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055B1 -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 - Google Patents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055B1
KR102448055B1 KR1020200027239A KR20200027239A KR102448055B1 KR 102448055 B1 KR102448055 B1 KR 102448055B1 KR 1020200027239 A KR1020200027239 A KR 1020200027239A KR 20200027239 A KR20200027239 A KR 20200027239A KR 102448055 B1 KR102448055 B1 KR 102448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s
egg
packaging box
square
eg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100A (ko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씨디유 파트너스 주식회사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디유 파트너스 주식회사, 이종석 filed Critical 씨디유 파트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05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65D85/321Trays made of pressed carton and provided with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65D5/5007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formed by inwardly protruding of folded part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는 서로 연결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계란이 수용되는 사각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판들; 상기 측판들 중 어느 하나의 측판의 폭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측판과 조립되는 연장판; 상기 측판들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사각수용공간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 덮개판; 상기 측판들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사각수용공간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 덮개판; 및 상기 측판들이 절곡되어 모서리를 형성하는 각각의 경계선에 형성되고, 상기 경계선에서 각각의 측판을 침범하는 형태의 절개방식으로 형성되어 바닥과 측판들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돌출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THE EGGS PACKAGING BOX NOT DIRECTLY TOUCHING THE FLOOR}
본 발명은 계란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계란을 낱개씩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계란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과 관련된 계란포장박스는 (특허문헌 1)(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양계장에서 도매상으로 계란이 유통되는 과정에서의 계란포장박스는 30구 정도의 계란이 수용되는 컵 형태의 수용공간이 격자로 배열된 형태로 구성되는데, 통상의 이를 계란판으로 지칭하고 있다.
또한, 소매상에서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계란포장박스는 10구 정도의 계란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격자로 배열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가 구비된 박스형태로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하여 30구 또는 10구 정도의 계란을 구매하여 보관하는데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2구나 4구 정도의 계란을 포장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계란포장박스는 계란을 길이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사각통상으로 형성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계란포장박스는 계란을 둘러싼 두 쌍의 측판과, 계란이 수용되는 계란수용공간을 개폐하는 한 쌍의 덮개판, 그리고 계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안착날개 및 한 쌍의 유동방지날개를 갖는다.
또한, 계란의 통풍을 위한 통풍공이 측판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계란포장박스는 계란을 안전하게 운반 및 적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란포장박스를 고급화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계란포장박스는 바닥에 세우거나 눕혔을 때 바닥과 밀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계란포장박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계란에 바닥온도가 쉽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계란이 쉽게 상하거나 부패하게 되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계란포장박스는 덮개판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계란을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으며, 다만, 통풍을 위한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를 통해 소비자가 계란의 상태를 확인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605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에 놓았을 때 계란을 둘러싼 측판과 바닥이 직접 닿지 않도록 구성하여 바닥온도의 전달로 인한 계란의 손상이나 부패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란포장박스를 개방하지 않고도 소비자가 계란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는 서로 연결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계란이 수용되는 사각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판들;
상기 측판들 중 어느 하나의 측판의 폭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측판과 조립되는 연장판;
상기 측판들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사각수용공간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 덮개판;
상기 측판들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사각수용공간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 덮개판; 및
