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563Y1 - 차량의 타이어 분리기 - Google Patents

차량의 타이어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563Y1
KR200290563Y1 KR2020020014603U KR20020014603U KR200290563Y1 KR 200290563 Y1 KR200290563 Y1 KR 200290563Y1 KR 2020020014603 U KR2020020014603 U KR 2020020014603U KR 20020014603 U KR20020014603 U KR 20020014603U KR 200290563 Y1 KR200290563 Y1 KR 200290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wheel
boom
separator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정호
Original Assignee
빈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빈정호 filed Critical 빈정호
Priority to KR2020020014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5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563Y1/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으로부터 분리한 타이어를 작업자가 힘이 들지 않고 편리하게 타이어 휠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분리기구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베이스(3)일측에 지지봉(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4)상에 관절부(A)가 형성된 붐(10 10')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으로 정비하려는 타이어를 상부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동력수단(11)과, 상기 동력수단(11)하측으로 타이어휠 청공부에 걸어 상기 동력수단(11)으로 승강시켜 타이어 분리통(14)에 안착 후 상기 동력수단(11)을 하강하면 휠(50)이 상기 타이어 분리통(14)내측으로 낙하하도록 밀어주는 휠밀착판(15)에 설치된 휠걸이(16)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타이어 분리기{Separation apparatus}
차량의 타이어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타이어와 휠을 정비하기 위하여 특히, 취급이 어려운 대형타이어의 착탈 및 교환 정비에 매우 편리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취급이 매우 어려운 대형타이어의 정비(펑크수리 및 타이어 교환 또는 휠 정비)에 있어서 대형망치와 타이어 탈착공구등을 이용하여 여러 명의 작업자가 서로 협력하여 정비하여야 했는데 점차 이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다양한 타이어 정비용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타이어와 휠을 분리하는 장치이거나 유압을 이용하여 휠에 장착된 타이어를 분리 또는 결합하였다.
상기한 유압을 이용한 분리장치를 살펴보면 차량으로부터 분리한 타이어를고정되어 있는 유압장치를 향해 굴려 이동한 후 타이어휠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유압장치에 작업자의 힘으로 들어올리거나 뒤집는 작업을 함으로서 유압장치라 할지라도 힘이 들뿐 아니라 작업성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대형타이어를 굴려 유압장치로 이동하기에는 용이하지만 그 타이어를 들어올려 유압장치에 위치시킨다는 것은 1인의 작업자로서는 불가능에 가깝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차량으로부터 분리한 타이어를 타이어 분리기를 향해 굴려 상기 분리기 주변에 적당히 위치시켜'분리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힘이 들지 않고 편리하게 타이어 휠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베이스(3)일측에 지지봉(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4)상에 관절부(A)가 형성된 붐(10 10')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으로 정비하려는 타이어를 상부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동력수단(11)과, 상기 동력수단(11)하측으로 타이어휠의 청공부에 걸어 상기 동력수단(11)으로 승강시켜 타이어 분리통(14)에 안착 후 상기 동력수단(11)을 하강하면 휠(50)이 상기 타이어 분리통(14)내측으로 낙하하도록 밀어주는 휠밀착판(15)에 설치된 휠걸이(16)로 구성된다
제 1도는 본원의 타이어 분리기로서 일부를 분해한 전체사시도
제 2도는 본원의 타이어 분리기의 타이어 분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는 타이어로부터 휠을 분리하기 위한 즉, 분리전이며
나)는 타이어로부터 휠을 분리한 상태이다.
제 3도는 본원의 타이어 분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
제 4도는 본원의 타이어 분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
제 5도는 본원의 타이어 분리기의 타이어휠걸이
제 6도는 종래의 타이어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베이스 4.지지봉
5.동력장치지지대 7.동력장치
9.실린더 10 10'.붐
11.동력수단 12.센터홈
13.레버 14.타이어 분리통
15.휠밀착판 16.휠걸이
1도는 본원의 타이어 분리기로서 일부를 분해한 전체사시도이며
2도는 본원의 타이어 분리기의 타이어 분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는 타이어로부터 휠을 분리하기 위한 즉, 분리전이며
나)는 타이어로부터 휠을 분리한 상태이다.
