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402Y1 -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402Y1
KR200293402Y1 KR2020020018927U KR20020018927U KR200293402Y1 KR 200293402 Y1 KR200293402 Y1 KR 200293402Y1 KR 2020020018927 U KR2020020018927 U KR 2020020018927U KR 20020018927 U KR20020018927 U KR 20020018927U KR 200293402 Y1 KR200293402 Y1 KR 200293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high voltage
arc
un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락
김종규
Original Assignee
이종락
김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락, 김종규 filed Critical 이종락
Priority to KR2020020018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4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402Y1/ko

Links

Landscapes

  • Dc-Dc Converter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용 전기 집진기에 사용되는 고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 발생시에 1차측에서 감지한 값과 2차측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차단하는 것으로 민감한 보호회로 동작을 방지하여 집진 효율을 높이면서도 아크를 방지하여 화재의 위험을 예방 할 수 있도록 아크와 과부하 전류를 각각 감지하는 제 1, 2 보호회로로 이루어진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압의 리플을 제거하는 필터링부와, 필터링 된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고압트랜스로 공급하는 정류부 및 제어 전압을 형성하는 제어전원부와, PWM제어에 따라 정류된 직류 전압을 고압으로 승압하는 고압트랜스와, 고압 트랜스 출력을 배전압 증폭하여 고압의 직류 출력을 집진판에 출력하는 배전압부와, 아크 발생시 과전류와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고압트랜스 출력을 제어하는 PWM제어부를 통하여 고압트랜스를 제어하는 통상의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에 있어서, 아크에 의한 고압트랜스 1차측의 이상 전압을 검출하는 아크 검출부와, 상기 검출 아크에 대해 일정 레벨 이상의 아크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진 아크 검출 전달부와, 배전압부 출력으로부터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PWM제어부인 컨트롤부의 출력 펄스 폭을 제어하되, 검출되는 아크 또는 과전류 레벨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PWM신호를 차단하도록 컨트롤 부를 형성하고, 컨트롤부의 PWM 신호 차단을 부하 이상이 해소된 뒤 일정시간 후복귀시켜 고압트랜스의 구동을 재개시키는 시간을 제어하는 복귀타이머부를 상기 컨트롤부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Arc and over current protective circuit for electric precipitator}
본 고안은 산업용 전기 집진기에 사용되는 고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 발생시에 1차측에서 감지한 값과 2차측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차단하는 것으로 민감한 보호회로 동작을 방지하여 집진 효율을 높이면서도아크를 방지하여 화재의 위험을 예방 할 수 있도록 아크와 과부하 전류를 각각 감지하는 제 1, 2 보호회로로 이루어진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시설 및 청정 환경을 요구하는 시설에는 다양한 공조설비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설비중에는 대기 중의 먼지를 전기적으로 대전시켜 흡착하는 전기 집진기가 알려져 있다.
전기 집진기는 균등 간격으로 다수의 집진판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구성되며, 집진판과 고압 전극 사이에 높은 직류 고압에 연결되어 흡입되는 공기는 1차적으로 는 물리적인 필터에 의하여 입자가 큰 이물질이 제거되고, 물리적인 필터를 통과한 미세 이물질은 대전기에서 마이너스 전기를 갖도록 대전된 후 집진부를 통과하면서 대전된 이물질이 상기 집진판에 흡착 집진되어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작용한다.
상기와 같은 전기 집진기는 직류 고전압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용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직류 고전압으로 변환하여 승압하고 부하측의 상태에 따라서 고전압 출력을 컨트롤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전기 집진기의 제어회로는 집진 효율과 안전을 고려하여 보호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호회로가 민감하게 동작하는 경우에는 고압 공급이 단절되는 경우 수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는 집진 효율의 저하를 가져오고, 둔감한 경우나 또는 용량에 비하여 부하(전기 집진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그 여분의 용량에 의해 아크가 일어나 화재의 우려가 매우 높다.
