 의하여 냉동되지 않은 일반식품을 가열하는 경우와, 냉동식품을 가열하는 경우 상승하는 온도는 상이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온도 변화의 상이함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는 냉동상태가 아닌 일반식품의 온도상승을, 도 1b는 냉동식품의 온도상승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식품의 경우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흡수율이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상승율을 가지면서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냉동식품의 경우는 이와는 달리, 일정구간 온도 상승이 완만하거나 정지되는 구간(A)이 생긴다.
상기 구간(A)은, 냉동식품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일정시간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해동된 상태에서 상변화를 위하여 요구되는 잠열(Latent Heat)로 소요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온도 상승은 나타나지 않는 구간을 의미한다.
즉, 냉동상태에서 가열되면 일정한 부분까지는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얼음이 물로 변환되기 위한 잠열이 필요하게 된다. 즉, 외부의 온도 상승은 없고, 내부의 상변화를 위하여 일정한 양의 열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종래와 같이 계속적으로 균일한 출력으로 냉동식품을 가열하게 되면, 대상물이 불균일하게 가열되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 구간(A)에서 대상물은 일부는 해동된 상태이고, 일부는 해동되지 아니한 상태이며, 이러한 부분적 불균일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동일한 출력으로 가열하게 되면, 해동된 부분은 가열되고, 해동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해동에 필요한 잠열을 얻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는 얼음 상태에서는 투과량이 많고, 물상태에서는 흡수량이 많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대상물이 불균일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가열하게 되면, 가열되는 부분은 더욱 심하게 가열되어 심할 경우에는 타게 되고, 녹지 않은 부분은 이와는 반대로 마이크로웨이브의 흡수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덜 익은 상태로 조리된다.
이와 같이 냉동식품을 일반식품과 같은 출력으로 연속적으로 가열하는 경우에는, 대상물의 불균일 가열에 의한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특성상 대상물의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개의 점 상태로 가열점이 형성되기 때문에 액체상태일 경우에는 가열점이주변으로 전파되면서 전체가 가열되므로 별 문제가 없으나, 해동시에는 주변전파가 용이하지 않아 가열점이 다른 부분에 비해 많은 열이 흡수되어 다른 부분에 비해 그 부분만 빠른 속도로 익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전파의 최대점과 최소점이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전파의 최대점에 위치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빠르게 가열되고, 최소점에 위치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느리게 가열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전자레인지 시스템은 빠른 속도로 대상물의 온도를 높여주는 특징이 있어, 액체를 데우는데는 매우 효율적이나, 고체 상태 또는 냉동물을 해동시키는데 있어서 고르게 해동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는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이용하여서는 해결하기 매우 힘든 문제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냉동식품이 급속하게 가열되는 것을 막고, 천천히 해동될 수 있도록 지연시간을 갖도록 하는데 제 1 목적이 있다.
또한, 냉동식품 전체가 고르게 해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제 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마이크로웨이브 및 냉기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대상물에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및 냉기를 전달하는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격벽을 통해 챔버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전달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챔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내로 냉기를 투입하는 냉기 투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및 냉기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대상물에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및 냉기를 전달하는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챔버와; 상기 챔버내부에 설치되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격벽을 통해 챔버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전달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과 격벽 사이에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챔버에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흐트리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및 냉기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대상물에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및 냉기를 전달하는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챔버와; 상기 챔버내부에 설치되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격벽을 통해 챔버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전달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과 격벽 사이에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챔버에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흐트리는 반사판과; 상기 챔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내로 냉기를 투입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냉기 투입장치는 냉기를 형성하기 위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해 출력된 냉기를 챔버에 강제로 순환시키기 위한 팬과, 냉매를 압축하는 콤프레셔 및, 응축기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증발기와 팬 및, 챔버를 구획짓는 격벽이 더 설치되고,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는 챔버와의 냉기 교환을 위한 홀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론은 챔버 외부에 장착되어 도파관을 통해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냉동식품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간헐적으로 출력하여 냉동식품을 가열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이 진행되어 냉동식품이 가열되는 도중에 냉동식품에 냉기를 제공하여 냉동식품의 표면열을 빼앗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을 진행중 챔버내부의 온도가 일정이하로 온도가 하강하면 냉기 제공을 중단한 상태에서 제 1 과정을 진행하고, 일정이상 온도가 상승하면 다시 제 2 과정을 반복하는 제 3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3 과정에서 냉기가 제공되는 챔버내부의 설정 온도범위는 15 - 18℃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1 과정에서 마이크로웨이브의 출력을 위한 고주파 발진전압은 1600 - 2000V인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전자레인지의 가열시 대상물의 온도 상승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일반식품의 상승 온도를 도시한 그래프.
