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338Y1 - 이송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이송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338Y1
KR200292338Y1 KR2020020016593U KR20020016593U KR200292338Y1 KR 200292338 Y1 KR200292338 Y1 KR 200292338Y1 KR 2020020016593 U KR2020020016593 U KR 2020020016593U KR 20020016593 U KR20020016593 U KR 20020016593U KR 200292338 Y1 KR200292338 Y1 KR 200292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coupling
axis support
long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관
Original Assignee
한국농산물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농산물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농산물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6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338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프레임은, 양끝부분에 자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돌출편이 형성되며, 양끝부분에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그 다수의 결합홈의 내측에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지지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장축 지지대;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단이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장축 지지대의 지지면과 상호 수직되게 밀착되는 지지면이 상기 결합단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 상기 연장돌출편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단축 지지대; 및 상기 결합단의 대향되는 단축 지지대의 끝단에 고정되고, 힌지축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단축 지지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송용 프레임{Frame transferring fruit}
본 고안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농산물을 이송하는 데 사용되는 이송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현지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그 지역의 집하장으로 옮겨진 후 이송수단을 통해 해당 지역의 중간 도매상이나 소매상으로 배달이 이루어진다. 이때 농산물이 손상될 경우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농산물을 포장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농산물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좀 더 용이하게 운송하기 위해서 농산물을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경우에는 종이 또는 스티로폼 재질의 박스에 담아 운송과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농산물, 예를 들면 배추, 수박 또는 메론과 같은 과일의 경우에는 운송시 종래의 종이 또는 스티로폼 재질의 박스로는 농산물을 최대한 적재함과 동시에 농산물을 보호하기에는 역부족인 관계로 다른 박스 형태를 이용하고 있다.
즉, 배추와 같은 농산물의 경우에는 농산물을 망에 여러개를 넣어 단위별로 묶고, 묶음을 격자형 프레임에 여러개 넣고, 프레임을 다시 여러층으로 쌓아 이송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수박 또는 메론과 같은 농산물의 경우에는 격자형 프레임을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그 내부에 다수개를 넣고, 그 프레임을 다시 여러층으로 쌓아 이송하게 된다.
도 5에서는 종래 사용되던 프레임을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종래 프레임(1)은 대향되는 위치의 두 장축 지지대(2)와, 두 장축 지지대(2)의 양끝단에 힌지 고정된 다수의 단축 지지대(3)가 상호 힌지 연결되고, 각각의 모서리와 단축 지지대(3)의 연결부분에 경첩(4)이 설치되는 구조로 제작된다.
도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종래 프레임(1)은 4 모서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도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1개만 사용할 경우 정사각 형태의 모양을 유지하지 못하고 마름모꼴로 변형되거나, 단축 지지대의 마주 댄 힌지 부분이 프레임(1)의 안쪽으로 꺽이는 형태로 변형된다.
이렇게 종래 프레임이 변형이 될 경우 그 내부에 수용되는 농산물이 제위치를 잡지 못하고 흩트려지면서 농산물의 표면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축 지지대와 단축 지지대를 나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설치하는 작업중 작업자의 손에 상처가 나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프레임(1)을 접었을 때 단축 지지대(2)의 마주하는 끝단에 설치된 경첩(4)이 프레임(1)의 내측면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경첩(4)의 힌지축이 상호 맞닿아 프레임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밖에 접혀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 프레임을 접은 상태에서 이동하게 될 경우 프레임의 위에 다층으로 적재가 용이하지 않아 이송에 따른 물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되는 농산물이 제위치를 잡아 농산물의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송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자체의 재질을 종래에 비해 가볍게 제작하여 작업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송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잘 접혀지는 이송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용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을 적층하여 사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종래 사용되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 프레임을 접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프레임 11...장축 지지대
12...단축 지지대 12a...인입홈
12b...고정턱 12c...안착홈
13...연결편 14...비드
15...관통공 16...장축 지지대의 지지면
17...연장돌출편 18...결합편
19...결합단 20...단축 지지대의 지지면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프레임은, 양끝부분에 자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돌출편이 형성되며, 양끝부분에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그 다수의 결합홈의 내측에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지지면이 형성되는 2개의 장축 지지대;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단이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장축 지지대의 지지면과 상호 수직되게 밀착되는 지지면이 상기 결합단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 상기 연장돌출편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단축 지지대; 및 상기 결합단의 대향되는 단축 지지대의 끝단에 고정되고, 힌지축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단축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용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프레임(10)은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2개의 장축 지지대(11)와, 이 2개의 장축 지지대 양끝단에 힌지 연결되면서 인접한 단축 지지대와 힌지로 상호 연결되는 단축 지지대(12)와, 인접한 단축 지지대(12)에 고정되고 상호 힌지 결합되는 연결편(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편(13)을 제외한 장축 지지대(11)와 단축 지지대(12)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두 지지대(11,12)는 모두 내측면, 상면 및 하면으로 둘러싸인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두 지지대(11,12)의 강성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빈 공간의 내부에 다수의 비드(14)가 격자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자체 강성을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장축 지지대(11)와 단축 지지대(12)의 소정 위치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프레임(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과일의 통기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장축 지지대(11)와 단축 지지대(12)의 상면에는 고정턱(12a)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다른 프레임의 고정턱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2b)이 형성된다.