상기 아크에 의하여 불꽃 방전으로의 이행이 일어날 수 있는 바, 이는 단순한 아크가 아니라 아크가 심하게 일어나 아크와 동시에 불꽃이 일어나는 것으로서 집진기에 포집된 먼지에 불길이 번져서 화재를 일으키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보호회로의 동작은 화재의 예방과 집진 효율의 효과적인 증대라는 상반된 두가지 목적을 충족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 고전압 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도 1 도시의 고전압 공급장치는 전압유지(AVR) 기능과 과부하시 고전압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10), 필터 출력의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20), 정류된 직류 전압을 고압으로 승압하는 고압트랜스(30)와, 고압트랜스 출력을 승압하는 배전압부(40)을 통해 승압된 고압을 얻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링부(10)의 출력을 제어 전원으로 형성하는 제어전원부(50), 고압 출력인 배전압부(40) 출력을 픽업하여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피드백 제어부(60)를 통하여 검출된 전압 신호를 PWM 제어부(70)에 연결하여 고압트랜스(30)를 통하여 출력 전압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압 유지 기능(AVR)을 이룬다.
또한, 고압 트랜스(30)에서 변류기 또는 저항을 이용하여 이상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 검출부(80)을 구성하여 상기 PWM 제어부(70)에 연결하여 PWM 신호의출력 레벨을 제어하여 고압 트랜스(30)의 구동을 차단하여 과부하에 의한 고전압 공급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과전류 검출을 위한 기준 전류는 집진기에 포집된 물질로 인해 절연저항 값이 줄어들어 전류 증가가 이루어지며 이를 감안하여 충분히 여유롭게 설계하므로 아크 발생을 원활하게 잡을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여유로운 전류 설정값으로 인하여 그 전류 설정값 까지 전류 상승이 이루어져야 과전류 검출부(80)가 과전류 신호를 PWM 제어부(70)를 통하여 차단하므로 그 이전 까지 고압 트랜스(30)를 통해 최대한 전달될 수 있는 전류가 모두 아크(불꽃방전)로 일어나 화재의 우려가 매우 높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민감하게 동작하는 보호회로에 의해 집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둔감하게 동작하여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화재로의 전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압 피드백에 의한 고압측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과 함께 부하측 과전류 또는 아크에 의한 전류 레벨을 검출하고 비교기를 통하여 설정레벨에서 정확하게 고압트랜스를 차단하며, 차단된 후 일정시간의 경과를 계수하는 타이머를 통해 차단된 고압트랜스의 구동을 개시하므로 아크와 과전류에 대한 보호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압의 리플을 제거하는 필터링부와, 필터링된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고압트랜스로 공급하는 정류부 및 제어 전압을 형성하는 제어전원부와, PWM제어에 따라 정류된 직류 전압을 고압으로 승압하는 고압트랜스와, 고압 트랜스 출력을 배전압 증폭하여 고압의 직류 출력을 집진판에 출력하는 배전압부와, 아크 발생시 과전류와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고압트랜스 출력을 제어하는 PWM제어부를 통하여 고압트랜스를 제어하는 통상의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에 있어서, 아크에 의한 고압트랜스 1차측의 이상 전압을 검출하는 아크 검출부와, 상기 검출 아크에 대해 일정 레벨 이상의 아크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진 아크 검출 전달부와, 배전압부 출력으로부터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PWM제어부인 컨트롤부의 출력 펄스 폭을 제어하되, 검출되는 아크 또는 과전류 레벨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PWM신호를 차단하도록 컨트롤부를 형성하고, 컨트롤부의 PWM 신호 차단을 부하 이상이 해소된 뒤 일정시간 후 복귀시켜 고압트랜스의 구동을 재개시키는 시간을 제어하는 복귀타이머부를 상기 컨트롤부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도 1은 종래 전기 집진기의 제어 회로도로서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2는 본 고안의 전기 집진기 제어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컨트롤부를 예시한 일 실시예로서의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각부의 타임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아크검출부 102 : 아크검출전달부
103 : 과전류검출부 104 : 차단신호발생부
200 : 컨트롤부 210 : 복귀타이머부