(b)는 냉동식품의 상승 온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해동고의 가열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냉각작용에 따른챔버 내부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b)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작동간격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냉각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사판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사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동작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증발기 20: 증발기 팬
30: 컴프레셔 40: 응축기
100: 챔버 110: 마그네트론
120: 칸막이 121: 홀
130: 냉동식품 140: 격벽
150: 마이크로웨이브 반사판 200: 프레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냉각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반사판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반사판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재프래임(200)에 챔버(100)가 올려진 구조이다.
상기 챔버(100)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출력되는 전자레인지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바, 대표적으로 고압 트랜스와 마그네트론이 포함된다.
상기 고압 트랜스와 마그네트론은 챔버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챔버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챔버 내부로 출력하는 구조만 갖추면 되기 때문에 승압을 위한 고압 트랜스와 마그네트론은 챔버 외부에 위치하여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챔버(100)에 칸막이(120)를 두고 냉기 투입장치가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챔버(100)는 일정한 양의 냉동식품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부가 있고, 상기 공간부와 칸막이를 통해 냉기 투입장치의 일부가 설치되어진다.
참고로, 상기 챔버는 냉동식품이 약 2kg 정도까지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0g 단위로 용기화하여 3개의 용기를 준비하고, 1개의 용기를 삽입시에는 "약"버튼을, 2개의 용기를 삽입시에는 "중"버튼을, 3개의 용기를 삽입시에는 "대"버튼을 눌러 사용모드를 확정토록 하며, 상기에서 버튼누름에 따른 장치의 동작 시간은 "약"버튼일 경우 약15분, "중"버튼일 경우 약20분, "대"버튼일 경우 25분 정도이다. 상기에서 동작시간은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대략 이 정도로 선택하면 큰 무리가 없다.
상기와 같이 설정되면, 별도로 무게를 체크하는 시스템이 필요없기 때문에 일정부피의 용량을 갖는 용기 갯수만으로 시간모드를 설정할 수 있어 실제 사용시 매우 편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상기 마그네트론(110)은 고압트랜스(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고압트랜스에서 통상의 220V 전압을 승압시켜 마그네트론에 제공하게 된다.
일반적인 전자레인지는 2300V - 3000V 정도로 승압하게 되나, 본 고안의 고압 트랜스는 1600V - 1800V로 승압하게 된다.
왜냐하면 본 고안의 해동장치는 그 기능이 해동 전용이기 때문이며, 따라서 액체를 데우거나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즉, 일반적인 전자레인지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특히 국을 데우거나 하기 위해서는 높은 고압으로 승압시켜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해동작용시 냉동식품에 강한 마이크로웨이브가 투입되어 고른 해동이 어려운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비교적 저압으로 승압시켜 냉동식품(130)에 마이크로웨이브를투입시키도록 함으로서, 냉동식품(130)에 갑작스러운 열이 전달되어 발생하는 부분익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계속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가 제공되면 부분익힘 현상이 강력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간헐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제공토록 한다.
도 2b에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투사 타이밍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8초의 시간이 설정되어 있으면, 약 4초간은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산하고, 나머지 4초간은 발산하지 않으며, 이런 식의 간헐 시스템을 적용하되 내용물에 따라서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소량이면 3초간 마이크로웨이브를 제공하고 5초는 제공하지 않고, 중량이면 4초간 마이크로웨이브를 제공하고 4초간은 제공하지 않고, 대량이면 5초간 마이크로웨이브를 제공하고 3초간은 제공하지 않토록 한다.