상기 측판들이 절곡되어 모서리를 형성하는 각각의 경계선에 형성되고, 상기 경계선에서 각각의 측판을 침범하는 형태의 절개방식으로 형성되어 바닥과 측판들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돌출편;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계란포장박스는 친환경소재인 판지(Paper board)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사각수용공간은 길이방향을 따라 계란을 2구 내지 6구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편은 경계선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거나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측판들 중에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측판에 걸쳐 형성되며, 각각의 계란을 외부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측판을 폭 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계란노출구멍;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계란노출구멍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두 개의 측판에 사선과 원호(Arc)의 조합으로 구성된 접는선을 통해 사각수용공간 측으로 접히는 유동방지리브;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측판들은 사각수용공간에서 계란을 인출시 상기 사각수용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측판들을 개폐하는 사각포장커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각포장커버는 바닥과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모서리에 보조돌출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계란의 보관을 위하여 바닥에 내려놓았을 때 계란을 둘러싼 어느 하나의 측판과 바닥이 직접 닿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바닥온도의 전달을 차단하여 보관 과정에서 계란이 상하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계란의 장기간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동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소재인 판지를 통해 구성됨으로써,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용이한 계란포장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계란을 눕혀서 보관할 수 있는데, 계란을 눕혀서 보관하게 되면, 영양상태의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 따라서 계란보관과 관련된 소비자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계란포장박스를 개방하지 않고도 소비자가 외부에서 계란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함으로써, 계란구매와 관련된 편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를 펼쳐서 나타내 보인 전개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를 조립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의 내부에 계란을 수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를 바닥에 놓았을 때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와 사각포장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와 사각포장커버를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를 펼쳐서 나타내 보인 전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의 내부에 계란을 수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와 사각포장커버를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를 펼쳐서 나타내 보인 전개도로서, 서로 연결된 측판들(10a)(10b)(10c)(10d)의 우측 단부에 연장판(11)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들(10a)(10b)(10c)(10d)의 중심부에 두 개의 계란노출구멍(40)과 유동방지리브(41)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들(10a)(10b)(10c)(10d)의 하부에 제1 덮개판(20)과 제1 보조덮개판(21)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들(10a)(10b)(10c)(10d)의 상부에 제2 덮개판(30)과 제2 보조덮개판(31)이 형성된 계란포장박스(1)의 구성을 전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를 조립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측판(10b)(10c)에 걸쳐 두 개의 계란노출구멍(40)과 유동방지리브(41)가 형성되고, 측판들(10a)(10b)(10c)(10d)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덮개판(30)과 제2 보조덮개판(31)을 개방하여 계란포장박스(1)의 내부에 사각수용공간(2)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의 내부에 계란을 수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측판(10b)(10c)에 사선방향으로 절취선(10g)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측판(10b)(10c)에 걸쳐 형성된 계란노출구멍(40)을 통해 두 개의 계란이 외부노출되도록 구성된 계란포장박스(1)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를 바닥에 놓았을 때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로서, 바닥에 계란포장박스(1)를 눕혔을 때 돌출편(10f)을 통해 측판들(10a)(10b)(10c)(10d)이 바닥에 닿지 않는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와 사각포장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계란포장박스(1)의 상부에 조립되는 사각포장커버(50)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와 사각포장커버를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보조돌출편(51)이 각 모서리에 형성된 사각포장커버(50)를 계란포장박스(1)에 결합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 내지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이하 '계란포장박스'라 한다.)는 하나 이상의 계란이 수용되는 사각수용공간(2)이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 구성된 측판들(10a)(10b)(10c)(10d)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판들(10a)(10b)(10c)(10d)은 설명 및 이해의 용이함을 위하여 이하, 제1,2,3,4 측판(10a)(10b)(10c)(10d)으로 지칭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 제1,2,3,4 측판(10a)(10b)(10c)(10d)은 합성수지(Pet)를 사용하지 않고, 이를 대신하여 친환경소재인 골판지, 마분지, 재활용지 등으로 형성되며,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4 측판(10d)의 폭 방향 단부에 형성된 연장판(11)을 통해 사각형으로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제1,2,3,4 측판(10a)(10b)(10c)(10d)에 의해 계란포장박스(1)의 내부에는 사각수용공간(2)이 형성되는데, 상기 사각수용공간(2)에 계란에 진입시켜 보관하게 된다.
즉 달리 말해, 계란을 둘러싸고 제1,2,3,4 측판(10a)(10b)(10c)(10d)이 배치되며, 상기 제1,2,3,4 측판(10a)(10b)(10c)(10d)의 길이방향 단부, 도면상 하단에 형성된 제1 덮개판(20)을 통해 사각수용공간(2)의 하측을 덮게 되고, 제1,2,3,4 측판(10a)(10b)(10c)(10d)의 길이방향 단부, 도면상 상단에 형성된 제2 덮개판(30)을 통해 상기 사각수용공간(2)의 상측을 덮개된다.
