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861Y1 - 계란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계란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861Y1
KR200290861Y1 KR2020020012356U KR20020012356U KR200290861Y1 KR 200290861 Y1 KR200290861 Y1 KR 200290861Y1 KR 2020020012356 U KR2020020012356 U KR 2020020012356U KR 20020012356 U KR20020012356 U KR 20020012356U KR 200290861 Y1 KR200290861 Y1 KR 200290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nd portion
bottom plate
egg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각
Original Assignee
안영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각 filed Critical 안영각
Priority to KR2020020012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861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란재치판이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호 대응되는 양측 연부로부터 기립되어 절곡된 한 쌍의 측판과, 상기 각 측판으로부터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 절곡되는 한 쌍의 덮개판을 갖는 계란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각 측판에 이웃하는 양 측부에 기립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을 가지며, 상기 각 지지판은, 그 단부에 바닥판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상기 덮개판의 상기 바닥판을 향하는 면에 접하는 고정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부에는 상기 덮개판에 접하는 일측에 상기 고정단부의 판면을 관통하여 이탈방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이탈방지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탈방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지지판이 덮개판에 안정되게 결합됨으로써, 계란재치판이 계란포장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계란을 안전하게 적치 및 운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계란포장용기 {PACKING BOX PUTTING EGGS}
본 고안은, 계란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재치판이계란포장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계란을 안전하게 적치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계란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란포장용기는, 유통과정에 따라 그 형태가 상이하다. 먼저, 양계장에서 도매상으로 계란이 유통되는 과정에서의 계란포장용기는, 계란이 수용되는 컵형태의 수용부가 격자상으로 배열된 계란판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계란판은 재활용되지 아니하고 폐기된다. 이는 청결을 유지해야 하는 양계장의 특성상 계란판을 재활용하기 위해 반입시 방역처리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때 소요되는 비용이 계란판의 생산비용보다 비싸기 때문이다.
도매상에서는 계란판에 적재된 상태로 공급된 계란을 재포장하여 소매상으로 공급하며, 이 때 사용되는 계란포장용기는 소비자가 소량으로 구매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계란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팩 형태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이러한 합성수지재의 계란포장용기는, 재질적인 특성상 계란을 자세히 관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통풍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계란의 신선도 유지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71773호(출원번호 제20-1999-19078호)에는 계란재치판과 골판지를 이용한 계란포장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에서는 골판지를 다수 절곡한 계란포장용구내에 계란재치판을 수용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계란포장용구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계란포장용구를 적치하거나 운반할 경우 개방된 양측으로 계란재치판이 이탈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계란재치판이 바닥에 떨어져 계란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계란재치판이 계란포장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계란을 안전하게 적치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계란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포장용기의 부분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계란포장용기의 결합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란포장용기 3 : 바닥판
5a : 제1측판 5b : 제2측판
7a : 제1덮개판 7b : 제2덮개판
9a : 제1유동방지날개 9b : 제2유동방지날개
11a : 결합편 11b : 결합공
14 : 가이드홈 15 : 이탈방지편
20a : 제1지지판 20b : 제2지지판
21 : 고정단부 22a, 22b, 22c, 22d : 단부부분
23 : 삽입홈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계란재치판이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호 대응되는 양측 연부로부터 기립되어 절곡된 한 쌍의 측판과, 상기 각 측판으로부터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 절곡되는 한 쌍의 덮개판을 갖는 계란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각 측판에 이웃하는 양 측부에 기립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을 가지며, 상기 각 지지판은, 그 단부에 바닥판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상기 덮개판의 상기 바닥판을 향하는 면에 접하는 고정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부에는 상기 덮개판에 접하는 일측에 상기 고정단부의 판면을 관통하여 이탈방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이탈방지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탈방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포장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덮개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판을 향해 하향 절곡되어 상호 접하는 한 쌍의 유동방지날개를 가지며; 상기 각 고정단부에는, 상기 덮개판의 유동방지날개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고정단부는 삽입홈에 의해 분할된 한 쌍의 단부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고정단부중 일측의 단부부분에는 상기 이탈방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이탈방지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탈방지편이 형성됨으로써, 지지판과 덮개판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고정단부에는 각 단부부분 중 상호 대각선으로 배치된 한 쌍의 단부부분에 상기 이탈방지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고정단부에는 각 단부부분에 상기 이탈방지공을 형성하거나, 상기 각 고정단부에는 각 단부부분중 상호 대응되는 단부부분에 상기 이탈방지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계란포장용기는, 계란이 재치되도록 다수의 수용홈이 복수의 열을 이루는 계란재치판이 수용되며, 골판지, 아트지, 하드보드 등의 판상의 제지로 형성된다.
계란포장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배치된 바닥판(3)과, 바닥판(3)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및 제2측판(5a,5b)과, 각 측판(5a,5b)으로부터 연장되어 계란포장용기(1)의 덮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덮개판(7a,7b)과, 각 덮개판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제1 및 제2유동방지날개(9a,9b)를 갖는다.
