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388Y1 - 동전 계수기 - Google Patents

동전 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388Y1
KR200291388Y1 KR2020020021972U KR20020021972U KR200291388Y1 KR 200291388 Y1 KR200291388 Y1 KR 200291388Y1 KR 2020020021972 U KR2020020021972 U KR 2020020021972U KR 20020021972 U KR20020021972 U KR 20020021972U KR 200291388 Y1 KR200291388 Y1 KR 200291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unit
centrifugal
coins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중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Priority to KR2020020021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3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388Y1/ko

Links

Landscapes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동전 계수기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하나의 구동원에 의하여 동전의 공급과 원심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부품수, 생산 단가 및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전 계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고안의 해결방법 요지
본 고안은,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전이 투입되는 호퍼;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디스크를 포함하여 상기 호퍼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제공되는 동전을 회전동작에 의한 원심력으로 이동시키는 원심구동유닛; 상기 원심구동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의 동력의 전달받아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상기 호퍼로부터 제공된 동전을 상기 원심분리유닛으로 공급하는 동전공급유닛; 상기 원심구동유닛에 쌓이는 동전량을 감지하는 동전량감지유닛; 상기 동전피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동전 개수를 감지하여 계수하는 계수감지유닛;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계수하고자 하는 동전의 갯수를 선택하고 표시하는 선택버튼유닛; 상기 계수감지유닛을 통과하여 계수된 동전들이 수납되도록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계수동전수납부; 및 상기 원심구동유닛, 동전공급유닛, 동전량감지유닛, 계수감지유닛 및 선택버튼유닛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전계수기를 제공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동전를 계수하는 동전 계수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동전 계수기{Coin counter}
본 고안은 동전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구동원에 의하여 원심구동유닛으로 동전을 공급하고, 동전피드유닛으로 동전을 원심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부품수, 생산 단가 및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전 계수기의 동전공급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전 또는 주화를 많이 사용하는 특정 장소에서는 빠르고 정확하게 동전을 계수하기 위하여 동전 계수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동전 계수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일반적인 동전 계수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동전 계수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동전 계수기는, 크게 본체 케이스(1)와; 상기 본체 케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전이 투입되는 호퍼(2)와, 상기 호퍼(2)에서 제공된 동전을 후술하는 원심구동유닛(20)측으로 제공하는 동전공급유닛(10)과; 상기 동전공급유닛(10)에서 공급된 동전을 회전동작에 의한 원심력으로 후술하는 동전피드(feed)유닛(30)으로 제공하는 원심구동유닛(20)과; 상기 동전공급유닛(10)으로부터 공급된 동전이 원심구동유닛(20)상에서 쌓이는 동전량을 감지하는 동전량감지유닛(40)과; 상기 동전피드유닛(30)으로부터 배출되는 동전 개수를 계수하는 계수감지유닛(60)과; 계수하고자 하는 갯수를 선택하고 표시하는 선택버튼유닛(70)과; 상기 계수감지유닛(60)을 통과하여 계수된 동전들이 수납되도록 본체 케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는 계수동전수납부(80)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상호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동전공급유닛(10)은 구동 모터(11)와, 상기 구동 모터(11)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기어수단(12)과, 상기 기어수단(12)의 회전에 의하여 소정 궤도를 주행하여 호퍼(2)로부터 공급된 동전을 원심공급유닛(20)으로 공급하는 컨베이어 벨트(13)를 포함한다.
상기 원심구동유닛(20)은 본체 케이스(1) 배면 내측에 설치되는 원심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동전공급유닛(10)의 컨베이어 벨트(13)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원심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디스크(22)를 포함한다.
상기 동전량감지유닛(40)은 동전공급유닛(10)의 컨베이어 벨트(13)로부터 제공되는 동전이 원심구동유닛(20)의 디스크(22) 상에 쌓이는 양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동전 계수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계수하고자 하는 개수의 동전량을 선택버튼유닛(70)에서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그 선택버튼유닛(70)의 신호를 받아 동전공급유닛(10) 및 원심구동유닛(20)을 구동시킨다.