여기서 상기 사각수용공간(2)은 하나 이상의 계란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상 2구의 계란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막대(스틱)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상기 제1 덮개판(20)은 제2,4 측판(10b)(10d)의 하단에 각기 형성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사각수용공간(2)의 하측을 덮게 된다. 그리고 이와 함께 조립되어 상기 사각수용공간(2)의 하측을 개폐하는 제1 보조덮개판(21)이 제1,3 측판(10a)(10c)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덮개판(30)은 제2 측판(10b)의 상단에 형성되어 사각수용공간(2)의 상측을 덮게 되는데, 끝단에 형성된 조립부(30a)를 상기 사각수용공간(2)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상기 사각수용공간(2)의 상측을 개폐하는 제2 보조덮개판(31)이 제1,3 측판(10a)(10c)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덮개판(31)은 제2 덮개판(30)보다 먼저 사각수용공간(2)을 덮게 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삽입부(31b) 및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절개부(31a)를 통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사각수용공간(2)에 수용되는 계란을 제1,2,3,4 측판(10a)(10b)(10c)(10d)이 둘러싸고, 상측과 하측을 각각 제1,2 덮개판(20)(30)을 통해 덮게 되어 상기 사각수용공간(2)에서 계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3,4 측판(10a)(10b)(10c)(10d)은 절곡을 통해 사각수용공간(2)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제1,2,3,4 측판(10a)(10b)(10c)(10d)이 절곡되어 계란포장박스(1)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각각의 경계선(10e)에 복수의 돌출편(10f)이 형성되어 상기 계란포장박스(1)를 바닥에 눕혔을 때 바닥과 제1,2,3,4 측판(10a)(10b)(10c)(10d)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1)는 계란을 눕혀서 보관할 수도 있는데(도 5 참조), 계란을 눕혀서 보관하게 되면, 영양상태의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 따라서 계란보관과 관련된 소비자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편(10f)은 제1,2,3,4 측판(10a)(10b)(10c)(10d) 사이에 형성되는 각각의 경계선(10e)에 형성되되, 상기 경계선(10e)에서 인접하는 제1,2,3,4 측판(10a)(10b)(10c)(10d)을 침범하는 형태의 절개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돌출편(10f)은 다각형이나 반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면상 사다리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으나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그 형상을 별도 한정하지 않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출편(10f)은 경계선(10e)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상 상기 경계선(10e)을 따라 2개의 돌출편(10f)이 배치된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돌출편(10f)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거나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돌출편(10f)은 계란포장박스(1)를 개폐하는 사각포장커버(50)의 각 모서리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각포장커버(50)의 각 모서리에 보조돌출편(51)을 형성함으로써, 사각포장커버(50)와 바닥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게 된다(도 7 참조).
