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223Y1 -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223Y1
KR200376223Y1 KR20-2004-0031628U KR20040031628U KR200376223Y1 KR 200376223 Y1 KR200376223 Y1 KR 200376223Y1 KR 20040031628 U KR20040031628 U KR 20040031628U KR 200376223 Y1 KR200376223 Y1 KR 200376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inner container
dispenser
self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20-2004-0031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2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2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17C2227/04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by pu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부용기의 팽창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내관의 끝단이 어떠한 상태에서도 내용물과 접촉되어 내용물의 분출이 원활하게 될 수 있는 자체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는 하우징을 갖는 외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튜브지지대와, 튜브지지대의 내측에 결합되는 밸브와, 밸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튜브지지대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와, 튜브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되고 자체수축력을 갖는 내부용기와, 내부용기의 내측에 배치되는 안내관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안내관은 신축가능한 나선형상을 가지며, 튜브지지대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내부용기의 내용물을 하부에서 흡입하여 밸브측으로 안내한다.

Description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dispenser injected by self contraction}
본 고안은 디스펜서(dispens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분출시킬 때 내부용기의 자체 수축력과 동시에 공기압의 작용으로 내용물을 원활하게 분출시킬 수 있는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살충제, 방향제, 탈취제, 헤어스프레이 및 방청체 등은 압력에 의해 디스펜서에서 유체로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해서 에어로졸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가스가 부탄가스를 비롯한 가스를 사용하고 있어서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출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12636(자체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가 개시된바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312636호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오목한 원통형상의 하우징(112)과, 개방된 상기 하우징(112)의 상부를 덮으면서 중앙부분에는 상기 하우징(112)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내주면 상에는 제 1 암나사(118)가 형성된 환형의 링 형상의 결합플랜저(116)가 일체로 형성된 캡(114)을 갖는 외부용기(110);
상기 결합플랜저(116)에 장착되면서 내부에는 밸브설치공(140)이 형성된 제 1 지지대(122)와, 상기 제 1 지지대(122)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대(124) 및 상기 제 2 지지대(124)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착돌기(126)를 갖으며 상기 제 2 지지대(124)의 상부에는 상기 밸브설치공(140)과 연통하는 내용물안내공(148)이 상기 장착돌기(126)의 하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튜브지지대(120);
상기 밸브설치공(140)에 안치되는 스프링(134), 스프링(134)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하부 오리피스(136a)가 형성된 밸브체(136) 및 상기 오리피스(136a)를 단속하는 밸브시트(138)를 갖는 밸브(128);
상기 밸브체(136)의 상부가 관통 연장되고 원주면은 상기 밸브설치공(140)에 결합되면 하부면은 밸브시트(138)의 상부에 밀착되는 이탈방지구(130);
자체 수축력 및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가 상기 제 2 지지대(124)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2)의 내측 바닥면 까지 연장되는 내부용기(150); 및
상부가 상기 장착돌기(126)에 장착되고 하부는 상기 내부용기(150)의 내측 바닥면 까지 연장되면서 내부가 상기 내용물안내공(148)과 연통하는 안내관(16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자체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는 자축 수축력을 가지는 내부용기(150)의 내부에 내용물(A)을 가압할 수 있도록 공기(B)를 충진함으로써, 내부용기(150) 내의 내용물(A)이 자체 수축력 뿐만 아니라 내부용기(150)에 충진된 공기(B)에 의해서 원활하게 안내관(160) 및 밸브(128)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며, 또한 디스펜서(100)의 내용물(A)을 다시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디스펜서(100)는 안내관(160)이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기 때문에 그 안내관(160)의 외부에 감싸진 내부용기(150)가 적은 팽창률을 보인다는게 문제점이었다. 이는 내부용기(150)에 내용물(A)이 충진된 후 외부로 분출할 때 팽창률이 작은 만큼 수축률도 작기 때문에 원활한 분출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펜서(100)가 옆으로 기울어지거나 누워있을 때 내부용기(150)내의 내용물이 가득차 있을 때를 제외하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관(160)의 끝단과 내용물이 맞닿지 않게 된다. 이렇게 되면, 안내관(160)으로 분출되는 것은 내용물(A)이 아니고 공기압(B)만 분출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용기의 내측에 내용물을 흡입하는 신축가능한 나선형의 안내관을 구비함으로써, 내부용기의 팽창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내관의 끝단이 어떠한 상태에서도 내용물과 접촉되어 내용물의 분출이 원활하게 될 수 잇는 자체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우징을 갖는 외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튜브지지대와, 튜브지지대의 내측에 결합되는 밸브와, 밸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튜브지지대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와, 튜브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되고 자체수축력을 갖는 내부용기와, 내부용기의 내측에 배치되는 안내관을 포함하여 자체수축력에 의해서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에 있어서,
안내관은 신축가능한 나선형상을 가지며, 튜브지지대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내부용기의 내용물을 하부에서 흡입하여 밸브측으로 안내하는 자체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이때, 안내관의 하부에는 소정의 무게추가 고정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체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안내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하우징(112)을 갖는 외부용기(110)와, 외부용기(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튜브지지대(120)와, 튜브지지대(120)의 내측에 결합되는 밸브(128)와, 밸브(128)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튜브지지대(120)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130)와, 튜브지지대(120)의 하부에 고정되고 자체수축력을 갖는 내부용기(150) 및 내부용기(150)의 내측에 배치되는 안내관(200)을 포함한다.
안내관(200)은 신축가능한 나선형상으로 상부가 튜브지지대(12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내관(200)의 내부는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관통되어 있으며 상측에 배치된 밸브(128)와 연통된다. 그리고 안내관(200)의 하단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추(210)가 결합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디스펜서(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디스펜서(100)의 내부용기(150)에 살충제, 방향제, 탈취제, 헤어스프레이 또는 방청제 등의 내용물(A)을 충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내부용기(150)에 공기(B)를 충진한다. 이때, 내부용기(150) 내로 충진되는 공기(B)의 양은 내부용기(150)의 용적에 30% 충진한다. 이렇게 내부용기(150)에 공기(B)가 충진되면, 다시 내용물(A)을 충진한다. 이때, 내부용기(150) 내로 충진되는 내용물(A)의 양은 내부용기(150)의 용적에 70% 충진한다. 이렇게 내부용기에 공기(B) 및 내용물(A)이 밸브(128)를 통하여 충진되면, 내부용기(150)는 하우징(112)의 내측면 측으로 팽창된다(도 5 참조). 이렇게 내용물(A)이 충진된 디스펜서(100)를 사용하기 위해서 밸브(128)를 누르면 내부용기(150) 내의 내용물은 내부용기(150)의 자체 수축력과, 내부용기(150)의 압력과 대기와의 압력차 및 내부용기(150)의 충전된 공기압에 의해서 안내관(200), 튜브지지대(120) 및 밸브(128)를 지나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나선형의 안내관(200)은 내부용기(150)가 수축이 팽창될 때 내부용기(150)의 내측 하단면상에 접촉된다. 그리고 디스펜서(100)가 기울어지더라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이 있는 곳으로 접촉하게 되어 내용물을 원활히 배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체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는 내용물을 흡입하는 안내관이 신축가능한 나선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어떠한 상태에서도 안내관의 끝이 내용물에 항상 접촉하고 있어 원활한 분출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안내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디스펜서 110 : 외부용기
120 : 튜브지지대 128 : 밸브
130 : 이탈방지구 150 : 내부용기
200 : 안내관 210 : 무게추