상기한 장축 지지대(11)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양끝부분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그 결합홈의 내측에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지지면(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축 지지대(11)는 양끝부분에서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프레임(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돌출편(17)이 형성된다.
또한 장축 지지대(11)는 양끝부분의 외측면 하측에 결합편(18)이 볼팅된다.
이 결합편(18)은 다른 프레임과 적층시 아래에 위치하는 프레임(10)의 상측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하면보다 약간 돌출되도록 볼팅된다. 따라서 적층되는 프레임들이 결합편(18)에 의해 상호 결합됨으로써 프레임을 다수개 쌓아도 흩트려지지 않게 된다.
한편, 단축 지지대(12)는 장축 지지대(11)의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단(19)이 일측단에 형성되고, 이 결합단은 상술한 장축 지지대(11)의 결합홈에 삽입된 후 힌지축에 의해 장축 지지대(11)에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단(19)의 돌출 길이는 프레임(10)이 펼쳐지거나 접혀졌을 때 장축 지지대(11)의 끝단 또는 외측면을 벗어나지 않는다.
결합단(19)의 돌출 길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을 접었을 때 대향되는 좌우측 단축 지지대(12)의 사이에 공간의 폭(w)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프레임(10)이 접혀졌을 때 단축 지지대(12)와 장축 지지대(11)의 내측면 사이가 밀착됨으로써 프레임의 이동시 또는 적재시 프레임들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결합단(19)의 내측 지지면(20)은 상술한 장축 지지대(11)의 지지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프레임(10)이 펼쳐지게 되면 단축 지지대(12)의 내측면과 장축 지지대(11)의 내측면은 상호 수직을 이루게 된다.
단축 지지대(12)의 타측단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ㄷ"자 모양으로 된 금속 재질의 연결편(13)이 볼팅되는 데, 이 연결편(13)은 연접된 단축 지지대(12)의 연결편(13)과 힌지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편(13)은 단축 지지대(12)의 끝단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1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맞닿게 되는 두 단축 지지대(12)의 끝단이 프레임(10)의 내부에 채워진 농산물의 압력을 받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단축 지지대(12)의 일측 외측면에는 상술한 장축 지지대(11)의 외측면에 고정된 것과 같은 결합편(18)이 볼팅된다. 이 결합편(18)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축 지지대(12)의 하측면보다 아래로 돌출 배치됨으로써 프레임(10)의 적층시 아래에 위치한 프레임의 장축 지지대(11)의 외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결합편(18)이 단축 지지대(12)에 약간 돌출된 상태로 볼팅되기 때문에 프레임이 접혔을 때 이웃하는 두 단축 지지대가 상호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단축 지지대(12)의 외측면에 안쪽으로 인입되는 인입홈(12a)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의 작용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이 접혀진 상태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을 펼치게 되면, 힌지축을 중심으로 장축 지지대(11)와 단축 지지대(12)가 펼쳐진 후 두 지지대는 상호 수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장축 지지대(11)의 결합홈 내측에 있는 지지면(16)과 단축 지지대(12)의 결합단(19)에 있는 지지면(20)은 상호 밀착되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호 이웃한 두 단축 지지대(12)도 연결편(13)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후 일직선 상태로 된다.
따라서 프레임(1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정사각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정사각 형태에서 프레임(10)의 내측에 과일을 가득 채우게 되더라도 장축 지지대(11)와 단축 지지대(12)의 두 지지면(16,20)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프레임(10)의 자세가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정사각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펼쳐진 프레임(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상의 파레트(21)에 안착시킨다. 이 파레트(21)에 안착되면 프레임(10)의 결합편(18)은 파레트(21)의 외측면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위에 다른 프레임을 펼쳐진 상태로 쌓게 되는 데, 바람직하기로는 적층된 프레임들이 자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장축 지지대(11)에 해당하는 위치에 다른 프레임의 단축 지지대(12)가 위치하도록 쌓아나간다.