220 : FET드라이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10), 필터 출력의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20), 정류된 직류 전압을 고압으로 승압하는 고압트랜스(30)와, 고압트랜스 출력을 승압하는 배전압부(40)를 통해 승압된 고압을 얻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링부(10)의 출력을 제어 전원으로 형성하는 제어전원부(50), 고압 출력인 배전압부(40) 출력을 픽업하여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피드백 제어부를 통하여 검출된 전압 신호를 PWM 컨트롤부에 연결하여 고압트랜스(30)를 통하여 출력 전압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상기 고압트랜스(30)로부터 과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PWM 컨트롤부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에 있어서, 상기 고압트랜스(30)의 1차측에서 부하 이상에 따른 아크 전류를 검출하여 고압트랜스 구동을 차단하는 제 1보호회로와, 상기 배전압부(40)의 출력 레벨을 픽업하여 과전류를 검출하여 부하 이상에 따른 고압트랜스 구동을 차단하는 제 2보호회로와, 상기 제 1보호회로 및 제 2보호회로의 부하 이상 검출 출력을 비교기를 통하여 일정 레벨 이상에서 고압트랜스 구동 출력을 차단하는 차단신호발생부(104)와, 상기 차단신호발생부(104)의 출력으로 실질적으로 고압트랜스(30) 구동용 스위징소자(FET)를 턴오프 시키며 이 소자를 펄스폭 변조에 의하여 제어하는 PWM 집적 회로를 갖는 컨트롤부(200)와, 상기 차단신호발생부(104)의 차단신호의 반전 이후에 카운팅을 개시하고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복귀신호를 컨트롤부(200)에 제공하는 복귀 타이머부(210)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부(200)의 PWM 출력으로 FET드라이버(220)를 통하여 고압트랜스 1차측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칭소자(FET)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1보호회로는 고압트랜스(30)의 1차측을 스위칭하며 부하 이상에 따른 아크 전류를 검출하도록 고압트랜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FET)와 스위칭 소자의 소스저항(Rs)으로부터 다이오드(D1)와, 저항(R1,R2) 및 저항간 접지단 사이에 연결한 콘덴서(C1)를 포함하는 아크검출부(101)과,
상기 저항(R2)의 검출된 아크 출력으로 턴온되어 일정레벨(Vref)의 전압을 출력하는 포토커플러(PT)와 역류방지 다이오드(D2) 및 저항(R3,R4)를 포함하는 아크검출전달부(1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보호회로는 배전압부(40)의 출력을 픽업하여 분압저항(R5,R6)을 통해 컨트롤부(200)에 전압 피드백 신호로서 연결하는 피드백회로부(105)와, 부하 이상에 따른 접지 전위의 변화로부터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저항(R7)과 리플과 노이즈 제거용 콘덴서(C4) 및 안정저항(R8)을 통한 역류방지 다이오드(D3) 출력으로 이루어지는 과전류검출부(103)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신호발생부(104)는 상기 제 1보호회로를 이루는 아크검출전달부(102)의 출력과 과전류검출부(103)의 출력을 비교기(U1)의 비반전 입력단에 비교 입력으로 연결하고, 반전 입력단에는 분압저항(R10, R11)을 통한 기준전압을 연결하여 이루며, 비교 입력을 지연하는 저항(R9)과 콘덴서(C5)와, 비교기 출력단에 제어 전원(Vcc)에 걸린 저항(R12, R13) 및 다이오드(D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부(200)는 부하 상태에 따라서 펄스폭 변조 출력을 발생하는 PWM집적회로를 포함하며 배전압부(40)로부터 피드백되는 부하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전압 피드백 신호와, 전류 피드백 신호 및 차단신호발생부(104)의 보호회로 동작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복귀 타이머부(210)는 차단신호발생부(104)의 보호회로 동작 신호에 의하여 셋업되어 보호회로 동작 신호가 소멸된 이후 카운팅을 개시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컨트롤부(200)에 복귀신호를 출력하도록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PWM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컨트롤부(200)의 구성은 PWM 집적회로의 사용 예를 정의한 제조사의 메뉴얼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첨부된 도 3을 통하여 구체적인 구성의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부하 이상이라 함은 전기 집진기에서의 아크 발생, 단락 및 과부하 등을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제 작용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용 교류 전원이 단자(J1, J4)를 통해 입력되면 필터링부(10)를 거쳐 회로로 들어오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정류부(20)와 제어전원부(50)로 각각 인가된다.