상기 호퍼(2)에 저장되어 있던 동전들이 상기 동전공급유닛(10)의 컨베이어 벨트(13)를 따라 원심구동유닛(20)의 디스크(22) 상으로 떨어지고, 상기 원심구동유닛(20)의 디스크(22)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디스크(22) 상의 동전들이 디스크(22)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원심구동유닛(20)의 디스크(22)의 원심력에 의하여 이동된 동전들은 동전피드유닛(30)를 통하여 계수감지유닛(60)을 지나 계수동전수납부(80)에 쌓이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동전공급유닛(10)의 컨베이어 벨트(13)로부터 제공되는 동전은 원심구동유닛(20)의 디스크(22) 상에 소정 이상 쌓이게 될 경우, 이를 동전량 감지유닛(40)에서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보내고, 제어부는 동전공급유닛(1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그런 다음, 동전량감지유닛(40)에서 감지된 신호가 디스크(22)상에 적층되는 동전량이 허용값 이하의 신호를 보낼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는 다시동전구동유닛(10)이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동전 계수기는 호퍼에 투입된 동전을 원심구동유닛측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동전공급유닛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계수기는 동전을 원심이동시키기 위한 원심구동유닛과 호퍼에 투입된 동전을 원심구동유닛으로 제공하기 위한 동전공급유닛은 각각의 구동원과 구동매개수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고 조립 공정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동전 계수기는 부품수이 증가로 인하여 설치 공간이 커져야만 하기 때문에 제품의 소형화가 이루어지기 어렵고, 각 구동부에 따른 별도의 구동원을 구비함으로써 생산 단가 및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구동원에 의하여 동전을 원심구동유닛으로 공급하고, 동전피드유닛에서 원심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생산 단가 및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전 계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동원을 하나만 사용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전 계수기의 동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동전 계수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동전 계수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해 도시한 동전공급유닛을 갖는 동전 계수기를 도시한 내부 구성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동전 계수기가 조립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동전계수기의 동전공급유닛을 구성하는 구동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동전계수기의 동전공급유닛을 구성하는 회전연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동전계수기의 동전공급유닛을 구성하는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에 의한 동전계수기의 동전공급유닛을 구성하는 출력허브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호퍼 20: 원심구동유닛
30: 동전피드유닛 40: 동전량감지유닛
60: 계수감지유닛 100: 동전공급유닛
110: 구동샤프트 120: 회전연동부재
130: 하우징 140: 출력호퍼
200: 구동정지수단 210: 구동정지부재
220: 스토퍼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전이 투입되는 호퍼;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디스크를 포함하여 상기 호퍼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제공되는 동전을 회전동작에 의한 원심력으로 이동시키는 원심구동유닛; 상기 원심구동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의 동력의 전달받아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상기 호퍼로부터 제공된 동전을 상기 원심분리유닛으로 공급하는 동전공급유닛; 상기 원심구동유닛에 쌓이는 동전량을 감지하는 동전량감지유닛; 상기 동전피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동전 개수를 감지하여 계수하는 계수감지유닛;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계수하고자 하는 동전의 갯수를 선택하고 표시하는 선택버튼유닛; 상기 계수감지유닛을 통과하여 계수된 동전들이 수납되도록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계수동전수납부; 및 상기 원심구동유닛, 동전공급유닛, 동전량감지유닛, 계수감지유닛 및 선택버튼유닛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전계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신호에 따라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동전을 원심 이동시키는 원심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동전계수기에서 상기 원심구동유닛으로 동전을 제공하기 위한 동전공급유닛에 있어서, 상기 동전공급유닛은 상기 원심구동유닛을 구동하는 구동원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샤프트; 상기 구동샤프트 주면에 설치되어 초기상태에서는 함께 회전하지 않으나 그 구동샤프트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의 증가로 그 구동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 상기 구동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하단면에 삽입홈을 갖는 하우징; 상기 구동샤프트와 하우징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이 삽입되는 출력허브; 상기 출력허브의 일단에 결합하는 동전공급디스크; 및 상기 동전공급디스크의 상면과 밀착되지 않게 구동샤프트와 결합하여 그 동전공급디스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수단을 포함하는 동전계수기의 동전공급유닛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해 도시한 동전공급유닛을 갖는 동전 계수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동전 계수기가 조립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동전 계수기에 있어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동전 계수기는, 본체 케이스(1)와; 상기 본체 케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전이 투입되는 호퍼(미도시)와, 상기 호퍼(미도시)에서 제공된 동전을 후술하는 원심구동유닛(20)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의 동력의 전달받아 그의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으로 상기 원심분리유닛(20)의 원심구동디스크(22)로 동전을 공급하는 동전공급유닛(100)과; 상기 동전공급유닛(10)에서 공급된 동전을 회전동작에 의한 원심력으로 후술하는 동전피드유닛(30)으로 제공하는 원심구동유닛(20)과; 상기 동전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된 동전이 원심구동유닛(20)에 쌓이는 동전량을 감지하는 동전량감지유닛(40)과; 상기 동전피드유닛(30)으로부터 배출되는 동전 개수를 감지하여 계수하는 계수감지유닛(60)과; 계수하고자 하는 갯수를 선택하고 표시하는 선택버튼유닛(미도시)과; 상기 계수감지유닛(60)을 통과하여 계수된 동전들이 수납되도록 본체 케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는 계수동전수납부(미도시)와;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상호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상기 동전량감지유닛(60)의 감지신호에 의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동전공급유닛(100)의 회전동작을 정지시키는 구동정지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원심구동유닛(20)은 본체 케이스(1) 배면 내측에 설치되는 원심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원심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하는 원심구동디스크(22)를 포함한다.
