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467Y1 -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 Google Patents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467Y1
KR200293467Y1 KR2020020022921U KR20020022921U KR200293467Y1 KR 200293467 Y1 KR200293467 Y1 KR 200293467Y1 KR 2020020022921 U KR2020020022921 U KR 2020020022921U KR 20020022921 U KR20020022921 U KR 20020022921U KR 200293467 Y1 KR200293467 Y1 KR 200293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layer
chip
flooring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호 filed Critical 이상호
Priority to KR2020020022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4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467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에 있어서 바닥재의 상부에 행해지는 상도층의 구조를 개선하여 별도의 도색작업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폐고무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 상부에 형성되는 상도층이 색소로 염색된 고무칩과 접합용 바인더를 포함하여 바닥재 위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고무칩층과, 이 고무칩층 위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STRUCTURE FOR TOP COATING LAYER OF MAT FOR USING WASTE RUBBER}
본 고안은 폐타이어 고무칩을 이용한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재 시공의 마무리공정으로 바닥재 상부에 행해지는 상도층을 개선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의 급진적인 발전에 따라 그 부산물로 급증하고 있는 폐타이어의 처리는 자원이 효율적인 재활용이라는 측면과 환경 보존적인 측면에서 조속히 해결되어야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폐타이어를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가 자전거도로, 보행로, 놀이터, 학교주변, 아파트주변, 놀이동산이나 골프장 등의 유락시설 또는 배드민턴장, 정구장, 농구장 등의 실내경기장 등에 설치 사용되고 있다.
폐타이어를 폐고무로 재활용하기 위한 분쇄방법 등에 관해서는 이미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는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시멘트 보도블럭이나 아스팔트 바닥재와 비교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때 충격 흡수력이 뛰어나고 시공이 간편한 잇점이 있다.
여기서, 종래의 폐고무를 바닥재로 사용하는 경우 가장 큰 문제점으로 바닥재로 이용되는 폐고무가 검은색을 띄므로 주변 경관을 해치게 된다는 것과 또한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바닥재에 다양한 색상의 도료를 칠하여 바닥재의 상부를 코팅하는 상도층 형성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단순히 바닥재의 표면에 다양한 페인트를 착색하였기 때문에 상도층의 내구성이 약하여 얼마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도층의 칠이 벗겨지면서 하부의 바닥재가 드러나 지저분하고, 바닥재 시공 후에 도료 도포 작업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시공 시간과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에 있어서 바닥재의 상부에 행해지는 상도층의 구조를 개선하여 별도의 도색작업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와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시공물 20 : 폐고무 바닥재
30 : 상도층 40 : 고무칩층
41 : 코팅층 50 : 폐우레탄칩층
60 : 칼라칩층 70 : 보호층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폐고무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 상부에 형성되는 상도층이 색소로 염색된 고무칩과 접합용 바인더를 포함하여 바닥재 위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고무칩층과 이 고무칩층 위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무칩층은 한 종류의 색상을 갖는 고무칩을 사용하거나, 각각 다른 종류의 색상을 갖는 고무칩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무칩은 1.5mm - 5mm의 입경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도층이 색소로 염색된 폐우레탄칩과 접합용 바인더를 포함하는 폐우레탄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도층이 액상 우레탄과 다양한 색상을 갖는 칼라칩과 분말을 포함하는 칼라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칼라칩은 EPDM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도층 위에 프라이머 또는 바인더를 도포하여 보호층을 더욱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인더는 충분한 접착력과 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상도층은 자체적으로 다양한 색상을 갖게 되어 바닥재 제조 또는 시공시 별도의 페인트 도포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콘크리트 등의 지면 시공물(10) 위에 폐고무와 바인더를 주원료로 하는 폐고무 바닥재(20)가 적당한 두께로 시공되며 상기 바닥재(20) 위에 본 고안의 상도층(30)이 도포된다.
상기 바닥재(20)는 예컨데 산업폐기물인 폐타이어칩이나 폐우레탄 또는 폐고무로 만들어지는 데, 1.5mm - 5㎜로 분쇄된 칩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기초재인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한 후 적정 압력으로 다짐하여 시공된다.
폐타이어 등의 가황된 고무를 절삭분쇄하여 1.5mm - 5mm 사이의 폐고무입자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상도층(30)은 상기와 같이 시공된 바닥재(20) 상부에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색소로 염색된 고무칩과 접합용 폴리우레탄계 바인더를 포함하여 바닥재(20) 위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고무칩층(40)과 이 고무칩층(40) 위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코팅층(41)을 포함한다.
상기 고무칩층(40)은 고무칩과 안료 및 일반 바인더를 교반기에서 교반시켜 염색 및 혼합시키거,나 고무칩과 특정색상을 갖는 칼라 바인더를 교반기에서 교반시켜 혼합시키거나 또는 고무칩 자체를 특정색상으로 먼저 칼라 코팅한 후 일반 바인더와 교반한다.
