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976Y1 -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976Y1
KR200290976Y1 KR2020020004400U KR20020004400U KR200290976Y1 KR 200290976 Y1 KR200290976 Y1 KR 200290976Y1 KR 2020020004400 U KR2020020004400 U KR 2020020004400U KR 20020004400 U KR20020004400 U KR 20020004400U KR 200290976 Y1 KR200290976 Y1 KR 200290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pilot
pad
solenoid valve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용
Original Assignee
대덕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덕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덕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4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9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976Y1/ko

Links

Landscapes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에 유입구(22)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출구(24)가 형성된 밸브바디(2)와; 저면에 패드(42)가 부착되고 상부 내측벽에 오링(46)이 설치되며 외측벽에 소정의 바이패스 홀(44)이 형성된 2차 파이롯트(4)와; 외주연에 홀(62)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유출통로(66)가 형성된 바이패스 블럭(6)과; 하부에 패드(82)가 설치되고 중심부에 벤트홀(16)이 형성된 1차 파이롯트(8)와; 벤트홀(16)을 개폐시키는 패드(102)가 저면에 설치되고 상부에 소정의 스프링(104)이 탄지된 플런져(10)와; 플런져(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코아(32)와 코일부(30)로 구성된 것으로, 구조를 단순화하고 크기를 소형화하여 제품단가를 낮추고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밸브의 개폐시 발생되는 냉매 유량 변화를 이용하여 콤프레셔의 냉매 유량 공급을 가변화하여 공기조화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 { By-pass type solenoid valve }
본 고안은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시 솔레노이드 밸브 내에서 소량의 냉매가 통과되게 하여 콤프레샤의 압력을 감소시켜 주어 냉매의 과다 공급을 막아주고, 콤프레샤의 냉매 유량울 가변화하여 최적의 냉동 공조 유니트를 유지할 수 있게 한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공조 유니트에는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되는 데 종래의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A")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바이패스 유출구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유입구(22")가 타측에는 유출구(24")가 형성되며, 외부에 바이패스관(50")이 설치된 밸브바디(2")와; 저면에 패드(42")가 부착되고 일측벽에 소정의 바이패스 홀(44")이 형성된 2차 파이롯트(4")와; 플런져(10") 하부에 설치되어 바이패스 유출구(44")을 개폐하도록 한 1차 파이롯트(8")와; 상부에 소정의 스프링(104")이 탄지되고 상기 1차 파이롯트(8")의 상부에 설치되는 플런져(10")와; 플런져(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코아(32")와 코일부(30")로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원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솔레노이드 밸브(A")가 닫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유입측으로 들어온 유체가 2차 파이롯트(4")에 형성된 바이패스 홀(44")을 통해 상부로 올라가면 입구측의 압력과 동등한 압력이 형성되어 상기 2차 파이롯트(4")를 하부로 가압하므로 2차 파이롯트 패드(42")가 유출구(24")를 막아 솔레노이드 밸브(A")가 닫혀있는 상태가 된다.
도 5b는 솔레노이드 밸브(A")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전원이 가해지면 코어(32")가 자화되어 플런져(10")를 당겨 상승하면서 1차 파이롯트(8")가 동반 상승된다.
상기 1차 파이롯트(8")가 상승하면서 그 하부의 바이패스 유출구(52")가 개방되면 상기 2차 파이롯트(4") 상부에 차있던 유체가 상기 바이패스 유출구(52")를 통해 바이패스관(50")을 타고 유출된다.
따라서 2차 파이롯트(4")의 하부 냉매가스 압력이 상부 유체 압력보다 고압이 되어 상기 2차 파이롯트(4")를 밀어올려 유출구(24")가 개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밸브 전체의 크기가 커지므로 제품단가가 비싸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설치작업에 곤란을 겪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본체내에서 바이패스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크기를 소형화하여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종래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밸브바디 4 : 2차 파이롯트
6 : 바이패스 블럭 8 : 1차 파이롯트
22 : 유입구 24 : 유출구
42 : 2차 파이롯트 패드 44 : 2차 파이롯트 바이패스 홀
62 : 바이패스 블럭 홀 10 : 플런져
12 : 밸브커버 14 : 파이롯트 커버
30 : 코일부 32 : 코어
104 : 스프링 102 : 플런져 패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A)는 일측에 유입구(22)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출구(24)가 형성된 밸브바디(2)와; 저면에 패드(42)가 부착되고 상부 내측벽에 오링(46)이 설치되며 외측벽에 소정의 바이패스 홀(44)이 형성된 2차 파이롯트(4)와; 외주연에 홀(62)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유출통로(66)가 형성된 바이패스 블럭(6)과; 하부에 패드(82)가 설치되고 중심부에 벤트홀(16)이 형성된 1차 파이롯트(8)와; 벤트홀(16)을 개폐시키는 패드(102)가 저면에 설치되고 상부에 소정의 스프링(104)이 탄지된 플런져(10)와; 플런져(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코아(32)와 코일부(30)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하부 내측에 1차파이롯트(8)와 플런져(10) 및 스프링(104)과 코일부(30), 코아(32)가 결합된 파이롯트커버(14)를 밸브커버(12)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시켜 나사결합시키고, 밸브커버(12)의 하부 개구부에는 바이패스블럭(6)을 나사결합시켜 밸브커버부재(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를 조립한다.한편 밸브바디(2)의 내부에는 저면에 패드(42)가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과 내주연에 오링(46)이 부착된 2차 파이롯트(4)를 삽입시킨 후 상기 밸브커버부재를 상기 밸브바디(2)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A)의 조립이 완료되도록 한다.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에 따른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원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솔레노이드 밸브(A)가 닫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유입측으로들어온 유체가 2차 파이롯트(4)에 설치된 바이패스 홀(44)을 통해 상부로 올라가서 1차 파이롯트(8)의 상부까지 올라가면 입구측의 압력과 동등한 압력이 형성되어 1차 파이롯트(8)와 2차 파이롯트(4)를 하부로 가압하므로 1차 파이롯트 패드(82)와 2차 파이롯트 패드(42)가 유출구(24)를 막아 솔레노이드 밸브(A)가 닫혀있는 상태가 된다.