바닥판(3)의 양 연부로부터 절곡된 제1 및 제2측판(5a,5b)은, 바닥판(3)과 직교하도록 기립되며, 제1 및 제2측판(5a,5b)에는 기립방향의 가로로 복수의 통기공(6)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통기공(6)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어 계란의 신선함을 유지하는 한편, 소비자가 계란포장용기(1)를 개방하지 아니하고도계란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측판(5a,5b)으로부터 바닥판(3)에 평행하게 절곡된 제1 및 제2덮개판(7a,7b)에는, 제1 및 제2덮개판(7a,7b)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바닥판(3)을 향해 절곡된 한 쌍의 가이드부(8)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부(8)는 계란포장용기(1)내에 수용된 계란재치판에 열을 지어 안착된 계란이 이웃하는 열의 계란과 접촉하지 않도록 칸막이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덮개판(7a,7b)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유동방지날개(9a,9b)는 각 가이드부(8)와 마찬가지로 바닥판(3)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유동방지날개(9a,9b)는 상호 접하게 된다. 각 덮개판(7a,7b)과 각 유동방지날개(9a,9b) 사이에 형성된 절곡선(10)의 양단에는 절곡선(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절개된 가이드홈(14)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홈(14)에는 후술할 지지판(20a,20b)의 고정단부에 형성된 삽입홈(23)이 결합된다. 제1 및 제2유동방지날개(9a,9b)의 단부에는 계란 배치영역에 대응되어 호상의 절취홈(13)이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유동방지날개(9a)에는 거의 부채꼴 형상으로 절취된 결합편(11a)이 유동방지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제2유동방지날개(9b)가 연결된 제2덮개판(7b)에는 제1유동방지날개(9a)의 결합편(11a)이 결합되는 결합공(11b)이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계란포장용기(1)의 바닥판(3)에는 거의 '??'자 형상으로 절개된 제1 및 제2지지판(20a,20b)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지지판(20a,20b)은 바닥판(3)의 연부 중 각 측판(5a,5b)에 접하지 않는 양 연부에 각 지지판(20a,20b)의 접는선이 배치되며, 이에, 바닥판(3)으로부터 기립되어 상호 대항된다.
각 지지판(20a,20b)은, 그 자유단부에 바닥판(3)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제1 및 제2덮개판(7a,7b)의 내측면에 접하는 고정단부(21)를 갖는다. 각 지지판(20a,20b)의 고정단부(21)에는 각 덮개판(7a,7b)과 각 유동방지날개(9a,9b)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홈(14)과 결합되는 삽입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각 고정단부(21)는 삽입홈(23)에 의해 분할되어 한 쌍의 단부부분(22a,22b)으로 형성되며, 각 단부부분(22a,22b)중 일측의 단부부분(22a)은 제1덮개판(7a)이 접하고, 타측의 단부부분(22b)은 제2덮개판(7b)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단부(21)에는 각 단부부분(22a,22b)중 적어도 일측의 단부부분(22a)에 판면을 관통하여 부채꼴 형상의 이탈방지공(25)이 형성되어 있고, 제1덮개판(7a)에는 이탈방지공(25)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탈방지편(15)이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편(15)은 하향 절곡되어 고정단부(21)의 이탈방지공(25)에 수용되어 각 덮개판(7a,7b)과 각 지지판(20a,20b)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탈방지공(25)과 이탈방지편(15)은 다양한 배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20a)의 고정단부(21)에는 제1덮개판(7a)에 접하는 단부부분(22a)에 이탈방지공(25)을 형성하고, 제2지지판(20b)의 고정단부(21)에는 제2덮개판(7b)에 접하는 단부부분에 이탈방지공(25)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각 덮개판(7a,7b) 영역에 이탈방지편(15)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계란포장용기(1)를 이용하여 계란을 포장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계란포장용기(1)의 바닥판(3)에 형성된 지지판(20a,20b)을 바닥판(3)으로부터 절곡시켜 기립시킨다. 그리고, 바닥판(3)에 계란재치판을 안착시키고, 계란포장용기(1)의 각 측판(5a,5b)과 각 덮개판(7a,7b)을 차례로 절곡시켜 계란재치판을 감싸도록 한다. 이 때, 각 덮개판(7a,7b)의 각 가이드부(8)와 각 유동방지날개(9a,9b)를 바닥판(3)을 향하도록 절곡시킨다. 지지판(20a,20b)의 고정단부(21)에 형성된 삽입홈(23) 사이로 각 덮개판(7a,7b)과 각 유동방지날개(9a,9b)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홈(14)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각 덮개판(7a,7b)에 형성된 이탈방지편(15)을 각 지지판(20a,20b)의 고정단부(21)에 형성된 이탈방지공(25)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각 지지판(20a,20b)과 각 덮개판(7a,7b)에 각각 이탈방지공(25)과 이탈방지편(15)을 형성함으로써, 지지판(20a,20b)이 가이드홈(1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계란포장용기(1)로부터 계란재치판이 이탈되는 일 없이 계란재치판을 안전하게 계란포장용기(1)에 수용시킬 수 있으므로, 계란포장용기(1)의 적치나 운반작업이 간편해진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이탈방지공(25)을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고정단부(21)의 단부부분에 형성하였으나, 제1 및 제2지지판(20a,20b)의 고정단부(21)의 각 단부부분(22a,22b,22c,22d)에 모두 이탈방지공(25)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각 덮개판(7a,7b) 영역에 이탈방지편(15)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이탈방지공(25)과 이탈방지편(15)은 각각 4개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지지판(20a,20b)의 