정류부(20)를 통한 직류 전원은 고압트랜스(30)에 인가되고, 제어전원부(50)는 내부회로에 이용되는 제어전원(Vcc, Vref)으로 제공된다.
컨트롤부(200)는 통상의 것과 같이 소프트 스타트 동작을 개시하여 PWM 신호를 발생하고, 그 출력은 FET 드라이버(220)을 경유하여 FET 게이트 신호로 제공되며 FET의 스위칭에 따라서 고압트랜스(30)가 직류를 교번하여 고압으로 승압하여 출력하며, 이 출력은 배전압부(40)를 통해 고압의 직류 전압으로 집진기에 인가되며, 또한 상기 PWM 집적회로가 피드백되는 전압과 전류값에 따라 그 출력 펄스 폭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것은공지된 바와 같다.
집진기의 대지접지 점(A) 전위는 평상시 리플이 포함된 비교적 일정한 레벨의 전위를 나타내다가 부하측의 아크, 단락 및 과부하와 같은 이상 상태가 발생되면 배전압부(40)의 출력단(J2, J3)과 대지 접지 사이에 폐회로가 구성되므로 과전류 검출부(103)의 저항(R7)에는 과전류 만큼 전압이 형성되며 콘덴서(C4)는 리플과 노이즈를 제거하여 다이오드(D3)로 출력된다. 즉, 제 2보호회로의 동작이 개시되는 것이다.
상기 부하 이상에 의한 대지 접지 점(A)의 검출 레벨은 평상시의 레벨에 비하여 그 레벨의 배수 이상의 급격한 레벨 상승이 검출되게 된다.
또한, 부하 이상이 발생되면 스위칭 소자인 FET에도 과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는 FET의 소스단 저항(Rs)에 걸리면서 다이오드(D1)와 저항(R1)을 거쳐 콘덴서(C1)에 충전을 이루고 저항(R2)을 통해 출력되어 아크 검출을 이루게 된다.
상기 FET의 소스저항(Rs)측 점(B)에는 타임챠트인 도 4도시와 같이 부하 이상에 동조하는 상승된 레벨의 펄스가 형성되며, 콘덴서(C1) 충전이 이루어지면 저항(R2)을 통한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아크 검출 출력을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저항(R1, R2)는 콘덴서(C1)의 급격한 충전과 방전을 방지하여 너무 민감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상기 아크검출부(101) 출력은 콘덴서(C1)에 의해 포토커플러(PT)를 경유한 출력은 점(C)에서와 같이 출력되어 전달되며 이는 다이오드(D2)를 통해 차단신호발생부(104)로 인가되면서 제 1보호회로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차단신호발생부(104)는 아크 및 또는 과전류 검출부(103)의 출력이 입력되면 점(D)와 같이 콘덴서(C5)에 의한 충전곡선을 나타내게되면서 일정 레벨에 이르게되면 비교기(U1) 출력이 반전되면서 차단신호를 발생하게 되어, 점(E)에서는 일정 레벨의 차단신호가 컨트롤부(200)로 입력되며, PWM 신호의 출력이 차단 상태가 되므로 고압 출력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게 작용한다.
