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814Y1 -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814Y1
KR200292814Y1 KR2020020013933U KR20020013933U KR200292814Y1 KR 200292814 Y1 KR200292814 Y1 KR 200292814Y1 KR 2020020013933 U KR2020020013933 U KR 2020020013933U KR 20020013933 U KR20020013933 U KR 20020013933U KR 200292814 Y1 KR200292814 Y1 KR 200292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fire
reinforcing
extinguish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모
Original Assignee
정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모 filed Critical 정형모
Priority to KR2020020013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8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814Y1/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방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후하여 소방설비가 없는 건물이나 공간이 협소하여 소방설비를 구비할 수 없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화장치는, 내부에 강화소화액이 보관되는 저장탱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저장탱크에 보관되는 강화소화액이 이동되는 소화액 이동관과;
상기 소화액 이동관에 고정되어 본체의 저장탱크에서 이동되는 소화액이 분사되는 스프링쿨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화장치{A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고안은 건물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방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후하여 소방설비가 없는 건물이나 공간이 협소하여 소방설비를 구비할 수 없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방설비가 갖춰지지 않은 노후한 건물이나, 공간이 협소하여 소방설비를 갖추지 못한 장소에는 안전을 위하여 분말소화기를 비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화재시에는 분말소화기만으로는 화재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어 재산피해와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는 소방설비가 구비되지 않은 건물의 내부에 화재시 불을 초기에 진화시킬 수 있는 소화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협소한 장소의 내부에 소화장치를 설치하면 영업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많은 영업장이 소화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영업을 하고 있어 화재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으며, 현재 소방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은 노후화된 많은 건물들의 화재에 의해서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좁은 공간에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노후한 건물이나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소화장치는, 내부에 강화소화액이 보관되는 저장탱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저장탱크에 보관되는 강화소화액이 이동되는 소화액 이동관과;
상기 소화액 이동관에 고정되어 본체의 저장탱크에서 이동되는 소화액이 분사되는 스프링쿨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소화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소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내부에는 강화소화액이 보관되는 저장탱크(110)를 형성한다.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강화소화액이 보관되는 저장탱크(110)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소화액이 이동되는 소화액 이동관(200)과 연결되어 본체(100)의 저장탱크(110)에 보관되는 강화소화액이 상기 소화액 이동관(200)을 통해 이동되도록 형성한다.
본체(100)의 저장탱크(110)에 보관되는 강화소화액이 이동되는 소화액 이동관(200)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펌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이동된다.
강화소화액이 이동되는 소화액 이동관(200)이 연결되며, 강화소화액이 보관되는 저장탱크(110)의 내부에는 강화소화액이 저장탱크(110)의 내부에서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화소화액을 저장탱크(110)에 충진시킬 때 질소와 함께 충진한다.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질소와 함께 강화소화액이 충진되는 저장탱크(110)의 내부에는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충진되는 강화소화액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00)를 형성하고, 상기 저장탱크(110)의 일측에는 상기 감지센서(400)에 의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510)가 형성된 공급관(500)을형성한다.
상기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감지센서(400)는 공지된 바와 같이 감지봉으로 형성하는 가능하지만,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충진되는 강화소화액의 높이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강화소화액과 질소가 함께 충진되는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형성된 감지센서(400)는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충진된 강화소화액의 일정량 이하일 때 상기 저장탱크(11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급관(500)의 솔레노이드 밸브(510)를 작동시켜 공급관(500)을 통해 소화액이 저장탱크(110)로 유입되면서 저장탱크(110)에는 항상 일정량 이상의 소화액이 충진되도록 형성한다.
일정량 이하일 때 공급관(500)을 통해 저장탱크(110)로 충진되는 소화액은 강화소화액을 공급하여 저장탱크(110)에 충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일반 식수를 공급하여 물과 강화소화액을 혼합하여 소화액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부에는 감지센서(400)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감지센서(400)에 의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510)가 형성된 공급관(500)이 고정되는 저장탱크(11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110)에 보관되는 강화소화액이 이동되는 소화액 이동관(200)에는 다수개의 스프링쿨러(300)를 고정한다.
강화소화액이 이동되는 소화액 이동관(200)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스프링쿨러(300)는 공지된 바와 같이 화재시에 일정한 온도에서 작동하여 소화액 이동관(200)을 통해 이동되는 강화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소방설비가 없는 노후화된 건물이나 장소가 협소한 실내에 저장탱크(110)가 형성된 본체(100)를 고정하여 사용한다.
실내에 고정되는 본체(100)는 강화소화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크기가 작아 협소한 공간에 보관된다.
상기와 같이 보관되다가 화재시 화기에 의해서 스프링쿨러(300)가 작동되면 상기 스프링쿨러(300)가 고정된 소화액 이동관(200)을 통해 이동되는 강화소화액이 스프링쿨러(300)에서 분사되면서 화재를 진압한다.