상기 동전공급유닛(100)을 도 5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동전계수기의 동전공급유닛을 구성하는 구동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동전계수기의 동전공급유닛을 구성하는 회전연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동전계수기의 동전공급유닛을 구성하는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고안에 의한 동전계수기의 동전공급유닛을 구성하는 출력허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동전계수기의 동전공급유닛(100)은, 원심구동유닛(20)의 원심구동모터축(20a)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샤프트(110)와, 상기 구동샤프트(110) 주면에 설치되어 초기상태에서는 함께 회전하지 않으나 그 구동샤프트(110)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의 증가로 함께 회전하는 회전연동부재(120)와; 상기 구동샤프트(11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회전연동부재(120)의 일단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30)과; 상기 구동샤프트(110)와 하우징(130)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회전연동부재(120)의 타단이 삽입되는 출력허브(140)와; 상기 출력허브(140)의 일단에 결합하는 동전공급디스크(150)와; 상기 동전공급디스크(150)의 상면과 밀착되지 않게 구동샤프트(110)와 결합하여 그 동전공급디스크(150)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수단(160) 및 상기 구동샤프트(110)와 출력허브(140)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170)을 포함한다.
상기 원심구동유닛(20)은 원심구동모터(미도시)와 원심구동모터의 축(20a)에 결합되는 원심구동디스크(22)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원심구동디스크(22)의 직경은 상기 동전공급디스크(15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동전이 떨어져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동전공급디스크(15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구동샤프트(110)는 하면 내측에 원심구동모터축(20a)과 나사결합되는 결합공(111a)이 형성된 기둥형상의 바디(111)와, 상기 바디(111)의 상면에서 그 바디(1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일체로 돌출하는 돌출바디(112)와, 상기 돌출부디(112)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하는 회전축(1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연동부재(120)는, 사각 단면을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하부측이 상기 구동샤프트(110)의 바디(111) 상면에서 돌출바디(112) 외면과 밀착되게 안착되며, 일단(121)은 상기 구동샤프트(110)의 바디(111)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후술하는 하우징(130)의 삽입홈(131a)에 끼워지고, 타단(122)은 상기 구동샤프트(110)의 회전축(113)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출력허브(140)의 수직홈(142a)에 끼워진다.
이 때, 상기 회전연동부재(120)는 그 권선방향이 구동모터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갖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샤프트(110)의 바디(111)에 안착되어 그 하부측 내면이 돌출바디(112)의 외면과 밀착된다.
상기 하우징(130)은, 하단밑면에 상기 회전연동부재(120)의 일단(121)이 끼워지는 삽입홈(131a)이 형성된 원통부(131)와, 상단 외주연부에 후술하는 스토퍼(210)의 멈춤요철부(222)와 맞물리는 걸림돌기(132a)가 주연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걸림부(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출력허브(140)는, 상기 회전연동부재(120)의 상부측 내면와 밀착되는 하부 원통바디(141)와, 상기 하부 원통바디(141)로 일체로 연장되되, 그 직경이 상기 회전연동부재(12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외면에 상기 회전연동부재(120)의 타단(122)이 끼워지는 수직홈(142a)이 형성된 상부 원통바디(142) 및 상기 상부 원통바디(142)의 내경으로부터 돌출되어 동전공급디스크(150)의 중심공(151)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4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동전공급유닛(1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구동정지수단(200)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동전공급유닛(100)의 하우징(130)에 대향하게 본체 케이스(1)에 설치되어 상기 동전량감지유닛(40)의 신호에 따른 제어부의 신호로 직선운동하는 이동축(211)을 갖는 정지구동부재(210)와, 상기 정지구동부재(210)의 이동축(211)에 결합되어 그 이동축(211)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130)의 걸림부(132)의 걸림돌기(132a)와 맞물려 하우징(130)의 회전을정지시켜 동전공급디스크(15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지구동부재(210)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자기력의 발생으로 그 이동축(211)이 직선운동, 즉 전후방운동하는 솔레노이드이다.