동시에 복귀타이머부(210)에도 상기 차단신호의 발생을 인가하여 타이머를 셋업시키고 차단신호가 사라지면 타이머 설정시간(t 초) 경과 후에 복귀 신호를 컨트롤부(200)에 인가하여 컨트롤부의 PWM 신호 발생을 재차 소프트 시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순한 과부하는 과전류검출부(103)와 차단신호발생부(104)로 이어지는 제 2보호회로를 통해 회로를 보호하며, 아크 또는 부하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아크검출부(101)를 포함하는 제 1보호회로의 동작에 의해 고압발생이 차단상태로 돌입되도록 작용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민감하게 동작하는 보호회로에 의해 집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둔감하게 동작하여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화재로의 전위를 확실하게 방지 할 수 있도록 아크 및 단락을 검출하는 제 1보호회로에 의해 사고의 발생과 집진기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용량에 비해 부하가 작을 때 발생될 수도 있는 여유분의 용량이 집진기 셀간에 불꽃방전으로 일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압 피드백에 의한 고압측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과 함께 부하측 과전류 또는 아크에 의한 전류 레벨을 검출하고 비교기를 통하여 설정 레벨에서 정확하게 고압트랜스를 차단하며, 차단된 후 일정시간의 경과를 계수하는 타이머를 통해 차단된 고압트랜스의 구동을 개시하므로 아크와 과전류에 대한 보호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 필터 출력을 변환하는 정류부, 정류된 직류 전압을 고압으로 승압하는 고압트랜스, 고압트랜스 출력을 승압하는 배전압부를 통해 승압된 고압을 얻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링부의 출력을 제어 전원으로 형성하는 제어전원부, 고압 출력인 배전압부 출력을 픽업하여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피드백 제어부를 통하여 검출된 전압 신호를 PWM 컨트롤부에 연결하여 고압트랜스를 통하여 출력 전압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상기 고압트랜스로부터 과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PWM 컨트롤부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산업용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에 있어서,
    상기 고압트랜스(30)의 1차측에서 부하 이상에 따른 아크 전류를 검출하여 고압트랜스 구동을 차단하는 제 1보호회로와,
    상기 배전압부(40)의 출력 레벨을 픽업하여 과전류를 검출하여 부하 이상에 따른 고압트랜스 구동을 차단하는 제 2보호회로와,
    상기 제 1보호회로 및 제 2보호회로의 부하 이상 검출 출력을 비교기를 통하여 일정 레벨 이상에서 고압트랜스 구동 출력을 차단하는 차단신호발생부(104)와,
    상기 차단신호발생부(104)의 출력으로 실질적으로 고압트랜스(30) 구동용 스위징소자(FET)를 턴오프 시키며 이 소자를 펄스폭 변조에 의하여 제어하는 PWM 집적회로를 갖는 컨트롤부(200)와,
    상기 차단신호발생부(104)의 차단신호의 반전 이후에 카운팅을 개시하고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복귀신호를 컨트롤부(200)에 제공하는 복귀 타이머부(210)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부(200)의 PWM 출력으로 FET드라이버(220)를 통하여 고압트랜스 1차측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칭소자(FET)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보호회로는 고압트랜스(30)의 1차측을 스위칭하며 부하 이상에 따른 아크 전류를 검출하도록 고압트랜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FET)와 스위칭 소자의 소스저항(Rs)으로부터 다이오드(D1)와, 저항(R1,R2) 및 저항간 접지단 사이에 연결한 콘덴서(C1)를 포함하는 아크검출부(101)와,
    상기 저항(R2)의 검출된 아크 출력으로 턴온되어 일정레벨(Vref)의 전압을 출력하는 포토커플러(PT)와 역류방지 다이오드(D2) 및 저항(R3,R4)를 포함하는 아크검출전달부(102)로 이루고,
    상기 제 2보호회로는 배전압부(40)의 출력을 픽업하여 분압저항(R5,R6)을 통해 컨트롤부(200)에 전압 피드백 신호로서 연결하는 피드백회로부(105)와, 부하 이상에 따른 접지 전위의 변화로부터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저항(R7)과 리플과 노이즈 제거용 콘덴서(C4) 및 안정저항(R8)을 통한 역류방지 다이오드(D3) 출력으로 이루어지는 과전류검출부(103)로 이루며,
    상기 차단신호발생부(104)는 상기 제 1보호회로를 이루는 아크검출 전달부(102)의 출력과 과전류검출부(103)의 출력을 비교기(U1)의 비반전 입력단에비교 입력으로 연결하고, 반전 입력단에는 분압저항(R10, R11)을 통한 기준전압을 연결하여 이루며, 비교 입력을 지연하는 저항(R9)과 콘덴서(C5)와, 비교기 출력단에 제어 전원(Vcc)에 걸린 저항(R12, R13) 및 다이오드(D4)를 포함하여 이루고,