다만, 상기 보조돌출편(51)의 유무는 선택적 사항으로서, 보조돌출편(51) 없이 사각포장커버(50)가 구성될 수 있음을 사전에 밝혀둔다(도 6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계란포장박스(1)를 바닥에 눕혔을 때 복수의 돌출편(10f)을 통해 바닥과 제1,2,3,4 측판(10a)(10b)(10c)(10d)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온도가 계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 가능함으로써(도 5 참조), 예컨대 보관중인 계란이 쉽게 상하거나 부패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1)는 외부에서 계란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2,3 측판(10b)(10c)에 걸쳐 계란노출구멍(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란노출구멍(40)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유동방지리브(41)를 통해 각각의 계란을 사각수용공간(2)에서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계란노출구멍(40)은 제2,3 측판(10b)(10c)을 폭 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며, 도면상 입술모양으로 절개하여 계란을 외부노출하게 된다. 이러한 계란노출구멍(40)은 계란을 외부노출시킬 목적으로 형성되나 통풍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계란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계란노출구멍(40)의 우측을 날카롭게 형성하고, 이에 절취선(10g)을 연결함으로써, 사각수용공간(2)에서 계란을 인출시 제1,2 덮개판(20)(30)을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사각수용공간(2)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상기 절취선(10g)은 계란노출구멍(40)과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2,3 측판(10b)(10c)에 V자를 이루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4의 10g 참조)
상기 유동방지리브(41)는 계란노출구멍(4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3 측판(10b)(10c)에 사선과 원호(Arc)의 조합으로 구성된 접는선(41a)을 통해 사각수용공간(2) 측으로 접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사각수용공간(2)에 진입한 각각의 계란은 그 하부가 유동방지리브(41)에 안착하게 되고, 이를 상기 유동방지리브(41)가 유동 없이 지지하게 됨으로써, 보관 과정에서 계란의 유동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고, 계란노출구멍(40)을 통해 계란의 상태를 소비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계란의 구매와 관련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를 펼쳐서 나타내 보인 전개도로서, 서로 연결된 측판들(10a)(10b)(10c)(10d)의 우측 단부에 연장판(11)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들(10a)(10b)(10c)(10d)의 중심부에 네 개의 계란노출구멍(40)과 유동방지리브(41)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들(10a)(10b)(10c)(10d)의 하부에 제1 덮개판(20)과 제1 보조덮개판(21)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들(10a)(10b)(10c)(10d)의 상부에 제2 덮개판(30)과 제2 보조덮개판(31)이 형성된 계란포장박스(1)의 구성을 전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의 내부에 계란을 수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서로 연결된 제2,3 측판(10b)(10c)에 사선방향으로 절취선(10g)이 형성되고, 상기 제2,3 측판(10b)(10c)에 걸쳐 형성된 계란노출구멍(40)을 통해 네 개의 계란이 외부노출되도록 구성된 계란포장박스(1)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와 사각포장커버를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보조돌출편(51)이 각 모서리에 형성된 사각포장커버(50)를 계란포장박스(1)에 결합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8 내지 10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란포장박스(1)는 앞선 실시예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 계란포장박스(1)는 도면상 4구의 계란을 보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1,2,3,4 측판(10a)(10b)(10c)(10d)은 앞선 실시예 1의 제1,2,3,4 측판(10a)(10b)(10c)(10d)보다 상대적으로 긴 막대(스틱)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2,3,4 측판(10a)(10b)(10c)(10d)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4구 이상의 계란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계란포장박스(1)의 휘어짐 등을 감안하여 예컨대, 계란의 개수를 2구 내지 6구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3,4 측판(10a)(10b)(10c)(10d)의 길이에 따라 돌출편(10f), 계란노출구멍(40), 유동방지리브(41) 및 절취선(10g)의 개수도 증가시키게 되며, 제1,2,3,4 측판(10a)(10b)(10c)(10d)의 길이에 대응하여 사각포장커버(50)의 길이 역시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2구 내지 6구의 계란을 서로 간의 간격을 유지시킨 상태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바닥과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온도가 계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보관 중인 계란의 상태를 소비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계란포장박스 2: 사각수용공간
10a: 제1 측판 10b: 제2 측판
10c: 제3 측판 10d: 제4 측판
10e: 경계선 10f: 돌출편
10g: 절취선 11: 연장판
20: 제1 덮개판 21: 제1 보조덮개판
30: 제2 덮개판 30a: 조립부
31: 제2 보조덮개판 31a: 절개부
31b: 삽입부 40: 계란노출구멍
41: 유동방지리브 41a: 접는선
50: 사각포장커버 51: 보조돌출편

Claims (7)