베이스(3)일측에 지지봉(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4)상에 관절부(A)가 형성된 붐(10 10')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으로 정비하려는 타이어를 상부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동력수단(11)과, 상기 동력수단(11)하측으로 타이어휠의 청공부에 걸어 상기 동력수단(11)으로 승강시켜 타이어 분리통(14)에 안착 후 상기 동력수단(11)을 하강하면 휠(50)이 상기 타이어 분리통(14)내측으로 낙하하도록 밀어주는 휠밀착판(15)에 설치된 휠걸이(16)로 구성된다
2)상기 붐(10)일측이 지지봉(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붐(10)이 상'하이동 하도록 상기 지지봉(4)측면의 동력장치지지대(5)에 동력장치(7)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3)상기 제 2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7)는 유압펌프(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유압의 압력 또는 콘프레셔에서 발생되는 공기 압력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4) 상기 제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단(11)은 유압펌프(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유압의 압력 또는 콘프레셔에서 발생되는 공기 압력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5) 상기 제 1에 있어서
상기 붐(10)에는 상기 붐(10)방향으로 붐(10')을 접었을 때 타이어 휠걸이(16)에 걸림된 타이어가 타이어 분리통(14)과 수직으로 일치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센터(center)홈(12)을 형성한다.
6)상기 제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4)은 붐(10 10')이 360°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지면의 일정위치에 위치시킨 타이어방향으로 용이하게 휠밀착판(15)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4)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봉(4)하단부를 암'수 결합한다
미도시 B는 조립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먼저 본원의 타이어 분리기는 특히 대형타이어용 분리기로서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타이어정비를 1인의 작업자가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으로부터 분리해온 타이어를 전자동으로 휠과 타이어를 분리함이아니라 힘이 들지 않으면서, 보다 짧은 시간에 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정비 기기이다.
타이어 정비과정을 살펴보면
가)차량으로부터 해체한 타이어를 본원의 타이어분리기로 굴려온다.
나)굴려온 타이어를 타이어 분리기 주변 적당한 위치에 위치시켜 제 6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미도시한 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휠링(100)을 제거한 다음
(휠링제거는 숙련공은 손쉽게 그 휠링을 제거할 수 있다)
다) 붐(10')등을 손으로 잡고서(수작업) 휠걸이(16)를 타이어휠 상부로 위치시켜 미도시한 실린더작동레버를 조작하여 실린더로드(11')를 하강시키면 휠밀착판(15)에 설치된 휠걸이(16)는 휠(50)의 천공부(60)상측에서 내측으로 이른다 (약간의 수작업을 요함 즉 휠밀착판 및 봄 좌'우 조정)그 후 상기 밀착판(15)상면에 위치한 레버(13)를 작동하면 레버(13)와 레버봉(13')으로 관절 연결된 휠걸이(16)는 휠(50)을 걸림 한다.
라) 이와 같이 타이어의 휠이 걸림 되면 앞서 하강시킨 실린더로드(11')를 승강시킨 후 관절 연결된 붐(10')를 제 2. 4도와 같이 붐(10)에 겹치면 실린더(11)의 몸체가 상기 붐(10)의 센터홈(12)에 위치된다
마) 상기와 같이 실시하면 타이어는 타이어 분리통(14)상부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 후 실린더로드(11')를 하강하면 제 2도시 '가'와 같이 타이어는 타어어 분리통(14)상부에 안착된다
바) 이와 같이 타이어 분리통(14)에 타이어를 안착한 후 상기한 휠(50)의 천공부(6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르게 하여 휠밀착판(15)상면에 위치한 레버(13)를 작동하면 레버(13)와 레버봉(13')으로 연결된 휠걸이(16)는 휠로부터 걸림 해제한 한다 그 후 상기 하강했던 실린더로드를 더욱 하강하면 제 2도시 '나'와 같이 타이어에 끼워진 휠(50)은 하강하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강에 의해 차이어 분리통(14) 내부로 낙하하여 그 내부에 위치한다.(작업후 실린더로드를 상승시켜 다음공정 작업대기)
사)이상과 같이 휠을 분리한 타이어는 그 내부에 예를 들어 튜브를 꺼내어 펑크작업을 한 후 다시 내장시킨다.
다음은 타이어로부터 분리시켜 타이어 분리통(14)내부에 위치한 휠을 타이어와 결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1) 다) 앞서 타이어의 정비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승시킨 실린더로드(11')를 하강하여 타이어 분리통(14)내로 하강하면 도시한 도2의 "나"와같이 휠걸이(16)는 타이어휠 상부에 위치한다(휠에 밀착)이와 같이 실시로 휠밀착판(15)에 설치된 휠걸이(16)는 휠(50)의 청공부(60) 내측으로 이른다 (약간의 수작업을 요함 즉 휠밀착판 및 봄 좌'우 조정)그 후 상기 휠밀착판(15)상면에 위치한 레버(13)를 작동하면 레버(13)와 레버봉(13')으로 연결된 휠거리(16)가 작동하여 휠이 걸림 된다
라) 이와 같이 타이어의 휠이 걸림 되면 앞서 하강시킨 실린더로드(11')를 승강시키면 휠(50)은 타이어에 끼워진다.