물론, 전체시간이나 마이크로웨이브를 적용하는 시간등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가능하며, 본 고안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를 간헐적으로 제공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를 간헐적으로 제공하는 것만으로 고른 해동이 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침투되는 냉동식품의 표면에는 폐열이 존재하게 되고, 상기 폐열은 그 부분이 다른지역에 비해 온도가 높게 상승되는데 일조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간헐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냉동식품의고른 해동이 달성되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냉동식품의 표면에서 마이크로웨이브의 작용으로 폐열이 존재하게 되어 이 폐열로 인하여 부분익힘이 발생하는 것을 막도록 하는 장치를 더 설치하도록 하는바, 본 고안에서는 상기 폐열을 없애기 위해서 냉기를 제공하는 장치를 더 부가하였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냉기 투입장치는 증발기와, 팬과, 응축기와, 콤프레셔로 이루어지며, 챔버에는 증발기와 팬이 위치한다.
즉, 냉기 투입장치는 액체상태의 냉매를 공급받아 증발하면서 냉동고 내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하강시켜 주는 증발기(10)와; 상기한 증발기(10)의 전단에 연결되어 액체 상태의 냉매를 공급시켜주는 팽창밸브(도시하지 않음)와; 증발기(10)에 냉동기의 실내 공기를 공급하여 열 교환을 촉진시켜 주는 증발기 팬(20)과; 상기한 증발기(10)에 의하여 기화된 냉매를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로 압축시켜 주는 컴프레셔(30)와; 상기한 컴프레셔(20)에 의하여 고온 고압의 압축된 냉매를 냉각시켜 주는 응축기(40)와; 상기한 응축기(40)에 의한 냉매의 응축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응축기(40)를 냉각시켜 주는 냉각팬(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되며, 본 고안에서는 증발기(10)와 팬(20)이 챔버(100)의 칸막이(120)뒤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챔버(100)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칸막이(120)는 상부와 하부에 홀(121)이 형성되어 있고, 팬(20)은 증발기(10) 상부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팬(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챔버(100) 내부의 공기가 증발기(10) 및 팬(20)을 통해 유동하면서 냉기가챔버(100)를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냉각장치가 포함되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로서, 증발기와 팬이 챔버내부에 포함되고, 응축기(40)와 컴프레셔(30)는 철재프레임(200)의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이용되어지는 고압 트랜스와 마그네트론은 응축기와 컴프레셔가 설치된 부분에 설치되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동작순서도로서, 타이머가 설정되어 냉동식품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간헐적으로 출력하여 냉동식품을 가열하는 제 1 과정(S1)과;
상기 제 1 과정이 진행되어 냉동식품이 가열되는 도중에 냉동식품에 냉기를 제공하여 냉동식품의 표면열을 빼앗는 제 2 과정(S2)과;
상기 제 2 과정을 진행중 챔버내부의 온도가 일정 이하로 온도가 하강하면 냉기 제공을 중단한 상태에서 제 1 과정을 진행하고, 일정이상 온도가 상승하면 다시 제 2 과정을 반복하는 제 3 과정(S3)으로 진행된다.
상기에서 제 2 과정을 냉기 제공단계에서 챔버의 온도는 15 - 18℃로 설정되어 있으며, 냉기는 상기 범위내에서 제공되게 된다.
즉, 본 고안을 온시키게 되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산하면서 동시에 냉기를 제공하게 되며, 초기 1분내로 챔버 내부의 온도를 15℃까지 내린다.
그리고, 상기 온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냉기제공장치의 동작은 중단된다. 왜냐하면 이 온도 이하로 내리게 되면 해동의 진행이 너무 지연되기 때문이다.
이후 마이크로웨이브의 작용으로 다시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이때 온도가18℃를 초과하게 되면 냉기제공장치가 작동하게 되어 다시 15℃까지 챔버의 온도를 내리게 된다.
이때 냉동식품의 온도는 15분에서 20분 사이에 영하 40 - 45℃에서 출발하여 영상 4 - 8℃까지 올라가게 된다.
상기에서 영상 4 - 8℃는 식품영양학에서 가장 좋은 해동온도로 소개되고 있는 온도이다.
도 2a에는 챔버 내부의 온도가 18도일 경우 냉각장치가 동작하고, 15도일 경우 냉각장치의 가동을 중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의 특성상 전파가 집중되는 것과 그렇지 않는 곳이 있으며, 이는 전파가 겹쳐지는 곳과 아무파도 도달하지 않는 지역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보다 완화시키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출력측과 챔버 (100)사이에 반사판(150)을 설치한다.