고정단부(21)중 제1덮개판(7a)과 제2덮개판(7a)중 일측의 덮개판에 접하는 단부부분에만 이탈방지공(25)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단부(21)의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부분, 22a,22d로 표시된 단부부분에 각각 이탈방지공(25)을 형성하고, 제1덮개판(7a)에 한 쌍의 이탈방지편(15)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지지판이 덮개판에 안정되게 결합됨으로써, 계란재치판이 계란포장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란을 안전하게 적치 및 운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계란재치판이 안착되는 바닥판(3)과, 상기 바닥판(3)의 상호 대응되는 양측 연부로부터 기립되어 절곡된 한 쌍의 측판(5a,5b)과, 상기 각 측판(5a,5b)으로부터 상기 바닥판(3)과 평행하게 절곡되는 한 쌍의 덮개판(7a,7b)을 갖는 계란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으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각 측판(5a,5b)에 이웃하는 양 측부에 기립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20a,20b)을 가지며, 상기 각 지지판(20a,20b)은, 그 단부에 바닥판(3)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상기 덮개판(7a,7b)의 상기 바닥판(3)을 향하는 면에 접하는 고정단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부(21)에는 상기 덮개판(7a,7b)에 접하는 일측에 상기 고정단부(21)의 판면을 관통하여 이탈방지공(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7a,7b)에는 상기 이탈방지공(25)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탈방지편(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덮개판(7a,7b)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판(3)을 향해 하향 절곡되어 상호 접하는 한 쌍의 유동방지날개(9a,9b)를 가지며;
    상기 각 고정단부(21)에는, 상기 덮개판(7a,7b)의 유동방지날개(9a,9b)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3)이 형성되며, 상기 각 고정단부(21)는 상기 삽입홈(23)에 의해 분할된 한 쌍의 단부부분(22a,22b)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포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단부(21)중 일측의 단부부분(22a 또는 22b)에는 상기 이탈방지공(25)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판(7a,7b)에는 상기 이탈방지공(25)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탈방지편(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포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단부(21)에는 각 단부부분 중 상호 대각선으로 배치된 한 쌍의 단부부분에 상기 이탈방지공(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포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단부(21)에는 각 단부부분에 상기 이탈방지공(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포장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단부(21)에는 각 단부부분중 상호 대응되는 단부부분에 상기 이탈방지공(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포장용기.
KR2020020012356U 2002-04-23 2002-04-23 계란포장용기 KR200290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356U KR200290861Y1 (ko) 2002-04-23 2002-04-23 계란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356U KR200290861Y1 (ko) 2002-04-23 2002-04-23 계란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861Y1 true KR200290861Y1 (ko) 2002-10-04

Family

ID=7308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356U KR200290861Y1 (ko) 2002-04-23 2002-04-23 계란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8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5510B2 (en) Ventilated container apparatus
US9027780B2 (en) Egg and other product packaging
US8672132B2 (en) Packing tray with built-in drain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3187833A (ja) 輸送及び貯蔵の間に果物を成熟させるための積重可能コンテナ
CN112996727B (zh) 可转换托盘
US20190329968A1 (en) Egg carton with lugless denest-feature and related methods
KR200290861Y1 (ko) 계란포장용기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EP1107923A1 (en) Packaging for cut flowers
KR200296053Y1 (ko) 계란포장박스
RU2684499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штучных продуктов на подложке
JP4008271B2 (ja) 卵トレイ
JP3553905B2 (ja) 品物の鮮度保持可能な二重梱包装置
KR20200143978A (ko) 포장 상자 어셈블리
KR200497542Y1 (ko) 과일용 난좌 및 이를 포함하는 과일 포장용 트레이
PT2371727E (pt) Caixa
KR200416610Y1 (ko) 구조개선된 과일 포장용 상자
KR102448055B1 (ko)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
JP4169419B2 (ja) 球状青果物の仕切材
JP3129568U (ja) 包装体
JP3129189U (ja) 梱包トレー
KR20220035074A (ko) 공중에 떠있는 계란포장박스
US2893619A (en) Egg cartons
JP3102405U (ja) 荷崩れ及び衝撃防止ダンボ−ル容器
RU178006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яи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