마)이와 같이 타이어에 휠이 끼워지면 전술한 역순으로 기기들을 작동하여 타이어휠에서 분리해둔 링(100)을 체결하면 타이어 정비가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의 타이어 분리기는 특히 대형타이어용 분리기로서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필요치 않고 1인의 작업자가 손쉽게 타이어정비를 실시할 수 있는 아주 유익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6)

  1. 베이스(3) 상단 평면일측에 지지되는 지지봉(4)과, 상기 지지봉(4) 상단에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관절(A)부를 갖추고 상기 지지봉(4) 상단에 지지되는 붐(10 10')과, 상기 붐(10 10') 끝부분에 정비하려는 타이어를 상부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동력수단(11)과.
    상기 동력수단(11)하측으로 타이어의 승강을 위해 휠의 천공부(60)에 끼워 걸수 있는 휠걸이(16)를 휠과 타이어와의 분리시 그 분리가 용이하도록 밀어주는 휠밀착판(15) 저면에 설치하여 상기 동력수단(11)하단과 연결시키는 상기 휠걸이를 갖는 상기 휠밀착판(15)과,
    상기 베이스 상단에는 상기 휠밀착판(15)의 휠걸이(16)에 걸림된 타이어를 승강이동하여 타이어와 휠을 분리할 수 있는 타이어 분리통(14)이 설치됨을 구성으로 하는 타이어 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10)일측이 지지봉(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붐(10)이 상'하이동 하도록 상기 지지봉(4)측면의 동력장치지지대(5)에 동력장치(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분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7)는 유압펌프(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유압의 압력 또는 콘프레셔에서 발생되는 공기 압력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분리기.
  4.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단(11)은 유압펌프(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유압의 압력 또는 콘프레셔에서 발생되는 공기 압력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분리기.
  5.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10)에는 상기 붐(10)방향으로 붐(10')을 접었을 때 타이어 휠걸이(16)에 걸림된 타이어가 타이어 분리통(14)과 수직으로 일치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센터(center)홈(12)을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분리기.
  6.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4)은 붐(10 10')이 360°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지면의 일정위치에 위치시킨 타이어방향으로 용이하게 휠밀착판(15)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4)이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봉(4)하단부를 암'수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분리기
KR2020020014603U 2002-05-14 2002-05-14 차량의 타이어 분리기 KR200290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603U KR200290563Y1 (ko) 2002-05-14 2002-05-14 차량의 타이어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603U KR200290563Y1 (ko) 2002-05-14 2002-05-14 차량의 타이어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563Y1 true KR200290563Y1 (ko) 2002-10-04

Family

ID=7312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603U KR200290563Y1 (ko) 2002-05-14 2002-05-14 차량의 타이어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5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9054A (zh) * 2022-08-16 2022-10-04 重庆飞特车辆技术有限公司 一种轮毂再塑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9054A (zh) * 2022-08-16 2022-10-04 重庆飞特车辆技术有限公司 一种轮毂再塑形装置
CN115139054B (zh) * 2022-08-16 2024-03-26 重庆飞特车辆技术有限公司 一种轮毂再塑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5954B1 (en) Tyre-removal machine with single multifunctional tool
CN103129332B (zh) 用于拆卸和装配车辆轮胎的操作头
CA2572367A1 (en) Tire changing machine
JP2006290340A (ja) 横転可能な取付け・取外し工具を備える着脱装置
WO2009079929A1 (fr) Machine à monter et à démonter les pneus du type à bras oscillant
US2595258A (en) Fluid pressure actuated tire-changing device with circumferentially distributed thrust members
KR200290563Y1 (ko) 차량의 타이어 분리기
US4804030A (en) Tire bead separator
CN117300573B (zh) 矿用设备总成件拆装车
CN113941637A (zh) 一种钣金冲压设备
JP5026477B2 (ja) タイヤ上ビードの取外し方法及びその装置
WO2021103378A1 (zh) 一种轮胎拆装机
KR200311440Y1 (ko) 자동차 엔진 정비대
EP2756969B1 (en) Machine for removing/ fitting a tyre from/ on the rim of a vehicle vehicles
CN211252099U (zh) 一种拆胎机举胎架及轮胎拆胎机
JP2006021583A (ja) タイヤ脱着補助具
JP2017197106A (ja) クローラベルト着脱用工具
US20070235145A1 (en) Tire mounting and dismounting methods and systems
CN110961897A (zh) 一种螺栓拆除装置
CN219969323U (zh) 一种拆胎器
CN219969324U (zh) 一种无人机机轮拆胎装置
KR102581733B1 (ko) 에어서스펜션 분해조립장치
CN214523220U (zh) 一种大型扒胎机
KR200192845Y1 (ko) 사고 롤 쵸크제거장치
CN211565777U (zh) 墙顶打孔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