    상기 컨트롤부(200)는 부하 상태에 따라서 펄스폭 변조 출력을 발생하는 PWM 집적회로를 포함하며 배전압부(40)로부터 피드백되는 부하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전압 피드백 신호와, 전류 피드백 신호 및 차단신호발생부(104)의 보호회로 동작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복귀 타이머부(210)는 차단신호발생부(104)의 보호회로 동작 신호에 의하여 셋업되어 보호회로 동작 신호가 소멸된 이후 카운팅을 개시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컨트롤부(200)에 복귀신호를 출력하도록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
KR2020020018927U 2002-06-21 2002-06-21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 KR200293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927U KR200293402Y1 (ko) 2002-06-21 2002-06-21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927U KR200293402Y1 (ko) 2002-06-21 2002-06-21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402Y1 true KR200293402Y1 (ko) 2002-11-02

Family

ID=7312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927U KR200293402Y1 (ko) 2002-06-21 2002-06-21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4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497B1 (ko) * 2012-08-24 2013-01-16 주식회사 우남알앤디 집진기 과부하 보호장치
KR101874642B1 (ko) * 2010-08-23 2018-07-0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전류 및 전압을 사용하여 아크 플래시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180078964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출력가변형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642B1 (ko) * 2010-08-23 2018-07-0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전류 및 전압을 사용하여 아크 플래시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1222497B1 (ko) * 2012-08-24 2013-01-16 주식회사 우남알앤디 집진기 과부하 보호장치
KR20180078964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출력가변형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23784B1 (ko) * 2016-12-30 2019-02-2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출력가변형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6402B2 (en) Converter and semiconductor device
US4061961A (en)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uty cycle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power supply
US4335414A (en) Automatic reset current cut-off fo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power supply
US5615097A (en) Transient over voltage protection circuit for electrical power converters
KR101710776B1 (ko) 누전 차단기
CN112152478A (zh) 一种特征电流发生电路
JP3401238B2 (ja) ワールドワイド電源装置
KR200293402Y1 (ko) 전기 집진기의 아크 및 과전류 보호회로
JP2001211562A (ja) 複数のモードを兼備する充電回路
JP2011160517A (ja) 過電流保護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431523Y1 (ko) 배터리 충전 장치
KR20080017157A (ko) 배터리 충전 장치
JP3460221B2 (ja) 電気集塵装置のグロー放電防止方法
KR102001449B1 (ko) 히컵 동작을 하는 소프트 스타트 회로 및 이를 구비한 전력변환 장치
JPH07284219A (ja) 異常入力電圧保護回路
JP2015122937A (ja) 同期整流器の駆動装置
JPH0662577A (ja) 電源装置
JPH07231650A (ja) 昇圧チョッパー回路
JP2004320865A (ja) 直流電源装置
CN115425857B (zh) 一种恒流转恒压的方法及其电路
CN112737360B (zh) 一种整流电路及电源
KR200207598Y1 (ko) 전자개폐기용지연석방장치
JP2003289634A (ja) コンセント装置
JPH07336872A (ja) パルス発生装置
JPH01278228A (ja) 補助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