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474Y1 -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474Y1
KR200290474Y1 KR2020020020212U KR20020020212U KR200290474Y1 KR 200290474 Y1 KR200290474 Y1 KR 200290474Y1 KR 2020020020212 U KR2020020020212 U KR 2020020020212U KR 20020020212 U KR20020020212 U KR 20020020212U KR 200290474 Y1 KR200290474 Y1 KR 200290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coupled
filling tube
support plat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2020020020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4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474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분사 추진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더불어 자원의 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가 유체의 재충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디스펜서의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는 하우징부, 제 1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부, 캡부의 상부에서 캡부의 내부로 결합되는 밸브부 및 제 1 하우징부 내측에 배치되며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충전부를 구비한다. 충전부는 제 1 충전튜브, 제 1 받침판 및 제 1 압축스프링을 구비한다. 제 1 충전튜브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수직하게 연장되고 외주면은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용이하도록 연속된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관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부는 장착대에 장착될 수 있도록 내주면 상에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제 1 받침판은 제 1 충전튜브의 하부면과 밀착 고정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원뿔형상을 가진다. 제 1 압축스프링은 제 1 충전튜브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일단은 장착대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 1 받침대에 결합되어 제 1 충전튜브의 수축력을 보강하여준다.

Description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Dispenser injected by self contraction}
본 고안은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하우징부와 충전부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충전부는 자체 수축성을 갖고 있어 별도의 분사 추진제를 주입하지 않고도 내용물만을 가압충전 시킴과 아울러 밸브의 개방에 의해 수축력과 대기와의 압력차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사 추진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더불어 자원의 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가 유체의 재충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디스펜서의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살충제, 방향제, 탈취제, 헤어스프레이, 방청제 등 압력에 의해 디스펜서에서 유체를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해서는 에어로졸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내용물의 분사 추진제로는 인체에 무해하고 냄새도 없고 독성도 없으며 불에 타지 않고 화학적으로도 안정한 프레온가스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분사 추진제로 사용된 프레온가스가 대기권으로 방출된 후에는 오존층에서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염소원자가 연속적으로 오존을 분해시켜 오존층을 파괴하여 지구 온난화 현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오존층이 자외선을 차단시켜주지 못하기 때문에 자외선에 노출되는 동, 식물에 극심한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 하우징부와 충전부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충전부는 자체 수축성을 갖고 있어 별도의 분사 추진제를 주입하지 않고도 내용물만을 가압충전 시킴과 아울러 밸브의 개방에 의해 수축력과 대기와의 압력차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사 추진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더불어 자원의 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가 유체의 재충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디스펜서의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의 충전부에 내용물을 재 충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200 : 디스펜서 10, 210 : 하우징부
20 : 캡부 30 : 밸브부
110 : 충전부 112, 212 : 충전튜브
114 : 암나사 116, 214 : 받침판
118, 216 : 압축스프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형의 제 1 하우징부와, 제 1 하우징부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장착대를 구비하는 종형의 캡부와, 장착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장착되면서 내용물을 배출하거나 내용물을 재충전시킬 수 있는 밸브부를 구비하는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수직하게 연장되고 외주면은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용이하도록 연속된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관 형상을 가지며 상부는 장착대에 장착될 수 있도록 내주면 상에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제1 충전튜브와, 제 1 충전튜브의 하부면과 밀착 고정되며 하부 외주면은 제 1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1 하우징부의 내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 제 1 받침판과, 제 1 충전튜브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일단은 장착대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 1 받침대에 결합되어 제 1 충전튜브의 수축력을 보강하여주는 제 1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충전부를 구비하는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형의 제 2 하우징부와, 제 2 하우징부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장착대를 구비하는 종형의 캡부와, 장착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장착되면서 내용물을 배출하거나 내용물을 재충전시킬 수 있는 밸브부를 구비하는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에 있어서,
제 2 하우징부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수직하게 연장되고 외주면은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용이하도록 연속된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관 형상을 가지며 상부는 나사가 형성되어 캡부의 하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 2 충전튜브와, 상기 제 2 충전튜브의 하부면과 밀착 고정되는 제 2 받침판과, 제 2 충전튜브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일단은 장착대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 2 받침대에 결합되어 제 2 충전튜브의 수축력을 보강하여주는 제 2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부와 충전부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충전부는 자체 수축성을 갖고 있어 별도의 분사 추진제를 주입하지 않고도 내용물만을 가압충전 시킴과 아울러 밸브의 개방에 의해 수축력과 대기와의 압력차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사 추진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더불어 자원의 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가 유체의 재충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디스펜서를 반복사용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100)는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형의 제 1 하우징부(10)와, 제 1 하우징부(1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26)가 형성된 장착대(22)를 구비하는 종(bell)형의 캡부(20)와, 장착대(22)에 형성된 관통공(24)으로 장착되면서 내용물을 배출하거나 내용물을 재 충전시킬 수 있는 밸브부(30)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제 1 하우징부(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충전부(11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하우징부(10)와 캡부(20)는 나사결합되고, 밸브부(30)는 캡부(20)에 형성된 관통공(24) 내측으로 스프링(32), 밸브체(34), 패킹(38) 및 이탈방지구(39)가 순차적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밸브부(30)는 관통공(24)에 나사결합하는 이탈방지구(39)에 의해서 마감된다. 이때, 밸브체(34)에는 밸브체(34)의 상부에서 하부 인접위치까지 연장되는 밸브 가이드공(35)이 형성되고 밸브체(34)의 외주면상에 밸브 가이드공(35)과 연통하면서 내용물이 외부에서 충진되는 충진공(36) 및 충진공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공(37)이 형성된다.