상기 스토퍼(220)는 일단이 상기 정지구동부재(210)의 이동축(211)에 연결되는 연결편(221)과, 상기 연결편(221)의 타단에 반원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하우징(130)의 걸림부(132)의 걸림돌기(132a)와 맞물릴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멈춤요철부(22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동전 계수기의 동작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계수하고자 하는 동전량을 선택버튼유닛(미도시)에서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그 선택버튼유닛(미도시)의 신호를 받아 원심구동유닛(20)의 원심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
상기 원심구동모터가 구동되면, 원심구동동유닛(20) 및 동전공급유닛(100)이 회전 구동된다.
즉, 상기 원심구동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원심구동모터축(20a)에 결합된 구동샤프트(110)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샤프트(11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120)의 삽입홈(131a)에 일단이 삽입되고, 출력허브(140)의 수직홈(142a)에 타단이 삽입된 사각 단면 코일 스프링의 연동회전부재(120)는, 초기상태에서 그 하측부 내면과 상기 구동샤프트(110)의 돌출바디(112) 외면 사이에서 서서히 마찰력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상기 연동회전부재(120)의 하측부 내면은 돌출바디(112) 외면과 강한 마찰력으로 밀착되고, 상기 연동회전부재(120)의 상측부 내면은 출력허브(140)의 하부원통바디(141) 외면과 강한 마찰력으로 밀착되어 상기 연동회전부재(120)는 구동샤프트(110)와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구동샤프트(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회전부재(120)를 매개로 하우징(130) 및 출력허브(140)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출력허부(140)의 결합돌기(143)와 연결된 동전공급디스크(150)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호퍼(2)에 저장되어 있던 동전들이 상기 동전공급디스크(150)로 공급되고, 상기 동전공급디스크(150)로 공급된 동전들은 동전공급디스크(15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되어 원심구동디스크(150)상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원심구동디스크(22) 상에 놓이는 동전들은 그 원심구동디스크(22)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되어 동전피드유닛(30)을 통하여 계수감지유닛(60)을 지나 계수동전수납부(미도시)에 쌓이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동전공급유닛(100)의 동전공급디스크(150)로부터 제공되는 동전이 원심구동디스크(22) 상에 소정 이상 쌓이게 될 경우, 이를 동전량감지유닛(40)에서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보낸다.
상기 제어부는 그 신호를 정지수단(200)의 정지구동부재(210)로 전달하고,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정지구동부재(210)의 이동축(211)은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축(211)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220)가 하우징(130)의걸림돌기(132a)측으로 이동하여 그 걸림돌기(132a)와 상기 스토퍼(220)의 멈춤요철부(222)와 맞물려 하우징(130)의 회전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30)의 삽입홈(131a)에 일단이 삽입된 회전연동부재(120) 또한 정지되고, 상기 회전연동부재(120)의 하부측 내면과 구동샤프트(110)의 마찰력은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구동샤프트(110)의 구동력은 회전연동부재(120)로 전달되지 못하고 구동샤프트(110)만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연동부재(120)가 구동샤프트(110)와 일체로 회전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그 회전연동부재(120)의 타단이 삽입된 출력허브(140)의 회전은 정지되고, 상기 출력허브(140)의 결합돌기(143)에 결합된 동전공급디스크(150)의 회전도 정지되어, 상기 동전공급디시크(150) 상의 동전들은 더 이상 원심구동디스크(22)로 제공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원심구동디스크(22)가 계속 회전됨에 따라 그에 위치된 동전들이 동전피드유닛(40)으로 공급되고, 다시 동전량감지유닛(40)의 감지신호에 의해 그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다시 정지수단(200)의 정지구동부재(210)의 이동축(211)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스토퍼(220)가 하우징(13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220)가 하우징(130)으로부터 분리되면, 연동회전부재(120)는 초기상태에서 그 하측부 내면과 상기 구동샤프트(110)의 돌출바디(112) 외면 사이에서 서서히 마찰력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상기 연동회전부재(120)의 하측부 내면은 돌출바디(112) 외면과 강한 마찰력으로 밀착되고, 상기 연동회전부재(120)의 상측부 내면은 출력허브(140)의 하부원통바디(141) 외면과 강한 마찰력으로 밀착되어 상기 연동회전부재(120)는 구동샤프트(110)와 일체로 회전되고, 다시 동전공급디스크(150)를 회전시켜 그에 위치된 동전이 원심구동디스크(22)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전공급유닛(100)과 정지수단(200)의 일련의 동작은 동전량감지유닛(40)의 신호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동전계수기는 하나의 구동원에 의하여 동전의 공급 및 원심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생산 단가 및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동원을 하나만 사용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전이 투입되는 호퍼;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디스크를 포함하여 상기 호퍼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제공되는 동전을 회전동작에 의한 원심력으로 이동시키는 원심구동유닛;