  1. 서로 연결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계란이 수용되는 사각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판들;
    상기 측판들 중 어느 하나의 측판의 폭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측판과 조립되는 연장판;
    상기 측판들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사각수용공간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 덮개판;
    상기 측판들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사각수용공간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 덮개판;
    상기 측판들이 절곡되어 모서리를 형성하는 각각의 경계선에 형성되고, 상기 경계선에서 각각의 측판을 침범하는 형태의 절개방식으로 형성되어 바닥과 측판들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돌출편;
    상기 측판들 중에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측판에 걸쳐 형성되며, 각각의 계란을 외부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측판을 폭 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계란노출구멍;
    상기 계란노출구멍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두 개의 측판에 사선과 원호의 조합으로 구성된 접는선을 통해 사각수용공간 측으로 접히는 유동방지리브;
    상기 계란노출구멍을 기준으로 사각수용공간에서 계란을 인출시 상기 사각수용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측판에 형성되는 절취선;
    바닥과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모서리에 보조돌출편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들을 개폐하는 사각포장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방지리브에 의해 상기 사각수용공간에 수용된 계란의 양쪽을 지지함으로써, 계란의 보관 과정에서 유동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계란 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계란노출구멍을 통해 계란의 상태를 소비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계란의 구매력 및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27239A 2020-03-04 2020-03-04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 KR102448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39A KR102448055B1 (ko) 2020-03-04 2020-03-04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39A KR102448055B1 (ko) 2020-03-04 2020-03-04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00A KR20210112100A (ko) 2021-09-14
KR102448055B1 true KR102448055B1 (ko) 2022-09-28

Family

ID=7777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39A KR102448055B1 (ko) 2020-03-04 2020-03-04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0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555Y1 (ko) * 2003-04-07 2003-07-12 황의봉 취급이 용이한 계란 포장용기
JP2007230618A (ja) * 2006-03-01 2007-09-13 Natl Fedelation Of Agricult Coop Assoc 葡萄出荷用トレー
KR101209664B1 (ko) * 2010-10-13 2012-12-10 김기호 냉장유통을 위한 달걀 포장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739U (ko) * 1988-07-20 1990-02-02
KR200296053Y1 (ko) 2002-06-17 2002-11-22 이은경 계란포장박스
KR20130139144A (ko) * 2012-06-12 2013-12-20 유나이터스(주) 계란포장박스
KR20190013099A (ko) * 2017-07-31 2019-02-11 ㈜케이앤에스팩 종이제 튀김식품 및 피자 포장 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555Y1 (ko) * 2003-04-07 2003-07-12 황의봉 취급이 용이한 계란 포장용기
JP2007230618A (ja) * 2006-03-01 2007-09-13 Natl Fedelation Of Agricult Coop Assoc 葡萄出荷用トレー
KR101209664B1 (ko) * 2010-10-13 2012-12-10 김기호 냉장유통을 위한 달걀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00A (ko)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703Y1 (ko) 포장상자
US3107039A (en) One piece collapsible and glueless egg carton
US2155450A (en) Chick box
KR101686195B1 (ko)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의 전개도
JP6135423B2 (ja) トレイ型の包装箱
US3038625A (en) Cell partitions for cartons
US1940292A (en) Carton
KR102448055B1 (ko)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
KR200390818Y1 (ko) 포장용 상자
US885159A (en) Carton.
JP6127741B2 (ja) トレイ状の宙吊り包装箱
KR102481462B1 (ko) 공중에 떠있는 계란포장박스
US2721687A (en) Shipping box
KR102286540B1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US6557706B2 (en) Bottomless battery container
US2766924A (en)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s
KR101335587B1 (ko)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KR102401852B1 (ko) 달걀 수납 케이스용 포장박스
JP2021095161A (ja) 梱包箱
US4254903A (en) Carton structure
KR20230000447U (ko) 계란 난좌 박스 포장용 간지
JP6120803B2 (ja) 仕切り機能付き段ボール箱
KR102533722B1 (ko) 일체형 계란 포장 박스
US1034878A (en) Shipping-case.
KR200201133Y1 (ko) 앰프와 기타의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