한편, 충전부(110)는 내용물이 충진되는 제 1 충전튜브(112), 제 1 받침판(116) 및 제 1 압축스프링(118)을 구비한다.
먼저, 제 1 충전튜브(112)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수직하게 연장되고 외주면은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용이하도록 연속된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충전튜브(112)의 상부는 장착대(22)에 장착될 수 있도록 내주면 상에 수나사(26)에 대응하는 암나사(114)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제 1 하우징부(10)의 내주면과 마찰되지 않도록 제 1 하우징부(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충전튜브(112)에는 제 1 받침판(116) 및 제 1 압축스프링(118)이 결합된다.
제 1 받침판(116)은 상측으로 돌출된 원뿔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받침판(116)의 방사상 상부면은 제 1 충전튜브(112)의 하부면과 밀착고정되며, 제 1 받침판(116)의 하부 외주면은 제 1 받침판(116)이 제 1 하우징부(10)의 내부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1 하우징부(10)의 내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작한다. 한편, 제 1 압축스프링(118)은 제 1 충전튜브(112)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일단은 장착대(22)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 1 받침판(116)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 1 압축스프링(118)은 제 1 충전튜브(112)의 수축력을 보강하여 주며, 제 1 받침판(116)과 제 1 압축스프링(118)은 제 1 충전튜브(112) 내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밸브부(30) 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의 충전부에 내용물을 재충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내용물이 충진된 디스펜서(100)의 밸브부(30)에 분무헤드(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한 상태에서 분무헤드를 가압하면, 밸브체(34)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밸브부(30)가 열리게 된다. 밸브부(30)가 열리는 원리는 밸브체(34)의 외주면에 형성된 배출공(37)이 패킹(38)에 의해서 막혀 있다가 밸브체(34)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캡부(20)에 형성된 관통공(24)과 연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부(30)가 열리면 충전부(110)의 내부에서 제 1 충전튜브(112) 및 제 1 압축스프링(118)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 내용물이 압력이 낮은 밸브부(30)측으로 분출하게 된다. 즉, 내용물은 충전부(110), 관통공(24), 배출공(37) 및 밸브 가이드공(35)를 따라서 분출하게된다. 또한, 사용자가 가압한 분무헤드를 놓게 되면 밸브부(30)는 닫히게 되고 충전부(110) 안의 내용물들은 제 1 충전튜브(112) 및 제 1 압축스프링(118)에 의해 계속적인 압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연속적인방법으로 디스펜서(100)를 여러번 사용하게 되면 내용물이 점차 줄어들고 제 1 충전튜브(112)의 주름이 수축하게 되어 마지막 남은 내용물까지 사용할 수가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0)의 충전부(110)에 내용물이 재충전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b를 참고하면,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디스펜서(100)의 밸브부(30)에 내용물 주입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한 상태에서 밸브체(34)를 가압하면서 충전하게 되면 밸브체(34)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밸브부(30)가 열리게 된다. 밸브부가 열리는 원리는 밸브체(34)의 외주면에 형성된 충전공(36)이 패킹(38)에 의해서 막혀 있다가 밸브체(34)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캡부(20)에 형성된 관통공(24)과 연통하게 되어 밸브부(30)가 열린다. 이와 같이 밸브부(30)가 열리면 주입장치에서 주입되는 내용물은 밸브부(30)를 통하여 충전부(110) 안으로 충전되게 된다. 즉, 내용물은 밸브 가이드공(35), 충전공(36) 및 관통공(24)을 따라서 충전부(110)로 충전되게 된다. 계속적으로 주입장치를 작동시키면 수축했던 제 1 충전튜브(112) 및 제 1 압축스프링(118)이 팽창하게 되고 팽창된 제 1 충전튜브(112)가 제 1 하우징부(10)에 밀접하게 되면 더 이상 충전되지 않는다. 충전이 끝나게 되면 팽창한 제 1 충전튜브(112) 및 제 1 압축스프링(118)에 수축력이 발생하게 되어 내용물의 분출을 준비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200)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캡부(20), 캡부(20)의 내부에 장착되며 마찬가지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밸브부(30) 및 상부가 개방되고 캡부(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부(210)를 구비한다.
제 2 하우징부(210)는 내용물이 충진되는 제 2 충전튜브(212), 제 2 받침판(214) 및 제 2 압축스프링(216)을 구비한다.
먼저, 제 2 충전튜브(212)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수직하게 연장되고 외주면은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용이하도록 연속된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2 충전튜브(212)의 상부는 나사가 형성되어 캡부(20)의 하부와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2 충전튜브(212)에는 제 2 받침판(214) 및 제 2 압축스프링(216)이 결합된다.