    상기 원심구동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의 동력의 전달받아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상기 호퍼로부터 제공된 동전을 상기 원심분리유닛으로 공급하는 동전공급유닛;
    상기 원심구동유닛에 쌓이는 동전량을 감지하는 동전량감지유닛;
    상기 동전피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동전 개수를 감지하여 계수하는 계수감지유닛;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계수하고자 하는 동전의 갯수를 선택하고 표시하는 선택버튼유닛;
    상기 계수감지유닛을 통과하여 계수된 동전들이 수납되도록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계수동전수납부; 및
    상기 원심구동유닛, 동전공급유닛, 동전량감지유닛, 계수감지유닛 및 선택버튼유닛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동전계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공급유닛은,
    상기 원심구동유닛의 구동모터 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샤프트;
    상기 구동샤프트 주면에 설치되어 초기상태에서는 함께 회전하지 않으나 그 구동샤프트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의 증가로 그 구동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연동부재;
    상기 구동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회전연동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구동샤프트와 하우징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회전연동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는 출력허브;
    상기 출력허브의 일단에 결합하는 동전공급디스크; 및
    상기 동전공급디스크의 상면과 밀착되지 않게 구동샤프트와 결합하여 그 동전공급디스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수단
    을 포함하는 동전계수기.
KR2020020021972U 2002-07-23 2002-07-23 동전 계수기 KR200291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972U KR200291388Y1 (ko) 2002-07-23 2002-07-23 동전 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972U KR200291388Y1 (ko) 2002-07-23 2002-07-23 동전 계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910A Division KR100533342B1 (ko) 2002-06-26 2002-06-26 동전 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388Y1 true KR200291388Y1 (ko) 2002-10-12

Family

ID=7308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972U KR200291388Y1 (ko) 2002-07-23 2002-07-23 동전 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3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427B1 (ko) * 2006-10-31 2008-09-04 이재명 다기능 랜턴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427B1 (ko) * 2006-10-31 2008-09-04 이재명 다기능 랜턴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2089B2 (ja) 電磁ブレーキ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力覚付与型回転入力装置
JP2004514224A (ja) ボールの識別装置
US4906881A (en) Nutating motor with automatic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hand wheel with output shaft
KR100533342B1 (ko) 동전 계수기
KR200291388Y1 (ko) 동전 계수기
US6541760B2 (en) Rotation detecting apparatus detecting rotation operation by light transmission to prevent invalid detection
US5538118A (en) Electro-mechanical indexing clutch & method
JP5007055B2 (ja) ツインホッパ型メダル投出装置
EP1544805B1 (en) Coin hopper
JP2021185326A (ja) 電動弁
GB2415692A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for large coins
KR20110009597U (ko) 동전 계수기
KR900001210Y1 (ko) 자판기의 동전 투출 확인 장치
KR100354885B1 (ko) 동전 공급기
KR960704316A (ko) 1.8인치 폼 팩터를 갖춘 제거식 카트리지 디스크 드라이브(removable cartridge disk drive with a 1.8 inch form factor)
EP0011395A1 (en) A rotatably mounted member and an entertainment machine comprising such
JP4542113B2 (ja)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5789819B2 (ja) コインホッパ
CN215136775U (zh) 抽奖转盘机构及游艺机
CN216917477U (zh) 一种用于自动焊接系统送丝检测装置
JP4181646B2 (ja) パチンコ玉放出装置
KR20000048401A (ko) 적어도 하나의 침을 갖는, 특히 시계용 표시장치
JPH0465463B2 (ko)
JP4042130B2 (ja) メダル類のホッパー装置
JP2007259608A (ja) ギアードモータおよびギアードモータ用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1

Year of fee payment: 4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