Claims (2)

  1. 하우징(112)을 갖는 외부용기(110)와, 외부용기(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튜브지지대(120)와, 튜브지지대(120)의 내측에 결합되는 밸브(128)와, 밸브(128)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튜브지지대(120)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130)와, 튜브지지대(120)의 하부에 고정되고 자체수축력을 갖는 내부용기(150)와, 내부용기(150)의 내측에 배치되는 안내관(200)을 포함하여 자체수축력에 의해서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200)은 신축가능한 나선형상을 가지며, 상기 튜브지지대(12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내부용기(150)의 내용물을 하부에서 흡입하여 상기 밸브(128)측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200)의 하부에는 소정의 무게추(21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
KR20-2004-0031628U 2004-11-09 2004-11-09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디스펜서 KR200376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628U KR200376223Y1 (ko) 2004-11-09 2004-11-09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628U KR200376223Y1 (ko) 2004-11-09 2004-11-09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223Y1 true KR200376223Y1 (ko) 2005-03-11

Family

ID=4929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628U KR200376223Y1 (ko) 2004-11-09 2004-11-09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2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1583B2 (en) Double-acting pump for ejecting a product from a container
US5240153A (en) Liquid jet blower
CA2485237A1 (en) Liquid jet pump
US6779690B2 (en) Double-acting pump for ejecting a product from a container
JPS6319713B2 (ko)
US6698620B2 (en) Aerosol valve for high rate filling
KR200376223Y1 (ko)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디스펜서
KR200383512Y1 (ko) 디스펜서
JP3822352B2 (ja) 正倒立両用の液体噴出器
JP2006297216A (ja) 噴射装置、および噴出器
KR100486015B1 (ko) 디스펜서
KR200312636Y1 (ko)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디스펜서
KR200303419Y1 (ko) 디스펜서
US11154879B2 (en) Orifice and spray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JP4407268B2 (ja) 間欠噴射用釦
CN208790315U (zh) 一种喷雾瓶
KR100936182B1 (ko) 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040028161A (ko)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디스펜서
JP6671240B2 (ja) 液体注出容器
JP7438081B2 (ja) 吐出器
JP2002035654A (ja) スプレー容器
JP3889853B2 (ja) 噴出器用の往復ポンプ
JPS6052866B2 (ja) 手動式噴霧器
JPH0420526Y2 (ko)
JP2509769Y2 (ja) 小形噴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