스프링쿨러(300)를 통해 강화소화액이 분사될 때 본체(100)의 저장탱크(110) 내부에 충진된 강화소화액은 계속해서 소화액 이동관(200)을 통해 이동되면서 스프링쿨러(300)에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쿨러(300)로 강화소화액이 분사되면서 본체(100)의 저장탱크(110)에 충진된 강화소화액이 일정량 이하로 떨어지면 감지센서(400)가 감지하여 저장탱크(11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급관(500)의 솔레노이드 밸브(510)를 작동시킨다.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충진된 강화소화액이 일정량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감지센서(400)가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510)를 작동시키면 공급관(500)을 통해 소화액이 보충되면서 본체(100)의 저장탱크(110) 내부에는 항상 일정양의 소화액이 충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외부에서 소화액을 계속 보충시키면서 소화액 이동관(200)을 통해 스프링쿨러(300)로 강화소화액을 분사시키기 때문에 화재는 쉽게 진화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강화소화액이 공급되는 소화액 이동관(200)과 다수개의 스프링쿨러(300)의 사이에는 강화소화액과 상기 강화소화액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질소가 함께 충진되는 보조탱크(600)를 형성한다.
소화액 공급관(500)과 스프링쿨러(300)의 사이에 강화소화액과 질소가 충진되는 보조탱크(600)를 형성하면,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강화소화액과 질소가 충진된 저장탱크(1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좁은 공간에 본체(100)를 설치할 수 있다.
소화액 공급관(500)과 스프링쿨러(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탱크(600)의 작동방법은 화재시 발생되는 화기에 의해서 스프링쿨러(300)가 작동되면서 보조탱크(600)에 충진된 강화소화액이 분사되면서 화재를 진압하며, 보조탱크(600)에 충진된 강화소화액이 모두 소비되면 소화액 이동관(200)을 통해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탱크(110)에 충진된 강화소화액이 이동되면서 스프링쿨러(300)로 분사되면서 화재를 진압한다.
상기와 같이 부피가 작고 설치가 편리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 또는 소방설비가 갖춰지지 않은 장소에 쉽게 설치하여 화재에 대비할 수 있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소화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본 고안은 적은 양으로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강화소화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강화소화액이 보관되는 본체를 좁은 공간에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강화소화액이 분사되는 스프링쿨러의 상부에 별도의 보조탱크를 설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도 효율적으로 설치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소방설비가 없는 노후한 건물이나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내부에 강화소화액이 보관되는 저장탱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저장탱크에 보관되는 강화소화액이 이동되는 소화액 이동관과;
    상기 소화액 이동관에 고정되어 본체의 저장탱크에서 이동되는 소화액이 분사되는 스프링쿨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저장탱크 내부에는, 저장탱크에 보관되는 강화소화액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저장탱크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형성되어 저장탱크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액 이동관과 스프링쿨러의 사이에는 강화소화액이 보관되는 보조탱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와 보조탱크의 내부에는 강화소화액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질소를 강화소화액과 함께 충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KR2020020013933U 2002-05-07 2002-05-07 소화장치 KR200292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933U KR200292814Y1 (ko) 2002-05-07 2002-05-07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933U KR200292814Y1 (ko) 2002-05-07 2002-05-07 소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080A Division KR100452753B1 (ko) 2002-05-07 2002-05-07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814Y1 true KR200292814Y1 (ko) 2002-11-18

Family

ID=7312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933U KR200292814Y1 (ko) 2002-05-07 2002-05-07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8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4617B2 (ja) 火災を防止し消火するための装置
BR0317945A (pt) Método e aparelho para apagar incêndios em navios que armazenam produtos inflamáveis
JP3626207B2 (ja) 消火装置
KR101793988B1 (ko) 건물 화재 소방용 노즐 헤드 장치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JP2013192583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236260B1 (ko) 패키지형 호스릴 스프링클러장치
US20080185159A1 (en) Foam fire suppression apparatus
KR200292814Y1 (ko) 소화장치
KR100880023B1 (ko) 압축기체 소방장치
KR100452753B1 (ko) 소화장치
JP4740707B2 (ja) 消火設備
KR20030068945A (ko) 가스계 소화약제의 배관저장형 소화시스템
KR20080097261A (ko) 소형 소방차
JP5975738B2 (ja) 消火システム
KR20110119157A (ko) 드렌처 및 미분무 겸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소방 시스템
JPS60941Y2 (ja) 粉末消火設備の自動停止装置
RU2286190C1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ысотного здания или сооружения
KR200269257Y1 (ko) 전기판넬 전용 co2자동확산 소화기
KR102190155B1 (ko)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JP6095432B2 (ja) ガス注入装置および方法
KR200237110Y1 (ko) 비 압력식 자동소화기
JP2003290377A (ja) 消火設備
KR100463287B1 (ko) 전기panel전용 co2자동확산 소화기
JP5004629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