제 2 받침판(214)은 상측으로 돌출된 원뿔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2 받침판(214)의 방사상 상부면은 제 2 충전튜브(212)의 하부면과 밀착 고정된다. 한편, 제 2 압축스프링(216)은 제 2 충전튜브(212)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일단은 장착대(22)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 2 받침판(214)에 결합된다. 이때, 제 2 압축스프링(216)은 제 2 충전튜브(212)의 수축력을 보강하여 주며, 제 2 받침판(214)과 제 2 압축스프링(216)은 제 2 충전튜브(212) 내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밸브부(30) 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100, 200)는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용이하도록 연속된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관 형상의충전튜브(112, 212) 및 충전튜브(112, 212)의 수축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내부에 압축스프링(118, 216)을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분사 추진제가 필요 없이도 내용물을 외부로 분출 시킬 수 있어 분사 추진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자원의 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형의 제 1 하우징부(10)와, 상기 제 1 하우징부(1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26)가 형성된 장착대(22)를 구비하는 종형의 캡부(20)와, 상기 장착대(22)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4)으로 장착되면서 내용물을 배출하거나 내용물을 재충전시킬 수 있는 밸브부(30)를 구비하는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100)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수직하게 연장되고 외주면은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용이하도록 연속된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관 형상을 가지며 상부는 상기 장착대(22)에 장착될 수 있도록 내주면 상에 상기 수나사(26)에 대응하는 암나사(114)가 형성된 제 1 충전튜브(112)와, 상기 제 1 충전튜브(112)의 하부면과 밀착 고정되며 하부 외주면은 상기 제 1 하우징부(10)의 내부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하우징부(10)의 내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 제 1 받침판(116)과, 상기 제 1 충전튜브(112)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장착대(22)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받침대(116)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충전튜브(112)의 수축력을 보강하여주는 제 1 압축스프링(118)으로 이루어지는 충전부(1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침판(116)은 상측으로 돌출된 원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3.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형의 제 2 하우징부(210)와, 상기 제 2 하우징부(21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26)가 형성된 장착대(22)를 구비하는 종형의 캡부(20)와, 상기 장착대(22)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4)으로 장착되면서 내용물을 배출하거나 내용물을 재충전시킬 수 있는 밸브부(30)를 구비하는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200)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부(21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수직하게 연장되고 외주면은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용이하도록 연속된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관 형상을 가지며 상부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캡부(20)의 하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 2 충전튜브(212)와, 상기 제 2 충전튜브(212)의 하부면과 밀착 고정되는 제 2 받침판(214)과, 상기 제 2 충전튜브(212)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장착대(22)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받침대(214)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충전튜브(212)의 수축력을 보강하여주는 제 2 압축스프링(2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받침판(214)은 상측으로 돌출된 원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KR2020020020212U 2002-07-05 2002-07-05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KR200290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212U KR200290474Y1 (ko) 2002-07-05 2002-07-05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212U KR200290474Y1 (ko) 2002-07-05 2002-07-05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474Y1 true KR200290474Y1 (ko) 2002-09-28

Family

ID=7312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212U KR200290474Y1 (ko) 2002-07-05 2002-07-05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4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015B1 (ko) * 2002-11-04 2005-05-03 김용수 디스펜서
KR100738876B1 (ko) 2006-02-21 2007-07-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평면디스플레이용 화학 기상 증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015B1 (ko) * 2002-11-04 2005-05-03 김용수 디스펜서
KR100738876B1 (ko) 2006-02-21 2007-07-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평면디스플레이용 화학 기상 증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53422A (en) Reusable aerosol dispenser
US5392959A (en) Suckback drain valve for a liquid jet blower
JP6718890B2 (ja) ボトルに液体を詰め替え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080087A (ja) 化粧品容器の化粧品吐出構造
WO2006004242A1 (en) Push-type dispensing device
KR20090087074A (ko) 화장용 브러시의 토출구조
KR100570340B1 (ko) 디스펜서
WO1992005879A1 (en) Liquid sprayer
KR100789295B1 (ko)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0290474Y1 (ko) 자체 수축력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KR200383512Y1 (ko) 디스펜서
KR20120117493A (ko) 호신용 향수병
JP6267434B2 (ja) 内容物を定期的に噴射する噴射装置
JP4906483B2 (ja) 液体用容器
KR100486015B1 (ko) 디스펜서
KR200315889Y1 (ko) 개량된 재충전 노즐을 구비하는 가스통
JPH0654578U (ja) スプレー容器
KR102090422B1 (ko) 정량 분사용기 및 그의 노즐 조립체
JPS5850916Y2 (ja) 揮発性液剤分与器
JPH0344293Y2 (ko)
KR200303419Y1 (ko) 디스펜서
KR200436317Y1 (ko) 화장용브러시의 토출구조
JP2509769Y2 (ja) 小形噴霧器
KR200376223Y1 (ko)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디스펜서
JP7202096B2 (ja) 吐出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