또한, 상기 고무칩은 크기가 3mm - 4mm 사이가 바람직하다. 고무칩이 4mm 이상인 경우에는 시공 후 표면이 거칠어져 하자 발생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고무칩이 3mm 이하인 경우에는 교반기 내에서 교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칩층(40)은 그 두께가 13mm - 15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칩층이 15mm 이상인 경우에는 경제성이 없으며, 13mm 이하인 경우에는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약해져 접착면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우레탄 계열의 페인트로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상기 고무칩층 상부에 도포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상도층(30)의 경우 바닥재(20) 위에 다양한 색상의 고무칩층(40)을 도포함에 따라 바닥재(20)에 별도의 도색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바닥재(20)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도층(30)이 폐우레탄칩과 바인더를 혼합한 폐우레탄칩층(50)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우레탄칩은 색소를 첨가하여 원하는 색상으로 염색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도층(30)은 칼라칩과 분말을 액상우레탄에 배합한 칼라칩층(6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칼라칩은 자체적으로 고유 색상을 갖고 있는 EPDM을 분쇄한 것으로, 분쇄한 상태에서도 고유의 색을 띄므로 바닥재(20) 상부로 노출되어 바닥재(20)의 색을 결정한다. 상기 EPDM은 Ethylene, Propylene, Non-conjugated Diene으로 이루어진 합성고무를 일컫는다.
상기 분말은 칼라칩을 분말상태로 분쇄한 것으로 칼라칩과의 혼합비율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액상우레탄 60중량%, 칼라칩 36중량%에 대해 칼라칩분말 4중량%의 비율로 혼합한다.
그리고 상기 칼라칩층(60) 도포시 그 상부 표면을 요철형태로 가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바닥재(20) 위에 상도층(30)이 형성되고 상기 상도층(30) 위에 프라이머 또는 바인더를 재차 도포하여 상도층(30)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보호층(70)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도층(30)은 보호층(70)에 의해 보호되어 상도층(3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상당히 향상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고안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에 의하면, 상도층의 색상을 보다 선명하게 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외적 미감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품격을 한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도층의 내구성을 높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상도층이 벗겨져 바닥재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폐고무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 상부에 형성되는 상도층이 색소로 염색된 고무칩과 접합용 바인더를 포함하여 바닥재 위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고무칩층과, 이 고무칩층 위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층은 색소로 염색된 폐우레탄칩과 접합용 바인더를 포함하는 폐우레탄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층은 액상 우레탄과 특정 색상을 갖는 EPDM칩 및 그 분말을 포함하는 칼라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층 위에 프라이머 또는 바인더를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KR2020020022921U 2002-07-31 2002-07-31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KR200293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921U KR200293467Y1 (ko) 2002-07-31 2002-07-31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921U KR200293467Y1 (ko) 2002-07-31 2002-07-31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009A Division KR20040012421A (ko) 2002-11-12 2002-11-12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467Y1 true KR200293467Y1 (ko) 2002-10-30

Family

ID=7312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921U KR200293467Y1 (ko) 2002-07-31 2002-07-31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4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975B1 (ko) * 2005-01-17 2005-10-13 김황우 이피디엠을 주재료로 하는 무독성 탄성 칼라칩 및 이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975B1 (ko) * 2005-01-17 2005-10-13 김황우 이피디엠을 주재료로 하는 무독성 탄성 칼라칩 및 이의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46979B (zh) 一种透水混凝土路面夜光罩面保护剂及含夜光罩面保护剂的路面和施工方法
CN104846717B (zh) 硅pu型塑胶球场
KR100736073B1 (ko) 고무칩을 이용한 탄성 포장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0735371B (zh) 一种耐候性彩色树脂罩面及其制备方法
CN102900004A (zh) 一种无震动止滑车道及其施工方法
CN202755600U (zh) 一种不反光耐磨防滑环保硅pu塑胶面层
KR200293467Y1 (ko)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KR101344131B1 (ko) 문양표현 탄성 포장 시공방법
KR101725513B1 (ko) 차량 외형 복원과 건축물 내, 외벽 마감재의 시공방법
KR20040012421A (ko) 폐고무를 이용한 바닥재의 상도층 구조
KR100411444B1 (ko) 간이도로 포장방법
KR100477269B1 (ko) 논슬립 및 고경도 수지타일
KR200319427Y1 (ko) 폐고무와 폐우레탄을 이용한 바닥재
CN212613539U (zh) 一种具有装饰和防滑效果的彩砂抛砂地坪结构
US11441275B2 (en) Safety surface materials
CN207193702U (zh) 混合型水性硅pu球场地坪
KR20020073608A (ko) 투수탄성 포장공법 및 투수탄성 포장구조체
JP2006169830A (ja) 弾性舗道の施工方法
KR20040069302A (ko) 탄성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탄성바닥의시공방법
KR200374096Y1 (ko)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KR200460632Y1 (ko) 야외용 탁구대
KR20020083340A (ko) 주거용 건축물 지붕 방수시공법
KR102350899B1 (ko) 바닥의 방습보강 및 문양의 도장방법
KR200234646Y1 (ko) 투수탄성 포장구조체
CN217734704U (zh) 一种耐冲击工业地坪环氧漆的涂层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