그러면 프레임(10)의 고정턱(12b)에 다른 프레임의 안착홈(12c)이 삽입된다.
또한 다른 프레임의 결합편(18)이 프레임(10)의 외측면에 위치하게 되고, 프레임들은 상호 지지하면서 쌓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다른 프레임이 적층되면 그 내부에 과일들을 계속해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원하는 만큼의 과일들이 쌓이면 지게차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포크를 파레트의 삽입공으로 투입하여 리프팅한 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장축 지지대의 결합홈에 형성된 지지면과 단축 지지대의 지지면이 상호 밀착되면서 장축 지지대와 단축 지지대가 수직되게 되고, 프레임의 전체적으로 정사각 형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는 과일들이 제위치를 잡아 과일의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이 구성하는 두 지지대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프레임 전체적으로 종래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다루기 용이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시 작업자가 무리하게 작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프레임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장축 지지대의 내측면과 단축 지지대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밀착됨으로써 프레임의 적재시나 이동시 프레임을 다층으로 적재가 용이하여 이송에 따른 물류 비용이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양끝부분에 자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돌출편이 형성되며, 양끝부분에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그 다수의 결합홈의 내측에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지지면이 형성되는 2개의 장축 지지대;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단이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장축 지지대의 지지면과 상호 수직되게 밀착되는 지지면이 상기 결합단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 상기 연장돌출편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단축 지지대; 및
    상기 결합단의 대향되는 단축 지지대의 끝단에 고정되고, 힌지축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단축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편
    을 포함하는 이송용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 지지대와 단축 지지대는 내측면, 상면 및 하면으로 둘러싸인 내부가 비어 있는 이송용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빈 내부 공간에 다수의 비드가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이송용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 지지대와 단축 지지대의 외측면에 지지대의 하면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볼팅되는 결합편을 더 포함하는 이송용 프레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펼쳐지거나 접혀졌을 때 상기 결합단의 돌출 길이는 장축 지지대의 끝단 또는 외측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되는 이송용 프레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접혀졌을 때 좌우측의 단축 지지대 사이에 상기 결합단의 돌출 길이에 해당하는 폭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이송용 프레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 지지대와 단축 지지대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이송용 프레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상기 단축 지지대를 감싸게 되는 이송용 프레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 지지대와 단축 지지대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고정턱과 안착홈이 형성되는 이송용 프레임.
KR2020020016593U 2002-05-30 2002-05-30 이송용 프레임 KR200292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593U KR200292338Y1 (ko) 2002-05-30 2002-05-30 이송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593U KR200292338Y1 (ko) 2002-05-30 2002-05-30 이송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338Y1 true KR200292338Y1 (ko) 2002-10-19

Family

ID=7312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593U KR200292338Y1 (ko) 2002-05-30 2002-05-30 이송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3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2159B1 (en) Package, method and kit for stretch hood packaging of home appliances
KR100314979B1 (ko) 벤 자국을 낸 u자 형태의 포장 부재
AU678315B2 (en) Folding crate for holding packages
US20060151410A1 (en) Product tray insert
US20080257769A1 (en) Means for securing a transport base to a shipping pallet
WO2007008175A1 (en) Pallet with foldable platform surface
WO2000051911A1 (en) Corner support post
CA2331563A1 (en) Recyclable, heavy duty, lightweight, moisture resistant corrugated pallet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US4401217A (en) Roll retainer
RU217228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штабеля отдельных предметов на платформе
US20070193912A1 (en) Package
US20180305107A1 (en) Product packaging system
KR200292338Y1 (ko) 이송용 프레임
US5577608A (en) Protective cover for palletized materials and method
KR102307644B1 (ko) 곤포체의 제조 방법
US20140367306A1 (en) Edge Protector and Packaging System
EP3052392B1 (en) A pallet collar for a pallet, a goods support comprising such a pallet colla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uch a pallet collar
JP3986784B2 (ja) 梱包装置および緩衝材
EP0457118A1 (en) Transport package
JP2978612B2 (ja) 梱包用の箱体
RU216015U1 (ru) Временная упаковка для защиты грузов пр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е
US11427381B1 (en) Self-stacking strategically packed and collated enclosure (space) platform
KR200490064Y1 (ko) 스태커크레인 운반에 적합하며 조립성이 우수한 화물용 운반상자
KR200433342Y1 (ko)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