도 2b는 솔레노이드 밸브(A)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전원이 가해지면 코어(32)가 자화되어 플런져(10)를 당겨 플런져 패드(102)가 상승하면서 1차 파이롯트(8)의 중앙에 형성된 벤트홀(16)을 열어주게 되면 1차 파이롯트(8) 상부의 유체가 빠져나가면서 압력이 저하됨과 동시에 1차 파이롯트(8) 하측의 유체 압력이 높아져 1차 파이롯트(8)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므로 1차 파이롯트 패드(82)가 상승하여 상부유출구(18)가 열리게 된다.
이때 바이패스 블럭(6)의 홀(62)을 통해 올라온 유체도 상부유출구(18)를 통해 유출되면서 압력이 저하되므로 유입구(22)에서 들어온 유체의 압력에 의해 2차 파이롯트(4)를 밀어올려 2차 파이롯트 패드(42)가 막고 있던 밸브 바디(2)의 유출구(24)를 개방시켜 주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일측에 유입구(22')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출구(24')가 형성된 밸브바디(2')와; 저면에 패드(42')가 부착되고 상부 내측벽에 오링(46')이 설치되며 외측벽에소정의 바이패스 홀(44')이 형성된 2차 파이롯트(4')와; 외주연에 홀(62')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유출통로(66')가 형성된 바이패스 블럭(6')과; 하부에 패드(82')가 설치되고 중심부에 벤트홀(16')이 형성된 1차 파이롯트(8)와; 벤트홀(16')을 개폐시키는 패드(102')가 저면에 설치되고 상부에 소정의 스프링(104')이 탄지된 플런져(10')와; 플런져(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코아(32')와 코일부(30')로 구성된 상기 본 고안의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A)에 있어서,
상단에 상부유출구(18')가 형성되고, 상부 측벽에 복수의 관통공(64')이 형성된 바이패스 블럭(6')과; 단면이 대략 'T'형상의 통로(107')가 내부에 형성된 개폐구(108')를 갖는 일정 길이의 플런져(10')와; 오링(46)이 제거된 2차 파이롯트(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다른 실시예(A')의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내측에 플런져(10')가 삽입되고 상부에 코일부(30')가 결합된 파이롯트커버(14')를 밸브커버(12')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시키고, 중심부에 유출통로(66')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바이패스 홀(44')이 형성된 바이패스블럭(6')을 상기 밸브커버(12')의 하부측 개구부에 나사결합시켜 밸브커버부재(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를 조립한다.
한편 밸브바디(2')의 내부에는 저면에 패드(42')가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오링이 부착되고, 상단 내주연에 틈새(46')가 형성된 2차 파이롯트(4')를 삽입시킨 후 상기 밸브커버부재를 상기 밸브바디(2')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A')의 조립이 완료되도록 한다.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는 2차 파이롯트 바이패스 홀(44')을 통해 유입된 냉매 가스 압력이 바이패스 블럭(6')에 형성된 관통공(64')을 통해 빠져나가 플런져(10')의 하부 개폐구(108') 내에 형성된 통로(107')를 통해 하부로 유출되므로, 2차 파이롯트(4') 상부압력이 하부압력보다 저하되어 2차 파이롯트(4')가 상승하면서 유출구(24')가 개방된다.
이와 반대로 전원이 on상태가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져(10')가 상승하면서 개폐구(108')의 하단이 바이패스 블럭(6')에 형성된 관통공(64')을 막아 2차 파이롯트(4') 상부측에 압력이 형성되면서 2차 파이롯트(4')가 하부로 내려오면서 패드(42')가 유출구(24')를 막아 폐쇄시킨다.
이때 2차 파이롯트(4')에 설치되었던 종래 오링(46)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2차 파이롯트(4')와 바이패스 블럭(6') 간의 미세한 틈새(46')로 소량의 냉매 가스가 유출되므로 콤프레셔의 압력을 서서히 감소시켜 주어 콤프레셔에 무리를 주지 않고, 냉매의 과다 공급을 방지할 수 있어 최적의 냉동 공조 유니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본체내에서 바이패스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비해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크기를 소형화하여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일측에 유입구(22)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출구(24)가 형성된 밸브바디(2)와; 저면에 패드(42)가 부착되고 상부 내측벽에 오링(46)이 설치되며 외측벽에 소정의 바이패스 홀(44)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바디(2) 내부에 삽입되는 2차 파이롯트(4)와;
    외주연에 홀(62)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유출통로(66)가 형성되어 밸브커버(12)의 하부 개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2차 파이롯트(4)의 내측 중심부에 끼워지는 바이패스 블럭(6)과;
    상기 바이패스 블럭(6)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패드(82)가 설치되고 중심부에 벤트홀(16)이 형성된 1차 파이롯트(8)와;
    상기 벤트홀(16)을 개폐시키는 패드(102)가 저면에 설치되고 상부에 소정의 스프링(104)이 탄지된 플런져(10)와;
    상기 플런져(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코아(32)와 코일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단에 상부유출구(18')가 형성되고, 상부 측벽에 복수의 관통공(64')이 형성되어 밸브커버(12')의 하부 내측에 나사결합되며 2차 파이롯트(4')의 중심부에 끼워지는 바이패스 블럭(6')과;
    바이패스블럭의 유출통로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단면이 대략 'T'형상의 통로(107')가 내부에 형성된 개폐구(108')가 하단에 부착되어 밸브커버(12')의 내측에 설치되는 플런져(10')와;
    상단 내주연에 소정의 틈새(46')가 형성된 2차 파이롯트(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20020004400U 2002-02-14 2002-02-14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0290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400U KR200290976Y1 (ko) 2002-02-14 2002-02-14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400U KR200290976Y1 (ko) 2002-02-14 2002-02-14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976Y1 true KR200290976Y1 (ko) 2002-10-04