도 5 및 도 6은 마이크로웨이브 반사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반사판(150)은 날개가 4개 정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이크로웨이브를 방출함과 동시에 마이크로웨이브 반사판(150)을 회전시키게 되면, 마이크로웨이브는 상기 반사판(150)에 맞고 난반사를 일으키게 된다.
상기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산하는 방법은 마그네트론(110)으로부터 직접 출력되는 방법이 있고, 도파관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유도후 챔버에 출력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직접 출력 또는 간접출력이 가능한 이유는 전파의 특성상 철판은 반사하고 합성수지는 통과시키기 때문에 도파관을 철판으로 제작하게 되면 반사를 일으키면서 챔버(100)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입력지점과 챔버(100) 사이에 날개를 부착한 마이크로웨이브 반사판(150)을 설치하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반사판(150)을 회전시켜 챔버(100)로 제공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난반사시킴으로서, 냉동식품이 최대한 고르게 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냉동식품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간헐적으로 발산하고, 또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가 발산되는 도중에 냉기를 적당히 공급토록 함으로서 냉동식품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막아 최적의 해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마이크로웨이브를 난반사시키는 장치를 더 부가함으로서 고른 해동의 촉진제 역할을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laims (6)

  1. 마이크로웨이브 및 냉기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대상물에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및 냉기를 전달하는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격벽을 통해 챔버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전달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챔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내로 냉기를 투입하는 냉기 투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 해동고.
  2. 삭제
  3. 마이크로웨이브 및 냉기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대상물에 상기마이크로웨이브 및 냉기를 전달하는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챔버와;
    상기 챔버내부에 설치되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격벽을 통해 챔버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전달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과 격벽 사이에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챔버에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흐트리는 마이크로웨이브 반사판과;
    상기 챔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내로 냉기를 투입하는 냉기 투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 해동고.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투입장치는 냉기를 형성하기 위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해 출력된 냉기를 챔버에 강제로 순환시키기 위한 팬과, 냉매를 압축하는 콤프레셔 및, 응축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 해동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팬 및, 챔버를 구획짓는 격벽이 더 설치되고,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는 챔버와의 냉기 교환을 위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 해동고.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은 챔버 외부에 장착되어 도파관을 통해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 해동고.
KR2020020019578U 2002-06-28 2002-06-28 냉동육 해동고 KR200295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578U KR200295300Y1 (ko) 2002-06-28 2002-06-28 냉동육 해동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578U KR200295300Y1 (ko) 2002-06-28 2002-06-28 냉동육 해동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824A Division KR20040001569A (ko) 2002-06-28 2002-06-28 냉동육 해동고 및 해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300Y1 true KR200295300Y1 (ko) 2002-11-18

Family

ID=7308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578U KR200295300Y1 (ko) 2002-06-28 2002-06-28 냉동육 해동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3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29037A (ja) 食品貯蔵装置、冷蔵庫、製氷装置、高周波加熱調理器、並びに高周波放射装置
US7012229B2 (en) Vacuum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11135865A1 (ja) 冷蔵庫
CN100348122C (zh) 调温调理方法和冰箱
RU2556716C1 (ru) Охлаж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ающее замораживание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расположенных в камере для свежих продуктов
US43263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awing frozen food
KR101814551B1 (ko) 전자렌지 겸용 음식물 급냉기
KR200295300Y1 (ko) 냉동육 해동고
KR20040001569A (ko) 냉동육 해동고 및 해동방법
KR100991764B1 (ko) 냉동식품 해동 방법
JP2002090052A (ja) 低温調理方法とその装置
CN1318814C (zh) 冰箱
JPH0719701A (ja) 冷蔵庫
US2529734A (en) Defrosting system in refrigerated locker
JP2002372358A (ja) 冷蔵庫
JP2631259B2 (ja) 解凍・冷蔵保存連続処理装置
JPS60259171A (ja) 高周波加熱装置付冷蔵庫
JP2004286346A (ja) 調理器
JPS63259373A (ja) 解凍保存装置
JPH02115675A (ja) 解凍装置付き冷凍冷蔵庫
JPS6349674Y2 (ko)
JPH07253265A (ja) 冷凍食品の解凍方法及び装置
KR0176950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JPS63259374A (ja) 解凍装置
KR100512990B1 (ko) 전자레인지가 구비된 순간 냉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