Family

ID=7311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400U KR200290976Y1 (ko) 2002-02-14 2002-02-14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9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64Y1 (ko) 2008-02-01 2011-01-26 대덕정공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64Y1 (ko) 2008-02-01 2011-01-26 대덕정공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281B2 (en) Fluid flow regulation
CN101520107A (zh) 电磁阀
KR100903413B1 (ko) 압력 평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0290976Y1 (ko)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
JP4732477B2 (ja) 水撃緩和型水栓装置
JP2002195428A (ja) ダイヤフラム型電磁弁
US20100229971A1 (en) Back-pressure responsive valve
JP2003222444A (ja) 双方向型電磁弁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8121875A (ja) 真空破壊弁
JPH03282078A (ja) 電動3方弁
JP2001193108A (ja) 空気弁付き消火栓
KR100473850B1 (ko) 정수기용 감압 밸브 어셈블리
JPH0418015Y2 (ko)
JP4292060B2 (ja) 常閉形フロート式オートドレン
KR200271249Y1 (ko) 솔레노이드 밸브
TWM573400U (zh) The electromagnetic valve
JP2835680B2 (ja) 排気弁
JP3383945B2 (ja) フィルタレギュレータ用オートドレン弁
JP2835684B2 (ja) 排気弁
JP2002156095A (ja) ドレン排出装置
KR200368772Y1 (ko) 리프트 체크밸브
JPS5810057Y2 (ja) パイロット弁付電磁弁
KR200266157Y1 (ko) 자동 폐지형 에어벤트 밸브
CN204852539U (zh) 一种电磁阀静态手拉装置
JP2841576B2 (ja) 自動開閉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1128

Effective date: 200502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